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625B1 -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625B1
KR101831625B1 KR1020160099810A KR20160099810A KR101831625B1 KR 101831625 B1 KR101831625 B1 KR 101831625B1 KR 1020160099810 A KR1020160099810 A KR 1020160099810A KR 20160099810 A KR20160099810 A KR 20160099810A KR 101831625 B1 KR101831625 B1 KR 10183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led
bar
ligh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003A (ko
Inventor
구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티
Priority to KR102016009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6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살균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바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다수의 도트 패턴이 표시되어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빛을 전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터치스크린에서 터치가 많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균하여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LED-바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RFACE OF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살균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살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없을 때에는 터치가 많이 이루어진 곳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력장치란 음성(육성 또는 기계음) 외에 기기 또는 장치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매체로부터 읽어들이는 장치를 말하며, 대표적인 입력장치로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패드, 조이스틱, 스캐너 등이 있다.
최근에는 키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건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터치스크린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일반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 터치패널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중들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 즉,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장소에서 안내용 소프트웨어에 많이 이용되며, 각종 점포에서 판매용 단말기에도 많이 응용될 뿐만 아니라, 일반 업무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터치스크린은 불특정 다수인이 하루에도 수백 번씩 수시로 접촉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살균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세균 감염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살균장치를 설치한 제품도 있으나, 종래 터치스크린 살균장치는 전체적은 면을 살균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특정 부위를 살균하는데는 살균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터치스크린의 전체 표면을 살균하는 방식은 살균장치의 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터치스크린에서 터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살균하는 장치는 구현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에서 터치가 많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균하여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LED-바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VA 광선과 UVC 광선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이중으로 살균할 수 있으므로 살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바;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다수의 도트 패턴이 표시되어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빛을 전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에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A(Ultra Violet-A) 광선이며, UVA 광선은 터치스크린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도트 패턴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은, 상기 LED-바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장착되며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을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유도하는 광가이드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에서 상기 LED-바는 다수의 블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다수의 블럭 중 일부 블럭에서만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다수의 도트 패턴은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에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다수의 도트 패턴은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하는 영역에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에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C(Ultra Violet-C) 광선이며, UVC 광선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직접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은, 상기 LED-바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집광렌즈;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에서 상기 LED-바는 다수의 블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다수의 블럭 중 일부 블럭에서만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은,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된 근접센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이 해제된 경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다수의 도트 패턴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바로부터 터치스크린으로 빛이 방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에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A(Ultra Violet-A) 광선이며, UVA 광선은 터치스크린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도트 패턴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에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C(Ultra Violet-C) 광선이며, UVC 광선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직접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에서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후,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이 유지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된 LED-바의 작동이 멈추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다수의 도트 패턴이 제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에서 상기 다수의 도트 패턴이 제거되는 단계 후,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LED-바에 구획된 다수 블럭 중 일부 블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에만 도트 패턴이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LED-바 중 일부 블럭과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한 부분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에서 상기 도트 패턴이 표시되는 단계 후, 상기 LED-바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집광렌즈가 회전하여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조사 방향이 변경되는 단계; 및 상기 LED-바가 작동하여 빛이 방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사용 빈도와 연동하여 터치가 많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살균 방식에 비해 소비 전력이 현저히 낮아지고 LED-바의 수명이 현저히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내부로 진행하는 UVA 광선과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조사되는 UVC 광선을 이용해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이중으로 살균할 수 있으므로 살균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다수의 도트 패턴을 띄운 상태에서 UVA 광선을 전반사시켜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살균할 수 있으므로 구현이 간단하며 특정 부분을 살균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의 사용자가 없을 경우에만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살균하므로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전체 살균과 부분 살균을 유동적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이 전반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이 전반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터치스크린(10)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바(3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화면에는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상의 다수의 도트 패턴(22)이 출력되고,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은 다수의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지 않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셀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되어 상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스크린(10)은 입력장치의 하나로서, 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손이나 물건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터치스크린(10)은 구현 원리와 동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저항막/광학/정전용량/초음파/압력 등)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우리가 흔히 접하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은 저항막(감압)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 이외에도 터치스크린이 우리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는 대단히 많다. 지하철 역사 등의 전자지도 기기, 현금자동인출기(ATM), 공공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kiosk, 정보전달) 기기, 극장 등의 자동발권기 등 터치스크린 기술은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았다.
그러나 종래 터치스크린은 불특정 다수인이 하루에도 수백 번씩 수시로 접촉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살균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세균 감염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터치스크린의 특정 부위를 살균하는데에는 부족하여 새로운 방식의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LED-바(3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A(Ultra Violet-A) 광선이며, UVA 광선은 터치스크린(10)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된 도트 패턴(22)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A 광선은 전자파의 한 구분 중 하나로서, 가시광보다 짧고 X-선보다 긴 눈에 보이지 않은 복사선 부분을 가르킨다. UVA 광선은 파장이 400~315nm인 자외선을 말하는 것으로, 반응성이 강하여 여러 가지 화학적 작용을 하며 세균을 죽이는 살균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UVA 광선은 터치스크린(10)을 투과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20)에 띄어진 도트 패턴(22)에서 나머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반사가 일어나 터치스크린의 상부로 나오면서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집중적으로 살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도트 패턴(22)은 요구되는 터치스크린의 살균 정도, 살균이 필요한 영역, UVA 광선의 진행 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없을 때 터치스크린(10) 표면 전체를 살균하기 위해 도트 패턴(22)을 디스플레이 패널(20) 전체에 띄운 것을 나타낸 한 예시이나, 도트 패턴의 크기와 위치는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에서 상기 LED-바(3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C(Ultra Violet-C) 광선이며, UVC 광선은 터치스크린(10)의 표면에 직접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C 광선은 UVA 광선과 마찬가지로 전자파의 한 구분 중 하나로서, 파장이 280~100nm인 자외선을 말한다. UVC 광선은 UVA 광선과 달리 터치스크린(10)을 투과하지 못하므로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직접 조사된 후 반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C 광선이 조사되는 LED-바(30)의 전방에는 확산렌즈(16)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UVC 광선은 터치스크린(10)의 표면에 골고루 조사되어 터치스크린(10) 표면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LED-바(30)와 터치스크린(10)의 사이에는 광가이드바(12)가 설치되어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을 터치스크린(10)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가이드바(12)는 LED-바(30)로부터 방출되는 UVA 광선이 터치스크린 내부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바(30)는 다수의 블럭(3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LED-바(30)를 다수의 블럭(32)으로 구획함으로써 다수의 블럭 중 일부 블럭에서만 빛을 UVA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10)의 표면 중 살균이 필요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도트 패턴(22)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에서만 표시되어 터치스크린(10)의 표면 중 살균이 필요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상기 LED-바(30) 중 UVA 광선이 방출되는 일부 블럭(32)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중 도트 패턴(22)이 표시되는 일부 영역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10)의 터치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부분과도 일치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다수의 도트 패턴(22)은 터치스크린(10)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예를 들어, 10,000번 이상 또는 사용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임의로 설정) 이상 발생하는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0)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하는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구현 원리와 동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투명 전도막 2장이 서로 맞닿으면서 발생한 전류와 저항의 변화를 카운팅해서 얻어질 수 있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액정 유리 위를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는 횟수를 센서에서 감지하여 얻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바(30)와 터치스크린(10) 사이에는 회전모터(14a)에 의해 회전 가능한 집광렌즈(14)가 설치된다. 상기 집광렌즈(14)에 의해 LED-바(30)로부터 방출되는 UVC 광선의 조사 방향과 조사 부위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0) 표면에서 살균이 필요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UVC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 표면 살균방법을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은,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된 근접센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이 해제된 경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상의 다수의 도트 패턴이 출력되는 단계(S110)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바로부터 터치스크린으로 빛이 방출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A(Ultra Violet-A) 광선 또는 UVC(Ultra Violet-C) 광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것처럼 UVA 광선은 터치스크린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지 않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셀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되어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살균하고, UVC 광선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직접 조사되어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살균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터치스크린의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으며, 근접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 또는 해제되면 제어부에 의해 LED-바는 작동이 해제 또는 작동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UVA 광선, UVC 광선)으로부터 사용자가 부작용을 입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것,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것, 정전(靜電)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 후,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이 유지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된 LED-바는 작동이 멈추고(S20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다수의 도트 패턴은 제거된다(S210).
그 후, 다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멀어져서 근접센서의 작동이 해제된 경우(S220), 제어부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예를 들어, 10,000회 이상)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230)하고, 상기 LED-바에 구획된 다수 블럭 중 일부 블럭 및 조사 시간을 설정(S240)한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에만 도트 패턴이 표시(S250)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하는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구현 원리와 동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상기 LED-바 중 일부 블럭과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한 부분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에만 도트 패턴이 표시(S250)되는 것과 동시에 LED-바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집광렌즈가 회전하여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조사 방향이 되며, LED-바가 작동하여 UVA 광선과 UVC 광선이 방출(S260)되어 터치스크린의 일부가 집중적으로 살균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사용 빈도와 연동하여 터치가 많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살균 방식에 비해 소비 전력이 현저히 낮아지고 LED-바의 수명이 현저히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내부로 진행하는 UVA 광선과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조사되는 UVC 광선을 이용해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이중으로 살균할 수 있으므로 살균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터치스크린
12 : 광가이드바
14 : 집광렌즈
14a : 회전모터
16 : 확산렌즈
20 : 디스플레이 패널
22 : 도트 패턴
30 : LED-바
32 : LED-바의 블럭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바;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는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상의 다수의 도트 패턴이 출력되고,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은 다수의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지 않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셀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되어 상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A(Ultra Violet-A) 광선이며, UVA 광선은 터치스크린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도트 패턴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장착되며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을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유도하는 광가이드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는 다수의 블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다수의 블럭 중 일부 블럭에서만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다수의 도트 패턴은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에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다수의 도트 패턴은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하는 영역에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C(Ultra Violet-C) 광선이며, UVC 광선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집광렌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는 다수의 블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다수의 블럭 중 일부 블럭에서만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10.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된 근접센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이 해제된 경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상의 다수의 도트 패턴이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바로부터 터치스크린으로 빛이 방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된 빛은 다수의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도트 패턴을 출력시키지 않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셀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되어 상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A(Ultra Violet-A) 광선이며, UVA 광선은 터치스크린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도트 패턴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UVC(Ultra Violet-C) 광선이며, UVC 광선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후,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이 유지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된 LED-바의 작동이 멈추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다수의 도트 패턴이 제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트 패턴이 제거되는 단계 후,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LED-바에 구획된 다수 블럭 중 일부 블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에만 도트 패턴이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LED-바 중 일부 블럭과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 발생한 부분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이 표시되는 단계 후,
    상기 LED-바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집광렌즈가 회전하여 LED-바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조사 방향이 변경되는 단계; 및
    상기 LED-바가 작동하여 빛이 방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방법.
KR1020160099810A 2016-08-05 2016-08-05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KR10183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10A KR101831625B1 (ko) 2016-08-05 2016-08-05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10A KR101831625B1 (ko) 2016-08-05 2016-08-05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03A KR20180016003A (ko) 2018-02-14
KR101831625B1 true KR101831625B1 (ko) 2018-02-23

Family

ID=6122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10A KR101831625B1 (ko) 2016-08-05 2016-08-05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6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25B1 (ko) 2020-04-10 2020-06-12 (주)성신이노텍 살균 장치
KR102321079B1 (ko) 2020-11-11 2021-11-03 주식회사 대성일렉 외부 탑재 구조의 uv led 살균 장치
KR20220051756A (ko) * 2020-10-19 2022-04-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20220098501A (ko) * 2021-01-04 2022-07-12 (주)엔디에스 집광 및 다중반사를 이용한 uv 살균 소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6575B (zh) * 2019-05-17 2021-10-15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187543A (zh) * 2019-06-27 2019-08-30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310578B (zh) * 2019-06-28 2022-10-04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led显示装置
KR20210023177A (ko) * 2019-08-22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737284B (zh) * 2020-04-30 2021-08-2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具紫外線消毒功能的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334960B1 (ko) * 2020-05-26 2021-12-06 (주)하델시스 자동화기기의 입력부 살균장치
KR102411699B1 (ko) * 2020-08-21 2022-06-21 박병섭 터치스크린 살균장치
KR102229538B1 (ko) * 2020-10-16 2021-03-18 패스테크 주식회사 바이러스 살균 기능을 갖는 록킹 장치
KR102333999B1 (ko) * 2020-11-04 2021-12-02 주식회사 에스피정보기술 사람이 조작할 수 있는 조작 기기 시스템
KR102343753B1 (ko) * 2021-07-28 2021-12-28 이솔정보통신(주) Uv 살균장치가 구비된 전자교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890A (ja) 1996-12-23 2001-05-29 マスホルダー,カール 少なくとも1つの表面層を有する装置
JP2014039876A (ja) 2010-05-25 2014-03-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 殺菌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890A (ja) 1996-12-23 2001-05-29 マスホルダー,カール 少なくとも1つの表面層を有する装置
JP2014039876A (ja) 2010-05-25 2014-03-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 殺菌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25B1 (ko) 2020-04-10 2020-06-12 (주)성신이노텍 살균 장치
KR20220051756A (ko) * 2020-10-19 2022-04-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2485805B1 (ko) * 2020-10-19 2023-01-0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2321079B1 (ko) 2020-11-11 2021-11-03 주식회사 대성일렉 외부 탑재 구조의 uv led 살균 장치
KR20220098501A (ko) * 2021-01-04 2022-07-12 (주)엔디에스 집광 및 다중반사를 이용한 uv 살균 소독 장치
KR102587611B1 (ko) 2021-01-04 2023-10-11 (주)엔디에스 집광 및 다중반사를 이용한 uv 살균 소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03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625B1 (ko)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KR101813077B1 (ko) 자외선 표면 살균장치
EP3043244B1 (en) Device with a self-sterilizing touch screen
US20200254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n Occupied Environment Using Direction Controlled Germicidal Radiation
CN112416182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8597569B2 (en) Self-sterilizing user input device
US7415202B2 (en) Image tak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sources and computer program
KR20190084717A (ko) 자외선 램프기반 살균 키보드
KR102186817B1 (ko) 비접촉 터치 디스플레이 구조
KR100977558B1 (ko) 적외선 스크린 방식의 공간 터치 장치
KR100994885B1 (ko) 살균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KR20170007573A (ko) 레이저를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 장치
US8096692B2 (en) Surface light-emitt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30110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n occupied environment using direction controlled germicidal radiation
JP5877320B2 (ja) 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の発光制御方法
JP2022025880A (ja) 操作部の殺菌、ウイルス不活性化装置、方法、表示装置、および認証装置
US20230161095A1 (en) Uv disinfection of high-touch surfaces
US20220088238A1 (en) Ultraviolet sanitization unit for beverage cups
JP2015191093A (ja) 表示装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TW202238348A (zh) 觸控顯示螢幕
KR20130003241A (ko) 비접촉식 입력장치
JP7302889B2 (ja) 電子機器、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被操作部の殺菌方法
CN114787691A (zh) 导光板、显示装置、输入装置及电气设备
KR101796722B1 (ko) 디스플레이용 오브젝트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능 발생장치
KR101659747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무인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