KR102224807B1 -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807B1
KR102224807B1 KR1020170058408A KR20170058408A KR102224807B1 KR 102224807 B1 KR102224807 B1 KR 102224807B1 KR 1020170058408 A KR1020170058408 A KR 1020170058408A KR 20170058408 A KR20170058408 A KR 20170058408A KR 102224807 B1 KR102224807 B1 KR 10222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injectors
rail pressure
unit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231A (ko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8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02D41/3836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진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장치로서, 복수의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진단모듈;을 가지고, 상기 구동모듈이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기능만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다른 인젝터들의 기능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단모듈은 커먼레일의 레일압력 변화를 검출하여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DIGNOSIS SYSTEM AND METHOD FOR FUEL INJECTOR}
본 발명은 다기통 내연기관의 각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인젝터의 소음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을 독립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기통 내연기관은 복수의 기통(cylinder)을 가진 내연기관으로 출력 및 배기량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기통 내연기관의 각 기통에는 연료를 개별적으로 분사하는 인젝터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인젝터의 고장 등을 진단하는 진단시스템은 인젝터 구동회로의 단선, 단락, 연료라인의 누설(leak), 센서의 고장 등을 다양한 검출수단에 의해 효과적을 진단할 수 있지만, 인젝터 자체의 내부 문제 예컨대, 내부 부품의 마모 내지 손상, 개별 인젝터의 노즐 코킹 등을 검출할 수 없었다. 이에 인젝터의 내부 부품의 마모 내지 손상, 노즐 코팅 등으로 인해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어느 인젝터가 소음의 발생원인지 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으므로 모든 인젝터를 함께 교체하거나 해당 인젝터 이외의 주변 부품을 함께 교환하는 불합리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인젝터의 내부 문제로 인해 소음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그 진단이 정확하게 이루지지 못하므로 고장난 인젝터를 방치함에 따라 이상 진동 등으로 인해 추가적인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s) 시스템에 의해 상술한 추가적인 품질 문제에 해당하는 고장코드가 점등될 경우에만 비로소 인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젝터 측에서 소음이 발생할 경우에도 그 소음 원인의 정확한 판단이 어려워 복수의 인젝터를 함께 교체하거나 어느 인젝터가 고장원인지를 정확하게 잔단할 수 없으므로 주변 부품과 함께 과도하게 교체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기통 내연기관의 각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인젝터의 소음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을 독립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진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장치로서,
복수의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진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이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기능만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다른 인젝터들의 기능을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단모듈은 커먼레일의 레일압력 변화를 검출하여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이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단모듈은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각 인젝터의 노즐 코킹의 발생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인젝터들은 캠샤프트의 캠에 의해 구동하는 플런저 펌프 및 인젝터 노즐이 결합된 유니트 인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이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들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단모듈은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각 유니트 인젝터의 논리턴밸브의 마모 발생 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진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으로,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는 연료분사 오프단계; 및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는,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값과 각 레일압력의 차이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 이전에 커먼레일의 초기 레일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세탕하는 초기 레일압력 세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지고,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인젝터들이 플런저 펌프 및 인젝터 노즐이 결합된 유니트 인젝터로 구성되는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유니트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으로,
유니트 인젝터들 중에서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들의 펌핑을 오프시키는 펌핑 온단계; 및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 온단계는, 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펌핑 온"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을 판정값과 비교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각 레일압력이 판정값을 초과하는 횟수가 한계치 보다 크면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지고, 복수의 인젝터는 복수의 전자식 인젝터 및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로 구성된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으로,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들의 펌핑을 오프시키는 펌핑 온단계;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제1진단단계;
복수의 전자식 인젝터 및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는 연료분사 오프단계; 및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하는 제2진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 온단계는, 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펌핑 온"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을 판정값과 비교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각 레일압력이 판정값을 초과하는 횟수가 한계치 보다 크면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는, 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값과 각 레일압력의 차이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 이전에 커먼레일의 초기 레일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세탕하는 초기 레일압력 세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기통 내연기관의 각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인젝터의 소음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을 독립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이에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는 인젝터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고장수리, 유지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통 내연기관의 연료인젝션 시스템에 대한 인젝터 진단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니트 인젝터에 대한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통 내연기관의 연료인젝션 시스템에 대한 인젝터 진단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통 내연기관의 연료인젝션 시스템에 대한 인젝터 진단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진단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진단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진단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 이후의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인젝션 시스템은, 다기통 내연기관(1)의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2, 6)를 포함할 수 있고, 커먼레일(4), 고압펌프 등을 포함한 연료공급시스템에 의해 인젝터(2, 6) 측으로 고압의 연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젝터(2, 6)는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인젝터(2, 6)에는 고압의 연료를 공급하는 커먼레일(4)이 연결되며, 커먼레일(4)의 일단에는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을 검출하는 레일압력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각 인젝터(2, 6)는 각 기통 측으로 연료를 분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젝터(2, 6)는 제어부(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인젝터는 그 구동방식에 따라 솔레노이드 인젝터(solenoid injector), 피조 엑츄에이터(piezo injector), 유니트 인젝터(unit injector)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인젝터는 솔레노이드(solenoid)가 적용된 인젝터이고, 피조 인젝터는 피조 엑츄에이터(piezo actuator)가 적용된 인젝터이며, 유니트 인젝터는 캠샤프트의 캠에 의해 구동하는 플런저 펌프 및 인젝터 노즐이 결합된 인젝터이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복수의 인젝터(2, 6)가 솔레노이드 인젝터, 피조 인젝터 등과 같이 전자엑츄에이터가 적용된 전자식 인젝터(2)들과, 캠샤프트(7)의 캠(8)에 의해 구동하는 플런저 펌프 및 인젝터 노즐이 결합된 유니트 인젝터(6)들이 적절한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6기통 내연기관에서 1번기통에서 3번기통까지는 전자식 인젝터(2)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4번기통에서 6번기통까지는 유니트 인젝터(6)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복수의 인젝터는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유니트 인젝터(6)는 캠샤프트의 캠(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플런저 펌프 및 인젝터 노즐이 결합된 인젝터이다. 예컨대, 도 3의 6기통 내연기관에서 1번 기통에서 6번 기통까지 유니트 인젝터(6)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복수의 인젝터는 복수의 전자식 인젝터(2)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전자식 인젝터(2)는 솔레노이드 인젝터, 피조 인젝터 등과 같이 전자엑츄에이터를 포함한 인젝터이다. 예컨대, 도 4의 6기통 내연기관에서 1번 기통에서 6번 기통까지 전자식 인젝터(2)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유니트 인젝터(6)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7)의 캠(8)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플런저(61) 및 플런저(61)가 왕복이동하도록 설치된 플런저 챔버(62)를 가진 플런저 펌프(61, 62)와, 플런저 챔버(62)의 압력을 제어하는 미터링밸브(63, metering valve)와, 각 기통(8) 측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 노즐(64)과, 커먼레일(4) 및 플런저 챔버(62)에 연결되어 인젝터 노즐(64)의 분사 타이밍을 조절하는 노즐 컨트롤 밸브(65, Nozzle Control Valve)와, 플런저 챔버(62)와 커먼레일(4)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 논리턴밸브(66, Non-Return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61)는 캠(8)에 의해 직접적으로 왕복이동하거나 캠(7)에 연결된 록커암(8a)에 의해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논리턴밸브(66)는 볼 밸브 등으로 이루어져 플런저 챔버(62)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연료가 커먼레일(4)로 이동함을 허용하고, 연료가 커먼레일(4)에서 플런저 챔버(62)로 이동하는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3)는 복수의 인젝터(2, 6)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모듈(31)과, 각 인젝터(2)의 내부 문제 등을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진단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젝터(2)에는 고압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커먼레일(4)이 연결되고, 커먼레일(4)의 일단에는 레일압력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레일압력센서(5)는 제어부(3)의 구동모듈(31) 및 진단모듈(32)에는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센서(5)가 접속되어 있다.
진단모듈(32)은 복수의 인젝터(2, 6)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즉, 고장진단의 대상이 되는 인젝터)의 기능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그 외 나머지 다른 인젝터들의 기능을 온시킨 상태에서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인젝터(즉, 기능이 오프된 어느 한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개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진단모듈(32)은 OBD시스템(33)에 접속되고, 진단모듈(32)에 의해 어느 한 인젝터(2, 6)이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되면, 해당 고장코드가 OBD시스템(33)측으로 전송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단모듈(32)이 각 인젝터(2, 6)를 개별적으로 진단함으로써 각 인젝터(2, 6)의 내부 구성요소의 마모 내지 파손, 노즐 코킹 등으로 인한 소음 문제 등이 유발됨을 알릴(경고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발생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예에 따르면, 각 인젝터(2, 6)에서 노즐 코킹이 발생할 경우에는 연료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에 기통들 사이의 밸런스 차이가 발생하여 이상 진동 내지 소음 등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술한 유니트 인젝터(6)에서 논리턴밸브(66)의 마모가 발생할 경우에는, 논리턴밸브(66)를 개방시키기 위한 플런저 챔버(62)의 압력이 정상 상태인 경우 보다 급격하게 증가하여 스파이크(spike) 압력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이상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이 도 1,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인젝터(2, 6)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킨 상태에서, 진단모듈(32)은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각 인젝터의 노즐 코킹의 발생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이 전자식 인젝터(2)의 전자식 엑츄에이터 또는 유니트 인젝터(6)의 노즐 컨트롤밸브를 온/오프시킴으로써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온/오프시킬 수 있고, 복수의 인젝터(2, 6)를 기통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어느 한 인젝터의 노즐을 오프시키고 나머지 인젝터의 노즐을 오프시키는 방식으로 각 인젝터의 노즐 코킹의 발생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이 도 1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들 중에서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61, 62)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6)들의 플런저 펌프(61, 62)의 펌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진단모듈(32)은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각 유니트 인젝터(6)의 논리턴밸브(66)의 마모 발생 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이 각 유니트 인젝터(6)의 미터링밸브(63)의 온/오프함으로써 각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61)를 압축 내지 해제할 수 있고,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를 기통의 순서에 맞추거나 랜덤하게 각 유니트 인젝터의 압축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각 유니트 인젝터의 논리턴밸브(66)의 마모 발생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도 3,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인젝션시스템에서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의 발생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인젝터 진단방법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엔진이 인젝터의 진단가능한 조건에서 인젝터의 진단을 위한 진단조작(dignosis action)을 실행한다(S1).
여기서, 인젝터의 진단가능한 조건은 차량의 속도가 "0"이고,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며, 변속레버가 중립상태이고, 차량의 OBD시스템(33) 상에서 인젝터의 외부적 결함(fault)이 경고되지 않으며, DPF의 재생이 진행되지 않고, 다른 잡음이 혼재될 수 있는 엔진의 냉간상태(예컨대 냉각수의 온도가 대략 60℃이상인 상태)가 아닌 조건 등일 수 있다.
진단조작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특이한 조작을 실행하여 제어부(3)이 인젝터의 진단로직 진입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진단조작은 차량의 운전석 근처에 보이는 다양한 스위치(예컨대, 에어컨 조작스위치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온시키고, 클러치를 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의 오프-온을 3회실시할 수 있다.
진단조작에 따라, 제어부(3)는 커먼레일(4)의 초기 레일압력을 설정압력(예컨대, 700bar)으로 세팅한다(S2).
커먼레일(4)의 초기 레일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세팅한 이후에,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은 도 1, 도 3,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인젝터(2, 6) 중에서 N번째 인젝터(고장 진단 대상이 되는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도록 제어한다(S3). 여기서,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은 전자식 인젝터(2)의 전자식 엑츄에이터 또는 유니트 인젝터(6)의 노즐 컨트롤밸브를 온/오프시킴으로써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느 한 인젝터(고장 진단 대상이 되는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는 작동을 "연료분사 오프"라 칭한다.
한편, N은 현재 진단받고자 하는 인젝터의 인스턴스(instance)일 수 있고, N의 초기값은 1일 수 있으며, N이 증가될 수 있는 최대값은 인젝터의 총갯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의 실시예는 6기통 내연기관을 예시하므로 N이 증가될 수 있는 최대값은 6일 수 있다.
N번째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이후에 시간을 카운팅한 후에(S4), 경과된 시간이 설정시간(d)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5).
경과 시간이 설정시간(d)을 초과하면 N번째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상태에서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PN)을 검출하고,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가 오프된 상태이므로 검출된 레일압력(PN)은 초기 레일압력 보다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레일압력(PN)을 제어부(3)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S6).
그런 다음에, 인스턴스를 증가시키고(S7), 이에 시간을 초기화(TIME=0)한 후에 N+1번째 인젝터에 대해 상술한 S2단계 내지 S5 단계를 반복한다. 도 1, 도 3,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6기통 내연기관일 경우에, 1번기통에 해당하는 1번 인젝터, 2번기통에 해당하는 2번 인젝터, ...6번기통에 해당하는 6번 인젝터 순으로 각 인젝터에 대한 "연료분사 오프"를 순차적으로 실행한 상태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을 제어부(3)의 메모리(미도시)에 개별적으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첫번째 인젝터에서 마지막번째 인젝터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PN)을 제어부(3)의 메모리(미도시)에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복수의 레일압력의 평균값(AV)을 계산한다(S8).
그리고, 평균값(AV)과 각 레일압력(PN)의 차이값(|AV-PN|)이 기준값(L) 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S9). 요컨대, 각 레일압력(PN)이 평균값(AV)에서 기준값의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평균값(AV)과 각 레일압력(PN)의 차이값(|AV-PN|)이 기준값(L) 보다 작으면 즉, 즉,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 노즐조건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이 평균값에서 기준값의 범위 이내이면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이 발생하지 않는 정상상태인 것으로 진단하여 종료한다(S9-1). 진단모듈(32)은 해당 인젝터의 정상진단을 OBD시스템(33)으로 전송한다.
평균값(AV)과 해당 레일압력(PN)의 차이값(|AV-PN|)이 기준값(L) 보다 크면 즉,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 노즐조건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이 평균값에서 기준값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면, 해당 인젝터에서 노즐코킹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한다(S9-2). 진단모듈(32)은 해당 인젝터의 노즐코킹에 대한 고장코드를 OBD시스템(33)으로 전송한다.
도 6은 도 1,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인젝션시스템에서 각 유니트 인젝터(6)의 논리턴밸브(66)의 마모 내지 파손 발생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인젝터 진단방법을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엔진이 인젝터의 진단가능한 조건에서 인젝터의 진단을 위한 진단조작(dignosis action)을 실행한다(S11).
여기서, 인젝터의 진단가능한 조건은 차량의 속도가 "0"이고,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며, 변속레버가 중립상태이고, 차량의 OBD시스템(33) 상에서 인젝터의 결함(fault)이 경고되지 않으며, DPF의 재생이 진행되지 않고, 다른 잡음이 혼재될 수 있는 엔진의 냉간상태(예컨대 냉각수의 온도가 대략 60℃이상인 상태)가 아닌 조건 등일 수 있다.
진단조작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특이한 조작을 실행하여 제어부(3)이 인젝터의 진단로직 진입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진단조작은 차량의 운전석 근처에 보이는 다양한 스위치(예컨대, 에어컨 조작스위치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온시키고, 클러치를 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의 오프-온을 3회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은 도 1,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인젝션시스템에 구비된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 중에서 N번째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온(펌핑기능 실행)함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오프(펌핑기능 해제)하도록 제어한다(S12). 여기서,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이 각 유니트 인젝터(6)의 미터링밸브(63)의 온/오프함으로써 각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를 온/오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6)의 펌핑을 온함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6)의 펌핑을 오프시키는 조작을 "펌핑 온"이라 칭한다.
한편, N은 현재 진단받고자 하는 인젝터의 인스턴스(instance)일 수 있고, 도 1의 실시예에서는 N의 초기값이 4일 수 있고(4번째 기통에서 6번째 기통까지 유니트 인젝터가 설치됨), 도 3의 실시예에는 N의 초기값이 1일 수 있다(1번째 기통에서 6번째 기통까지 유니트 인젝터가 설치됨). N이 증가될 수 있는 최대값은 기통의 총 갯수와 동일할 수 있고, 이에 도 1, 도 3의 실시예는 6기통 내연기관을 예시하므로 N이 증가할 수 있는 최대값은 6일 수 있다.
N번째 인젝터(6)의 "펌핑 온"을 실행한 후에 시간을 카운팅하고(S13), 경과된 시간이 판정시간(c)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14).
경과 시간이 판정시간(c)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3)의 진단모듈(32)은 N번째 인젝터의 "펌핑 온" 상태에서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PN)을 검출하여 제어부(3)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레일압력(PN)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15). 여기서, 판정값(LI)은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레일압력이다.
S15단계에서 해당 레일압력(PN)이 판정값(LI)을 초과하면 해당 레일압력(PN)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Nerror)를 카운팅한다(S16).
해당 레일압력(PN)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Nerror)가 한계치(Lerror)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17).
해당 레일압력(PN)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Nerror)가 한계치(Lerror) 보다 크면 진단모듈(32)은 해당 유니트 인젝터(6)의 논리턴밸브(66) 등에 마모 내지 파손 등과 같은 고장이 발생할 것으로 진단한다(S18). 진단모듈(32)은 해당 유니트 인젝터의 논리턴밸브(66)의 마모 내지 파손에 대한 고장코드를 OBD시스템(33)으로 전송한다.
S14단계에서 경과 시간이 판정시간(c)을 초과하면 인스턴스를 증가시키고(S19), 이에 시간을 초기화(TIME=0)한 후에 N+1번째 유니트 인젝터(6)에 대해 S12단계 내지 S14단계를 반복한다. 예컨대, 도 1의 6기통 내연기관에서 4번 기통에서 6번 기통까지 유니트 인젝터(6)가 설치됨에 따라 4번 기통의 유니트 인젝터, 5번 기통의 유니트 인젝터, 6번 기통의 유니트 인젝터 순으로, 각 인젝터에 대한 "펌핑 온"을 순차적으로 실행한 상태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을 판정값(LI)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S15단계에서 해당 레일압력(PN)이 판정값(LI)을 초과하지 않으면 S13단계로 리턴하여 그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S17단계에서 해당 레일압력(PN)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가 한계치(LM) 보다 작으면 S13단계로 리턴하여 그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전자식 인젝터(2)와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를 가진 연료인젝션시스템에서 각 인젝터(2, 6)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을 예시한다.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의 논리턴밸브(66)의 마모 내지 파손 발생여부를 개별적으로 진단한 후에 각 전자식 인젝터(2) 및 각 유니트 인젝터(6)의 노즐코킹을 개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의 엔진이 인젝터의 진단가능한 조건에서 인젝터의 진단을 위한 진단조작(dignosis action)을 실행한다(S21).
여기서, 인젝터의 진단가능한 조건은 차량의 속도가 "0"이고,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며, 변속레버가 중립상태이고, 차량의 OBD시스템(33) 상에서 인젝터의 결함(fault)이 경고되지 않으며, DPF의 재생이 진행되지 않고, 다른 잡음이 혼재될 수 있는 엔진의 냉간상태(예컨대 냉각수의 온도가 대략 60℃이상인 상태)가 아닌 조건 등일 수 있다.
진단조작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특이한 조작을 실행하여 제어부(3)이 인젝터의 진단로직 진입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진단조작은 차량의 운전석 근처에 보이는 다양한 스위치(예컨대, 에어컨 조작스위치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온시키고, 클러치를 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의 오프-온을 3회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은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 중에서 M번째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온시킴(펌핑기능 실행)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오프(펌핑기능 해제)시키도록 제어한다(S22). 여기서,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이 각 유니트 인젝터(6)의 미터링밸브(63)의 온/오프함으로써 각 유니트 인젝터(6)의 플런저 펌프를 압축 내지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6)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6)의 펌핑을 오프시키는 조작을 "펌핑 온"이라 지칭한다.
도 1에서는 4번째 기통에서 6번째 기통까지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므로, 4번째 유니트 인젝터(6)에서 6번째 유니트 인젝터(6)까지 각 유니트 인젝터(6)의 "펌핑 온"을 반복할 수 있다. M은 현재 진단받고자 하는 유니트 인젝터(6)의 인스턴스(instance)일 수 있고, 도 1의 실시예에서는 4번째 기통에서 6번째 기통까지 유니트 인젝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M의 초기값이 4일 수 있고, M이 증가될 수 있는 최대값은 유니트 인젝터의 총 갯수와 동일할 수 있고, 이에 도 1의 실시예는 6기통 내연기관을 예시하므로 M이 증가할 수 있는 최대값은 6일 수 있다.
M번째 유니트 인젝터(6)의 펌핑 온 이후에 시간을 카운팅하고(S23), 경과된 시간이 판정시간(c)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24).
경과 시간이 판정시간(c)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3)의 진단모듈(32)은 M번째 인젝터의 "펌핑 온" 상태에서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PM)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레일압력(PM)을 제어부(3)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제어부(3)에 저장된 레일압력(PM)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25). 여기서, 판정값(LI)은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레일압력이다.
S25단계에서 해당 레일압력(PM)이 판정값(LI)을 초과하면 해당 레일압력(PM)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를 카운팅한다(S26).
해당 레일압력(PM)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Merror)가 한계치(Lerror)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7).
해당 레일압력(PM)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Merror)가 한계치(Lerror) 보다 크면 진단모듈(32)은 해당 유니트 인젝터(6)의 논리턴밸브(66)에 마모 내지 파손 등과 같은 고장이 발생할 것으로 진단한다(S28). 진단모듈(32)은 해당 유니트 인젝터의 논리턴밸브(66)의 마모 내지 파손에 대한 고장코드를 OBD시스템(33)으로 전송한다.
S24단계에서 경과 시간이 판정시간(c)을 초과하면 인스턴스를 증가시키고(S29), 이에 시간을 초기화한(TIME=0) 후에 M+1번째 유니트 인젝터(6)에 대해 S22단계 내지 S24단계를 반복한다. 예컨대, 도 1의 6기통 내연기관에서 4번 기통에서 6번 기통까지 유니트 인젝터(6)가 설치됨에 따라 4번 기통의 유니트 인젝터, 5번 기통의 유니트 인젝터, 6번 기통의 유니트 인젝터 순으로, 각 인젝터에 대한 "펌핑 온"을 순차적으로 실행한 상태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을 판정값(LI)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S25단계에서 해당 레일압력(PM)이 판정값(LI)을 초과하지 않으면 S23단계로 리턴하여 그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S27단계에서 해당 레일압력(PM)이 판정값(LI)을 초과하는 횟수(Merror)가 한계치(Lerror) 보다 작으면 S23단계로 리턴하여 그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을 통해 모든 유니트 인젝터(6)의 논리턴밸브(66)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을 완료한다("A").
이와 같이 모든 유니트 인젝터(6)의 논리턴밸브(66)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이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전자식 인젝터(2)들 및 유니트 인젝터(6)들에 대한 노즐코킹을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노즐코킹의 진단로직을 실행한다("A").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3)는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을 설정압력(예컨대, 700bar)으로 설정한다(S30).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세팅된 이후에,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은 복수의 전자식 인젝터(2) 및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6)를 기통의 순서에 따라 N번째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키고, 나머지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도록 제어한다(S31). 여기서, 제어부(3)의 구동모듈(31)은 전자식 인젝터(2)의 전자식 엑츄에이터 또는 유니트 인젝터(6)의 노즐 컨트롤밸브를 온/오프시킴으로써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는 조작을 "연료분사 오프"라 지칭한다.
한편, N은 현재 진단받고자 하는 인젝터의 인스턴스(instance)일 수 있고, N의 초기값은 1일 수 있으며, N이 증가될 수 있는 최대값은 인젝터의 총갯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6기통 내연기관을 예시하고 있으므로 N이 증가될 수 있는 최대값은 6일 수 있다.
N번째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이후에 시간을 카운팅한 후에(S32), 경과된 시간이 설정시간(d)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33).
경과 시간이 설정시간(d)을 초과하면 N번째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조건에서 커먼레일(4)의 레일압력(PN)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레일압력(PN)을 제어부(3)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S34).
그런 다음에, 인스턴스를 증가시키고(S35), 이에 시간을 초기화한(TIME=0) 후에 N+1번째 인젝터에 대해 상술한 S30단계 내지 S34단계를 반복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6기통 내연기관일 경우에, 1번기통에 해당하는 1번 인젝터, 2번기통에 해당하는 2번 인젝터, ...6번기통에 해당하는 6번 인젝터 순으로 각 인젝터에 대한 "연료분사 오프"를 순차적으로 실행한 상태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을 제어부(3)의 메모리(미도시)에 개별적으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첫번째 인젝터에서 마지막번째 인젝터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레일압력(PN)을 제어부(3)의 메모리(미도시)에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복수의 레일압력들의 평균값(AV)을 계산한다(S36).
그리고, 평균값(AV)과 각 레일압력(PN)의 차이값(|AV-PN|)이 기준값(L) 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S37). 요컨대, 각 레일압력(PN)이 평균값(AV)에서 기준값(L)의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평균값(AV)과 각 레일압력(PN)의 차이값(|AV-PN|)이 기준값(L) 보다 작으면 즉, 즉,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 노즐조건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이 평균값에서 기준값(L)의 범위 이내이면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인 것으로 진단한다(S38). 진단모듈(32)은 해당 인젝터의 정상진단을 OBD시스템(33)으로 전송한다.
평균값(AV)과 해당 레일압력(PN)의 차이값(|AV-PN|)이 기준값(L) 보다 크면 즉,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 노즐조건에서 검출된 레일압력(PN)이 평균값에서 기준값(L)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면, 해당 인젝터에서 노즐코킹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한다(S39). 진단모듈(32)은 해당 인젝터의 노즐코킹에 대한 고장코드를 OBD시스템(33)으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엔진 2: 전자식 인젝터
3: 제어부 4: 커먼레일
6: 유니트 인젝터 31: 구동모듈
32: 진단모듈 33: OBD시스템

Claims (19)

  1.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진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장치로서,
    복수의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모듈;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진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이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기능만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다른 인젝터들의 기능을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단모듈은 커먼레일의 레일압력 변화를 검출하여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인젝터 진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이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단모듈은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각 인젝터의 노즐 코킹의 발생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인젝터 진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인젝터들은 캠샤프트의 캠에 의해 구동하는 플런저 펌프 및 인젝터 노즐이 결합된 유니트 인젝터로 구성되는 인젝터 진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이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들의 플런저 펌프의 펌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단모듈은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각 유니트 인젝터의 논리턴밸브의 마모 발생 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되는 인젝터 진단장치.
  5.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진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으로,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는 연료분사 오프단계; 및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는, 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인젝터 진단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값과 각 레일압력의 차이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 이전에 커먼레일의 초기 레일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세팅하는 초기 레일압력 세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9.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지고, 복수의 인젝터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인젝터들이 플런저 펌프 및 인젝터 노즐이 결합된 유니트 인젝터로 구성되는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유니트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으로,
    유니트 인젝터들 중에서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들의 펌핑을 오프시키는 펌핑 온단계; 및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펌핑 온단계는, 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인젝터 진단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펌핑 온"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을 판정값과 비교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 레일압력이 판정값을 초과하는 횟수가 한계치 보다 크면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을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3. 복수의 기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와, 복수의 인젝터에 연결된 커먼레일과, 커먼레인의 일단에 설치된 레일압력센서를 가지고, 복수의 인젝터는 복수의 전자식 인젝터 및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로 구성된 연료인젝션 시스템에서 각 인젝터를 개별적으로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으로,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유니트 인젝터의 펌핑을 온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유니트 인젝터들의 펌핑을 오프시키는 펌핑 온단계; 및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제1진단단계;
    복수의 전자식 인젝터 및 복수의 유니트 인젝터 중에서 어느 한 인젝터의 연료분사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인젝터들의 연료분사를 온시키는 연료분사 오프단계; 및
    커먼레일의 레일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일압력을 이용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하는 제2진단단계;를 포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펌핑 온단계는, 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펌핑 온"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을 판정값과 비교하여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레일압력이 판정값을 초과하는 횟수가 한계치 보다 크면 각 유니트 인젝터의 고장을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는, 기통들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진단단계는 각 인젝터의 "연료분사 오프" 상태에 대응한 각 레일압력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값과 각 레일압력의 차이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각 인젝터의 노즐코킹 여부를 진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 오프단계 이전에 커먼레일의 초기 레일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세팅하는 초기 레일압력 세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젝터 진단방법.
KR1020170058408A 2017-05-11 2017-05-11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10222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08A KR102224807B1 (ko) 2017-05-11 2017-05-11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08A KR102224807B1 (ko) 2017-05-11 2017-05-11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31A KR20180124231A (ko) 2018-11-21
KR102224807B1 true KR102224807B1 (ko) 2021-03-09

Family

ID=6460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408A KR102224807B1 (ko) 2017-05-11 2017-05-11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9824A (zh) * 2022-09-30 2023-01-03 东风商用车有限公司 基于积分平均值的燃油系统故障诊断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31B1 (ko) 2013-08-23 2015-01-05 주식회사 아이엑스 차량용 엔진의 인젝터 사전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149Y1 (ko) * 1997-07-29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용 인젝터의 자가진단회로
KR20020037923A (ko) * 2000-11-16 2002-05-23 남민우 가솔린 엔진 연료 인젝션 장치 검사 시스템
KR101180800B1 (ko) * 2006-12-11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먼레일 연료분사 시스템의 인젝터 연료누출 진단 방법
KR20120131889A (ko) * 2011-05-26 2012-12-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제어 디젤엔진의 인젝터 고장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31B1 (ko) 2013-08-23 2015-01-05 주식회사 아이엑스 차량용 엔진의 인젝터 사전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31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521A (en) System and methods for electronic control of an accumulator fuel system
US20080041331A1 (en) System for dynamically detecting fuel leakage
EP0681100B1 (en) System and methods for electronic control of an accumulator fuel system
JP4983814B2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
KR101835558B1 (ko) 내연기관의 전자 조절식 연료 분사 시스템의 오류 구성요소들의 검출 방법
US10041432B2 (en) Fuel system having pump prognostic functionality
WO2010029791A1 (ja) 燃料漏れ診断装置及び燃料漏れ診断方法
US7007676B1 (en) Fuel system
KR101592402B1 (ko)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JP4499135B2 (ja) エンジン制御ユニット用の制御装置及び制御の方法
KR102224807B1 (ko) 인젝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JP2007138851A (ja) 電磁弁異常診断方法
JP5278290B2 (ja) 燃料噴射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4306452B2 (ja) 燃料噴射装置
JP2008539359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制御システム
US20100269793A1 (en) Diagnostic system for spark ignition direct injection system control circuits
CN104675548B (zh) 发动机控制器
KR20170117127A (ko) 내연 기관의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208036B1 (ko)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090139488A1 (en) Diagnostic system for high pressure fuel system
CN101484687A (zh) 燃料喷射器控制系统和方法
JP6561493B2 (ja) 燃料噴射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DE102008050696B4 (d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Brennkraftmaschine
KR102299336B1 (ko) 커먼레일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KR101514721B1 (ko) 고압 연료 펌프 진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