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342B1 -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342B1
KR100929342B1 KR1020090065973A KR20090065973A KR100929342B1 KR 100929342 B1 KR100929342 B1 KR 100929342B1 KR 1020090065973 A KR1020090065973 A KR 1020090065973A KR 20090065973 A KR20090065973 A KR 20090065973A KR 100929342 B1 KR100929342 B1 KR 10092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rlic
aging
furnac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강미영
장익주
Original Assignee
(주)미가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가락 filed Critical (주)미가락
Priority to KR102009006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으로 살펴보면, 밀폐된 공간에서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흑마늘을 숙성시키는 흑마늘 숙성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수공(16)이 형성되는 숙성로(10); 상기 숙성로(10)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1개 이상의 토출관(22)과 상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수하는 흡입관(24)상에 연결되어 로내공기를 순환 혹은 로외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이송부(20); 및 상기 숙성로(10) 내부에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마늘이 수용된 용기(34)가 수납되는 복수의 선반(36)이 구비되는 마늘교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강제적인 순환장치에 의하지 않고도 자연 순환적인 공기 흐름을 통해 숙성로 내부가 균일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므로 흑마늘 숙성의 최적 조건이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되어, 숙성시간을 단축하면서 고품질의 흑마늘을 제공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Figure R1020090065973
숙성로, 공기이송부, 마늘교반부, 숙성

Description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A device for manufacturing aged garlic}
본 발명은 자연 순환적인 공기 흐름을 통해 흑마늘 숙성의 최적 조건이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세계 10대 건강장수식품으로서, 그 특이한 냄새와 매운맛 때문에 짐승은 먹지 못하고 오로지 인간만이 먹을 수 있다고 하여, 신이 인간에게 내린 신비하고 영적인 식품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생마늘은 냄새와 매운맛 때문에 마늘이 크게 애용되는 한국에서도 양념 등 제한된 용도로 사용될 수밖에 없지만, 생마늘을 적정 조건에서 숙성시키면 특유의 냄새는 사라지고 신맛, 단맛이 어우러진 흑마늘이 된다.
이는 마늘이 서서히 숙성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마늘 속의 당과 아미노산이 열에 의해 검은 색의 멜로노이딘을 생성하기 때문이며, 생마늘이 흑마늘로 색이 변하는 현상을 갈변현상(Browning Reaction)이라 한다.
갈변현상을 통해 발효된 숙성 흑마늘은 항산화,항암 등의 다대한 효능이 과학적으로 널리 입증되고 있지만, 최초로 일본에서 흑마늘 제조기술이 개발되어 국내에서 도입된 지 10여 년이 지나고 있지만, 균일한 품질과 안정적 흑마늘 생산에 는 여전히 많은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개시된 흑마늘 제조기술 및 장치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801422호의 '흑마늘 제조장치'는 숙성마늘의 대량생산을 실현하기 위해 지게차가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구비하는 건조실에 라디에이터과 전기히터를 병렬 설치하고, 건조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 감시하는 장치 가동 및 제어를 원격에서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 기술에서 치명적인 한계는, 숙성과정에서 발생하는 황화합물 가스로 인해 작업자가 건조실에 제대로 들어갈 수조차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882869호의 '흑마늘 숙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열풍을 공급하고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챔버와, 그 내부에 제2챔버를 구비하여 기본적인 열풍,습도,온도를 제어하고, 특히 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공기공급 브로우어,공기공급라인, 가스 배출밸브 및 가스 배출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한국특허등록 제10-801422호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있다.
그런데 제안된 공기공급라인 만으로는, 숙성장치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마늘이 수용된 채반의 위치에 따라 온도 및 습도가 달라 균일한 품질의 흑마늘을 획득하기 어렵다.
상기한 숙성장치 내 공기순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8-82499호의 '숙성마늘 제조장치'에서는 공기순환을 강제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도3과 같은 숙성룸 내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고 있다. 즉,마늘 숙성룸 내부 공간 A지점에서 공기는 공기 순환팬에 의해 열교환기 유니트 케이스에 부설된 공기통과 구멍을 통하여 B지점으로 빨려 들어가고, B지점의 공기는 다시 공기 순환팬에 의해 상부의 C지점으로 통과하여 풍향판이 배치된 D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풍향판은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복수개의 숙성대차가 위치된 공간에서 공기가 수평 및 상하방향에서 균형있게 흐르도록 유도하여 다시 A지점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강제적인 공기순환 방식은, 불가피하게 숙성장치 내부에서 공기 흐름의 와류현상을 유발하거나 바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숙성의 최적 조건인 바람이 거의 없는 가운데 균일하고 안정적인 온도 및 습도 유지하는데 부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 순환적인 공기 흐름을 통해 흑마늘 숙성의 최적 조건이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밀폐된 공간에서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흑마늘을 숙성시키는 흑마늘 숙성장치에 있어서, 도어(12a)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수공(16)이 형성되는 숙성로(10); 상기 숙성로(10)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1개 이상의 토출관(22)과 상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수하는 흡입관(24)상에 연결되어 로내공기를 순환 혹은 로외공 기를 주입하는 공기이송부(20); 및 상기 숙성로(10) 내부에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마늘이 수용된 용기(34)가 수납되는 복수의 선반(36)이 구비되는 마늘교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숙성로(10) 벽면과 바닥면에 복수의 제1히터(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히터(14)는 숙성로(10)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방출열이 적어지도록 배치 혹은 온도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이송부(20)을 구성하는 토출관(22)과 흡입관(24)에는 분사 노즐(22a)(24a)이 구비되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관(22)은 숙성로(10)의 하부 양단에 2개소에 설치되고, 흡입관(24)은 토출관(22)에 비해 2배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토출관(22)과 삼각구도로 배치되도록 숙성로(10) 상부 1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이송부(20)는 토출관(22)과 흡입관(24)을 연결하면서 제1순환팬(26a)과 4방향밸브(26b)가 구비되는 순환관(26)과, 4방향밸브(26b)상에 연결되어 로외공기를 주입하고 제2순환팬(28a)과 제2히터(28b)가 설치되는 로외공기주입관(28)과, 4방향밸브(26b)상에 연결되어 로내공기를 배출하는 로내공기배출관(2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관(26)과 로외공기주입관(28) 혹은 숙성로(10) 내부에 물을 분사공급하기 위한 물분사노즐(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늘교반부(30)는 숙성로(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연장바(32a)가 구비되면서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밸트(32)와, 연장바(32a) 상에서 선회되도록 양단이 힌지(36a)로 결합되고, 마늘이 수용된 용기(34)가 수납되는 복수의 선반(3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늘교반부(30)는 하부에 캐스터(38)가 설치되어 안내레일(39)을 타고 숙성로(10) 내/외부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자연 순환적인 공기 흐름을 통해 숙성로 내부가 균일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흑마늘 숙성의 최적 조건이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되어, 숙성시간이 단축되면서 고품질의 흑마늘을 제공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의 4방향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는 숙성에 따른 시간단축과 대량의 마늘을 균일하게 숙성시키기 위해 숙성로(10), 공기이송부(20), 마늘교반부(30) 등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된 공간인 숙성로(10)의 일벽면에는 도어(12a)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수공(16)이 형성된다.
숙성로(10)는 외부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내부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단열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에 복수의 제1히터(14)가 설치되며, 흡입관(24)을 통한 로내공기의 흡입과 후술하는 공기순환이 대류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와류현상들이 발생되지 않도록 천장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늘이 숙성되는 중에 발생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숙성로(10)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공(16)은, 숙성과정중에는 밸브에 의해 닫힘상태로 유지되고, 숙성과정이 끝난 후 개방되어 포집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2와 같이 제1히터(14)는 숙성로(10)의 벽면과 바닥면에 매립설치된다. 이는 숙성과정에서 제1히터(14)가 숙성로(10) 벽면 및 바닥면을 가열하고, 벽면 및 바닥면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숙성로(10) 내부가 간접가열되는 구조를 가지는바, 이는 제1히터(14)에서 방출되는 직접 열에 의해 마늘이 타거나 숙성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제1히터(14)는 숙성로(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방출열이 적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상부가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배치 혹은 온도 설정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제1히터(14)의 설치간격을 상부로 갈수록 넓게 배치 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박스에 의해 각각의 제1히터(14) 온도를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한편, 제1히터(14)에 의한 숙성로(10) 내부의 온도조절이 보다 용이하도록 숙성로(10)의 중앙위치, 즉 후술하는 체인밸트(32)사이에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숙성로(10) 내부는 열의 이동에 따른 대류현상을 통해 자연적으로 공기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방출열이 적어져서 온도가 낮아 무거워진 상부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고, 내려간 그 자리를 뜨겁고 가벼운 하부 공기가 올라와 채우는 공기의 대류현상에 의해, 숙성로(10)는 상ㆍ하부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이송부(20)는, 숙성로(10) 하부에 설치되어 노즐(22a)이 구비되는 토출관(22)과, 상단에 설치되어 노즐(24a)이 구비되는 흡입관(24)상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로내공기를 내부적으로 순환시키고 또한 로외공기를 주입,배출한다.
노즐(22a)(24a)은, 토출관(22)과 흡입관(24)을 통한 공기의 토출과 흡입이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소에 서로 상이한 각으로 형성되어 토출 및 흡입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의 실시 예에서는, 토출관(22)은 숙성로(10)의 하부 양단에 2개소에 설치되고, 흡입관(24)은 토출관(22)에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토출관(22)과 삼각구도로 배치되도록 숙성로(10) 상부 1개소에 설치된다. 이때 흡입관(24)의 직경은 토출관(22) 보다 2배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관(22) 상부 외주면에는 노즐(22a)(24a)이 복수 개 구비되어, 노즐(22a)(24a)을 통해 주변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미세하고 서서히 공기를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노즐(22a)(24a)의 직경은 0.1 ~ 2mm로서, 직경 조절이 가능한 것을 구비한다.
이에 공기가 숙성로(10) 하부 양단에서 분사 토출되어, 상부로 이송후 다시 중앙으로 순환이동되는 순환구조를 가짐에 따라, 도 2 내지 3에서 화살표방향과 같이 공기가 숙성로(10)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동되어 마늘 숙성시간 단축은 물론 균일하게 숙성되도록 한다.
이때, 2개의 토출관(22)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1개의 흡입관(24)으로 흡입시 공기의 토출량과 흡입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숙성로(10) 내부 공기의 와류현상 또는 이송속도가 빨라지거나 바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관(24)을 토출관(22)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숙성로(10) 내부 공기의 이송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거나, 바람이 발생하게 되면, 마늘은 제대로 숙성되지 못하거나 숙성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따른다. 숙성의 최적 조건은 바람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면서도, 공기이동이 자연적으로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이송부(20)는 토출관(22)과 흡입관(24)을 연결하면서 제1순환팬(26a)과 4방향밸브(26b)가 구비되는 순환관(26)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공기이송부(20)는 4방향밸브(26b)상에 연결되어 로외공기를 주입 하고 제2순환팬(28a)과 제2히터(28b)가 설치되는 로외공기주입관(28)과, 4방향밸브(26b)상에 연결되어 로내공기를 배출하는 로내공기배출관(29)이 구비된다.
4방향밸브(26b)는 전자변의 ON/OFF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4포트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도 3a처럼 숙성과정 초기단계에는 제1순환팬(26a)의 작동에 의해 숙성로(10)의 내부공기가 순환되도록 토출관(22)과 흡입관(24)이 연결되어, 공기가 A->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숙성과정에서 점차 숙성로(10) 내부에 황화합물 가스가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도 3b와 같이 제2순환팬(28a)의 작동에 의해 로외공기주입관(28)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토출관(22)으로 공급되고, 이때 흡입관(24)으로 흡입되는 숙성로(10) 내부 공기는 로내공기배출관(29)을 통하여 숙성로(10) 외부로 배출되는바, 즉 공기의 흐름은 C->B->A->D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외부공기의 신규 주입으로 인한 숙성로(10) 내부온도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히터(28b) 전방에서 제2히터(28b)가 작동되어 투입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순환관(26)과 로외공기주입관(28) 혹은 숙성로(10) 내부에 물을 분사공급하기 위한 물 분사노즐(40)이 구비된다. 물 분사노즐(40)은 별도의 호스와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고, 고압으로 미세분사되어 공기와 함께 토출관(22)을 통하여 숙성로(10) 내부로 간접공급되거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숙성로(10) 상부에 설치되어 직접분사하게 된다.
이에 마늘이 숙성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습도가 유지됨에 따라, 장시간의 숙성과정에서 숙성마늘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교반부(30)는 숙성로(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연장바(32a)가 구비되고,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밸트(32)와, 연장바(32a)상에서 선회되도록 양단이 힌지(36a)로 결합되고, 마늘이 수용된 타공용기(34)가 수납되는 복수의 선반(36)이 구비된다.
체인밸트(32)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쌍의 체인기어상에 설치되고, 체인기어는 모터(M)와 연계작동되어 체인밸트(32)를 구동하되, 체인밸트(32)의 이송속도에 의해 숙성로(10) 내부공기의 와류 혹은 공기이송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균 0~10mm/s의 속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인밸트(32)상에 연장바(32a)가 직교하도록 다수개소에 구비되고, 체인밸트(32)의 직선이송구간에서 연장바(32a)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체인밸트(32) 후방에 직선안내가이드(G)를 구비하거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장바 상하단에 지지롤러를 설치하고, 지지롤러와 대응하는 체인밸트(32) 양단에 지지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장바(32a) 단부에 힌지(36a)를 통하여 선회되도록 설치되는 선반(26)은 2~5단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선반(26)상에 마늘이 수용된 타공용기(34)가 수납된다. 이때 타공용기(34)는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전(全)면에 걸쳐 타공이 형성되고, 수납에 따른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3~5분할 형성된다.
이에 체인밸트(32)가 회전시 연장바(32a)와 함께 이송되고,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체인밸트(32)의 상하단부에서 힌지(36a)를 축으로 선회되어 체인밸트(32)를 통하여 연속 회전되면서 타공용기(34)에 수납된 대량의 마늘이 균일한 조건에서 숙성된다.
또한, 상기 마늘교반부(30)는 하부에 캐스터(38)가 설치되어 안내레일(39)을 타고 숙성로(10) 내/외부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안내레일(39)을 타고 마늘교반부(30)를 숙성로(10) 외부에서 운반하여 마늘이 수용된 타공용기(34)를 선반(26)상에 수납하고, 이어서 타공용기(34)의 수납이 완료되면 마늘교반부(30) 밀어 숙성로(10)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타공용기(34)는 용기 자체에 공기 투과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구비된 것이면 된다.
이때 안내레일(39)이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마늘교반부(30)가 안내레일(39)를 타고 숙성로(10)의 정중앙위치로 투입됨에 따라 마늘교반부(30)의 투입위치변경으로 인한 숙성마늘의 품질편차가 미연에 방지됨은 물론 비숙련공도 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의 4방향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9)

  1. 밀폐된 공간에서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흑마늘을 숙성시키는 흑마늘 숙성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수공(16)이 형성되는 숙성로(10);
    상기 숙성로(10)의 벽면과 바닥면에 설치되고, 숙성로(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방출열이 적어지도록 배치 혹은 온도설정되는 복수의 제1히터(14);
    상기 숙성로(10)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1개 이상의 토출관(22)과 상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수하는 흡입관(24)상에 연결되어 로내공기를 순환 혹은 로외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이송부(20); 및
    상기 숙성로(10) 내부에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마늘이 수용된 용기(34)가 수납되는 복수의 선반(36)이 구비되는 마늘교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이송부(20)을 구성하는 토출관(22)과 흡입관(24)에는 분사 노즐(22a)(24a)이 구비되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5.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22)은 숙성로(10)의 하부 양단에 2개소에 설치되고, 흡입관(24)은 토출관(22)에 비해 2배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토출관(22)과 삼각구도로 배치되도록 숙성로(10) 상부 1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이송부(20)는 토출관(22)과 흡입관(24)을 연결하면서 제1순환팬(26a)과 4방향밸브(26b)가 구비되는 순환관(26)과, 4방향밸브(26b)상에 연결되어 로외공기를 주입하고 제2순환팬(28a)과 제2히터(28b)가 설치되는 로외공기주입관(28)과, 4방향밸브(26b)상에 연결되어 로내공기를 배출하는 로내공기배출관(2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26)과 로외공기주입관(28) 혹은 숙성로(10) 내부에 물을 분사공 급하기 위한 물분사노즐(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교반부(30)는 숙성로(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연장바(32a)가 구비되면서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밸트(32)와, 연장바(32a) 상에서 선회되도록 양단이 힌지(36a)로 결합되고, 마늘이 수용된 용기(34)가 수납되는 복수의 선반(3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교반부(30)는 하부에 캐스터(38)가 설치되어 안내레일(39)을 타고 숙성로(10) 내/외부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KR1020090065973A 2009-07-20 2009-07-20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KR10092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73A KR100929342B1 (ko) 2009-07-20 2009-07-20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73A KR100929342B1 (ko) 2009-07-20 2009-07-20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342B1 true KR100929342B1 (ko) 2009-12-03

Family

ID=4168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973A KR100929342B1 (ko) 2009-07-20 2009-07-20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477B1 (ko) 2010-06-07 2010-08-23 서산시6쪽마늘바이오영농조합 고품질 황토 흑마늘 숙성기
CN103169029A (zh) * 2013-03-27 2013-06-26 陈功 一种黑蒜加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727U (ko) * 1998-10-27 2000-05-25 박영현 내부 순환식 오징어 건조장치
KR20080082499A (ko) * 2007-03-08 2008-09-11 도울농산 영농조합 숙성 마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727U (ko) * 1998-10-27 2000-05-25 박영현 내부 순환식 오징어 건조장치
KR20080082499A (ko) * 2007-03-08 2008-09-11 도울농산 영농조합 숙성 마늘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477B1 (ko) 2010-06-07 2010-08-23 서산시6쪽마늘바이오영농조합 고품질 황토 흑마늘 숙성기
CN103169029A (zh) * 2013-03-27 2013-06-26 陈功 一种黑蒜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389B1 (ko)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8932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am-cooking
US9521927B2 (en) Roasting oven
US9700059B2 (e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food products with conditioned air
CN102690048B (zh) 玻璃钢化用加热炉的加热方法
CN104962295A (zh) 一种竹材碳化、烘干的一体装置及其方法
KR100929342B1 (ko)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KR200441999Y1 (ko) 홍삼제조용 증삼건조기
US8753703B2 (en) Continuous process for cooking bacon with improved recovery
CN103431092A (zh) 红茶发酵干燥提香一体机
JP4966919B2 (ja) 青果物用殺虫装置
KR101217792B1 (ko) 건조물 건조시스템
CN206433644U (zh) 一种阶梯式输送烤炉结构
CN107101483B (zh) 碳晶板用烘箱
JP5615539B2 (ja) 連続式加熱処理方法及び連続式加熱処理装置
CN208419520U (zh) 一种食品风干装置
KR102223878B1 (ko) 증숙장치
CN112401021A (zh) 一种双上置式电热风/远红外辐射组合的混合式杀青理条机
CN205351963U (zh) 一种中药热风循环烘箱
CN108317841B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循环热风烘熟系统及其方法
KR100423706B1 (ko) 목재 건조방법
KR100509745B1 (ko) 현미 발아실 및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CN217591959U (zh) 一种茶叶循环烘焙机
KR200260124Y1 (ko) 목재 건조장치
CN103785659A (zh) 一种烟用配香配料罐罐体内表面自动清洗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