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878B1 - 증숙장치 - Google Patents

증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878B1
KR102223878B1 KR1020200022306A KR20200022306A KR102223878B1 KR 102223878 B1 KR102223878 B1 KR 102223878B1 KR 1020200022306 A KR1020200022306 A KR 1020200022306A KR 20200022306 A KR20200022306 A KR 20200022306A KR 102223878 B1 KR102223878 B1 KR 10222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ing
space
steam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0002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47J27/17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with steam jac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장치를 제공한다. 증숙장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향 개구되며, 증숙 대상물이 증숙되는 증숙공간을 형성하는 증숙탱크와, 증숙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증숙공간을 개폐하게 마련되는 덮개부와,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증숙 대상물을 이송시키게 구비되는 이송부와,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증숙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증숙탱크는, 증숙공간에 접하게 구비된 내통과, 내통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고 내통과의 사이에 유체가 흐르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외통을 포함하고, 유동공간에서 발생된 스팀을 증숙공간으로 배출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숙장치{STEAM APPLIANCE}
본 발명은 증숙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와 유지관리가 용이한 증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쁜 현대인들을 위해 데워서 바로 섭취 가능한 가공식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공식품을 열을 가하여 익히고, 스팀으로 자숙 및 살균 처리하는 기기를 증숙기 또는 오븐기라고 한다.
증숙기는 가공식품이 이송되면서 증숙되는 공간인 증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가공식품이 증숙되면서 가공식품에서 기인한 낙하물이 하우징의 표면에 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증숙공간은 고온의 환경이므로 하우징의 표면에 떨어진 낙하물이 하우징의 표면에 들러붙어서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낙하물이 하우징의 표면에 들러붙지 않게 하여 청소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99085호 (2011.12.20 공개, 발명의 명칭: 증숙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증숙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증숙공간으로 배출하여 활용하므로, 과도하게 물을 소모하지 않고도 증숙탱크의 스팀을 해결하는 증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숙탱크의 스팀을 활용하여 증숙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하고, 유지보수를 쉽게 하는 증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숙탱크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증숙공간으로 공급하여 증숙 대상물의 증숙 효율을 높이고, 스팀공급부의 스팀 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증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향 개구되며, 증숙 대상물이 증숙되는 증숙공간을 형성하는 증숙탱크와, 상기 증숙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숙공간을 개폐하게 마련되는 덮개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숙 대상물을 이송시키게 구비되는 이송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숙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증숙공간에 접하게 구비된 내통과, 상기 내통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 유체가 흐르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증숙공간으로 배출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구동부와, 상기 증숙 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증숙공간을 통과하게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순환되어 상기 증숙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증숙공간에 고온의 제1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이송네트를 향하여 상기 제1 스팀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스팀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켜 상기 증숙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버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유동공간에서 생성된 제2 스팀을 상기 내통의 상기 증숙공간을 향하는 면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증숙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팀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배출관은,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유동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체의 상부의 공기층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게 구비된 제1 파트와, 상기 증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트와 연통되며 상기 제1 파트로 유입된 상기 제2 스팀이 공급되게 구비된 제2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로 유입된 상기 제2 스팀을 상기 내통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제2 파트에 관통되는 스팀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이송네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증숙 대상물이 이송되는 방향인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팀배출관은 상기 증숙탱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탱크를 포함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세척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유동공간에 공급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부는, 증숙된 상기 증숙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네트를 청소하는 제1 청소부재와, 상기 증숙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네트를 청소하는 제2 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숙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팀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제1 스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증숙탱크에서 이격되거나 상기 증숙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는, 증숙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증숙공간으로 배출하여 활용하므로, 과도하게 물을 소모하지 않고도 증숙탱크의 스팀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공간의 스팀이 증숙공간으로 배출됨으로써 증숙탱크의 표면과 이송네트의 습기가 유지되어 증숙 대상물이 증숙탱크와 이송네트에 들러붙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숙탱크의 스팀을 활용하여 증숙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숙탱크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증숙공간으로 공급되므로, 스팀에 의해 증숙 대상물의 증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스팀공급부의 스팀 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청소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청소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증숙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10)는 증숙 대상물을 증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증숙 대상이 되는 증숙 대상물은 일례로 육가공식품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은 육가공 식품에 열을 가하여 익힘으로써 증숙 대상물을 증숙시킬 수 있다. 다만 증숙 대상물은 육가공식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10)는 베이스부(100)와, 증숙탱크(200)와, 덮개부(300)와, 이송부(400) 및, 가열부(6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증숙탱크(200), 덮개부(300), 이송부(400), 가열부(600)를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증숙될 증숙 대상물(P)이 투입되는 투입부(101)가 구비되고,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의 타측에는 증숙된 증숙 대상물(P)이 배출되는 배출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장치하우징(110)이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인 130은 각 구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부이다.
증숙탱크(200)는 베이스부(100)에 구비되고 상향 개구되며, 증숙 대상인 증숙 대상물(P)이 증숙되는 증숙공간(201)을 형성한다.
덮개부(300)는 증숙탱크(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증숙공간(201)을 개폐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덮개부(300)는 덮개(310)와 리프트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310)는 승하강하게 마련될 수 있고, 하강 시에 증숙공간(201)을 밀폐할 수 있고, 상승 시에 증숙공간(201)을 개방할 수 있다. 리프트부재(320)는 덮개(310)에 연결되어 덮개(310)를 승하강시킬 수 있고, 리프트부재(320)의 승하강 방식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송부(400)는 베이스부(100)에 구비되고, 증숙 대상물(P)을 이송시키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이송부(400)는 구동부(미도시)와 이송네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네트(410)는 증숙 대상물(P)이 안착되고 증숙공간(201)을 통과하게 마련되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순환되어 증숙 대상물(P)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부(400)는 전환롤러(430)를 구비하고, 이송네트(410)는 전환롤러(43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할 수 있다. 증숙 대상물(P)은 이송네트(410)에 안착된 상태로 증숙공간(201)을 통과하면서 증숙될 수 있다.
가열부(600)는 베이스부(100)에 구비되고 증숙공간(201)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600)는 증숙공간(201)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거나 버너 등으로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증숙탱크(200)는 내부에 유동공간(210)을 구비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숙탱크(200)는, 증숙공간(201)에 접하게 구비된 내통(200a)과, 내통(200a)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고 내통(200a)과의 사이에 유체(W)가 흐르는 유동공간(210)을 형성하는 외통(200b)을 포함하고, 유동공간(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증숙공간(201)으로 배출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증숙탱크(200)는 증숙공간(201)을 형성할 수 있고, 증숙공간(201)에는 증숙 대상물(P)이 안착된 이송네트(410)가 통과할 수 있다. 증숙 대상물(P)이 증숙되는 과정에서 증숙 대상물(P)에서 발생된 낙하물이 증숙탱크(200)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증숙공간(201)은 고온의 환경이므로 낙하물이 증숙탱크(200)에 들러붙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증숙탱크(200)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통(200a)과 외통(200b) 사이에 유체(W)가 흐름으로써 증숙탱크(200)의 표면 온도를 하강시켜서 낙하물이 들러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공간(210)에 흐르는 유체(W)는 냉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증숙 시의 증숙공간(201)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유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증숙 시에 증숙공간(201)의 온도가 높아지면, 유동공간(210)의 내부에 스팀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동공간(210)의 유체(W)를 배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폐수로 인한 물 소모가 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동공간(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증숙공간(201)으로 배출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과도하게 물을 소모하지 않고도 증숙탱크(200)의 스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유동공간(210)의 스팀이 증숙공간(201)으로 배출됨으로써 증숙탱크(200)의 표면과 이송네트(410)의 습기가 유지되어 증숙 대상물(P)이 증숙탱크(200)와 이송네트(410)에 들러붙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증숙탱크(200)의 내부에 물을 흐르게 함으로써 증숙탱크(200)의 표면에 낙하물이 들러붙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증숙탱크(2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스팀을 증숙공간(201)에 배출함으로써 스팀에 의해 낙하물이 들러붙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숙탱크(2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스팀을 활용하여 증숙공간(201)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숙탱크(200) 내부의 유동공간(210)의 스팀이 증숙공간(201)으로 공급되므로, 스팀에 의해 증숙 대상물(P)의 증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후술하는 스팀공급부(610)의 스팀 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가열부(600)는, 증숙공간(201)에 고온의 제1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팀공급부(610)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제1 스팀이라 하고, 증숙탱크(200)의 유동공간(210)에서 생성되어 증숙공간(201)으로 배출되는 스팀을 제2 스팀이라 한다.
스팀공급부(610)는, 이송네트(410)를 향하여 제1 스팀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612)을 구비한 스팀공급관(61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공급관(611)은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 즉 이송부(40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분사노즐(612)은 스팀공급관(6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공급관(611)은 이송네트(4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고, 분사노즐(612)은 이송네트(410)를 향하는 상방으로 스팀이 분사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팀공급관(611)과 분사노즐(612)의 개수와 간격은 장치의 크기와 증숙 대상물(P) 및 증숙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증숙공간(201)이 밀폐된 상태에서, 분사노즐(612)을 통해 고온의 제1 스팀이 분사되면 이송되는 증숙 대상물(P)이 증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숙탱크(200)에서 발생된 제2 스팀을 증숙공간(201)에 배출하게 구비되므로, 스팀공급관(611)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열부(600)는 버너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너부(650)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켜 증숙공간(201)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너부(650)는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고, 장치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증숙공간(201)과 연통되어 버너부(650)에서 발생한 열을 증숙공간(201)에 제공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버너부(650)는 가스식 버너로 구비되어 전기식 버너인 경우에 비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식품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부(60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710)(blow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기(710)는 장치하우징(110)의 내부 또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증숙공간(201)에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게 할 수 있고, 고온의 스팀이 순환하게 구비되어 증숙 대상물(P)을 고르게 증숙시킬 수 있다. 송풍기(710)의 위치와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부(600)에 의해 가열된 공기와 스팀을 배출할 수 있는 배기팬(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10)는 스팀공급부(610)와 버너부(6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열부(600)는 스팀공급부(610)만 포함할 수도 있고, 버너부(650)만 포함할 수도 있으며, 스팀공급부(610)와 버너부(65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600)의 구성은 증숙 환경과 증숙 대상물(P)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습도조절기(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조절기(750)는 증숙공간(201)의 습도를 감지하고 스팀공급부(610)에 의해 공급되는 제1 스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습도조절기(750)는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고, 스팀노즐(751)과 덕트(752)와 습도센서(75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하우징(110)을 유동하는 공기는 덕트(752)를 통과할 있고, 덕트(752)의 전단에는 스팀노즐(751)이 설치되어 덕트(752)로 유입되는 공기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덕트(752)의 전단에는 습도센서(753)가 구비되어 덕트(752)의 후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습도조절기(750)는 설정된 습도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스팀의 양을 판단할 수 있고, 스팀공급부(610)가 판단된 스팀의 양을 공급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증숙탱크(200)는 스팀배출관(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배출관(230)은 유동공간(210)에서 생성된 제2 스팀을 내통(200a)의 증숙공간(201)을 향하는 면으로 분사하도록, 유동공간(210)과 증숙공간(201)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팀배출관(230)은 제1 파트(231)와 제2 파트(232) 및 스팀배출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31)는 유동공간(210)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유동공간(210)에 수용된 유체(W)의 상부의 공기층에 위치하여 제2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유동공간(210)의 내부의 유체(W)의 수위는 상부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일 수 있고, 제1 파트(231)는 상단부가 공기층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제2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트(232)는 증숙공간(201)에 배치되고, 제1 파트(231)와 연통되며 제1 파트(231)로 유입된 제2 스팀이 공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팀배출관(230)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스팀배출관(230) 중, 증숙탱크(200)의 내부에 배치된 부분을 제1 파트(231)라 하고, 증숙탱크(200)의 외부 즉 증숙공간(201)에 배치된 부분을 제2 파트(232)라고 정의한다.
스팀배출홀(233)은 제2 파트(232)로 유입된 제2 스팀을 내통(200a)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제2 파트(232)에 관통될 수 있다. 스팀배출홀(233)은 제2 파트(23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트(232)는 이송네트(4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스팀공급관(6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팀배출관(230)의 제2 파트(232)는 스팀공급관(61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스팀배출홀(233)은 내통(200a)의 영역 중 이송네트(410)의 하부의 영역에 제2 스팀을 분사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팀배출관(230)은, 스팀공급관(611)에서 분사되는 제1 스팀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증숙탱크(200)의 내통(200a)에 제2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단, 스팀배출관(230)의 설치위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증숙공간(201)에 제2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증숙탱크(200)는 이송부(400)에 의해 증숙 대상물(P)이 이송되는 방향인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배출관(230)은 증숙탱크(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배출관(230)은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스팀배출관(230)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세척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800)는 증숙장치(10)의 각 부품을 청소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세척부(800)는 세척수탱크(810)와 제1 청소부재(820)와 제2 청소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세척수탱크(810)는 세척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증숙탱크(200)는 세척수탱크(8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유동공간(210)에 공급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수탱크(810)와 증숙탱크(200)는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고, 세척수탱크(810)의 수위가 일정 수위를 넘으면 증숙탱크(200)의 유동공간(210)으로 세척수가 유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공간(210)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W)가 흐를 수 있다.
다만, 증숙탱크(200)의 유동공간(210)에 공급되는 유체(W)는 세척수탱크(81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증숙탱크(200)는 필요 시에 유체(W)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증숙탱크(200)의 유동공간(210)을 유동하는 유체(W)는 증숙이 완료되면 장치를 세척하는 세척수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청소부재(820)와 제2 청소부재(830)는 이송네트(410)를 청소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청소부재(820)는 증숙된 증숙 대상물(P)이 배출되는 배출부(102) 측에 구비되어 이송네트(410)를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청소부재(830)는 증숙 대상물(P)이 투입되는 투입부(101) 측에 구비되어 이송네트(410)를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청소부재(820)는 이송방향의 후단에서 증숙 대상물(P)을 배출시키고 전환롤러(43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이송네트(410)를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소부재(820)는 배출부(102) 측의 하부를 순환하는 이송네트(410)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칫솔 타입 브러시 2세트가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네트 전체를 청소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청소부재(830)는 투입부(101) 측의 하측을 순환하는 이송네트(410)와 접촉되게 마련되어, 증숙 대상물(P)이 안착되기 전에 이송네트(410)를 한번 더 청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청소부재(830)는 롤러 타입의 브러시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이송네트(410)가 브러시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청소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청소부재(820)와 제2 청소부재(830)의 위치와 타입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증숙장치는, 증숙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증숙공간으로 배출하여 활용하므로, 과도하게 물을 소모하지 않고도 증숙탱크의 스팀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공간의 스팀이 증숙공간으로 배출됨으로써 증숙탱크의 표면과 이송네트의 습기가 유지되어 증숙 대상물이 증숙탱크와 이송네트에 들러붙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숙탱크의 스팀을 활용하여 증숙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숙탱크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증숙공간으로 공급되므로, 스팀에 의해 증숙 대상물의 증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스팀공급부의 스팀 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증숙장치 100: 베이스부
101: 투입부 102: 배출부
110: 장치하우징 130: 컨트롤부
200: 증숙탱크 200a: 내통
200b: 외통 201: 증숙공간
210: 유동공간 230: 스팀배출관
231: 제1 파트 232: 제2 파트
233: 스팀배출홀 300: 덮개부
310: 덮개 320: 리프트부재
400: 이송부 410: 이송네트
430: 전환롤러 600: 가열부
610: 스팀공급부 611: 스팀공급관
612: 분사노즐 650: 버너부
710: 송풍기 730: 배기팬
750: 습도조절기 751: 스팀노즐
752: 덕트 753: 습도센서
800: 세척부 810: 세척수탱크
820: 제1 청소부재 830: 제2 청소부재
P: 증숙 대상물 W: 유체

Claims (14)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향 개구되며, 증숙 대상물이 증숙되는 증숙공간을 형성하는 증숙탱크;
    상기 증숙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숙공간을 개폐하게 마련되는 덮개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숙 대상물을 이송시키게 구비되는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숙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증숙공간에 접하게 구비된 내통과, 상기 내통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 유체가 흐르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증숙공간으로 배출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구동부; 및
    상기 증숙 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증숙공간을 통과하게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순환되어 상기 증숙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증숙공간에 고온의 제1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이송네트를 향하여 상기 제1 스팀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스팀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켜 상기 증숙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버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유동공간에서 생성된 제2 스팀을 상기 내통의 상기 증숙공간을 향하는 면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증숙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팀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관은,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유동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체의 상부의 공기층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게 구비된 제1 파트;
    상기 증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트와 연통되며 상기 제1 파트로 유입된 상기 제2 스팀이 공급되게 구비된 제2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 유입된 상기 제2 스팀을 상기 내통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제2 파트에 관통되는 스팀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이송네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증숙 대상물이 이송되는 방향인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팀배출관은 상기 증숙탱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탱크를 포함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숙탱크는 상기 세척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유동공간에 공급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증숙된 상기 증숙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네트를 청소하는 제1 청소부재; 및
    상기 증숙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네트를 청소하는 제2 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스팀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제1 스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덮개; 및
    상기 덮개가 상기 증숙탱크에서 이격되거나 상기 증숙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장치.
KR1020200022306A 2020-02-24 2020-02-24 증숙장치 KR10222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6A KR102223878B1 (ko) 2020-02-24 2020-02-24 증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6A KR102223878B1 (ko) 2020-02-24 2020-02-24 증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878B1 true KR102223878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306A KR102223878B1 (ko) 2020-02-24 2020-02-24 증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866A (ja) * 2007-10-22 2009-05-14 Calbee Foods Co Ltd クッカー
KR20120007009U (ko) * 2011-04-01 2012-10-10 정풍균 자숙기의 가열장치
JP2017093767A (ja) * 2015-11-24 2017-06-01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ボイラーレス蒸機
JP2018068843A (ja) * 2016-11-01 2018-05-10 清己 吉村 ドラム型連続加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866A (ja) * 2007-10-22 2009-05-14 Calbee Foods Co Ltd クッカー
KR20120007009U (ko) * 2011-04-01 2012-10-10 정풍균 자숙기의 가열장치
JP2017093767A (ja) * 2015-11-24 2017-06-01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ボイラーレス蒸機
JP2018068843A (ja) * 2016-11-01 2018-05-10 清己 吉村 ドラム型連続加熱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7758B1 (en) Continuous cooking oven system
JP5009959B2 (ja) 蒸気投入型コンベアオーブン
US20060163238A1 (en) Modular cooking oven and related methods
JP4588473B2 (ja) 食品加熱方法及び装置
JPH0440007B2 (ko)
KR100878476B1 (ko) 가열조리기
AU2012269739B2 (en) Roasting oven
JPH08501243A (ja) 蒸気室付き高性能調理オーブン
KR102223878B1 (ko) 증숙장치
EP0185059A1 (en) Continuous feed oven
KR101435131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열풍발생장치
JP5196473B2 (ja) 加熱調理装置
JP2010284115A (ja) 食品焼成方法及び食品焼成装置
RU51827U1 (ru) Коптильно-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0929342B1 (ko)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KR101957825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열기 순환장치
JP3129947U (ja) 過熱水蒸気による海藻類の焙焼加工装置
JP2019208696A (ja) 加熱調理装置、および加熱調理方法
JP3194345U (ja) 過熱水蒸気焼成機
TW202015600A (zh) 食材之加熱調理裝置
JP2010286178A (ja) 食品焼成方法及び食品焼成装置
JP2019177043A (ja) 加熱調理装置
KR101894893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가열장치
NL1006627C1 (nl) Kookoven.
KR102145461B1 (ko) 식품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