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635B1 -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635B1
KR100742635B1 KR1020060001720A KR20060001720A KR100742635B1 KR 100742635 B1 KR100742635 B1 KR 100742635B1 KR 1020060001720 A KR1020060001720 A KR 1020060001720A KR 20060001720 A KR20060001720 A KR 20060001720A KR 100742635 B1 KR100742635 B1 KR 10074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vaporization
tank
ultrasonic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062A (ko
Inventor
조용헌
조봉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그린
Priority to KR102006000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6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소독약제를 초음파에 의해 저온 비등시켜 실온에서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기화 분사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 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에 의한 공압 초음파 발생기와 압전진동자로 액상의 소독약제를 저온 비등하여 기화시키고, 초음파로 소독약제를 기화시킴에 있어서 미세한 입자로 기화시키기 위해 기화 탱크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진공발생탱크를 갖도록 한 것으로,
소독약제가 투입되어 이를 기화시키는 다수개의 기화탱크는 상방 연결관 및 하방연결관으로 서로 연결되며, 기화탱크 내측에는 공기압축기 또는 압축가스로 작동하는 연결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기화탱크 하방 외측에는 히터와, 하방 내측에는 초음파 압전진동자를 가지며,
진공발생탱크는 상방에 배출관과, 진공팬(진공펌프)과 압력계를 가지며, 내측 하방에는 원뿔형태의 충돌확산판을 가지며, 내측 벽면에는 다수개의 회전유도 경사판과, 상방 급기구와 하방급기구를 가지며, 상기 상,하방급기구 내측에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개폐판을 가지며, 상기 충돌확산판 상방에는 기화탱크와 연결되어 기화 기체를 이송하는 공급관을 가지며, 공급관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가지며, 진공발생탱크 하방에는 드레인밸브 및 기화탱크로 연결되는 반송관을 갖도록 한 것이다.
초음파 기화소독장치

Description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vaporizing injector of liquid disinfectant to use of ultrasonic}
도 1 본 발명의 개략 단면도.
도 2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의 개략 단면도
도 3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의 단면도
본 발명은 액상의 소독약제(살균제 또는 살충제)를 공기중에 살포하거나 대상물체에 살포하여 각종 해충이나 각종 유해균(세균, 바이러스, 탄저균, 곰팡이등)을 박멸하는 소독약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상의 소독약제를 초음파에 의해 상온에서 저온 비등시켜 소독약제를 실온에서 극히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기화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의 소독약제로도 넓은 범위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연기 또는 안개와 같이 기화된 상태로 소독약제를 분사토록 하여 구석구석 파고 들어 분포됨으로 인해 높은 살충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살충, 살균제와 같은 소독약제를 살포하는 방법 및 장치로는 크게 3가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첫번째로는 소독약제를 물에 희석시키고 이를 분사노즐을 통해 살포하는 노즐분사식 소독방법 및 장치를 볼 수 있으며,
두번째로는 경유나, 신나와 같은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켜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연무상태로 분사하는 연무(연막) 소독방법 및 장치를 볼 수 있으며,
세번째로는, 메칠브롬마이드와 같은 브롬계 화합물을 훈증으로 가스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 분사식 소독방법에 있어서는 공기소독보다는 농작물이나 가로수등의 살균 살충에 주로 사용되며, 액상의 소독약제를 펌핑하여 미세한 노즐을 통해 고속분사하거나 연무상태로 분사시키게 된다.
그러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액상의 소독약제는 작은 물방울 형태로 살포 되어지기 때문에 구석구석 소독약제가 살포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소독약제가 소비되었다. 또한, 물방울 형태로 살포된 것이 바로 증발되지 못하고 토양에 흡수될 경우 토양 속의 유용한 생물인 지렁이나 유용한 박테리아까지 제거하여 토양을 산성화하는 2차 폐단을 초래하게 되며, 지표수와 함께 유실되어 하천이나 바다 등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경유나 신나 등의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켜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연무(연막) 상태로 분사하는 연막은 공기중의 모기,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박멸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즉, 소독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해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키고,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분무하게 될 때, 가연성 물질의 연소시 발생되는 산화오염물질과 독성이 강한 다이옥신 및 퓨탄계 물질을 배출하여 공해물질이 함께 배출되어 공해를 유발하게 되며,
연소열에 의해 소독약제는 그 약성이 떨어져 실질적인 살균, 살충 능력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며, 특히 연소가스에 포함된 SO2가 식물의 기공을 통해 흡수될 경우 엽록소의 탈색, 및 세포조직을 파괴하여 식물의 잎을 건조시키거나, 황갈색등으로 변화시켜 식물을 고사시키는 피해를 입히게 된다.
보통 훈증으로 사용되는 메칠브롬마이드는 저장식품 해충방지제로 사용되며, 그 이외에 문화재 등을 살균소독하거나, 화물검역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훈증에 의해 사용되는 메칠브롬마이드는 연소시 불꽃과 접촉하여, 취화물, 옥시 취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를 생성하며, 독성이 아주 강해 호흡시 폐수 종, 보행장해를 초래하며 피부에 직접 닿을시 화상등의 피부손상을 초래하게 되며, 부식성이 강해 청동, 알루미늄, 합성수지, 고무 등을 부식시킴으로 취급에 아주 조심을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 살균, 살충방법이나 그 장치는 효과적으로 소독약제를 살포하지 못하고, 오히려 토양오염과 과다한 소독약제의 사용을 유발하며, 이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소독약제를 실온(15-25℃) 즉, 저온에서 비등 기화시켜 연무상태로 분사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으로 넓은 범위를 살균소독할 수 있으며, 그 효과가 우수하며, 또 한, 환경 오염이나 토양 오염 등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해당하는 선등록 특허는 특허등록 제10-332094호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분사장치"와 특허등록 제10-516114호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살포장치"를 볼 수 있다.
상기 선등록 특허는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어 동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것이나 그 장비가 대형으로 넓은 지역의 살균, 살충에는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기동성이 떨어지는 등의 불편한 점을 갖는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살균, 살충등의 소독약제 기화분사 뿐만 아니라 화생방전시 살포되는 생화학 무기등의 중화제 또는 제독제의 살포장치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저장식품 해충방제나, 검역에 사용하는 메칠브롬마인드를 대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상의 살충제, 살균제 등의 소독약제를 실온에서 비등 기화시켜 연무(연막) 상태로 발생되도록 하여 종래 노즐에 의한 분사방식이나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킴으로 소독약제를 분사하는 방식에 비해 적은 양으로 극히 높은 살균 살충 소독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액상의 소독약제를 압축공기나 압축가스를 이용한 공압 초음파 발생기로 저온 비등시켜 미세한 물입자로 기화하여 살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상의 소독약제를 기화시키는 기화탱크를 갖게 되며, 그 내측에 압축공기나 압축가스에 의한 공압 초음파 발생기를 설치하며, 공압에 의해 기화되는 소독약제에 압전초음파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기화가 촉진 되도록 하며, 기화 탱크 내의 압력을 저감시켜 기화량 증대와 미립자로 기화되도록 진공 발생탱크를 가지며, 미립자로 기화 발생된 소독약제에 공기를 혼합하고 이를 송풍기를 통해 흡입 분사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기압에 의해 액상소독약제(11)를 기화시키는 다수개의 기화탱크(12)와, 기화탱크(12) 내에서 발생되는 액상의 소독약제(11)를 더욱 미세한 입자로 기화되도록 하는 진공발생탱크(31)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독약제(11)가 투입되어 이를 기화시키는 다수개의 기화탱크(12)는 상방 연결관(13) 및 하방연결관(14)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기화탱크(12) 내측에는 공기압축기(51)와 연결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16)를 가지며, 상기 기화탱크(12) 하방 외측에는 히터(18)와, 하방 내측에는 전기로 작동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 압전진동자(19)(20)를 가지며,
상기 기화탱크(12) 상방에는 주입밸브(21)와 하방에는 배출밸브(22)를 가지며,
상기 진공발생탱크(31)는 상방에 배출관(32)과, 진공팬(진공펌프)(33)과 압력계(34)를 가지며, 내측 하방에는 원뿔형태의 충돌확산판(35)을 가지며, 내측 벽 면에는 다수개의 회전유도 경사판(36)과, 상방 급기구(37)와 하방급기구(38)를 가지며, 상기 상,하방급기구(37)(38) 내측에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개폐판(37')(38')을 가지며, 상기 충돌확산판(35) 상방에는 기화탱크(12)와 연결되어 기화 기체를 이송하는 공급관(25)을 가지며, 공급관(25)에는 솔레노이드밸브(26)를 가지며, 진공발생탱크(31) 하방에는 드레인밸브(39) 및 기화탱크(12)로 연결되는 반송관(27)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화탱크(12)를 서로 연결하는 상방연결관(13)에는 압력계(14)를 부착하여 기화탱크(12)의 압력을 감지하며,
하방연결관(14)에는 온도센서(15)를 부착하여 소독약제(11)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공급관(25)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26) 양측에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8)(29)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공기압축기 대신에 질소나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고압으로 충진한 고압가스탱크(51-1)를 연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0은 유량레벨감지기이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에 의한 초음파발생기(16)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화탱크(12)의 소독약제(11)에 잠겨지는 공압초음파발생기(16)는 압축공기공급관(41)과 연결되는 압축공기분배관(42)에 다수개의 공기압초음파발생기(16)가 연결되며, 상기 공압 초음파발생기(16)는 원통형상의 초음파진동기(43)을 가지며, 그 내측에는 가운데에 세공을 갖는 진동판(44)이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되며, 상기 초음파진동기(43) 가운데 외측에는 스릿트상의 압출구멍(45)를 갖는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 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화탱크(12) 내측으로 상방의 주입밸브(21)를 통해 소독약제(11)를 주입하게 되며, 상기 액상의 소독약제(11)는 공압 초음파발생기(16)가 잠기도록 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화탱크(12)의 소독약제(11)에 잠겨진 공압초음파발생기(16)에 공기공급관(41)을 통해 공기압축기(51) 또는 고압가스탱크(51-1)에서 압축한 압축공기나 고압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공압초음파발생기(16)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면서 액상의 소독약제(11)를 상온에서 비등하여 연무상태로 기화하게 되며, 공급관(25)를 통해 진동발생탱크(31)로 유입된 후, 상방의 진공팬(진공펌프)(33)에 의해 흡출되고 연무상태로 배출관(32)로 배출되어 소독대상물체를 살균,소독하거나, 살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에 의한 공압초음파발생기(16)의 구조 및 초음파 발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축기(51) 또는 고압가스탱크(51-1)로부터 발생되는 7-10Kg/㎡의 압축공기나 압축가스가 공기공급관(41)을 통해 압축공기분배관(42)으로 연결되는 초음파진동기(43) 내부로 유입되면 압축공기는 초음파진동기(43) 내측에 서로 대향 지게 설치되는 진동판(44) 가운데 형성된 세공을 통과하는 순간 서로 대향하는 진동 판(44)는 1,000~1,600 싸이클의 진동파형을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진동파형은 초음파진동기(43) 외측에 형성된 스릿트상 압출공(45)을 통과하여 나오면서 20-250KHz 범위의 초음파를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초음파는 액체를 저온(실온) 비등시켜 액상의 소독약제를 기화시켜 연무가스로 그 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공압 초음파에 의해 기화되어 연무상태로 된 소독약제는 그 입자는 매우 작으므로 이를 직접 대상물체에 분사하여 대상물체를 살균,소독 또는 살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압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연무 상태의 소독약제를 더욱 미세한 크기로 세절 시키기 위해서, 진공발생탱크(31)를 거쳐 분사 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비등조건 즉 기화조건은 고압이며 저온 상태보다는 저압이며 고온 상태에서 기화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지게 된다.
본 발명은 진공발생탱크(31)에서 발생한 진공으로 기화탱크(12) 내측의 압력을 낮춰 기화탱크(12) 내측의 소독약제가 저온상태에서 다량으로 기화되며 미세한 입자로 기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기화탱크(12) 내에 액상의 소독약제(11)를 일정분량 주입하고, 진공발생탱크(31)의 진공팬(진공펌프)(33)을 작동하여, 진공발생탱크(31)대의 압력을 낮출 경우 공급관(25)을 통해 기화탱크(12) 내측의 공기가 빠져나가, 기화탱크(12) 내측의 공기압은 낮아지게 되며, 기화탱크(12) 외측 하방에 부착한 히터(18)를 작 동하여 소독약제(11)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소독약제(11)는 기화를 촉진하게 된다.
즉 소독약제(11)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기화탱크(12) 내측의 공기압력을 낮출경우 평시보다 기화량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기화탱크(12) 내측에 전기에 의해 작동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 압전진동자(19)(20)을 작동할 시 안정적이던 액체상태의 소독약제가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되어, 소독약제(11)는 공압초음파발생기(16)에 의해 비등되어 기화되며, 기화되는 입자는 아주 작은 상태로 기화하게 된다.
상기 기화탱크(12)의 공압초음파발생기(16)를 작동하여 소독약제(11)를 기화시키는 시점은 진공발생탱크(31)의 진공팬(진공펌프)을 작동하여, 진공발생탱크(31) 및 기화탱크(12)의 진공압이 어느 정도에 도달하였을 때, 공급관(25)의 밸브(26)를 막아, 기화탱크(12)와 진공발생탱크(31)을 차단시킨 후 기화탱크(12) 내측의 공기압초음파발생기(16)으로 압축공기를 가해 초음파를 발생 소독약제를 비등 기화 시키게된다.
공압초음파발생기(16)가 작동하여 소독약제(11)를 기화하며, 기화탱크(12) 내측의 압력이 상승되었을 시 공급관(25)의 밸브(26)을 개방하여 기화탱크(12) 내측에 기화된 소독약제를 공급관(25)를 통해 진공발생탱크(31) 내측으로 유입시키게되면 진공발생탱크(31) 내측 하방의 원뿔형태의 충돌확산판(35)에 의해 확산 되면서 입자가 커서 무거운 소독약제는 충돌확산판(35) 및 그 주면에 밀착되며, 입자의 크기가 작은 기화된 소독약제는 진공팬(진공펌프)(32)에 의해 빨아올려진후 배출 관(32)으로 배출되어 지게 된다.
상기 진공발생탱크(31) 내에서 상승되는 기화된 소독약제는 회전유도경사판(36)에 의해 회오리 현상으로 회전되면서 배출관(32)으로 배출된다.
상기, 진공발생탱크(31)의 기화된 소독약제는 그 입자가 매우 작으면서 고밀도 현상을 가짐으로, 이를 분산시키며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를 진공발생탱크(31) 내측으로 유입하여 소독약제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진공발생탱크(31) 상방 및 하방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상방및하방급기구(37)(38)를 가지며 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고밀도의 기화된 소독약제의 밀도를 저하시키게 되며, 상방 및 하방급기구(37)(38) 내측의 개폐판(37')(38')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임의로 조절하게 된다.
진공발생탱크(31)로 유입된 기화된 소독약제가 진공팬(진공펌프)(33)을 통해 배출관(32)로 배출하는 과정을 통해 1회의 싸이클이 완료되며 동시에, 상방 및 하방급기구(37)(38)의 개폐판(37')(38')을 작동 상 하방급기구를 폐쇄한 후, 진공팬(진공펌프)(33)을 작동하여, 진공발생탱크(31) 내의 압력을 감압시켜 다음 싸이클을 진행하며 이를 연속반복하여 기화된 미세한 소독약제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화탱크(12) 내측에는 공기압초음파발생기(16) 이외에 전기에 의해 작동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 압전진동자(19)(20)를 갖는바, 상기 압전진동자(19)(20)은 액상의 소독약제(11)를 진동시켜, 소독약제(11)의 결합상태를 불안정하게 함과 동시에 기화를 촉진 유발시키게 된다.
진공발생탱크(31) 하방에 수집된 액상의 소독약제는 드레인밸브(39)를 통해 배수하거나, 반송관(27)을 통해 기화탱크(12)로 반송하게 된다.
또한 기화탱크(12)를 서로 연결하는 상방연결관(13)의 압력계(24)는 기화탱크(12) 내의 압력을 감지하며,
하방연결관(14)의 온도센서(15)는 기화탱크(12) 내측의 소독약제(11)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살균, 살충, 소독 등의 방역작업은 사회전반에 걸쳐 행해지고 있다.
즉 농촌에 있어서는 축사나 계사 등의 살균 소독을 위해 소독약제를 살포하며, 벼나 과수, 채소류의 농작물은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하게 된다. 또한, 도회지에 있어서는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 등의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집 안팍을 소독하게 된다.
그외에 전염병 예방이나 기타 질병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방역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살균, 살충제등의 소독약제를 분사하는 장치는 경유나 신나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을 태워 발생하는 연소열이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소독약을 연막형태로 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소독약액을 물로 희석시킨 후, 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연막소독은 가연성 물질을 태우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등의 공해물질이 함께 발생하게 되며, 연소열에 의해 소독약액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즐을 통해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과다한 소독약액의 사용을 유발하게 되며, 땅에 스며들 경우 땅속의 유익한 미생물까지 제거하여 토양을 산성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약제 살포장치는 소독약제가 유성이나 수성임을 불문하고 미세한 입자로 기화시켜 연막상태로 구석구석 파고 들어 살균 소독하므로 살균효과가 지대하게 되며, 적은 양의 소독약으로 많은 범위를 소독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잇점을 갖게 되며, 소독약액이 미세하게 액체와 함께 기화되어 넓고 골고루 분사됨으로 인해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 등의 해충의 박멸은 물론이거니와 극히 미세한 세균까지도 완전히 박멸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체상태로 분산됨으로 인해 소독약제의 절약은 물론이거니와 소독약제의 과다사용을 억제하여 소독약제에 의한 또다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살균, 살충제의 기화분사뿐만 아니라 생물, 화학전에 사용되는 세균의 멸균과 화학물질의 제독 중화제 살포기로 요긴하게 사용 가능한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독약제를 초음파에 의해 극히 미세한 입자로 기화 살포함으로 인해 확산성 및 침투성이 우수하여, 공중에 떠도는 부유균 및 구석 틈바구니에 숨어있는 각종 유해균등을 효과적으로 박멸할 수 있으며, 미세한 입자로 분사되는 소독약제는 오염된 실내에 살포될 시 컴퓨터 등의 전자장비나 서류, 인테리어, 및 기타 실내 기물 등에 손상 내지 부식을 발생시키지 않고 오염물질을 멸균 중화시켜, 밀폐된 실내공간의 살균소독기로 요긴하게 사용 가능한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공기압에 의해 액상소독약제(11)를 기화시키는 다수개의 기화탱크(12)와, 기화탱크(12) 내에서 발생되는 액상의 소독약제(11)를 더욱 미세한 입자로 기화되도록 하는 진공발생탱크(31)를 가지며,
    상기 소독약제(11)가 투입되어 이를 기화시키는 다수개의 기화탱크(12)는 상방 연결관(13) 및 하방연결관(14)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기화탱크(12) 내측에는 공기압축기(51)와 연결되는 공압 초음파 발생기(16)를 가지며, 상기 기화탱크(12) 하방 외측에는 히터(18)와, 하방 내측에는 전기로 작동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 압전진동자(19)(20)를 가지며,
    상기 기화탱크(12) 상방에는 주입밸브(21)와 하방에는 배출밸브(22)를 가지며,
    상기 진공발생탱크(31)는 상방에 배출관(32)과, 진공팬(진공펌프)(33)과 압력계(34)를 가지며, 내측 하방에는 원뿔형태의 충돌확산판(35)을 가지며, 내측 벽면에는 다수개의 회전유도 경사판(36)과, 상방 급기구(37)와 하방급기구(38)를 가지며, 상기 상,하방급기구(37)(38) 내측에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개폐판(37')(38')을 가지며, 상기 충돌확산판(35) 상방에는 기화탱크(12)와 연결되어 기화 기체를 이송하는 공급관(25)을 가지며, 공급관(25)에는 솔레노이드밸브(26)를 가지며, 진공발생탱크(31) 하방에는 드레인밸브(39) 및 기화탱크(12)로 연결되는 반송관(27)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압축기 대신에 고압가스탱크(51-1)를 공압초음파발생기(16)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기화 소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화탱크(12)를 서로 연결하는 상방연결관(13)에는 압력계를 가지며, 하방연결관(14)에는 온도센서(15)를 부착하여 소독약제(11)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공급관(25)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26) 양측에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8)(29)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지으로 하는 초음파 기화 소독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화탱크(12)의 소독약제(11)에 잠겨지는 공압초음파발생기(16)는 압축공기공급관(41)과 연결되는 압축공기분배관(42)에 다수개의 공압초음파발생기(16)가 연결되며, 상기 공압 초음파발생기(16)는 원통형상의 초음파진동기(43)을 가지며, 그 내측에는 가운데에 세공을 갖는 진동판(44)이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초음파진동기(43) 가운데 외측에는 스릿트상의 압출구멍(45)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KR1020060001720A 2006-01-06 2006-01-06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KR100742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720A KR100742635B1 (ko) 2006-01-06 2006-01-06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720A KR100742635B1 (ko) 2006-01-06 2006-01-06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62A KR20070074062A (ko) 2007-07-12
KR100742635B1 true KR100742635B1 (ko) 2007-07-25

Family

ID=3850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720A KR100742635B1 (ko) 2006-01-06 2006-01-06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6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11B1 (ko) 2010-08-04 2012-10-18 유바스 주식회사 공압용 진동자와 싸이크론을 이용한 기화장치
KR101564458B1 (ko) * 2015-03-17 2015-11-06 김회근 훈증 기화기
KR101806478B1 (ko) * 2017-03-21 2017-12-07 주식회사 세이프퓸 훈증 기화기
KR101806484B1 (ko) * 2017-02-03 2017-12-07 주식회사 세이프퓸 훈증 기화기
WO2023063451A1 (ko) * 2021-10-15 2023-04-20 (주)보성초음파산업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12B1 (ko) * 2011-05-30 2012-04-17 조용헌 피에조 방식 및 공압 방식을 혼용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화식 분사 장치
KR101465118B1 (ko) * 2011-08-18 2014-11-25 이문석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약제의 살포장치
CN103239877B (zh) * 2013-05-27 2015-05-13 上海兴全电力技术有限公司 热风源高效率蒸发器
CN108203880A (zh) * 2017-12-28 2018-06-26 耐途隆株式会社 纤维的功能性物质吸附装置
CN108508187A (zh) * 2018-04-28 2018-09-07 天津大学 超声波振动真空预压试验系统
CN109224096B (zh) * 2018-09-14 2020-10-20 宋正哲 一种医疗用的消毒装置
CN113384726A (zh) * 2020-03-11 2021-09-14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消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47035B1 (ko) * 2021-10-25 2022-09-23 주식회사 제일가스 기화기를 구비한 훈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550A (ko) * 1999-08-12 2001-03-05 한준석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20040087750A (ko) * 2003-04-08 2004-10-15 주식회사 이.그린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550A (ko) * 1999-08-12 2001-03-05 한준석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20040087750A (ko) * 2003-04-08 2004-10-15 주식회사 이.그린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살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11B1 (ko) 2010-08-04 2012-10-18 유바스 주식회사 공압용 진동자와 싸이크론을 이용한 기화장치
KR101564458B1 (ko) * 2015-03-17 2015-11-06 김회근 훈증 기화기
KR101806484B1 (ko) * 2017-02-03 2017-12-07 주식회사 세이프퓸 훈증 기화기
JP2018121617A (ja) * 2017-02-03 2018-08-09 セーフヒュー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AFEFUME Co., Ltd くん蒸気化器
US10806135B2 (en) 2017-02-03 2020-10-20 SAFEFUME Co., Ltd Fumigation vaporizer
KR101806478B1 (ko) * 2017-03-21 2017-12-07 주식회사 세이프퓸 훈증 기화기
WO2023063451A1 (ko) * 2021-10-15 2023-04-20 (주)보성초음파산업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62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635B1 (ko)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US7837932B2 (en) Method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and chemical substances
US73263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e mist sterilization or sanitation using a biocide
US20110064607A1 (en) Method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and chemical substances
US20110064605A1 (en) Method for treating an object contaminated with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or chemical substances utilizing electromagnetic waves
KR10115764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WO2004095953A2 (de) Verfahren und technische ausführung zur desinfektion und haltbarmachung von lebensmitteln und anderen produkten mittels o3, o2, co2 argon, uv-c licht und ultraschall im vakuum
KR10051611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살포장치
CN105772272B (zh) 一种环保健康绿色高压喷杀器
KR101954943B1 (ko) 약품 기화 분사장치
US20070012795A1 (en) Cleaning device and method
US11872322B2 (en) Microwave assis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rface decontamination
KR10033209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101850733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0179049Y1 (ko)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20000058687A (ko) 진공청소분무기
JP2001031517A (ja) 土壌の殺菌殺虫改良及び作物成長促進方法
JP4708141B2 (ja) 殺虫装置
US2011016857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killing pathogens
JPH08238049A (ja) 土壌燻蒸方法
KR101850734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110100515A (ko) 초음파 진동기를 이용한 기화식 휘산기
KR100833653B1 (ko) 탈취장치
KR100728613B1 (ko) 목초액 조성물의 이용 방법 및 장치
KR102236834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