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461B1 - 식품 건조기 - Google Patents

식품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461B1
KR102145461B1 KR1020190059658A KR20190059658A KR102145461B1 KR 102145461 B1 KR102145461 B1 KR 102145461B1 KR 1020190059658 A KR1020190059658 A KR 1020190059658A KR 20190059658 A KR20190059658 A KR 20190059658A KR 102145461 B1 KR102145461 B1 KR 10214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case
variab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9005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식품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선회하여 이동시키는 선회부와, 선회부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케이스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선회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부와, 송풍부에 배치되고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와, 케이스부에 장착되어 케이스부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고 케이스부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한 덕트부를 포함하여, 식품을 한정된 공간 안에서 효율적으로 조리하고, 세척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건조기{DRYER FOR FOOD}
본 발명은 식품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식품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고, 세척 작업성을 개선하는 식품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건조기는 이동되는 식품을 고온으로 조리하는 장치이다. 즉, 컨베이어를 통해 미조리된 식품이 이동되면, 컨베이어를 감싸는 히터기가 열풍을 이용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식품을 건조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를 감싸는 히터기가 식품 건조 시간과 비례하도록 길이를 가지므로, 생산 설비가 과도하게 커지고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당한 길이를 갖는 히터기의 단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7073호(2006.05.03. 공개, 발명의 명칭 : 건조식품의 제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식품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고, 세척 작업성을 개선하는 식품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식품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선회하여 이동시키는 선회부; 상기 선회부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상기 케이스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선회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배치되고,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부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케이스부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한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선회부가 장착되는 케이스하부; 상기 송풍부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하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덮개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케이스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하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선회부를 구획하는 케이스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와, 상기 선회부와, 상기 배출부는 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선회부의 출구부를 구획하는 송풍격벽부; 상기 송풍격벽부와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선회부의 입구부로 안내하는 송풍덕트부; 및 상기 송풍격벽부에 장착되고, 상기 선회부의 출구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덕트부로 토출하는 송풍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덕트부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버너부; 상기 히터버너부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덕트부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히터방열부; 상기 히터방열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히터배출부; 및 상기 히터방열부와 연결되고, 상기 송풍덕트부를 가로지르며 잔열을 배출하는 히터잔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는: 상기 선회부를 통해 이동되는 식품에 수분을 제공하는 스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탈부착되고, 수분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스팀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회부의 입구부 전방에 배치되는 스팀막대부; 및 상기 스팀막대부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수분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는: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선회부에 골고루 분배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스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공기 방향을 조절하는 분배날개부; 상기 분배날개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날개부를 회전시키는 분배회전부; 상기 스팀부에 장착되어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는 분배측정부; 및 상기 분배측정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분배회전부를 제어하는 분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공급부와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덕트지지부; 상기 덕트지지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덕트고정부;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고 기체를 안내하는 덕트배출부; 상기 덕트고정부에 장착되고, 기체를 상기 덕트배출부로 토출하는 덕트팬부;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덕트가변부; 및 상기 덕트가변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연결하는 덕트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가변부는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가변부; 상기 제1가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가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가변부; 상기 제2가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가변부; 및 상기 제3가변부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덕트연결부가 연결되며, 타측에 식품이 이동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는 제4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가변부는 제4가변부에 경사지게 장착되고 탈부착 가능한 제5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가변부에는 상기 제3가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가변부의 내경보다 작고 기체를 통과시키는 가변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덕트가변부에 장착되고, 상기 덕트연결부의 통로를 조절하는 덕트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조절부는 상기 덕트가변부에 장착되는 조절조작부; 및 상기 덕트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조작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덕트연결부의 통로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덕트배출부에 연결되고 오염수를 안내하는 덕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고 세척수를 공급하는 덕트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는 히터부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선회부의 각 층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필요에 따라 스팀부가 수분을 분사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는 히터부가 송풍부에 내장되므로, 히터부에서 발생된 열이 송풍부에서 방열되어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는 분배부가 히터부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선회부의 각 층으로 골고루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는 케이스부에 덕트부가 연결되고, 세척을 위해 케이스부 상승시 케이스부와 연결된 덕트부가 상승하여 세척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덕트부가 포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덕트부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는 케이스부(10)와, 공급부(20)와, 선회부(30)와, 배출부(40)와, 송풍부(50)와, 히터부(60)와, 스팀부(7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내부에 식품 건조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공급부(20)는 케이스부(10)에 식품을 공급한다. 케이스부(10)에 내장된 선회부(30)는 공급부(20)에서 제공되는 식품이 선회하면서 상방 이동되도록 하여, 제한된 케이스부(10) 공간 내에서 식품에 대한 건조시간을 증대시킨다. 배출부(40)는 선회부(30)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케이스부(10) 외부로 배출한다. 일 예로, 선회부(30)는 스파이럴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송풍부(50)는 케이스부(10)에 내장되고, 선회부(30)로 공기를 토출하며, 히터부(60)는 송풍부(50)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이로 인해 열풍이 선회하는 식품에 골고루 도달하여 식품을 건조시키거나 조리할 수 있다.
스팀부(70)는 케이스부(10)에 내장되고, 선회부(30)를 통해 이동되는 식품에 수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팀부(70)를 통해 식품 조리시 과도하게 식품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20)를 통해 케이스부(10)로 유입된 식품이 선회부(30)에 의해 한정된 공간 안에서 설정시간 동안 머무르게 되고, 배출부(40)를 통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히터부(6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은 선회부(30)의 입구부(31)를 통해 선회부(30)의 각층을 통과하면서 식품을 가열하고, 선회부(30)의 출구부(32)로 빠져나간다. 일 예로, 선회부(30)의 우측 공간이 입구부(31)가 되고, 선회부(30)의 좌측 공간이 출구부(32)가 될 수 있다(도 1 기준).
한편, 공급부(20)와, 선회부(30)와, 배출부(40)는 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가 될 수 있다. 그 외, 이들은 개별적으로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50)는 송풍격벽부(51)와, 송풍덕트부(52)와, 송풍팬부(53)를 포함한다.
송풍격벽부(51)는 케이스부(10)와 선회부(30)의 출구부(32)를 구획한다. 일 예로, 송풍격벽부(51)는 케이스부(10)의 좌측단부와 선회부(30)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부(10)의 저면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덕트부(52)는 송풍격벽부(51)와 연결되고, 공기를 선회부(30)의 입구부(31)로 안내한다. 일 예로, 송풍덕트부(52)는 송풍격벽부(51)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덕트 형상을 하여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송풍덕트부(52)의 단부는 케이스부(10)의 우측단부까지 연장되어 열풍을 선회부(30)의 입구부(31)로 안내할 수 있다.
송풍팬부(53)는 송풍격벽부(51)에 장착되고, 선회부(30)의 출구부(32)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덕트부(52)로 토출한다. 일 예로, 송풍격벽부(51)에는 송풍팬부(53)의 흡입을 위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60)는 히터버너부(61)와, 히터방열부(62)와, 히터배출부(63)와, 히터잔열부(64)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품은 송풍덕트부(52)에 장착되는 지지대에 매달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히터버너부(61)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되고, 송풍덕트부(52)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한다. 일 예로, 히터버너부(61)는 가스가 공급되어 연소되는 복수개의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히터방열부(62)는 히터버너부(61)와 연결되어 송풍덕트부(52)를 가로지른다. 일 예로, 히터방열부(62)는 히터버너부(61)와 연결되어 연소 가스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방열관부(621)와, 방열관부(6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열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방열핀부(622)와, 방열관부(6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연소가스가 모이는 방열집합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집합부(623)는 송풍덕트부(52)의 상측에 장착되는 지지대에 매달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히터배출부(63)는 히터방열부(62)와 연결되고, 케이스부(10)를 관통하여 가스를 배출한다. 일 예로, 히터배출부(63) 방열집합부(623)에서 연장되고, 유해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히터잔열부(64)는 히터방열부(62)와 연결되고, 송풍덕트부(52)를 가로지르며 잔열을 배출한다. 일 예로, 히터잔열부(64)는 방열집합부(623)에서 연장되고, 방열관부(6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잔열을 송풍덕트부(52)에 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부(70)는 스팀공급부(71)와, 스팀막대부(72)와, 스팀분사부(73)를 포함한다.
스팀공급부(71)는 케이스부(10)에 탈부착되고, 수분을 공급한다. 일 예로, 스팀공급부(71)는 케이스부(10)의 저면이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스팀막대부(72)는 스팀공급부(71)와 연결되고, 선회부(30)의 입구부(31) 전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스팀막대부(72)는 스팀공급부(71)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강제로 펌핑시키고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스팀막대부(72)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선회부(30)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스팀막대부(72)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수분을 분사한다. 일 예로, 스팀분사부(73)는 스팀막대부(72)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회부(30)에 분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는 분배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부(80)는 히터부(60)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선회부(30)에 골고루 분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80)는 분배날개부(81)와, 분배회전부(82)와, 분배측정부(83)와, 분배제어부(84)를 포함한다.
분배날개부(81)는 스팀부(7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공기 방향을 조절한다. 일 예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배날개부(81)는 양단부가 송풍덕트부(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분배회전부(82)는 분배날개부(81)에 연결되어 분배날개부(81)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분배회전부(82)는 각각의 분배날개부(81) 단부에 장착되어 분배날개부(8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외, 분배회전부(82)는 분배날개부(8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분배날개부(81)를 회전시키고, 어느 하나와 연결된 나머지 분배날개부(81)는 어느 하나의 분배날개부(81)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구조는 차량의 에어벤트와 대응될 수 있다.
분배측정부(83)는 스팀부(70)에 장착되어 공기 유입량을 측정한다. 일 예로, 분배측정부(83)는 스팀막대부(72)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선회부(30) 각 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분배제어부(84)는 분배측정부(83)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분배회전부(82)를 제어한다. 일 예로, 분배측정부(83)를 통해 선회부(30)의 일부 층에 대한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분배제어부(84)의 제어로 분배회전부(82)가 구동되고, 분배날개부(81)는 선회부(30)의 일부 층으로 공기를 유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의 조리 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부(20)를 통해 이동되는 식품은 케이스부(10)로 유입되고, 선회부(30)를 통해 선회하면서 상승한 다음, 배출부(40)를 통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히터부(60)와, 송풍팬부(83)가 작동되면, 송풍덕트부(82)를 따라 선회부(30)의 입구부(31)로 이동되는 공기가 히터부(6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선회부(30)를 통과하면서 식품을 조리한다.
한편, 스팀부(70)는 선회부(30)의 입구부(31)에 배치되고, 선회부(30)로 이동되는 공기에 스팀을 분사하여 식품이 열풍에 의해 과도하게 건조 또는 조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분배측정부(83)를 통해 선회부(30)의 일부 층에 대한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분배제어부(84)의 제어로 분배회전부(82)가 구동되고, 분배날개부(81)는 선회부(30)의 일부 층으로 공기를 유도하도록 회전된다. 이로 인해, 선회부(30)의 각 층으로 열풍이 골고루 제공되어 식품의 조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에 덕트부가 포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덕트부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는 덕트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부(90)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되어 케이스부(10)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고, 케이스부(10)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다. 일 예로, 덕트부(90)는 선회부(30)를 통과하면서 식품을 조리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체로는 가열된 공기, 조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식품에 포함되는 조리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케이스하부(11)와, 케이스덮개부(12)와, 케이스이동부(13)를 포함한다.
케이스하부(11)에는 선회부(3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케이스하부(1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안착되고, 중앙부에는 선회부(30)와, 스팀부(70)와, 분배부(80)가 배치되며, 양단부에는 공급부(20)와 배출부(4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덮개부(12)는 송풍부(50)가 장착되고, 케이스하부(11)를 커버한다. 일 예로, 케이스덮개부(12)는 하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하고, 내측에 송풍부(50)가 형성되며, 히터부(60)가 장착될 수 있다. 케이스덮개부(12)는 저면이 케이스하부(11)에 안착되어 케이스하부(11)와 케이스덮개부(12) 사이로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이동부(13)는 케이스덮개부(12)를 상하 이동시킨다. 일 예로, 케이스이동부(13)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케이스덮개부(12)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케이스이동부(13)의 길이가 늘어나 케이스덮개부(12)가 케이스하부(11)의 상방으로 이동되면, 케이스하부(11)에 장착된 선회부(30)와 다른 설비들에 대한 점검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덮개부(12)가 케이스하부(11)의 상방으로 이동되면, 공급부(20)와 배출부(40)를 포함하는 식품 전체 이동라인에 대한 청소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케이스격벽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격벽부(14)는 케이스하부(11)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선회부(30)를 구획한다. 일 예로, 케이스하부(11)에는 2개의 선회부(30)가 배치되어 2단계 식품 조리가 가능하다. 즉, 케이스하부(11)의 일단부에는 공급부(20)가 배치되고, 케이스하부(11)의 타단부에는 배출부(40)가 배치되며, 2개의 선회부(30) 각각에는 식품 조리를 위한 설비들(송풍부(50)와, 히터부(60) 등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2개의 선회부(30)는 컨베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식품이 이동될 수 있으며, 케이스격벽부(14)는 2개의 선회부(30)를 구획하되 식품 이동을 위해 일부가 개방되거나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때, 공급부(20)와, 2개의 선회부(30)와, 배출부(40)는 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가 될 수 있다. 그 외, 이들은 개별적으로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가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90)는 덕트지지부(91)와, 덕트고정부(92)와, 덕트배출부(93)와, 덕트팬부(94)와, 덕트가변부(95)와, 덕트연결부(96)를 포함한다.
덕트지지부(91)는 공급부(20)와 배출부(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된다. 일 예로, 덕트지지부(91)는 선회부(30)의 개수와 대응되며, 2개의 선회부(30)가 배치된 경우, 공급부(20)와 배출부(40)에 각각 덕트지지부(9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지지부(91)는 하단부가 케이스하부(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덕트고정부(92)는 덕트지지부(9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덕트고정부(92)에 연결된 덕트배출부(93)는 기체를 외부로 안내하고, 덕트고정부(92)에 장착된 덕트팬부(94)는 기체를 덕트배출부(93)로 강제 토출한다. 일 예로, 덕트고정부(92)는 하부와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여 기체를 안내할 수 있으며, 덕트배출부(93)는 덕트고정부(9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덕트가변부(95)는 덕트고정부(92)에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일 예로, 덕트가변부(95)는 덕트고정부(92)와 하부와 연결되며, 케이스덮개부(12) 상승시 길이가 줄어들고, 케이스덮개부(12) 하강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덕트연결부(96)는 덕트가변부(95)와 케이스부(10)를 연결한다. 일 예로, 덕트연결부(96)는 덕트가변부(95)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케이스덮개부(12)에 연결되어 케이스덮개부(12)와 덕트가변부(95)가 연동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덕트연결부(96)는 송풍팬부(53)에 근접 배치되는 케이스덮개부(12)와 연통되어 순회부(30)를 통과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가변부(95)는 제1가변부(951)와, 제2가변부(952)와, 제3가변부(953)와, 제4가변부(954)를 포함한다.
제1가변부(951)는 덕트고정부(92)에 연결된다. 일 예로, 제1가변부(951)는 덕트고정부(92)의 하부에 연통될 수 있다.
제2가변부(952)는 제1가변부(951)에 연결되고, 제1가변부(951)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가변부(952)의 내경은 제1가변부(95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가변부(951)의 하단부에 제2가변부(952)의 상단부가 걸려 서로 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변부(952)는 외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1가변부(951)를 감쌀 수 있다.
제3가변부(953)는 제2가변부(952)에 연결되고, 제2가변부(95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제3가변부(953)의 내경은 제2가변부(95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가변부(9520의 하단부에 제3가변부(953)의 상단부가 걸려 서로 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변부(953)는 외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2가변부(952)를 감쌀 수 있다. 이때, 제3가변부(953)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길이가 가변되는 동일한 구조를 채택하여 복수개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4가변부(954)는 제3가변부(953)에 연결되고, 일측에 덕트연결부(96)가 연결되며, 타측에 식품이 이동 가능한 출입구(959)가 형성된다. 일 예로, 제4가변부(954)는 제3가변부(953)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공급부(20) 또는 배출부(40)를 통과하는 식품을 커버할 수 있다. 제4가변부(954)가 공급부(20)의 상방을 커버하는 경우, 공급부(20)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식품은 출입구(959)를 통과하고 덕트연결부(96)를 통해 케이스부(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4가변부(954)가 배출부(40)의 상방을 커버하는 경우, 배출부(40)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식품은 덕트연결부(96)를 통과하고 출입구(95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가변부(95)는 제5가변부(9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가변부(955)는 제4가변부(955)에 경사지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5가변부(955)는 제4가변부(954)에 탈부착 가능하고, 기체를 통과하기 위한 가변홀부(956)가 형성된다. 가변홀부(956)는 제3가변부(953)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제3가변부(95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가변부(953)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오염물질이 제5가변부(955)에 낙하되어 제4가변부(954)의 내측벽으로 흘러내려 외부로 배출되므로, 제5가변부(955)의 하방으로 이동되는 식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90)는 덕트조절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조절부(97)는 덕트가변부(95)에 장착되고 덕트연결부(96)의 통로를 조절한다. 일 예로, 덕트조절부(97)는 식품의 크기에 따라 식품과 간섭되지 않고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덕트연결부(95)의 통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덕트조절부(97)는 조절조작부(971)와 조절개폐부(97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조작부(971)는 덕트가변부(95)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조작 가능하다. 조절개폐부(972)는 덕트연결부(96)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덕트연결부(96)의 통로 크기를 조절한다. 일 예로, 조절조작부(971)는 제4가변부(954)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조절조작부(9711)와, 제1조절조작부(9711)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덕트연결부(96)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조절조작부(97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개폐부(972)는 덕트연결부(96)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2조절조작부(9712)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조절조작부(9711)의 회전각에 따라 제2조절조작부(9712)가 조절개폐부(972)가 회전되도록 들어올리거나 내려줌으로써, 덕트연결부(96)의 통로 크기를 키우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90)는 덕트처리부(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처리부(98)는 덕트배출부(93)에 연결되고 오염수를 안내한다. 일 예로, 덕트처리부(98)는 덕트배출부(93)의 저면에 연통되어 응축수와 오염물질이 혼합된 오염수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처리관부(981)와, 오염수의 낙하지점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일시 보관하는 처리저장부(9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90)는 덕트세척부(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세척부(99)는 덕트고정부(92)에 연결되고 세척수를 공급한다. 일 예로, 덕트세척부(99)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탱크부(991)와, 세척탱크부(991)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공급부(992)와, 세척공급부(992)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덕트고정부(92)에 장착되어 덕트고정부(92)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부(993)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세척노즐부(993)는 덕트가변부(95)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의 세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품 건조기(1)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청소가 필요한 경우, 케이스이동부(13)의 길이가 늘어나 케이스덮개부(12)가 케이스하부(11)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케이스덮개부(12)와 연결된 덕트부(90)가 상방 이동되어 공급부(20) 또는 배출부(40)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케이스하부(11)에 배치되는 선회부(30) 외에 공급부(20)와 배출부(40) 세척 작업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덕트세척부(99)를 통해 덕트부(90) 내부로 세척수가 분사되면, 덕트부(90) 내부 세척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덕트배출부(93)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 중 응축된 응축수와 오염물질은 덕트처리부(9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외, 식품 조리 중 덕트가변부(95)의 내벽에서 흘리내리는 오염수는 제5가변부(9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부(20) 또는 배출부(40)를 통과하는 식품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는 히터부(6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선회부(30)의 각 층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필요에 따라 스팀부(70)가 수분을 분사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는 히터부(60)가 송풍부(50)에 내장되므로, 히터부(60)에서 발생된 열이 송풍부(50)에서 방열되어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는 분배부(80)가 히터부(60)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선회부(30)의 각 층으로 골고루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기(1)는 케이스부(10)에 덕트부(90)가 연결되고, 세척을 위해 케이스부(10) 상승시 케이스부(10)와 연결된 덕트부(90)가 상승하여 세척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부 20 : 공급부
30 : 선회부 40 : 배출부
50 : 송풍부 51 : 송풍격벽부
52 : 송풍덕트부 53 : 송풍팬부
60 : 히터부 61 : 히터버너부
62 : 히터방열부 63 : 히터배출부
64 : 히터잔열부 70 : 스팀부
71 : 스팀공급부 72 : 스팀막대부
73 : 스팀분사부 80 : 분배부
81 : 분배날개부 82 : 분배회전부
83 : 분배측정부 84 : 분배제어부
90 : 덕트부 91 : 덕트지지부
92 : 덕트고정부 93 : 덕트배출부
94 : 덕트팬부 95 : 덕트가변부
96 : 덕트연결부 97 : 덕트조절부
98 : 덕트처리부 99 : 덕트세척부

Claims (17)

  1.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식품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선회하여 이동시키는 선회부;
    상기 선회부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상기 케이스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선회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배치되고,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부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케이스부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한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공급부와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덕트지지부;
    상기 덕트지지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덕트고정부;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고 기체를 안내하는 덕트배출부;
    상기 덕트고정부에 장착되고, 기체를 상기 덕트배출부로 토출하는 덕트팬부;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덕트가변부; 및
    상기 덕트가변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연결하는 덕트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선회부가 장착되는 케이스하부;
    상기 송풍부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하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덮개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케이스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하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선회부를 구획하는 케이스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선회부와, 상기 배출부는 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선회부의 출구부를 구획하는 송풍격벽부;
    상기 송풍격벽부와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선회부의 입구부로 안내하는 송풍덕트부; 및
    상기 송풍격벽부에 장착되고, 상기 선회부의 출구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덕트부로 토출하는 송풍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덕트부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버너부;
    상기 히터버너부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덕트부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히터방열부;
    상기 히터방열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히터배출부; 및
    상기 히터방열부와 연결되고, 상기 송풍덕트부를 가로지르며 잔열을 배출하는 히터잔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를 통해 이동되는 식품에 수분을 제공하는 스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탈부착되고, 수분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스팀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회부의 입구부 전방에 배치되는 스팀막대부; 및
    상기 스팀막대부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수분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선회부에 골고루 분배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스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공기 방향을 조절하는 분배날개부;
    상기 분배날개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날개부를 회전시키는 분배회전부;
    상기 스팀부에 장착되어 공기 유입량을 측정하는 분배측정부; 및
    상기 분배측정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분배회전부를 제어하는 분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가변부는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가변부;
    상기 제1가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가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가변부;
    상기 제2가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가변부; 및
    상기 제3가변부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덕트연결부가 연결되며, 타측에 식품이 이동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는 제4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가변부는
    제4가변부에 경사지게 장착되고 탈부착 가능한 제5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가변부에는 상기 제3가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가변부의 내경보다 작고 기체를 통과시키는 가변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덕트가변부에 장착되고, 상기 덕트연결부의 통로를 조절하는 덕트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조절부는
    상기 덕트가변부에 장착되는 조절조작부; 및
    상기 덕트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조작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덕트연결부의 통로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덕트배출부에 연결되고 오염수를 안내하는 덕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덕트고정부에 연결되고 세척수를 공급하는 덕트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
KR1020190059658A 2019-05-21 2019-05-21 식품 건조기 KR10214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58A KR102145461B1 (ko) 2019-05-21 2019-05-21 식품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58A KR102145461B1 (ko) 2019-05-21 2019-05-21 식품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461B1 true KR102145461B1 (ko) 2020-08-18

Family

ID=7229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58A KR102145461B1 (ko) 2019-05-21 2019-05-21 식품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4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195A (ko) * 2011-10-31 2011-11-18 김진혁 남은 음식물 건조기
US20150079259A1 (en) * 2013-06-17 2015-03-19 W.C. Bradley Co. High efficiency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heating and drying
KR20160012623A (ko) * 2014-07-24 2016-02-03 강신탁 다용도 연속건조기
US20180213963A1 (en) * 2017-01-30 2018-08-02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Commercial scale sous-vid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195A (ko) * 2011-10-31 2011-11-18 김진혁 남은 음식물 건조기
US20150079259A1 (en) * 2013-06-17 2015-03-19 W.C. Bradley Co. High efficiency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heating and drying
KR20160012623A (ko) * 2014-07-24 2016-02-03 강신탁 다용도 연속건조기
US20180213963A1 (en) * 2017-01-30 2018-08-02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Commercial scale sous-vide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281B1 (ko) 농수산물의 열풍순환식 건조시스템
KR20180121671A (ko) 가스상 유체를 주입하는 장치를 구비한 프로세스 챔버
KR20130006158A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JPH04506008A (ja) 調節可能な調理用オーブン
KR100762370B1 (ko) 건조기
KR102145461B1 (ko) 식품 건조기
KR20150123637A (ko) 콘덴싱 방식의 세탁건조기
KR102341485B1 (ko) 자동 온습도 제어방식과 음압 연동 시스템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WO2017143900A1 (zh) 洗碗机
KR100737325B1 (ko) 상부 가열실을 갖는 도장부스
KR20110019252A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JPH07167561A (ja) 材料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101721797B1 (ko) 목재건조장치
JP2009285572A (ja) 熱風循環方式を改善した燃料節減型塗装ブース
KR102013330B1 (ko) 식품 건조기
CN111947430A (zh) 一种具有风能循环系统的烘箱
KR101870091B1 (ko) 이종 열원을 갖는 이종 열원을 갖는 열병합 방식 목재 건조장치
CN111481690A (zh) 一种消毒柜风道结构
RU171995U1 (ru) Зерносушилка
KR20090102124A (ko) 회전식 농수산물 건조기
JP3144345U (ja) 温風機における空気加熱のための構造
EP4089334B1 (en) Electric convection cooking oven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an oven
KR101666054B1 (ko) 감 건조기
KR200308144Y1 (ko) 인삼건조장치
JP5925253B2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