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114B1 -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114B1
KR102223114B1 KR1020190092613A KR20190092613A KR102223114B1 KR 102223114 B1 KR102223114 B1 KR 102223114B1 KR 1020190092613 A KR1020190092613 A KR 1020190092613A KR 20190092613 A KR20190092613 A KR 20190092613A KR 102223114 B1 KR102223114 B1 KR 102223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old
absorbing pad
inner space
mold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476A (ko
Inventor
이동화
Original Assignee
(주)유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피티 filed Critical (주)유피티
Priority to KR102019009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1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03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6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29C39/265Moulds or cores comprising two large plates positioned at a small distance from each other, e.g. for makin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38Shock absorbing

Landscapes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여 합성된 원료를 사용하여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는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테두리와 탈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금형 및 식물성 원료들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면에 밀착된 필름의 테두리를 상기 고정틀을 통해 상기 하부금형에 고정시키고 상기 원료를 상기 필름 상부에 주입한 후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시킨다.

Description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ECO-FRIENDLY SHOCK ABSORBING PAD}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소재를 원료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의 내부에는 휘발성이 강한 가연성 액체가 보관되기 때문에 사고, 주행 중 또는 충격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연료탱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장비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료탱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격흡수패드는 제작되는 과정에서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소재들이 사용되고, 마모되면서 배출되는 오염물질과 사용수명이 완료되고 버려진 후에 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5052호는 연료탱크용 패드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7841호는 차량용 완충패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충격흡수패드를 제작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505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7841호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여 합성된 원료를 사용하여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는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테두리와 탈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금형 및 식물성 원료들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면에 밀착된 필름의 테두리를 상기 고정틀을 통해 상기 하부금형에 고정시키고 상기 원료를 상기 필름 상부에 주입한 후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시킨다.
또한, 상기 주입부는 원통형의 노즐 및 일단은 상기 노즐 내부에서 상기 노즐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앙부는 외측면에서 안쪽을 향해 함몰되며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확장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는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및 일단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고, 중앙부 및 타단은 서로 인접한 콘들 각각의 꼭지점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부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돌기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은 전방부는 상기 하부금형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 각각은 일측 및 타측 하부 각각에 배치되는 실린더들의 로드들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는 상기 하부금형의 후방에 양측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하부에 연결된 실린더의 로드의 구동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상부금형과 체결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는 대두, 피마자씨, 유채씨 및 해바라기씨들을 포함하는 식물 씨앗으로부터 식물성 오일을 추출하여 합성된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는 주입부의 노즐 내부에 형성된 코어를 통해 원료들의 혼합이 용이하고 하부금형에 분산 배출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복수의 실린더들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원료를 성형하고 고정부가 자동으로 상부금형을 고정시켜 제조편의성이 개선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
도 3 및 4는 도 1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5 및 6들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 및 4는 도 1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일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00)는 지지대(150), 하부금형(200), 고정틀(300), 주입부(400), 제1실린더(520), 제2실린더(540), 상부금형(600) 및 고정부(700)들을 포함한다.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00)는 대두, 피마자씨, 유채씨 및 해바라기씨들을 포함하는 식물 씨앗으로부터 식물성 오일을 추출하여 합성된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을 사용하여 친환경 충격흡수패드를 제작하는 장치이다.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00)를 통해 제작되는 친환경 충격흡수패드는 식물성 오일을 통해 합성된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친환경 바이오 폴리우레탄 재질의 충격흡수패드를 제작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지지대(150)의 상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코너 각각에서 하부를 향해 로드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면에 밀착된다.
하부금형(200)은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150)의 상단부에 거치되고, 상부면의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의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금형(200)의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금형(200)의 압착면은 직육면체 형태의 돌기들이 상부를 향해 돌출되고, 각각의 돌기들은 격자 패턴으로 배치된다.
하부금형(200)의 상기 압착면은 하부금형(200)의 내부에 내장되는 히팅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고, 상기 압착면에 배치되는 필름과 접촉되면 상기 필름은 상기 돌기들에 의해 격자 패턴으로 성형된다.
하부금형(20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상기 압착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평선상에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필름의 테두리 부분이 거치되고, 후술될 고정틀(300)이 하부금형(200)의 상부테두리에 밀착되면 상기 필름은 하부금형(200)에 고정된다.
고정틀(30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고, 중앙에 직육면체 형태의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쪽 제1방향(1)에 해당하는 전면은 경첩을 통해 하부금형(200)의 전면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틀(300)의 저면은 하부금형(200)의 상부 테두리와 동일한 형태이거나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고정틀(300)이 전방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하강하면, 하부금형(200)의 상부 테두리에 거치된 필름의 테두리를 압박하면서 하부금형(200)의 상부 테두리와 밀착된다.
고정틀(300)이 하부금형(200)과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틀(300)의 배면 중앙에는 원통형 또는 반원통 형태의 손잡이가 제1방향(1)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편리하게 고정틀(30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주입부(400)는 바디(410), 노즐(420), 코어(430), 스위치(440) 및 공급관(450, 460)들을 포함한다.
주입부(400)는 하부금형(2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형성되고, 식물성 오일을 추출하여 합성된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을 상기 필름이 배치된 상기 내부공간에 주입한다.
바디(4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공급관(450)을 통해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에 연결되어 레일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바디(410) 내부의 공간에서는 공급관(450, 460)들로부터 주입되는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이 서로 혼합된다.
노즐(4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바디(410) 내부의 공간과 연결된 상태로 바디(410)의 하부에 연결되고, 공급관(450, 460)들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이 내부에서 혼합되면서 하부를 향해 배출된다.
코어(430)의 일단은 노즐(420)의 내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중앙부는 외측면에서 안쪽을 향해 함몰되며 하부를 향해 축소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확장되면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코어(430)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노즐(420) 및 외측면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고, 중앙부 및 타단은 서로 인접한 콘들 각각의 꼭지점들이 서로 연결되고, 노즐(420)의 내측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430)의 일단 및 노즐(420) 사이에서 유입되는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은 코어(430)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혼합되고, 코어(430)의 중앙부 및 타단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회전하여 혼합효과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코어(430)의 중앙부 및 타단에서 혼합된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은 코어(430)의 타단 외측면을 따라 서로 분산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하부금형(200)의 상기 압착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장점이 있다.
코어(430)의 중앙부 외측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선형으로 외측면을 감싸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노즐(420) 및 코어(430) 사이에서 이동하는 원료의 효과적인 혼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1실린더(520)의 일단은 지지대(150)의 일측의 제2방향(2)쪽 하단부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일단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로드의 끝단은 상부금형(600)의 일측 중앙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실린더(540)의 일단은 지지대(150)의 타측의 제2방향(2)쪽 하단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일단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로드의 끝단은 상부금형(600)의 타측 중앙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금형(600)이 하부금형(200)과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실린더(520, 540)들 각각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및 제2로드들 각각이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이동되면, 상부금형(600)은 제1방향(1)을 향해 펼쳐진다.
반대로, 상부금형(600)이 하부금형(2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실린더(520, 540)들 각각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및 제2로드들 각각이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부금형(600)은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하여 하부금형(200)과 결합된다.
한편, 제1실린더(520) 및 제2실린더(540)들 각각의 타단에 형성된 로드들 각각은 제1실린더(520) 및 제2실린더(540)들 각각의 일단 내부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면, 상부금형(600)을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끌어당기고, 제1실린더(520) 및 제2실린더(540)들 각각의 타단은 각각의 일단을 축으로 제2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상부금형(600)이 하부금형(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금형(600)의 상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저면 중앙 직사각 형태의 일부분이 하부금형(20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부금형(600)이 하부금형(20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상부금형(600)의 하단부 저면은 상기 압착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름과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가 혼합된 원료를 압박하고 냉각시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한다.
고정부(700)는 브라켓(710, 712)들, 고정로드(720, 720)들, 제3실린더(730), 제4실린더(740) 및 고정부재(750, 760)들을 포함한다.
고정부(700)는 하부금형(200)의 제2방향(2)쪽에 양측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로 연장되고 제1방향(1)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 체결부가 제1방향(1)으로 이동하면 하부금형(200)과 결합된 상부금형(600)과 결합되어 상부금형(600)을 고정시킨다.
브라켓(710)의 전방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금형(200)의 제2방향(2)쪽 일측 배면에 결합되고, 후방부는 전방부의 서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격된 일부분들이 제2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고정로드(720)의 중앙부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로드(720)의 일단은 하부금형(200)의 하부에서 제3실린더(730)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브라켓(710)의 후방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일부분이 제1방향(1)을 향해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제3실린더(730)의 일단은 지지대(150)의 일측 제1방향(1)쪽 코너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부의 일부분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로드가 제2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고정로드(720)의 일단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부재(750)의 전방부는 상부금형(600)이 하강하여 하부금형(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금형(600)의 제2방향(2)쪽 일측 배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부의 서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격된 일부분들이 제2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일부분들 사이에는 타단 일부분들을 연결하는 원통형의 제1체결로드가 형성된다.
도 3 및 4들을 참조하면, 상부금형(600)이 회동하여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하강하면, 상부금형(600)의 하단부 일부분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고정부재(750)의 타단은 고정로드(720)의 타단과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제3실린더(730)는 자동으로 구동하여 제3실린더(730)의 로드는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이동하고, 고정로드(720)의 타단은 고정부재(750)의 타단에 형성된 제1체결로드의 전면, 상부면 및 배면을 둘러싸면서 고정부재(750)와 결합된다.
브라켓(712)의 전방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금형(200)의 제2방향(2)쪽 타측 배면에 결합되고, 후방부는 전방부의 서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격된 일부분들이 제2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고정로드(722)의 중앙부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로드(722)의 일단은 하부금형(200)의 하부에서 제4실린더(740)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브라켓(712)의 후방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일부분이 제1방향(1)을 향해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제4실린더(740)의 일단은 지지대(150)의 타측 제1방향(1)쪽 코너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부의 일부분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로드가 제2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고정로드(722)의 일단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부재(760)의 전방부는 상부금형(600)이 하강하여 하부금형(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금형(600)의 제2방향(2)쪽 타측 배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부의 서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격된 일부분들이 제2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일부분들 사이에는 타단 일부분들을 연결하는 원통형의 제2체결로드가 형성된다.
도 3 및 4들을 참조하면, 상부금형(600)이 회동하여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하강하면, 상부금형(600)의 하단부 일부분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고정부재(760)의 타단은 고정로드(722)의 타단과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제4실린더(740)는 자동으로 구동하여 제4실린더(740)의 로드는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이동하고, 고정로드(722)의 타단은 고정부재(76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체결로드의 전면, 상부면 및 배면을 둘러싸면서 고정부재(760)와 결합된다.
도 5 및 6들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00)는 고정와이어(160)를 더 포함한다.
도 3 및 5들을 참조하면, 고정와이어(160)의 일단은 상부금형(600)의 배면 중앙 또는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와이어 형태로 연장되어 고정틀(300)의 손잡이를 둘러싸면서 고정틀(300)의 손잡이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고정와이어(160)를 사용하여 고정틀(300)이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금형(200)의 압착면에 상기 필름이 배치되면, 신속하게 고정와이어(160)를 고정틀(300)과 분리하여 고정틀(300)로 상기 필름을 하부금형(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00)의 제조공정은 상부금형(600) 및 고정틀(300)이 제1방향(1)을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소재의 필름(5)을 하부금형(200)의 상부에 배치하면서 시작된다.
하부금형(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름(5)의 중앙부는 가열된 하부금형(200)의 압착면에 의해 압착면에 밀착되고, 필름(5)의 테두리는 하부금형(200)의 상부 테두리에 거치된다.
필름(5)의 테두리가 하부금형(200)의 상부 테두리에 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정와이어(160)를 고정틀(300)에서 분리하면, 고정틀(300)이 하강하여 필름(5)의 테두리를 하부금형(200)의 테두리에 고정시킨다.
필름(5)이 고정틀(300)을 통해 하부금형(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주입부(400)는 레일을 통해 필름(5)의 상부로 이동되고, 노즐(420)을 통해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원료(7)가 필름(5)의 상부로 배출된다.
노즐(420)의 내부에서 와류 현상을 통해 혼합되는 원료(7)는 코어(430)의 타단에 의해 필름(5)의 상부에 확산되면서 도포되어 단시간에 원료(7)가 필름(5)의 상부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6들을 참조하면, 필름(5)의 상부에 원료(7)가 도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제1실린더(520) 및 제2실린더(540)의 구동으로 상부금형(600)이 제2방향(2)을 향해 하강한다.
상부금형(600)이 제2방향(2)을 향해 하강하여 하단부의 일부분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하단부의 저면이 원료(7)를 압착하여 원료(7)가 필름(5)의 상부면 전반에 균일하게 확산되고, 상부금형(600)의 냉각장치에 의해 단시간에 성형 및 냉각된다.
또한, 상부금형(600)의 하단부의 일부분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고정로드(720, 722)들 각각의 타단은 제3 및 제4 실린더(730, 740)들 각각의 구동에 의해 제1방향(1)으로 이동하여, 고정부재(750, 760)들 각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로드들 각각과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로드(720, 722)들 각각은 상부금형(600)이 하강하여 원료(7)가 성형 및 냉각되는 과정에서 상부금형(6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원료(7) 및 필름(5)이 충격흡수패드(10)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충격흡수패드(10)의 불량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고정로드(720, 722)들이 상부금형(600)을 고정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작업자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고정로드(720, 722)들을 상부금형(600)과 분리시키고, 상부금형(600) 및 고정틀(300)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제1방향(1)을 향해 이동시켜 제조된 충격흡수패드(10) 및 충격흡수패드(10)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필름(5)의 일부를 하부금형(200)과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틀(3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고정와이어(160)를 통해 고정틀(300)의 손잡이를 상부금형(600)에 고정시키고, 충격흡수패드(10) 주위의 필름(5)의 테두리 부분을 잡아 충격흡수패드(10)를 하부금형(200)에서 분리시킨다.
분리된 충격흡수패드(10) 및 필름(5)의 테두리 부분은 절단도구를 통해 서로 분리되고, 필름(5)이 제거된 충격흡수패드(10)는 별도의 포장공정을 통해 포장되어 보관 또는 이송된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20)는 압출부(800), 연결부재(900) 및 상부금형(600)의 돌출부(605)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패트 제조장치(120)는 압출부(800) 및 연결부재(900)들을 더 포함하고, 상부금형(600)은 돌출부(605)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20)들은 서로 일측 또는 타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20)들 사이에는 압출부(800)가 배치되어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20)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압출부(800)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20)들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120)들 사이를 이동하는 주입부(400)에서 흘러내리는 원료(7)가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흘러내리는 원료(7)를 통해 상부금형(600) 및 고정틀(30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900)를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출부(800)는 프레임(820), 피스톤(830, 832), 회동부재(842, 844), 푸싱로드(846) 및 성형틀(850)들을 포함한다.
프레임(820)의 제1방향(1)쪽 전방부는 제1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전방부에서 제2방향(2)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며 제1내부공간은 중앙부의 중앙 일부분이 제2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과 연결된다.
프레임(820)의 후방부는 중앙부에서 제2방향(2)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고, 내부의 공간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직육면체 형태의 제3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프레임(820)의 중앙부 배면을 관통하는 압출홀(822, 824)들을 통해 제1 내지 제3 내부공간들은 서로 연결된다.
푸싱로드(846)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바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에 흘러내리는 원료(7)를 제2방향(2) 및 제2내부공간을 향해 밀어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푸싱로드(846)는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내부공간에서 제1방향(1) 또는 제2방향(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피스톤(830)의 일단은 프레임(820)의 제1내부공간 일측에서 푸싱로드(846)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82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제1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회동부재(842)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동부재(842)의 후방부는 피스톤(830)의 타단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부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로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금형(600)이 하강하여 제2실린더(540)의 타단이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하면 회동부재(842) 및 피스톤(830)들은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한다.
피스톤(832)의 일단은 프레임(820)의 제1내부공간 타측에서 푸싱로드(846)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82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제1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회동부재(844)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동부재(844)의 후방부는 피스톤(832)의 타단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부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로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금형(600)이 하강하여 제1실린더(520)의 타단이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하면 회동부재(844) 및 피스톤(832)들은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프레임(820)의 제1내부공간에 흘러내리는 원료(7)는 상부금형(600)이 하강하여 하부금형(200)과 결합되면, 제1 또는 제2 실린더(520, 540)들의 제2방향(2)쪽 이동에 의해 프레임(820)의 중앙부를 거쳐 성형틀(850)의 내부로 유입되고, 흘러내린 원료(7)를 통해 소모품인 연결부재(900)를 제작할 수 있다.
성형틀(85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형 프레임 형태의 상부면 일부분 및 원형 프레임 형태의 상부면 일부분을 연결하는 통로 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연결부재(900)의 성형을 위한 제1성형홈이 성형틀(850)의 일측에 형성된다.
성형틀(850)의 타측 상부에는 서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형 프레임 형태의 상부면 일부분 및 원형 프레임 형태의 상부면 일부분들을 연결하는 통로 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연결부재(900)의 성형을 위한 제2성형홈이 성형틀(850)의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성형홈들 각각의 제1방향(1)쪽 성형틀(950)의 내측면 일부분은 제1방향(1)을 향해 함몰 연장되어 압출홀(822) 및 압출홀(824)들 각각과 연결되는 홀(852, 854)들 각각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금형(600)이 하강하면 제2 및 제1 실린더(540, 520)들 각각이 제2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회동부재(842, 844)들과 피스톤(830, 832)들이 제2방향(2)으로 이동하면서 흘러내린 원료(7)를 성형틀(850)로 주입하고, 성형틀(850) 내부로 주입된 원료(7)는 연결부재(900)를 제조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연결부재(900)의 일단은 상부금형(600)의 배면 중앙에서 제2방향(2)을 향해 원통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부금형(600) 및 고정틀(300)이 제1방향(1)을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돌출부(605) 및 고정틀(300)의 손잡이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900)의 일단은 중공이 형성된 원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 일부분이 제2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제2방향(2)을 향해 중공이 형성된 원형 프레임 형태로 연장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제1 또는 제2 실린더(520, 540)들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압출부(800)를 통해 버려지는 원료(7)를 사용하여 상부금형(600) 및 고정틀(300)의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한 연결부재(900)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200: 하부금형
300: 고정틀 400: 주입부
520: 제1 실린더 540: 제2 실린더
600: 상부금형 700: 고정부
800: 압출부 900: 연결부재

Claims (6)

  1.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테두리와 탈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금형; 및
    원통형의 노즐 및 일단은 상기 노즐 내부에서 상기 노즐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앙부는 외측면에서 안쪽을 향해 함몰되며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확장되며 연장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원료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코어를 구비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면에 밀착된 필름의 테두리를 상기 고정틀을 통해 상기 하부금형에 고정시키고 상기 원료를 상기 필름 상부에 주입한 후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및 일단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고, 중앙부 및 타단은 서로 인접한 콘들 각각의 꼭지점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아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부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돌기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전방부는 상기 하부금형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 각각은 일측 및 타측 하부 각각에 배치되는 실린더들의 로드들 각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대두, 피마자씨, 유채씨 및 해바라기씨들을 포함하는 식물 씨앗으로부터 식물성 오일을 추출하여 합성된 바이오 폴리올, 경화제 및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KR1020190092613A 2019-07-30 2019-07-30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KR10222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13A KR102223114B1 (ko) 2019-07-30 2019-07-30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13A KR102223114B1 (ko) 2019-07-30 2019-07-30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76A KR20210014476A (ko) 2021-02-09
KR102223114B1 true KR102223114B1 (ko) 2021-03-04

Family

ID=7455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613A KR102223114B1 (ko) 2019-07-30 2019-07-30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637B1 (ko) * 2021-06-10 2022-11-11 (주)비에스디 조립형 매트 성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442A (ja) 1999-11-10 2001-05-15 Nippon Light Metal Co Ltd 衝撃吸収部材とこれを成形するための治具
KR100614287B1 (ko) 2002-03-29 2006-08-21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충격흡수패드
KR100705052B1 (ko) 2005-08-23 2007-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용 패드
KR101328899B1 (ko) 2013-03-21 2013-11-13 주식회사 동희산업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KR101335783B1 (ko) * 2011-11-07 2013-12-02 (주)대륜엠유씨 차량용 발포패드 금형의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2296A (ko) * 2006-06-26 2007-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비저블 에어백용 크래쉬 패드 성형장치 및 성형공정
KR101579425B1 (ko) * 2014-01-02 2015-12-22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KR102110861B1 (ko) 2016-11-23 2020-05-14 신성테크주식회사 차량용 완충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442A (ja) 1999-11-10 2001-05-15 Nippon Light Metal Co Ltd 衝撃吸収部材とこれを成形するための治具
KR100614287B1 (ko) 2002-03-29 2006-08-21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충격흡수패드
KR100705052B1 (ko) 2005-08-23 2007-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용 패드
KR101335783B1 (ko) * 2011-11-07 2013-12-02 (주)대륜엠유씨 차량용 발포패드 금형의 체결구조
KR101328899B1 (ko) 2013-03-21 2013-11-13 주식회사 동희산업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76A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114B1 (ko)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KR101246554B1 (ko) 흡수재의 내용물 흡수공정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장치
CN107283288B (zh) 气动打磨抛光机砂纸自动切换机构
US20170113822A1 (en) All-model aluminum product automatic packing machine
CN101821194A (zh) 用于各种物质的分配装置
KR20140056984A (ko) 마스크 팩 제조 장치
MX2011001781A (es) Sistema y metodo para transferencia de materiales de funcionamiento por vacio.
CN208629906U (zh) 一种散热器贴膜的送料结构
CN105945582A (zh) 除尘网焊接装置及焊接除尘网的方法
KR101309970B1 (ko)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CN208399275U (zh) 一种水泥砖压力测试装置
KR20130082380A (ko) 사출성형기
EA012351B1 (ru) Резервуар,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9228518A (zh) 一种包装盒制作设备
KR101531694B1 (ko) 음식물쓰레기 압축장치
JP6013947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667555B1 (ko) 스펀지의 액상 내용물 충진장치
CN207810748U (zh) 棒材自动对齐装置
CN208962201U (zh) 用于开炼机的清洁装置
CN111746035B (zh) 一种煤炭成型设备
JP4866714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の貯蔵サイロ
CN219957100U (zh) 一种玻璃强度测试装置
US2147818A (en) Pickle packing machine
JP2012116585A (ja) 材料供給システム
CN216910806U (zh) 一种灯具加工用点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