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870B1 -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870B1
KR102221870B1 KR1020200116205A KR20200116205A KR102221870B1 KR 102221870 B1 KR102221870 B1 KR 102221870B1 KR 1020200116205 A KR1020200116205 A KR 1020200116205A KR 20200116205 A KR20200116205 A KR 20200116205A KR 102221870 B1 KR102221870 B1 KR 10222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disinfectant
resonance soun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알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알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알엔에프
Priority to KR102020011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94Gaseous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6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 G10K1/06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the sounding member being a tube, plate or rod
    • G10K1/067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물을 증기로 무화하여 분사하는 초음파 분사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펌핑 작동을 통해 소독용 화학 물질을 분사하는 펌프 분사부, 상기 초음파 분사부와 펌프 분사부 및 분사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무화된 물과 소독용 화학 물질이 혼합된 소독물이 상기 분사수단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독장치{APPARATUS FOR DISINFECTION}
본 발명은 소독물질을 공기중에 살포하거나 사람, 물체, 가축, 식물 등에 직접 살포하여 각종 해충, 유해균, 세균, 병균 등을 박멸하는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독용 화학 물질과 물을 초음파에 의해 저온 비등시켜 혼합하여 극히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무화 또는 기화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의 소독약제로도 넓은 범위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연기 또는 안개와 같이 기화된 상태로 소독약제를 분사토록 하여 소독약제가 사람, 물체, 가축, 식물 등에 구석구석 파고 들어 분포됨으로 인해 높은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통편의 발달로 전세계가 하나로 묶이면서 많은 사람들은 업무나 관광 등의 목적으로 각국을 출입하게 되었고,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농산물을 비롯하여 자동차 등 거의 모든 물품들이 국경을 넘어 수출입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간이나 가축 등에게 치명적인 각종 전염성 질병들이 한번 발병되면 급속도로 퍼져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내뿐 아니라 외국의 어느 나라에서 특정 전염병이 발생되면 이와 관련되는 직,간접 산업들도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국내 상황만을 보더라도 코로나, 신종플루, 조류독감, 구제역 등이 발생되면 어느 한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전파된 후 전국적으로 유행하게 된다. 이러한 질병들은 사람이나 자동차를 매개로 하여 주로 전파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전염병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시.도의 경계 등에는 통행하는 차량을 일일이 소독하기 위한 검문 초소가 세워진다.
그리고 일정 반경 이내의 관련 축사의 가축들은 생매장되고, 사람이나 차량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된다.
한편, 코로나, 신종플루와 같이 사람에게 전염되는 질병이 발병되면 사람들은 보다 위생에 신경을 써야만 하고, 가급적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는 가지 않게 된다.
유행성 전염병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공항이나 항만을 비롯한 모든 건물의 출입구에 소독액을 분무하는 소독장치를 마련하여 통행하는 모든 사람들이 소독액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
종래 사람, 가축, 식물, 물체 등에 소독약제를 살포하는 방법 및 장치로는 크게 2가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첫번째로는 소독약제를 물에 희석시키고 이를 분사노즐을 통해 살포하는 노즐분사식 소독방법 및 장치를 볼 수 있으며, 두번째로는 경유나, 신나와 같은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켜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연무상태로 분사하는 연무(연막) 소독방법 및 장치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 분사식 소독방법에 있어서는 소독약제가 작은 물방울 형태로 살포 되어지기 때문에 구석구석 소독약제가 살포 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소독약제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방울 형태로 소독약제가 살포된 후, 바로 증발되지 못하고 사람, 가축, 식물, 물체 등에 흡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경유나 신나등의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켜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연무(연막) 상태로 분사하는 연막 방식은 소독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해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키고,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분무하게 될 때, 가연성 물질의 연소시 발생되는 산화물인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다이옥신등의 공해물질이 함께 배출되어 공해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9977호
본 발명은, 소독물질을 공기중에 살포하거나 소독 대상 사람, 물체, 가축, 식물 등에 직접 살포하여 각종 해충, 유해균, 세균, 병균 등을 박멸함에 있어, 소독용 화학 물질과 물을 초음파에 의해 저온 비등시켜 혼합하여 극히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무화 또는 기화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의 소독약제로도 넓은 범위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연기 또는 안개와 같이 기화된 상태로 소독약제를 분사토록 하여 소독물질이 사람, 물체, 가축, 식물에 구석구석 파고 들어 분포됨으로 인해 높은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소음을 다중 복합적으로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소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 사용자에게 신체적으로 곤란성을 주어 자리를 떠나도록 유도함으써,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소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물을 증기로 무화하여 분사하는 초음파 분사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펌핑 작동을 통해 소독용 화학 물질을 분사하는 펌프 분사부, 상기 초음파 분사부와 펌프 분사부 및 분사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무화된 물과 소독용 화학 물질이 혼합된 소독물이 상기 분사수단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접근한 인체를 감지 시 상기 소독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초음파 분사부와 펌프 분사부를 작동시키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시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켜 소독물의 분사 범위를 가변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독물을 인체를 향해 분사하되, 상기 분사수단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가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부가 분사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 상기 부가 분사부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소음을 발생시켜 경보하는 제1 경보부, 상기 부가 분사부에 설치되고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소음을 발생시키되, 제1 경보부가 작동하고 3초 내지 7초 이후에 작동되어 소음을 증대시키는 제2 경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위치한 바닥면의 내부에 매립되고, 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인체를 승강시켜 경보하는 제3 경보부, 상기 지지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지중에 매립되고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부, 상기 개구부에 승강가능한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저면 중앙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함체부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연결유닛, 상면 중앙부분이 상기 연결유닛과 연결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승강부재, 상기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의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연결유닛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독물을 인체의 하체측을 향해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가 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 분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부가 분사수단이 매립설치되는 회동판, 상기 본체부와 회동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시 제1 부가 분사수단이 상기 분사수단과 상이한 방향에서 소독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회동판을 본체부의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보부는, 상기 회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명음 발생공간이 형성된 제1 제1 공명음발생부,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천장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과 이격되며 승강가능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알맹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음발생부,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판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소음발생부를 튕김 작동시키는 타격부,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강범위를 제한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에 볼팅 고정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1 지지유닛,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며 저면에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제2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보부는, 상기 회동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명음 발생공간이 형성된 제2 공명음발생부, 상기 제2 공명음발생부의 내부공간 중앙에 배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축과 함께 회동되는 제1,2 충돌부, 상기 제2 공명음발생부의 내부 일측벽 상부와 타측벽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2 충돌부와 각각 마주하며,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제1 튕김부, 상기 제2 공명음발생부의 내부 일측벽 하부와 타측벽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2 충돌부와 각각 마주하는 제2 튕김부, 상기 제1,2 충돌부가 양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2 튕김부를 타격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튕김부에 각각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경보부는, 인체가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는 부가 함체부, 상기 부가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인체의 하중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 상기 지지부의 내벽면과 완충부의 사이 빈 공간에 각각 채움되며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채움부, 상기 완충부의 내부와 채움부의 내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매립되는 복수개의 보강심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독물질을 공기중에 살포하거나 사람, 물체, 가축, 식물 등에 직접 살포하여 각종 해충, 유해균, 세균, 병균 등을 박멸함에 있어, 소독용 화학 물질과 물을 초음파에 의해 저온 비등시켜 혼합하여 극히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무화 또는 기화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의 소독약제로도 넓은 범위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연기 또는 안개와 같이 기화된 상태로 소독약제를 분사토록 하여 소독물질이 사람, 물체, 가축, 식물 등에 구석구석 파고 들어 분포됨으로 인해 높은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소독약제가 유성이나 수성임을 불문하고 미세한 입자로 무화 또는 기화시켜 연막상태로 구석구석 파고 들어 살균 소독하므로 살균소독 효과가 향상되며, 적은 양의 소독약으로 많은 범위를 소독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소독약액이 미세하게 액체와 함께 기화되어 넓고 골고루 분사됨으로 인해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등의 해충의 박멸은 물론이거니와 극히 미세한 세균까지도 완전히 박멸시킬 수 있다.
또한, 소독물질을 무화 또는 기화 상태로 분산함으로 소독약제의 절약은 물론이거니와 소독약제의 과다사용을 억제하여 소독약제에 의한 또다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소독약제를 초음파에 의해 극히 미세한 입자로 기화살포함으로 인해 확산성 및 침투성이 우수하여, 공중에 떠도는 부유균 및 구석 틈바구니에 숨어있는 각종 유해균등을 효과적으로 박멸할 수 있으며, 미세한 입자로 분사되는 소독물질을 오염된 실내에 살포될시 컴퓨터등의 전자장비나 서류, 인테리어, 및 기타 실내기물등에 손상내지 부식을 발생시키지 않고 오염물질을 멸균 중화시켜, 밀폐된 실내공간의 살균소독기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소음을 다중 복합적으로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 사용자에게 신체적으로 곤란성을 주어 자리를 떠나도록 유도함으써,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초음파 분사부, 펌프 분사부, 연결부의 연결관계를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제1 경보부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제2 경보부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제3 경보부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초음파 분사부, 펌프 분사부, 연결부의 연결관계를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1)는, 휴게소, 도서실, 공부방, 식당 등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건물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어 건물로 진입하는 사람에게 소독물을 분사하여 전염병 예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1)는, 본체부(10), 초음파 분사부(20), 펌프 분사부(30), 연결부(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함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0)의 전면에는 분사수단(11)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홀이 형성된다.
분사수단(11)은 후술되는 초음파 분사부(20)와 펌프 분사부(30)에 의해 생성된 소독물을 전방을 향해 분사시키는 것으로, 호스나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수단(11)은 소독물을 비교적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홀은 모든 분사수단(11)이 위치되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수단(11)은 본체부(10)에 상,하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수단(11)은 각 열마다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초음파 분사부(20)는 초음파 방식으로 물을 증기로 무화하여 분사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물(23)이 저장되는 기화탱크(21), 기화탱크(21)의 내측 하방에 배치되며 압축공기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는 공기압 방식의 초음파 발생기(22), 공기압축기(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초음파 발생기(16)에 연결되는 공기공급관(241)을 포함하는 공기탱크(24)을 포함한다.
펌프 분사부(30)는 펌핑 작동을 통해 소독용 화학 물질을 분사하는 것으로,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독용 화학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31), 펌핑 작동을 통해 저장탱크(31) 내의 액상의 소독용 화학 물질을 분사하는 펌프(P)를 포함한다.
이때, 액상의 소독용 화학 물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독약제 제품들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40)는 관이나 호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화탱크(21)와 펌프(P) 및 분사수단(11)과 연결되어 무화된 물과 소독용 화학 물질이 혼합되어 생성된 소독물이 분사수단(1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기화탱크(21)의 상방에는 무화된 물을 연결부(40)로 배출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기탱크(24)를 통해 초음파 발생기(2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물은 저온 비등하여 연무상태로 무화된 후 연결부(40)로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펌프(P)의 펌핑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31) 내의 액상의 소독용 화학 물질도 연결부(40)의 내부로 이동되며, 연결부(40)에서 미세한 물입자와 소독용 화학 물질이 고루게 혼합된 후 배출수단(11)을 통해 본체부(10)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에게 연무형태로 분사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1)는, 소독물을 공기중에 살포하거나 사람, 물체, 가축, 식물 등에 직접 살포하여 각종 해충, 유해균, 세균, 병균 등을 박멸함에 있어, 소독용 화학 물질과 물을 초음파에 의해 저온 비등시켜 혼합하여 극히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무화 또는 기화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의 소독물로도 넓은 범위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연기 또는 안개와 같이 기화된 상태로 소독물을 분사토록 하여 소독물이 사람, 물체, 가축, 식물 등에 구석구석 파고 들어 분포됨으로 인해 높은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소독용 화학 물질이 유성이나 수성임을 불문하고 미세한 입자로 무화 또는 기화시켜 연막상태로 구석구석 파고 들어 살균 소독하므로 살균소독 효과가 향상되며, 적은 양의 소독물로 많은 범위를 소독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소독물이 미세하게 액체와 함께 기화되어 넓고 골고루 분사됨으로 인해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등의 해충의 박멸은 물론이거니와 극히 미세한 세균까지도 완전히 박멸시킬 수 있다.
또한, 소독물을 무화 또는 기화 상태로 분산함으로 소독용 화학 물질의 절약은 물론이거니와 소독용 화학 물질의 과다사용을 억제하여 소독용 화학 물질에 의한 또다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1)에 적용된 감지부(50), 승강부(60), 부가 분사부(70),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 제1 경보부(90), 제2 경보부(100), 제3 경보부(110), 보강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제1 경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제2 경보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제3 경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도이다.
먼저, 감지부(50)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접근한 인체를 감지 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초음파 분사부와 펌프 분사부를 작동시켜 소독물이 인체에 분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1)는 이러한 감지부(50)를 포함함으로써, 본체부(10)에 전방에 사람이 위치한 경우에만 소독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독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감지부(50)가 인체를 감지하면 승강부(60)를 작동시킨다.
승강부(60)는 소독물이 인체의 전체 부위에 고루게 분사되도록 본체부(10)를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승강부(60)는 함체부(61), 승강부재(62), 승강실린더(63), 제2 부가 분사수단(64)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체부(61)는 본체부(10)가 위치되는 지중에 매립된다.
함체부(61)는 내부에 승강실린더(63)가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승강부재(62)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승강부재(6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유닛(621), 연결유닛(622), 승강유닛(6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621)은 개구부에 승강가능한 구조로 배치되고 본체부(10)의 저면을 지지한다.
연결유닛(622)은 지지유닛(621)의 저면 중앙부분과 연결된다.
승강유닛(623)은 상면 중앙부분이 연결유닛(622)과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부재(62)는 후술되는 승강실린더(63)에 의해 상승되기 전에는 함체부(6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승시에는 함체부(61)의 상측으로 인출된다.
승강실린더(63)는 함체부(61)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피스톤이 승강유닛(623)의 저면에 고정된다.
승강실린더(63)는 감지부(50)가 인체를 감지하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승강부재(62)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승강실린더(63)가 승강부재(62)를 상승시키면 본체부(10)의 높낮이가 상승되어 가변되어, 분사수단(11)에 의해 분사되는 소독물의 분사 높이가 가변된다.
그리고, 본체부(10)가 상승시에는 높은 곳에서 소독물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1)는 신장이 큰 사람의 상체에도 소독물을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승강실린더(63)는 감지부(50)가 인체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부재(62)를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 부가 분사수단(64)은 연결부에 연결되고 플랙서블 재질의 호스로 형성되어 소독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2 부가 분사수단(6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함체부(61)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연결유닛(622)에 고정된다.
제2 부가 분사수단(64)은 승강부재(62)가 상승되면 함체부(6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인체의 하체부분과 마주하여 무릎아래 부분(발, 정강이, 종아리 등)을 향해 소독물을 분사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1)는 전술한 분사수단(11)이 상체와 무릎 위부분을 향해 소독물을 분사하고, 제2 부가 분사수단(64)이 무릎 아래부분을 향해 소독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 인체의 상체와 하체 부분에 소독물을 고루게 분사할 수 있다.
부가 분사부(70)는 본체부(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연결부와 연결되어 전술한 분사수단(11)과 상이한 방향으로 소독물을 분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부가 분사부(70)는 회동판(72), 회동실린더(73)를 포함한다.
회동판(72)은 본체부(1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H1) 결합되어,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다,
회동판(72)에는 연결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부가 분사수단(71)이 관통설치된다.
제1 부가 분사수단(71)은 연결부에 연결되고 플랙서블 재질의 호스로 형성되어 소독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1 부가 분사수단(71)은 회동판(72)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부가 분사수단(71)은 분사수단(11)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된다.
회동실린더(73)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신장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회동실린더(73)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유압탱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회동실린더(73)는 그 몸체가 본체부(10)의 측면에 설치된 설치대(74)에 힌지(H2) 결합되고, 피스톤이 회동판(72)의 후면에 힌지(H3) 결합되어 회동판(72)을 본체부(10)의 전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회동실린더(73)는 회동판(72)과 설치대(74)에 힌지(H2,H3) 결합됨으로, 피스톤이 전진되어 회동판(72)을 본체부(10)의 전측으로 회동시키면 본체부(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회동실린더(73)는 피스톤이 후진되어 회동판(72)을 원위치 시키면 본체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 된다.
전술한 제어부는 감지부(50)가 인체를 감지하면 회동실린더(73)에 유압이 주입되어 피스톤이 전진되도록 제어한다.
피스톤은 회동판(72)을 약 70도 내지 90도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회동판(72)이 약 70도 내지 90도 각도로 회동되면 제1 부가 분사수단(71)이 전술한 분사수단(11)과 상이한 방향에서 소독물을 분사하게 된다.
사람이 출입구를 바라보고 있는 상태를 예로 들면, 분사수단(11)은 사람의 측면 방향으로 소독물을 분사하고, 제1 부가 분사수단(71)은 사람의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소독물을 분사한다.
즉, 분사수단(11)과 제1 부가 분사수단(71)을 통해 인체의 측면과 전,후면에 소독물을 고루게 분사하여 소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피스톤이 전진되고 약 3초 내지 7초 이후에 유압탱크에 유압이 회수되도록 프로그램밍 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실린더(73)에서 유압이 회수되면 피스톤이 후진됨으로 회동판(72)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는 공지의 열 화상 카메라 또는 공지의 비접촉식 체온기로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는 본체부(10)의 전면이나 상면에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는 사용자의 체온이 코로나 감염시 발생되는 온도인 약 37.5 ℃일 경우, 전술한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제1 경보부(90)와 제2 경보부(100) 및 제3 경보부(11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제1 경보부(90)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37.5 ℃ 이상일 경우에만 소음, 즉 경보음을 발생시켜 발열이 있는 사용자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알리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경보부(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명음발생부(91), 코일스프링(92), 지지판(93), 소음발생부(94), 모터(95), 타격부(96), 지지대(97)를 포함한다.
제1 공명음발생부(91)는 회동판(72) 또는 본체부(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회동판(72)의 상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1 공명음발생부(91)는 공명음을 발생시키도록 내부가 빈 통 구조로 형성된다.
제1 공명음발생부(91)는 공명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명음발생부(91)의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1 공명음발생부(91)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911)를 포함한다.
덮개(911)는 제1 공명음발생부(91)의 상면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92)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그 상측이 천장면의 일측과 타측 끝부분에 각각 고정된다.
코일스프링(92)은 후술되는 타격부(96)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축, 팽창되면서 후술되는 소음발생부(94)가 지지판(93)에서 튕겨지면서 반복적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지지판(93)은 상면 양측이 코일스프링(92)의 저면에 고정된다.
지지판(93)은 상면과 저면이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93)은 경보음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발생부(94)는 지지판(93)의 상면에 안착되며 알맹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음발생부(94)는 지지판(93)에 충돌 시 경보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음발생부(94)는 동시 다발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다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모터(95)는 제1 공명음발생부(91)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모터(95)는 모터(95)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95) 또는 DC모터(95)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95)는 타격부(96)를 제자리 회전시키고, 타격부(96)는 제자리 회전되면서 지지판(93)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소음발생부(94)가 지지판(93)에서 반복적으로 튕겨지도록 한다.
이때, 모터(95)는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는 모터(95)가 약 3초 내지 5초 간격으로 타격부(96)를 약 1회전 내지 3회전 시키도록 제어한다.
지지판(93)은 타격부(96)에 타격되면 상승되면서 코일스프링(92)을 압축시키고, 타격부(96)가 지나가면 팽창되는 코일스프링(92)에 의해 하강된다.
이로 인해 지지판(93)에 안착된 소음발생부(94)가 튕겨지면서 지지판(93)과 덮개(911)의 저면에 반복적으로 충돌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즉, 소음발생부(94)의 경보음과 제1 공명음발생부(91)의 공명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발열이 있는 사람과 주변 사람들이 경각심을 느끼게 할 수 있어, 발열이 있는 사람이 자리를 떠나 병원으로 가도록 유도 하는 등의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에게는 자리를 떠나거나 발열이 있는 사람과 거리를 두도록 유도할 수 있는 등 전염병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지지대(97)는 지지판(93)의 하강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이다.
지지대(97)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 공명음발생부(91)의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다.
지지대(97)는 제1 공명음발생부(91)의 바닥면에 볼팅 고정되는 플랜지(P)를 포함하고, 상면에 수나사(971a)가 형성된 제1 지지유닛(971), 지지판(93)의 저면을 지지하며 그 저면에 제1 지지유닛(971)의 수나사(971a)에 체결되는 나선홈(972a)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제2 지지유닛(972)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판(93)은 하강될 시 제2 지지유닛(972)에 튕겨져 다시 상승된다.
이때, 제2 지지유닛(972)은 지지판(93)의 저면과 충돌하게 되는 상측 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유닛(972)은 정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상승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될수록 하강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972)을 하강시킬수록 코일스프링(92)의 팽창길이가 길어지고, 지지판(93)의 하강길이가 길어지며, 제2 지지유닛(972)을 상승시킬수록 코일스프링(92)의 팽창길이가 짧아지고, 지지판(93)의 하강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2 지지유닛(972)의 높낮이를 가변하여 소음발생부(94)가 소음을 발생시키는 시간을 조절하면된다.
제2 경보부(100)는 소음, 즉 경보음을 보다 증대시켜 보다 확실한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제2 경보부(100)는 회동판(72)의 전면에 설치되고,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37.5 ℃ 이상일 경우에만 제1 경보부(90)와 함께 경보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알린다.
이러한 제2 경보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명음발생부(101), 회동축(102), 제1,2 충돌부(103,104), 제1 튕김부(105), 제2 튕김부(107), 공기주입부(108)를 포함한다.
제2 공명음발생부(101)는 회동판(72) 또는 본체부(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회동판(72)의 전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2 공명음발생부(101)는 공명음을 발생시키도록 내부가 빈 통 구조로 형성된다.
제2 공명음발생부(101)는 공명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명음발생부(101)의 어느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2 공명음발생부(101)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미도시)를 포함한다.
덮개는 제2 공명음발생부(101)의 측면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회동축(102)은 제2 공명음발생부(101)의 내부공간 중앙부분에 배치된다.
회동축(102)은 일측이 제2 공명음발생부(101)의 내벽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공명음발생부(101)의 내벽면에는 회동축(102)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이 매립될 수 있다.
제1,2 충돌부(103,104)는 회동축(102)의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회동축(102)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제1,2 충돌부(103,104)는 후술되는 제1,2 튕김부(105,107)와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충돌부(103,104)도 공명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2 충돌부(103,104)는 공명음과 충돌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충돌부(103,104)의 내부공간에는 휨 방지부(10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휨 방지부(109)는 대략 사각바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휨 방지부(109)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2 충돌부(103,104)의 내부 양측벽에 고정된다.
제1 튕김부(105)는 제1,2 충돌부(103,104)를 튕겨내는 구성이다.
제1 튕김부(105)는 2개 한쌍으로 구성된다.
도 5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제1 튕김부(105)는 제2 경보음발생부의 내부 우측벽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1 튕김부(105)는 제2 경보음발생부의 내부 좌측벽 하측에 배치되어 제1,2 충돌부(103,104)와 각각 마주하며, 수평방향으로 공기배출홀(106)이 형성된다.
제2 튕김부(107)는 제1 튕김부(105)와 함께 제1,2 충돌부(103,104)를 튕겨내는 구성이다.
제2 튕김부(107)는 2개 한쌍으로 구성된다.
도 5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제2 튕김부(107)는 제2 경보음발생부의 내부 우측벽 하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 튕김부(107)는 제2 경보음발생부의 내부 좌측벽 상측에 배치되어 제1,2 충돌부(103,104)와 각각 마주한다.
제1,2 튕김부(105,107)는 제1,2 충돌부(103,104)를 효율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튕김부(105,107)는 충돌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주입부(108)는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에어를 배출 및 흡입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공기주입부(108)는 2개 한쌍으로 구성되어 제1 경보부(90)를 사이에 두고 회동판(72)의 상면에 고정된다.
공기주입부(108)는 제2 공명음발생부(101)의 측벽을 관통하여 공기배출홀(106)에 수용되는 공기주입호스(108a)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주입부(108)는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는 공기주입부(108)가 약 3초 내지 5초 간격으로 1초 또는 2초간 에어를 주입하도록 제어한다.
공기주입부(108)에 의해 주입된 에어는 제1 충돌부(103)와 제2 충돌부(104)에 각각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도 5를 기준으로 제1 충돌부(103)는 상측에 위치된 제2 튕김부(107)에 충돌되었다가 상측에 위치된 제1 튕김부(105)에 튕겨짐을 반복하고, 이와 동시에 제2 충돌부(104)는 하측에 위치된 제1 튕김부(105)와 하측에 위치된 제2 튕김부(107)에 튕겨짐을 반복하면서 소음, 즉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제2 경보부(100)는 제1,2 충돌부(103,104)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알맹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소음발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발생부는 제1,2 충돌부가 회동되는 과정 또는, 제1,2 충돌부(103,104)가 제1,2 튕김부(105,107)에 충돌될 때, 제1,2 충돌부(103,104)의 내벽면에 충돌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모터(95)를 작동시킨 시점을 기준으로 약 3초 내지 7초 이후에 공기주입부(108)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제1 경보부(90)와 제2 경보부(100)가 함께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경보부(90)에 의해 발생되는 경보음과 제2 경보부(100)에 의해 발생되는 경보음의 크기가 합이되어 발열이 있는 사람과 주변 사람들에게 확실하게 경보하게 되어, 전염병의 확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부는 지지부(112)에서 발열이 있는 사람이 이탈하여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가 체온을 측정하지 아니할 경우 제1 경보부(90)와 제2 경보부(10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제3 경보부(110)는 제1 경보부(90)와 제2 경보부(100)가 발열이 있는 사람에게 청각적으로 경보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람이 지지부(112)에 머물고 있을 경우 신체적으로 곤란성을 주어 자리에서 떠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3 경보부(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함체부(111), 지지부(112), 승강실린더(113)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함체부(111)는 본체부(10)의 전방에 위치한 바닥면의 내부에 매립된다.
즉, 부가 함체부(111)는 바닥면을 일정 깊이와 넓이로 터파기 하여 형성되는 홈에 매립될 수 있다.
부가 함체부(1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 개구부에 지지부(112)가 위치된다.
지지부(112)는 사람의 발을 지지한다.
지지부(112)는 상면과 저면이 평평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113)는 부가 함체부(111)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자체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지지부(112)의 저면에 고정된다.
승강실린더(113)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또는,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신장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어부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8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37.5 ℃ 이상일 경우, 제1 경보부(90)와 제3 경보부(11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제어부는 승강실린더(113)에 유압이 반복적으로 공급 또는 배출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반복적으로 신장되어 지지부(112)를 승강시킴으로써, 지지부(112)에 위치한 사람이 경각심과 불편함을 느끼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승강실린더(113)는 지지부(112)를 바닥면으로부터 약 10cm 내지 20cm만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부(120)는 지지부(112)를 보강하는 구성이다.
보강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121), 채움부(122), 보강심(123)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21)는 지지부(112)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완충부(121)는 상면이 지지부(112)의 천장면에 접촉되고 저면은 지지부(112)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완충부(12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수준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완충부(121)는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일정 길이 압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완충부(121)는 지지부(112)의 상면이 사람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려고 할 시, 탄성변형되면서 사람의 하중을 지지하여 지지부(112)의 상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채움부(122)는 지지부(112)의 내벽면과 완충부(121)의 사이 빈 공간에 각각 채움된다.
채움부(122)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일정 길이 압축된다.
즉, 채움부(122)는 지지부(112)의 상면이 의자 및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려고 할 시, 완충부(121)와 함께 탄성변형되면서 의자 및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한다. 뿐만 아니라 채움부(122)는 완충부(121)가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충부(12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심(123)은 완충부(121)의 내부와 채움부(122)의 내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매립된다.
보강심(123)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완충부(121)와 채움부(122)를 보강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소독장치 10 : 본체부
11 : 분사수단 20 : 초음파 분사부
21 : 기화탱크 22 : 초음파 발생기
23 : 물 24 : 공기탱크
241 : 공기공급관 30 : 펌프 분사부
31 : 저장탱크 40 : 연결부
50 : 감지부 60 : 승강부
61 : 함체부 62 : 승강부재
621 : 지지유닛 622 : 연결유닛
623 : 승강유닛 63, 113 : 승강실린더
64 : 제2 부가 분사수단 70 : 부가 분사부
71 : 제1 부가 분사수단 72 : 회동판
73 : 회동실린더 74 : 설치대
80 :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 90 : 제1 경보부
91 : 제1 공명음발생부 911 : 덮개
92 : 코일스프링 93 : 지지판
94 : 소음발생부 95 : 모터
96 : 타격부 97 : 지지대
971 : 제1 지지유닛 971a : 수나사
972 : 제2 지지유닛 972a : 나선홈
100 : 제2 경보부 101 : 제2 공명음발생부
102 : 회동축 103 : 제1 충돌부
104 : 제2 충돌부 105 : 제1 튕김부
106 : 공기배출홀 107 : 제2 튕김부
108 : 공기주입부 108a : 공기주입호스
109 : 휨 방지부 110 : 제3 경보부
111 : 부가 함체부 112 : 지지부
120 : 보강부 121 : 완충부
122 : 채움부 123 : 보강심

Claims (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물을 증기로 무화하여 분사하는 초음파 분사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펌핑 작동을 통해 소독용 화학 물질을 분사하는 펌프 분사부,
    상기 초음파 분사부와 펌프 분사부 및 분사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무화된 물과 소독용 화학 물질이 혼합된 소독물이 상기 분사수단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접근한 인체를 감지 시 상기 소독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초음파 분사부와 펌프 분사부를 작동시키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시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켜 소독물의 분사 범위를 가변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독물을 인체를 향해 분사하되, 상기 분사수단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가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부가 분사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
    상기 부가 분사부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소음을 발생시켜 경보하는 제1 경보부,
    상기 부가 분사부에 설치되고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소음을 발생시키되, 제1 경보부가 작동하고 3초 내지 7초 이후에 작동되어 소음을 증대시키는 제2 경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위치한 바닥면의 내부에 매립되고, 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인체를 승강시켜 경보하는 제3 경보부,
    상기 지지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지중에 매립되고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부,
    상기 개구부에 승강가능한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저면 중앙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함체부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연결유닛, 상면 중앙부분이 상기 연결유닛과 연결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승강부재,
    상기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의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연결유닛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독물을 인체의 하체측을 향해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가 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 분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부가 분사수단이 매립설치되는 회동판,
    상기 본체부와 회동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시 제1 부가 분사수단이 상기 분사수단과 상이한 방향에서 소독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회동판을 본체부의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보부는,
    상기 회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명음 발생공간이 형성된 제1 제1 공명음발생부,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천장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과 이격되며 승강가능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알맹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소음발생부,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판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소음발생부를 튕김 작동시키는 타격부,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강범위를 제한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공명음발생부의 바닥면에 볼팅 고정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1 지지유닛,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며 저면에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제2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보부는,
    상기 회동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명음 발생공간이 형성된 제2 공명음발생부,
    상기 제2 공명음발생부의 내부공간 중앙에 배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축과 함께 회동되는 제1,2 충돌부,
    상기 제2 공명음발생부의 내부 일측벽 상부와 타측벽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2 충돌부와 각각 마주하며,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제1 튕김부,
    상기 제2 공명음발생부의 내부 일측벽 하부와 타측벽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2 충돌부와 각각 마주하는 제2 튕김부,
    상기 제1,2 충돌부가 양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2 튕김부를 타격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튕김부에 각각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경보부는,
    인체가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는 부가 함체부,
    상기 부가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인체의 하중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
    상기 지지부의 내벽면과 완충부의 사이 빈 공간에 각각 채움되며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채움부,
    상기 완충부의 내부와 채움부의 내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매립되는 복수개의 보강심을 포함하는 소독장치.
  2. 삭제
KR1020200116205A 2020-09-10 2020-09-10 소독장치 KR10222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205A KR102221870B1 (ko) 2020-09-10 2020-09-10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205A KR102221870B1 (ko) 2020-09-10 2020-09-10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870B1 true KR102221870B1 (ko) 2021-03-04

Family

ID=7517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205A KR102221870B1 (ko) 2020-09-10 2020-09-10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8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58B1 (ko) * 2006-11-07 2007-09-19 (주)알티아이엔지니어링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 소독장치
KR101119977B1 (ko) 2009-06-11 2012-03-13 (주)대산기업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
KR20160088053A (ko) * 2015-01-15 2016-07-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체온 연동 전신소독장치
JP2018186841A (ja) * 2015-09-28 2018-11-29 株式会社ワークソリューション 殺菌システム
KR102121925B1 (ko) * 2020-04-10 2020-06-12 (주)성신이노텍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58B1 (ko) * 2006-11-07 2007-09-19 (주)알티아이엔지니어링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 소독장치
KR101119977B1 (ko) 2009-06-11 2012-03-13 (주)대산기업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
KR20160088053A (ko) * 2015-01-15 2016-07-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체온 연동 전신소독장치
JP2018186841A (ja) * 2015-09-28 2018-11-29 株式会社ワークソリューション 殺菌システム
KR102121925B1 (ko) * 2020-04-10 2020-06-12 (주)성신이노텍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635B1 (ko)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KR101119977B1 (ko)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
KR102191093B1 (ko) 실외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JP4446490B1 (ja) 浄化装置
JP3224953U (ja) ドライ殺菌消臭装置
KR101820472B1 (ko) 이동형 무인 소독장치
KR101309292B1 (ko) 고주파 소독연무를 이용한 소독 시스템
KR102162090B1 (ko) 사람을 위한 워킹스루 타입의 자동 기체상 방역시스템
JP7216978B2 (ja) 次亜塩素酸水噴霧装置
KR101944269B1 (ko) 훈증 기화기
KR10115764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KR20120106417A (ko) 차량용 살균 소독장치
KR102221870B1 (ko) 소독장치
WO2021198685A1 (en) Disinfection device
KR102392195B1 (ko) 게이트형 살균 소독장치
WO2021245685A1 (en) A system for disinfecting human orobject from microbes using pressurized steam
JP2001033070A (ja) 加湿器
KR100496882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KR101165191B1 (ko) 소독액 무화 분사장치의 분사구
KR102287433B1 (ko) 해충 퇴치장치
US20220370673A1 (en) Disinfection chambers and tunnels
KR102433110B1 (ko) 대인 소독 챔버
Rahman et al. Cost efficient automated fog spraying machine: A Covid-19 Hand Sanitization Solution
KR102318886B1 (ko) 약액분무장치
KR102411103B1 (ko) 사용성이 향상된 전신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