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899B1 -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 Google Patents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899B1
KR101328899B1 KR1020130030267A KR20130030267A KR101328899B1 KR 101328899 B1 KR101328899 B1 KR 101328899B1 KR 1020130030267 A KR1020130030267 A KR 1020130030267A KR 20130030267 A KR20130030267 A KR 20130030267A KR 101328899 B1 KR101328899 B1 KR 10132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buffer pad
pad
adhesiv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태
김완태
계태홍
박균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김흥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8576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2889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김흥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3003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81Covering the foamed object with, e.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1Vibration dampening equipment, e.g.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2All layers being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553/02Shock 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과 연료탱크의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연료탱크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료탱크 완충패드는 고무패드로 구성된다. 고무패드는 고무재질 특성상 무게가 많이 나가서 연비에 악영향을 미치며, 외부압력에 대한 복원력이 낮고 기온변화에 따라서 경화될 수 있어서, 곡면부에 부착된 고무패드의 경우 연료탱크에 완전하게 접착시키기 어렵고, 특히 고무발포제에 함유된 황 등의 첨가로 인하여 유기독성물질인 벤젠, 톨루엔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함으로써,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발포제를 사용하여 연료탱크 완충패드를 제작하고자 한 것으로, 경량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완충패드를 제작함으로써, 연비를 개선하고, 우레탄 발포제 폼으로 패드를 제작하여 제작과정을 단순화시켜 작업성을 개선함은 물론, 수지로 제작된 연료탱크에 효과적으로 접착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THE MANUFACTURE METHOD OF FUEL TANK BUFFER PAD AND FUEL TANK BUFFER PA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과 연료탱크의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연료탱크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친환경 완충패드를 제작하고자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탱크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1)는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형상으로 소정의 용적을 갖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차체에 고정 시 차량의 차체와 연료탱크(1) 사이에 공간 간격을 조절하여 연료탱크의 높이를 조절시켜주며, 아이들링 시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완충부재(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연료탱크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는 일반적으로 고무패드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고무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의 고무패드는 고무로 이루어진 고무베이스층(2a), 고무베이스층(2a)의 상하로 본드 접착된 코팅층(2b)(2c), 코팅층(2c)면에 접착되는 양면접착테이프(2d), 그리고 도면 부호 2e는 양면접착테이프(2d)의 이형지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무패드는 이형지(2e)를 떼어내고 연료탱크에 부착시켜 설치 완료한다.
이와 같은 고무패드는 고무재질 특성상 무게가 많이 나가서 연비에 악영향을 미치며, 외부압력에 대한 복원력이 낮고 기온변화에 따라서 경화될 수 있어서, 곡면부에 부착된 고무패드의 경우 연료탱크에 완전하게 접착시키기 어렵고, 또한 완충력이 떨어져서 차량의 아이들링 시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연료탱크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고무발포제에 함유된 황 등의 첨가로 인하여 유기독성물질인 벤젠, 톨루엔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함으로써,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발포제를 사용하여 연료탱크 완충패드를 제작하고자 한 것으로, 경량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완충패드를 제작함으로써, 연비를 개선하고, 제작과정을 단순화시켜 작업성을 개선함은 물론, 수지로 제작된 연료탱크에 효과적으로 접착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 완충패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은,
금형 내로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상하부로 경화층을 형성하는 완충패드베이스를 제작하는 베이스제작단계, 상기 경화층 중 어느 하나의 경화층에 우레탄폼접착테이프를 접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접착부형성단계, 접착부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연료탱크의 완충패드 제작을 완료하는 이형지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 연료탱크 완충패드는,
상하부로는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된 경화층이 형성되고 상부 경화층은 격자 형태의 엠보싱으로 형성되고, 하부 경화층으로는 연료탱크에 접착될 접착부가 구성되고, 접착부의 상부로 이형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작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경량의 완충패드 제작이 가능하며, 완충패드 제작 시 일면으로 격자형 엠보싱면을 형성시켜 내마모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우레탄폼으로 접착테이프를 구성함으로써, 수지로 제작된 연료탱크 면에 우수한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기온의 변화에 상관없이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작함으로써, 곡면에 부착될 완충패드인 경우 곡면 형태로 발포 제작이 가능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켜 완충패드를 연료탱크에 접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연료탱크 완충패드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연료탱크 완충패드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 연료탱크 완충패드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연료탱크 완충패드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완충패드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 연료탱크 완충패드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제조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형 내로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상하부로 경화층(11)(12)을 형성하는 완충패드베이스(10)를 제작하는 베이스제작단계, 상기 경화층(12)에 우레탄폼접착테이프를 접착하여 접착부(20)를 형성하는 접착부형성단계, 접착부(20)에 이형지(30)를 부착하여 연료탱크의 완충패드 제작을 완료하는 이형지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연료탱크의 완충패드 제작방법은,
(a).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경량의 베이스를 형성하되 상하부로 베이스층보다 조금 더 단단한 경화층을 형성하고,
(b). 우레탄폼테이프로 접착부를 형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연료탱크 표면에 침투하여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제작단계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의 완충패드 형상에 따른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완충패드베이스(1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베이스제작단계에서는 상하부로는 금형과 접하여 열압착 되면서 경화층(11)(12)이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경화층(11)(12)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완충패드베이스(10)의 휨 발생이 방지된다.
이때 상부로 격자형태의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금형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완충패드베이스(10)의 발포 공정에서 완충패드베이스(10)의 제작 시 상부로는 경화층(11)이 형성되되 격자형태의 엠보싱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평면의 경화층(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자형태의 엠보싱으로 형성된 상부의 경화층(11) 및 접착부(20)가 형성될 경화층(12)은 딱딱한 형태의 완전한 경화층이 아닌 금형작업 시 금형과 말착되면서 열 압착되면서 동시에 형성된 완충패드베이스(10)보다 조금 더 하드(hard)한 재질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접착부형성단계는 도 3b에서와 같이, 격자형태의 엠보싱의 반대면으로 구성된 경화층(12)에 우레탄폼 테이프를 접착시켜 접착부(20)를 형성한다.
상기 우레탄폼 테이프는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베이스를 형성하고, 그 앞뒤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작된다.
상기 접착부형성단계 있어서, 양면테이프(21)를 접착하여 접착부(2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부착단계는 접착부(20)에 이형지(30)를 부착하여 연료탱크의 완충패드 제작을 완료하는 이형지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로 제작되는 연료탱크의 완충패드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연료탱크의 완충패드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로는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작시 일체로 형성된 경화층(11)(12)이 형성되고 하부 경화층(12)으로는 연료탱크에 접착될 접착부(20)가 구성되고, 접착부(20)의 상부로 이형지(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의 경화층(11)은 차체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격자형태의 엠보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20)는 우레탄폼테이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완충패드는 연료탱크에 설치할 때, 이형지(30)를 접착부(20)로 부터 분리하여 연료탱크 면에 부착하여 접착부(20)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때 접착부(20)는 우레탄폼테이프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료탱크 면에 엠보싱처럼 돌출된 면내로 침투하여 연료탱크에 확실하게 접착된다.
근래에는 연료탱크가 블로워(blower)방식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연료탱크가 사용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40)에 엠보싱처럼 돌출된 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우레탄폼테이프로 제작된 접착부(20)는 효과적인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래에는 연비를 높이기 위하여 경량의 연료탱크(40)를 제작함에 있어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바, 이와 같이 제작하는 경우 연료탱크 면에 부가적인 수단을 구성하기 용이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패드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돌기부(41)를 구성하고 이의 돌기부(41)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완충패드베이스(10)에 돌기결합부(13)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형지(30)를 떼어내고 돌기부(41)에 돌기결합부(13)를 끼워 접착부(20)를 접착시키면 완충패드베이스(10)가 더욱 견고하게 연료탱크(40)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 접착부(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양면테이프(21)로 접착부(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스틸로 제작된 연료탱크와 같이 매끈한 표면으로 제작되는 연료탱크에서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다.

Claims (8)

  1. 금형 내로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상하부로 경화층(11)(12)을 형성하는 완충패드베이스(10)를 제작하는 베이스제작단계, 상기 경화층(12)으로 우레탄폼접착테이프를 접착하여 접착부(20)를 형성하는 접착부형성단계, 접착부(20)에 이형지(30)를 부착하여 연료탱크의 완충패드 제작을 완료하는 이형지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제작단계는 상기 경화층(11)이 격자형태의 엠보싱 형상으로 제작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형성단계에 있어서, 상기 경화층(12)으로 양면테이프(21)를 접착하여 접착부(20)를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제작단계는 베이스에 연료탱크 면에 구성되는 돌기부(41)에 끼워 고정되는 돌기결합부(13)를 상기 접착부(20)가 형성될 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완충패드베이스(10)가 제작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
  5. 삭제
  6. 상하부로는 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된 경화층(11)(12)이 형성되고 하부 경화층(12)으로는 연료탱크에 접착될 접착부(20)가 구성되고, 접착부(20)의 상부로 이형지(30)가 구성되며,
    상기 경화층(11)은 차체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격자형태의 엠보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20)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베이스와 베이스의 앞뒤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우레탄폼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8. 제 6항에 있어서, 연료탱크(40)에 구성되는 돌기부(4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의 접착부(20)가 형성될 면에 돌기결합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완충패드.



KR1020130030267A 2013-03-21 2013-03-21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KR101328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267A KR101328899B1 (ko) 2013-03-21 2013-03-21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267A KR101328899B1 (ko) 2013-03-21 2013-03-21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899B1 true KR101328899B1 (ko) 2013-11-13

Family

ID=4985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267A KR101328899B1 (ko) 2013-03-21 2013-03-21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8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159B1 (ko) 2015-11-13 2016-04-11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연료탱크용 허니콤 완충패드
KR20180057841A (ko) * 2016-11-23 2018-05-31 신성테크주식회사 차량용 완충패드
KR20210014476A (ko) * 2019-07-30 2021-02-09 (주)유피티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257A (ko) * 2008-08-06 2010-02-17 에스케이유티스 (주) 점착 성능이 있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257A (ko) * 2008-08-06 2010-02-17 에스케이유티스 (주) 점착 성능이 있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159B1 (ko) 2015-11-13 2016-04-11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연료탱크용 허니콤 완충패드
KR20180057841A (ko) * 2016-11-23 2018-05-31 신성테크주식회사 차량용 완충패드
KR102110861B1 (ko) 2016-11-23 2020-05-14 신성테크주식회사 차량용 완충패드
KR20210014476A (ko) * 2019-07-30 2021-02-09 (주)유피티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KR102223114B1 (ko) 2019-07-30 2021-03-04 (주)유피티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899B1 (ko) 연료탱크 완충패드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료탱크 완충패드
RU2012156199A (ru) Тонкий аккумулятор
WO2009028897A3 (en) Bond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sound-absorbing, virbration-damping and processability
JPH0886080A (ja) 防音床板
JPWO2015155889A1 (ja) 衝撃吸収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外板部材
WO2008087755A1 (ja) 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628125B (zh) 一种隔热降噪减震汽车引擎盖
JP6029573B2 (ja) 制振材および制振材取付方法
JP6213661B2 (ja) 輸送機器用部品およびパネル部材
JP5423133B2 (ja) ドラム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570073B2 (ja) 制振材
JP2012082949A (ja) 制振構造体
KR100666049B1 (ko) 완충층을 이용한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 구조
JP2014166764A (ja) 制振材
KR20150073327A (ko) 충격 진동 흡수 시트
JP6441705B2 (ja) 防音材
CN214164913U (zh) 一种蓄电池安装用弹性垫板
JP3164531U (ja) 衝撃吸収マット
JP6117047B2 (ja) カバー部材
KR101961082B1 (ko) 마운팅 브래킷
KR101284303B1 (ko) 카울탑 패널과 크래쉬패드 디프로스트 패널의 조립장치
KR101875562B1 (ko) 차량도어 완충패드 및 그 제작 방법
JP2017077766A (ja) ルーフリインホースメント取付構造
CN205557168U (zh) 抗压tpu人造革覆膜
CN105840796A (zh) 一种汽车摇窗电机减速箱保护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411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1211

Effective date: 2020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