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25B1 -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925B1
KR102121925B1 KR1020200044314A KR20200044314A KR102121925B1 KR 102121925 B1 KR102121925 B1 KR 102121925B1 KR 1020200044314 A KR1020200044314 A KR 1020200044314A KR 20200044314 A KR20200044314 A KR 20200044314A KR 102121925 B1 KR102121925 B1 KR 10212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rilization
user
image outpu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섭
Original Assignee
(주)성신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신이노텍 filed Critical (주)성신이노텍
Priority to KR102020004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위치 정보에 따른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장치{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오스크 장치와 같은 터치형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열화상 정보를 감염 여부를 판단하고, 키오스크 장치를 살균하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설치형 단말기로 터치 스크린이 탑재된 안내 기기나 무인 주문기를 의미하며, 화면을 통해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에 따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개된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팅 파워 및 네트워크 처리 능력의 발달로 단순 기능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키오스크(Kiosk)와 같은 터치형 디스플레이의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전염병이 전파되고 있어 전염병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키오스크(Kiosk)는 스마트폰, TV, PC 등과 달리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의 공중이 사용하는 장소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키오스크(Kiosk)는 손으로 터치를 하는 일이 잦고 근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칠판이 사용자의 손이나 체액 등에 의해 오염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손이나 체액 등을 통해 병원균이 전파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162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945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키오스크 장치의 사용자의 열화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열을 동반하는 감염성 질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시 이를 주변에 알리도록 하여 감염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는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살균부가 영상 출력부를 살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한 장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키오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는, 키오스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서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오스크 장치는, 영상 출력부의 상단에서 사용자와 사용자의 주변의 열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열화상 정보로 전환하는 카메라부,
영상 출력부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영상 출력부의 표면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하는 살균부, 카메라부의 디지털 열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고, 살균부의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키오스크 제어부, 키오스크 제어부로부터 발열 정보를 전달 받아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서버 장치로부터 감염자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서버 통신부를 통해 감염자 정보를 전달받아 영상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감염 여부를 알리고, 키오스크 장치가 위치한 곳 주변의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정보를 송신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오스크 제어부는,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열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체온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발열 정보를 서버 통신부로 전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 과정에 따라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 장치는, 서버 통신부로부터 발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발열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감염 여부를 결정하고, 감염된 것으로 결정되면 감염자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제어부 및 서버 제어부로부터 감염자 정보를 전달받아 서버 통신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부는, 제1 피니언 기어가 고정 설치되고, 키오스크 제어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제1 피니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제1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톱니 고무부, 일측이 톱니 고무부와 맞물려서 고정되며, 톱니 고무부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톱니 고정부, 톱니 고정부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바를 구비하고, 가이드 바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전극을 포함하는 고정 레인부 및 톱니 고정부에 결합 설치되며, 영상 출력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키오스크 제어부에서 동작 신호를 전달 받아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생부, 자외선 발생부의 양극 및 음극과 연결되고, 고정 레인부의 가이드 바의 상단 및 하단과 접촉하여 자외선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 과정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살균을 수행하는 제1 살균 방법,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을 종료하고, 키오스크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지면 살균을 수행하는 제2 살균 방법, 임의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살균을 수행하는 제3 살균 방법 및 서버 장치가 발생시킨 이벤트를 수신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제4 살균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살균 방법은, 살균 처리부는 최종 사용자의 사용이 종료하면 시간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태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살균 처리부는 시간 카운트를 다시 0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살균 방법은, 살균 처리부는 카메라부를 통해 전달 받은 사용자의 열화상을 인식하는 단계,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의 열화상의 크기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작아지면서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작아지는 경우 또는 옆으로 이동하여 없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살균 방법은, 살균 처리부는 카메라부를 통해 전달 받은 사용자의 열화상을 인식하는 단계,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의 열화상의 크기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커지면서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커지는 경우 또는 옆에서 이동하여 나타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살균 방법은, 서버 장치는 키오스크 장치에서 감염자가 발견되는 경우 또는 키오스크 장치가 위치한 구조물에 복수의 인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체류하는 경우에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서버 통신부는 이벤트를 수신하여 살균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살균 처리부는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살균 처리부는,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기 위해 조도 살균 과정 및 영역 살균 과정에 따라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도 살균 과정은, 자외선 발생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살균하는 점등 살균 방법, 자외선 발생부가 미리 정해진 간격에 따라 점멸하여 살균하는 점멸 살균 방법 및 자외선 발생부가 조도를 조절하면서 살균하는 조도 살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역 살균 과정은, 자외선 발생부가 영상 출력부 전체를 살균하는 전체 살균 방법 및 자외선 발생부가 영상 출력부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만 살균하는 부분 살균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 살균 방법은, 자외선 발생부가 영상 출력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미리 정해진 속도로 끊김 없이 이동하면서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는 순차 살균 방법 또는 자외선 발생부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영역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살균하고, 살균이 완료되면 다음 구간을 살균하는 영역 살균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를 살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살균 장치는 키오스크 장치 사용자의 열화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열을 동반하는 감염성 질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시 이를 주변에 알리도록 하여 감염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장치는 살균부가 영상 출력부를 살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한 장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키오스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서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키오스크 장치의 영상 출력부에 부착된 살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키오스크 장치의 영상 출력부에서 탈착된 살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살균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이점 쇄선 안쪽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살균부의 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살균부의 자외선 발생부의 윗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살균부의 자외선 발생부의 아랫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키오스크 장치가 사용 상태일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키오스크 장치가 살균 상태일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1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2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3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4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조도 살균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살균 처리부에 의한 영역 살균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은 키오스크 장치(10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 장치(100)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출력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출력부(110)의 화면을 보고, 특정 메뉴를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터치하면, 영상 출력부(110)는 해당 영역의 위치 정보인 좌표를 이용하여
살균 장치(10)은, 키오스크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서버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10)은 키오스크 장치(10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키오스크 장치(1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키오스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오스크 장치(100)는 영상 출력부(110), 카메라부(130), 키오스크 제어부(150), 살균부(300), 서버 통신부(170) 및 알림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영상 출력부(110)의 상단에서 사용자와 사용자의 주변의 열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열화상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디지털 열화상 정보란 물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촬영하여 색상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영상화한 것을 의미한다.
살균부(300)는 영상 출력부(110)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영상 출력부(110)의 표면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살균부(300)와 관련하여서는 도 6 내지 도 10와 함께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키오스크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30)의 디지털 열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고, 살균부(300)의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키오스크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51)는 카메라부(130)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열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체온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발열 정보를 서버 통신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열 정보는 디지털 열화상 정보에서 나타난 색상을 기준으로 발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발열 정보는 체온이 낮은 것은 감염과 관련하여 문제되지 않으므로, 사람의 기준 체온인 36.5℃를 초과하는 범위의 체온을 의미한다.
이 때, 사용자가 키오스크(kiosk)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름, 전화 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면, 이를 포함하여 관리를 사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70)는 키오스크 제어부(150)로부터 발열 정보를 전달 받아 서버 장치(500)로 송신하고, 서버 장치(500)로부터 감염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감염자 정보는 서버 장치(500)가 발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발열을 동반하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감염 여부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므로 여기서는 감염자 정보를 통해서는 판단하는 것을 감염 가능성의 높고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알림부(190)는 서버 통신부(170)를 통해 감염자 정보를 전달받아 영상 출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감염 여부를 알리고, 키오스크 장치(100)가 위치한 곳 주변의 관리자 단말기(700)로 알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자가 체온이 높아 감염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서버 장치(500)가 감염된 것으로 판단하면, 감염자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감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감염자가 사용한 키오스크 장치(100)의 관리자에게 해당 사실을 통지하여 주변 통제를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키오스크 장치(100)는 사전에 해당 키오스크 장치(100)를 관리하는 것으로 등록된 관리자에게 알림 정보를 송신하여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제어부(150)는 살균 처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 과정에 따라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살균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13 내지 도 17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서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500)는 수신부(510), 서버 제어부(530) 및 송신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10) 및 송신부(550)는 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키오스크 장치(100)의 서버 통신부(17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510)는 서버 통신부(170)로부터 발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530)는 수신부(510)로부터 발열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감염 여부를 결정하고, 감염된 것으로 결정되면 감염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기준은 사람의 일반적인 체온인 36.5 ℃를 기준으로 하고, 감염시 발열 반응이 일반적이므로 체온이 38℃를 이상인 사용자의 경우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사용자의 체온이 38℃ 이상 39℃ 미만인 경우는 경증, 사용자의 체온이 39℃ 이상 40℃ 미만인 경우에는 중등증, 사용자의 체온이 40℃ 이상 41.1℃ 미만인 경우에는 중증, 사용자의 체온이 41.1℃ 이상인 경우 고열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부(130)를 통해 측정되는 체온이므로 직장 체온 또는 구강 체온을 통해 특정된 체온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오프셋을 주어 판단하여야 한다.
송신부(550)는 서버 제어부(530)로부터 감염자 정보를 전달받아 서버 통신부(17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키오스크 장치의 영상 출력부에 부착된 살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키오스크 장치의 영상 출력부에서 탈착된 살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살균부(300)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영상 출력부(110)의 전단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새로 제작하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영상 출력부(110)에 부착된 채로 제작할 수 있고, 이미 제작되어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영상 출력부(1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미 제작되어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영상 출력부(11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 작업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새로 제작하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영상 출력부(110)에 부착된 채로 제작되어, 키오스크 장치(100)의 영상 출력부(110)와 키오스크 제어부(150)를 통해 터치 위치와 같은 정보를 주고 받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살균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이점 쇄선 안쪽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8은 살균부의 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살균부의 자외선 발생부의 윗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살균부의 자외선 발생부의 아랫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살균부(300)는 구동부(310), 톱니 고무부(320), 톱니 고정부(330), 고정 레인부(340), 자외선 발생부(350) 및 전원 클립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10)는 제1 피니언 기어(311)가 고정 설치되고, 키오스크 제어부(150)로부터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310)는 전원을 공급 받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의미하고, 모터 샤프트의 끝에는 제1 피니언 기어(311)가 고정되므로 구동부(310)인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 샤프트가 회전하면 동일한 방향으로 제1 피니언 기어(311)도 회전하게 된다.
톱니 고무부(320)는 제1 피니언 기어(3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제1 피니언 기어(31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톱니 고무부(320)는 재질이 일반적으로 고무를 사용하지만,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이면 된다. 내측에는 제1 피니언 기어(311)와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동일한 기어비를 갖는 톱니를 구비한다.
톱니 고무부(320)의 일측 끝단에는 구동부(310)의 제1 피니언 기어(311)가 맞물리고, 반대 측 끝단에는 제1 피니언 기어(311)와 동일한 크기와 기어비를 갖는 제2 피니언 기어(312)가 배치되고, 제2 피니언 기어(312)에는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회전 샤프트(315)가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315)의 반대측에는 끝단에는 제2 피니언 기어(312)와 동일한 크기와 기어비를 갖는 제3 피니언 기어(313)가 회전 샤프트(315)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된다.
제3 피니언 기어(313)에는 톱니 고무부(320)가 동일한게 맞물리며, 톱니 고무부(320)의 반대측 끝은 구동부(310)의 대칭되는 위치이며, 구동부(310)가 없이 제4 피니언 기어(314)만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부(310)의 제1 피니언 기어(311)가 회전하면 톱니 고무부(320), 제2 피니언 기어(312), 제3 피니언 기어(313) 및 제4 피니언 기어(314)가 모두 맞물려서 움직이게 된다.
톱니 고정부(330)는 일측이 톱니 고무부(320)와 맞물려서 고정되며, 톱니 고무부(320)의 이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톱니 고정부(330)는 톱니 고무부(320)는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톱니 고무부(320)에 맞물려서 고정되도록 하며, 일측 아랫 부분이 톱니 고무부(320)와 동일한 기어비를 가져서 정확히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톱니 고무부(320)가 움직이면, 톱니 고정부(330)도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또란 톱니 고정부(330)는 전원의 연결을 위해 2개의 홈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레인부(340)는 톱니 고정부(330)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41) 및 가이드 바(343)를 구비하고, 가이드 바(343)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인부(340)의 가이드 홈(341)은 톱니 고무부(320)의 외측에서 톱니 고정부(330)가 상하로만 움직이는 레인을 형성하며, 가이드 바(343)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발생부(350)는 톱니 고정부(330)에 결합 설치되며, 영상 출력부(110)와 마주보는 방향에 키오스크 제어부(150)에서 동작 신호를 전달 받아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외선 발생부(350)는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고,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 클립부(360)는 양극을 연결하는 제1 클립(361)과 음극을 연결하는 제2 클립(362)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클립(361)은 자외선 발생부(350)의 양극과 고정 레인부(340)의 가이드 바(343)의 양극을 연결하고, 제2 클립(362)은 자외선 발생부(350)의 음극과 고정 레인부(340)의 가이드 바(343)의 음극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바(343)의 음극이 상단이라면 양극은 하단에 배치되며, 반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에 따라 제1 클립(361)과 제2 클립(362)이 각각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1은 키오스크 장치가 사용 상태일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키오스크 장치가 살균 상태일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을참조하면, 살균부(300)의 자외선 발생부(350)는 영상 출력부(110)는 전단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11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살균부(300)의 자외선 발생부(350)는 영상 출력부(110)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하는 방법 및 과정과 관련하여서는 도 13 내지 도 19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13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1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5는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2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6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3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7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살균 과정 중 제4 살균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살균 과정(S100)은 제1 살균 방법(S110), 제2 살균 방법(S130), 제3 살균 방법(S150) 및 제4 살균 방법(S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이 ‹š, 제1 살균 방법(S110), 제2 살균 방법(S130), 제3 살균 방법(S150) 및 제4 살균 방법(S170)에 따른 살균 과정(S100)은 살균 처리부(153)에 의해 생성된 동작 신호를 살균부(300)가 전달받아 살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살균 방법(S110)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최종 사용자의 사용이 종료하면 시간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S111).
살균 처리부(153)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3).
살균 처리부(153)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태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자외선 발생부(35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S115).
이 때, 미리 정해진 시간은 1분, 5분, 10분처럼 분 단위일 수 있고, 1시간, 2시간과 같이 시간 단위일 수 있으며, 이는 제조사 또는 관리자가 키오스크 장치(100)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시간 카운트를 다시 0으로 설정할 수 있다(S117).
즉, 자외선 발생부(350)가 살균을 수행하고 나면, 살균 처리부(153)는 시간을 리셋하여 다시 미리 정해진 시간이 흐르면 자외선 발생부(350)가 자외선을 조사하여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이는 사용이 없는 경우라도 주변 사람의 재채기와 같이 주변 상황에 의해 오염이 될 수 있으므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살균을 수행하게 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2 살균 방법(S130)은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을 종료하고,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지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카메라부(130)를 통해 전달 받은 사용자의 열화상을 인식할 수 있다(S131).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손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팔의 길이가 크게 차이나지 않으므로 해당 위치는 대부분의 경우 비슷한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부(130)를 통해 전달 받은 사용자의 열화상에서 사용자의 체온으 측정되어 나타나는 크기는 일정 범위에 속하게 되므로 일정 범위에 속한다면 사용자가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3).
살균 처리부(153)는 사용자의 열화상의 크기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작아지면서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작아지는 경우 또는 옆으로 이동하여 없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거리는 1m, 2m 및 5m와 같이 절대적인 거리일 수 있고, 사용자의 열화상에 의해 나타나는 사용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는 거리일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 하여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S135).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키오스크 장치(100)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하고, 사용자가 사용을 종료하자마자 살균을 수행하므로 다음 사용자는 안전하게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살균 방법(S150)은 임의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카메라부를 통해 전달 받은 사용자의 열화상을 인식할 수 있다(S151).
살균 처리부(153)는 사용자의 열화상의 크기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커지면서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커지는 경우 또는 옆에서 이동하여 나타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53).
즉, 제2 살균 방법(S130)과 반대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접근하는 사용자를 찾는 것이므로 미리 정해진 거리도 제2 살균 방법(S130)의 경우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외선 발생부(35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 하여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S155).
제3 살균 방법(S150)은 새로운 사용자가 나타난 경우 살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새로운 사용자는 살균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한 후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제4 살균 방법(S170)은 서버 장치(500)가 발생시킨 이벤트를 수신하여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장치(500)는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감염자가 발견되는 경우 또는 키오스크 장치(100)가 위치한 구조물에 복수의 인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체류하는 경우에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S171).
이 때, 이벤트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 장치(100)가 위치한 건물이나 감염자가 지나간 동선에 위치한 키오스크 장치(100) 등 감염원인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서버 장치(500)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서버 통신부(170)는 이벤트를 수신하여 살균 처리부(153)로 전달할 수 있다(S173).
살균 처리부(153)는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자외선 발생부(35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영상 출력부(11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S175).
도 18은 살균 처리부에 의한 조도 살균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살균 처리부(153)는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하기 위해 조도 살균 과정(S300)에 따라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도 살균 과정(S300)은 점등 살균 방법(S310), 점멸 살균 방법(S330) 및 조도 살균 방법(S35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조도 살균 과정(S100)은 자외선 발생부(350)에 의해 살균이 시작되고 나서 자외선의 발생에 관한 것으로 살균 처리부(153)의 동작 신호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다.
이 때, 조도 살균 과정(S100)은 점등 살균 방법(S310), 점멸 살균 방법(S330) 및 조도 살균 방법(S35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점등 살균 방법(S310)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으며,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하는 동안 자외선을 끊임없이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시간은 살균을 시작하여 종료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한 지점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시간이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되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점멸 살균 방법(S330)은 미리 정해진 간격에 따라 점멸하여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점멸 살균 방법(S330)은 자외선 발생부(350)가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영역을 고려하며, 자외선 발생부(350)가 정지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시간이 지난 후에 점멸된 후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 후 점등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조도 살균 방법(S350)은 조도를 조절하면서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조도 살균 방법(S350)은 처음에는 자외선의 조도를 강하게 하고, 나중에는 점점 약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살균의 진행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키오스크 장치(100)의 사용을 기다릴 수 있게 된다.
도 19는 살균 처리부에 의한 영역 살균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살균 처리부(153)는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하기 위해 영역 살균 과정(S500)에 따라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53)는,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하기 위해 영역 살균 과정(S100)에 따라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역 살균 과정(S500)은 전체 살균 방법(S510) 및 부분 살균 방법(S5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전체 살균 방법(S510)은 영상 출력부(110) 전체를 살균하는 것으로, 영상 출력부(110) 전체를 살균하기 때문에 높은 안정선을 확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체 살균 방법(S510)은 전술한 조도 살균 과정(S30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영상 출력부(110)를 살균할 수 있다.
부분 살균 방법(S530)은 영상 출력부(110)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만 살균하는 것으로, 전체 살균 방법(S510) 보다 감염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지나,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살균을 완료할 수 있어 사용자가 많은 환경에 적합하고, 사용자가 터치하여 사용한 영역을 집중적으로 살균하기 때문에 사용한 영역에 있어서는 확실한 살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살균 장치
100: 키오스크 장치
300: 살균부
600: 서버 장치
7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2)

  1.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서버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상기 영상 출력부의 상단에서 사용자와 사용자의 주변의 열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열화상 정보로 전환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출력부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영상 출력부의 표면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하는 살균부;
    상기 카메라부의 디지털 열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살균부의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키오스크 제어부;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로부터 발열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감염자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감염자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감염 여부를 알리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가 위치한 곳 주변의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정보를 송신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열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체온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며, 발열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로 전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 과정에 따라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서버 통신부로부터 발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발열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감염 여부를 결정하고, 감염된 것으로 결정되면 감염자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제어부; 및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감염자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서버 통신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제1 피니언 기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톱니 고무부;
    일측이 상기 톱니 고무부와 맞물려서 고정되며, 상기 톱니 고무부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톱니 고정부;
    상기 톱니 고정부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바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전극을 포함하는 고정 레인부; 및
    상기 톱니 고정부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영상 출력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에서 동작 신호를 전달 받아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생부;
    상기 자외선 발생부의 양극 및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 레인부의 가이드 바의 상단 및 하단과 접촉하여 상기 자외선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과정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살균을 수행하는 제1 살균 방법;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을 종료하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지면 살균을 수행하는 제2 살균 방법; 임의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살균을 수행하는 제3 살균 방법; 및 상기 서버 장치가 발생시킨 이벤트를 수신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제4 살균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 방법을 통해 상기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며,
    상기 제1 살균 방법은,
    살균 처리부는 최종 사용자의 사용이 종료하면 시간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태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살균 처리부는 시간 카운트를 다시 0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며,
    상기 제2 살균 방법은,
    상기 살균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전달 받은 사용자의 열화상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의 열화상의 크기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작아지면서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작아지는 경우 또는 옆으로 이동하여 없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며,
    상기 제3 살균 방법은,
    상기 살균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전달 받은 사용자의 열화상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의 열화상의 크기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커지면서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커지는 경우 또는 옆에서 이동하여 나타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처리부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며,
    상기 제4 살균 방법은,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서 감염자가 발견되는 경우 또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가 위치한 구조물에 복수의 인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체류하는 경우에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는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살균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살균 처리부는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영상 출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살균하는 살균 장치.
  2. 삭제
KR1020200044314A 2020-04-10 2020-04-10 살균 장치 KR10212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314A KR102121925B1 (ko) 2020-04-10 2020-04-10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314A KR102121925B1 (ko) 2020-04-10 2020-04-10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25B1 true KR102121925B1 (ko) 2020-06-12

Family

ID=7108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314A KR102121925B1 (ko) 2020-04-10 2020-04-10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870B1 (ko) * 2020-09-10 2021-03-04 주식회사 다이아알엔에프 소독장치
KR20210156039A (ko) * 2020-06-17 2021-12-24 (주)코텍 디스플레이 장치용 자동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3753B1 (ko) * 2021-07-28 2021-12-28 이솔정보통신(주) Uv 살균장치가 구비된 전자교탁
KR20220004904A (ko) * 2020-07-03 2022-01-12 주식회사 타비오 비대면 방역기 및 이를 이용한 방역기 데이터 출력 장치
KR20220023636A (ko) * 2020-08-21 2022-03-02 박병섭 터치스크린 살균장치
WO2022102820A1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대성일렉 외부 탑재 구조의 uv led 살균 장치
CN114582184A (zh) * 2022-03-03 2022-06-03 许士明 一种人工智能互动教学系统
JP2022157605A (ja) * 2021-03-31 2022-10-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光照射装置
KR20220152833A (ko) 2021-05-10 2022-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염병 예방을 위한 무인 주문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46B1 (ko) * 2010-11-29 2012-06-22 박효성 현금인출기용 살균 장치
KR20120129456A (ko) 2011-05-20 2012-11-28 배선배 터치스크린 살균장치가 구비된 디지탈정보 디스플레이
KR101300344B1 (ko) * 2011-05-20 2013-08-28 배선배 디지탈 정보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 액정 살균장치
KR101831625B1 (ko) 2016-08-05 2018-02-23 주식회사 지티티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US20180136783A1 (en) * 2014-03-11 2018-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 input device with pathogen transmission mitig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46B1 (ko) * 2010-11-29 2012-06-22 박효성 현금인출기용 살균 장치
KR20120129456A (ko) 2011-05-20 2012-11-28 배선배 터치스크린 살균장치가 구비된 디지탈정보 디스플레이
KR101300344B1 (ko) * 2011-05-20 2013-08-28 배선배 디지탈 정보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 액정 살균장치
US20180136783A1 (en) * 2014-03-11 2018-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 input device with pathogen transmission mitigation
KR101831625B1 (ko) 2016-08-05 2018-02-23 주식회사 지티티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166B1 (ko) * 2020-06-17 2022-03-08 (주)코텍 디스플레이 장치용 자동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6039A (ko) * 2020-06-17 2021-12-24 (주)코텍 디스플레이 장치용 자동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04904A (ko) * 2020-07-03 2022-01-12 주식회사 타비오 비대면 방역기 및 이를 이용한 방역기 데이터 출력 장치
KR102355238B1 (ko) 2020-07-03 2022-01-26 주식회사 타비오 비대면 방역기 및 이를 이용한 방역기 데이터 출력 장치
KR20220023636A (ko) * 2020-08-21 2022-03-02 박병섭 터치스크린 살균장치
KR102411699B1 (ko) 2020-08-21 2022-06-21 박병섭 터치스크린 살균장치
KR102221870B1 (ko) * 2020-09-10 2021-03-04 주식회사 다이아알엔에프 소독장치
WO2022102820A1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대성일렉 외부 탑재 구조의 uv led 살균 장치
JP2022157605A (ja) * 2021-03-31 2022-10-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光照射装置
KR20220152833A (ko) 2021-05-10 2022-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염병 예방을 위한 무인 주문 장치 및 방법
KR102343753B1 (ko) * 2021-07-28 2021-12-28 이솔정보통신(주) Uv 살균장치가 구비된 전자교탁
CN114582184A (zh) * 2022-03-03 2022-06-03 许士明 一种人工智能互动教学系统
CN114582184B (zh) * 2022-03-03 2024-02-13 广东树华教育咨询有限公司 一种人工智能互动教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25B1 (ko) 살균 장치
JP7153096B2 (ja) アイフィードバックによ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54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n Occupied Environment Using Direction Controlled Germicidal Radiation
US10674907B2 (en) Opthalmoscope device
ES2781174T3 (es) Método y aparato para ajustar el estado de funcionamiento de un dispositivo de hogar inteligente
JP2022526207A (ja) 監視方法及びシステム、電子機器並びに記憶媒体
KR101637007B1 (ko)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N107169309B (zh) 基于头戴式检测设备的视野检测方法、系统及检测装置
EP2652676A1 (en) Gesture control for monitoring vital body signs
CN111095920A (zh) 多视点影像观看系统及照相机系统
WO2022080352A1 (ja) 熱痕跡領域抽出装置、熱痕跡領域抽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97122A1 (en) Medical observation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TWI457790B (zh) 可攜式電子裝置及使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方法
CN113031499B (zh) 紫外线杀菌设备的监控方法、装置及紫外线杀菌系统
US20210226388A1 (en) Intelligent socket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children from electric shock
US105802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ers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an emitter of ionizing energy
JP2006055388A (ja) 遠隔介護支援システム
US202303172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acing individuals exhibiting symptoms of infections
KR20160035488A (ko) 혈관 투영 장치
CN106333637B (zh) 医疗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9164216A (ja) 指示位置伝達システムおよび指示位置伝達方法
Andonov et al. Generalized net model for telehealth services
CA3016266A1 (en) Medical device user interface with sterile and non-sterile operation
US20230324680A1 (en) Apparatus to enable differently abled users to communicate and a method thereof
WO202209168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