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33B1 -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33B1
KR101850733B1 KR1020170098914A KR20170098914A KR101850733B1 KR 101850733 B1 KR101850733 B1 KR 101850733B1 KR 1020170098914 A KR1020170098914 A KR 1020170098914A KR 20170098914 A KR20170098914 A KR 20170098914A KR 101850733 B1 KR101850733 B1 KR 10185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air
pipe
guide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준
Original Assignee
조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준 filed Critical 조정준
Priority to KR102017009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방역제를 물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방역탱크와, 공기를 하수관로로 이동시키는 공기이동부와, 상기 약제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부와, 상기 공기이동부로 이동된 공기와 상기 연무로 분무된 상기 방역제를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방역장치와, 상기 방역장치를 통하여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방역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a disinfection apparatus and disinfection method for sewer}
본 발명은 물이 흐를 수 있는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방역제를 연무방식으로 하수관로의 공기층을 따라 분사하여 하수관로의 살균 및 살충하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오수나 날씨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우수가 모인 물을 하수라고 하고, 상기 하수를 모아 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보내는 이동통로를 하수관로라고 한다.상기 하수관로는 하수를 공공하수처리시설,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하수저류시설로 이송하거나 하천ㆍ바다 그 밖의 공유수면으로 유출시키는 관로와 그 부속시설을 말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하수관로를 하수관, 유입부, 우수토출실, 방출구, 후미, 설치관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상기 하수관로는 하수도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주거, 상업, 공장지역 등에서 오수나 우수(빗물)를 수집하여 펌프장, 처리장 또는 방류처까지 흘러내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로는 속이 빈 원형체 파이프로 구비되는 하수관과 상부가 개방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하수거를 포함할 수 있고, 하수가 흐르는 통로를 지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하수관로의 하단에는 하수가 흐르는 수중층이 존재하고 상기 수중층의 상부에는 공기층이 존재할 수 있으며, 지면 보다 낮은 곳에 구비되므로 외부에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로에는 각종 세균뿐만 아니라, 해충 등이 번식하고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해충 중 모기의 경우 기온이 10℃이하로 떨어지면 대형건물 지하 정화조나 하수관로 등에서 성충, 유충, 알로 동절기를 지날 수 있고, 4~5월 기온이 상승하면 활동을 시작하여 번식하므로 상기 하수관로는 모기에게 있어서 최적의 생존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기유충 1마리가 향후 성충 500마리를 번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번식력을 보유하는 것을 고려할 때, 하수관로 내의 성충과 유충, 알을 동시에 방역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방역 방식은 연막소독 방식과 연무소독방식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연막소독은 경유나 등유에 살충제를 희석한 후 350~600℃로 가열하여 분사시키는 방식이며, 상기 연무소독은 살충제를 기름이 아닌 물에 희석하여 작은 입자로 분무시키는 방식이다.
종래에는 상기 연막소독방식으로 상기 하수관로를 소독하였고, 상기 연무소독방식은 상기 하수관로 소독에는 적용될 수 없었다. 상기 연무소독방식은 수용성 살충제를 사용하므로, 물이 흐르는 하수관로에 살충연무를 분사하면 살충액이 전부 물에 용해되어 방역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1은 종래 연막소독장치로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 연막소독장치는 경유나 등유를 연소시켜 제트엔진과 같이 가스 폭발력에 의해 살충제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경유나 등유의 기름을 보유하는 기름탱크(1)와, 상기 기름에 희석될 수 있는 살충제를 수용하는 약제탱크(2)과, 상기 살충제와 기름을 혼합하여 분사되는 혼합부(3)와, 상기 살충제가 희석된 기름이 연소되는 연소부(4)와, 상기 살충제가 희석된 기름이 분사되는 분사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소부(4)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기름의 지속적인 연소를 보장하는 흡입부(4c)와, 상기 연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관(4a)과, 상기 연소가 발생되는 발열부(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부(4b)에서 연소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살충제와 기름이 팽창력에 의해 분사되고 동시에 열이 배출되므로, 상기 분사부(5)는 상기 기름의 완전한 연소를 위해 길이가 150cm 정도로 길게 구비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분사부(5)의 길이가 짧게 구비되면, 열손실이 크게 발생하여 상기 연소부(4)에서 연소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분사압력이 떨어져 소독효과가 낮아지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하수관로(10)는 상류에 구비되는 제1하수관로(11)와, 하류에 구비되는 제2하수관로(12)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하수관로(11)와 상기 제2하수관로(12) 사이에 상기 하수관로(10)와 상기 지면을 연통시키는 유입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0)는 사람이 투입되어 상기 하수관로를 유지 및 보수 할 수 있는 맨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면에 흐르는 우수가 상기 하수관로(10)로 유입되는 빗물 투입부 일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20)는 상기 하수관로(10)와 지면을 연통시키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유입부(20)은 지면을 관통하여 구비하므로, 그 직경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연막소독장치는 상기 유입부의 직경보다는 항상 크게 구비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유입부(20) 내부로 투입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연막소독장치로 상기 하수관로(10)를 방역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유입부(20)의 입구 즉, 지상에서 상기 하수관로(10)를 향해 기름이 섞인 살충제를 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하수관로(10)를 향해 분사된 연막(살충제가 희석된 기름이 연소되어 분사된 유체)은 분사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부(20)의 하부까지 전달되고, 이후 제1하수관로(11)와 상기 제2하수관로(12)에 유입된다.
상기 연막은 안개와 같이 흰연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1하수관로(11)와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공기층(B)에 유입된 연막은 공기층(B)을 방역한다. 그러나, 상기 연막은 필연적으로 기름이 희석되어 있으므로 하수관로(10)를 흐르는 하수에 희석되지 않고 하수의 표면을 따라 흘러 기름층(C)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방역 연막은 상기 수중층(A)으로는 침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막소독방식은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은 방역할 수 있으나, 수중층(A)은 방역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수중층(A)에 서식하는 세균, 유충, 알은 전혀 박멸하지 못하므로 방역의 효율성 및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연막소독장치는 지상에 구비되므로, 상기 살충제를 용해시키는 경유나 등유의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면 대기오염이나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시키는 위험성이 있었고, 연막자체가 흰색 연기로 구성되므로 시야를 차단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연막소독장치를 이용한 방역방법은 필연적으로 경유나 등유가 상기 하수관로에 투입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방역작업을 수행하면, 하수가 기름으로 오염되어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에 생성된 가스가 상기 하수관로(10)에 일정수준 이상 유입될 시, 상기 하수관로(10)에 적층되고, 압력이나 온도가 상승할 때 화재 또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로에는 상기 연막소독방식보다 연무소독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무소독방식의 특성으로 인해 종래에는 전혀 적용되지 못하였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종래 연무소독 방식으로 하수관로를 방역하지 못했던 이유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연무 소독장치는 물에 살충제를 희석하고, 상기 물에 희석된 살충제를 분사하여 방역하는 장치이다.
상기 연무소독장치는 경유나 등유와 같은 기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를 분사하는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분무기 등과 같은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 연무소독장치는 상기 물에 희석된 살충제를 수용하는 수용탱크(6)와, 상기 수용탱크(6)에서 물에 희석된 살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6A)을 이용하여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하는 연무소독장치는 기름을 연소시켜 분사력을 발생시키는 연막소독장치와 같이 강한 분사력을 갖지 못한다.
다만, 상기 연무소독방식은 물에 희석되므로 경제적이면서도, 기름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가열방식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므로 화재위험이 없으며, 공기에 장시간 부유될 수 있으므로 잔류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무라 함은 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입자를 가지기 때문에 공기층에 부유하게 되므로 하수관로(10)의 하수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2와 같이 유입부(20)의 입구에서 상기 연무(물이 희석된 살충제가 분사된 유체)가 분사되면 일부는 유입부(20)의 상부로 날아가 버리고, 일부는 상기 유입부(20)에 잔류하게 된다.
설령, 상기 하수관로(10)의 하수에 상기 방역 연무가 도달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연무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하수에 희석되게 되어 방역제가 물보다 밀도가 클 경우 상기 하수관로(10)의 하단에 적층되거나(G) 상기 하수(A)의 유동에 쓸려 내려가게 된다.
또한, 상기 연무소독장치에 강한 분사장치가 더하여져서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에 연무가 투입될 수 있는 동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에 접촉하면 즉시 희석된다. 따라서, 지상에서 상기 연무방식으로 하수관로(10)를 방역하는 경우,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A)를 향하여 즉각 용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은 전혀 방역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연무소독방식으로는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을 방역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치명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수용성 방역제를 연무로 분사하는 연무방식을 이용하여 하수관로의 하수나 하수관로 내부의 공기를 동시에 방역할 수 있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연무방식으로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할 수 있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로 전체를 환경오염이나 화제 발생을 차단하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와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적인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하수관로가 아니라 복수개의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할 수 있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연무가 다른 유입부에서 배출되더라도 시야를 차단하지 않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용성 방역제를 수용하는 방역탱크와, 공기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이동부와, 상기 방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부와, 상기 연무를 상기 하수관로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방역장치를 이용하는 하수관로 방역방법에 있어서, 수용성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하는 분무단계, 상기 연무를 상기 하수관로로 주입시켜 상기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방역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에서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단계는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관로를 흐르는 하수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수의 수면위로 상기 연무를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하수관로의 공기를 상기 연무와 함께 인접한 상기 하수관로 내부로 주입하는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안내부의 말단이 상기 하수의 수면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역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안내부에 인접한 하수관로 뿐만 아니라, 상기 하수관로에 인접한 다른 하수관로의 공기와 하수까지 한번에 방역하는 지역방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역방역단계는 상기 하수관로의 출구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배풍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하수관로의 타단에서 상기 하수관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단계와, 상기 복수의 하수관로 사이에 구비되는 유입부의 뚜껑을 차폐하는 차폐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과 연통하는 유입부를 구비하며 물이 흐를 수 있는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방역장치에 있어서, 수용성 방역제를 수용하는 방역탱크, 상기 방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부, 공기를 하수관로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이동부, 상기 공기와 상기 연무 방역제를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공기와 상기 연무 방역제가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방역탱크와 상기 공기이동부가 구비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하수관로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부 내부에서 상기 안내부가 상기 하수의 수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부는 상기 안내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부는 상기 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입부의 외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유입부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를 상기 유입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입부를 차폐하는 상기 유입부 뚜껑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부가 상기 하수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둥은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용성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하는 연무방식을 이용하여 하수관로의 하수나 하수관로 내부의 공기를 동시에 방역할 수 있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무방식으로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할 수 있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수관로 전체를 환경오염이나 화제 발생을 차단하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체와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적인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하수관로가 아니라 복수개의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할 수 있는 방역장치와 방역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연막소독장치로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연무소독장치로 하수관로를 방역하지 못하는 이유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연무소독장치로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연무소독장치로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방역장치의 안내부와 분무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방역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분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방역장치의 안내부와 분무부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방역장치가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배풍장치를 설치하여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할 수 있는 방역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방역장치가 유입부에 설치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방역장치를 유입부에 거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 방역장치가 하수관로의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3은 본 발명 방역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방역장치(100)는 살충 또는 살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며 수용성으로 구비되는 약제(이하, 방역제)를 수용할 수 있는 방역탱크(120)와, 상기 방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부(150)와, 공기를 하수관로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이동부(110)와, 상기 공기와 상기 연무 방역제를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로 안내하는 안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역탱크(120)는 살균 또는 살충을 수행하는 방역제가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탱크(120)에는 상기 방역제와 상기 물이 희석되어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이동부(110)는 송풍팬이나 압축기(COMPRESSOR)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거나,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등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방역탱크(120)와 상기 공기이동부(110)는 하나의 바디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1)는 케이스 또는 캐비닛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기이동부(110)는 상기 바디부(101)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1)는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이동부(110)로 유입 또는 전달하는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구성은 상기 바디부(101)에 연통된 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바디부(10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홀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이동부(110)는 상기 안내부(140)의 일단과 연통되는 연통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공기이동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130)를 지나 상기 안내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방역탱크(110)에 수용된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킬 수 있다. 연무라 함은 초미립자로 형성된 유체를 의미하며, 투명한 증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역 연무(방역제가 분무된 연무)는 50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입자의 집단일 수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이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방역제를 분무기처럼 분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안내부(14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부(140) 내부에 상기 공기이동부(110)에 의해서 이동하는 공기와 상기 분무부(150)에서 배출된 방역 연무는 상기 안내부(140)에서 함께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40)는 상기 공기이동부(11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와 상기 방역 연무는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부(140)는 말단 또는 말단을 포함한 일정부분은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내부(140)에서 배출된 방역 연무가 물에 접촉되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 또는 말단을 포함한 일정부분은 상기 하수관로(10)의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은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40)에서 토출된 공기와 연무는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수관로(10)에 배출된 연무는 상기 공기이동부(110)가 제공하는 압력에 의해 물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 체로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무 방역제 또는 방역 연무는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을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층(B)을 전부 방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에 잔류하는 연무는 수용성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하수(A)에 용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수(A)에 용해된 방역제는 상기 하수(A)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하수(A)를 방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방역장치(100)는 하수관로(10)에 하수가 흐르는 경우에도 수용성의 방역제가 상기 하수에 즉각 용해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 뿐만 아니라 수중층(A) 모두 일시에 방역할 수 있다. 상기 하수관로(10)에 하수가 흐르지 않는다면 상기 방역연무는 용해되지 않고 공기이동부(110)에 의해 상기 하수관로(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수관로(10) 전체를 방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말해,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이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바디부(101)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하수관로(10) 전체를 수용성 방역 연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역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101)는 지상에 배치되어도 상기 안내부(140)가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나 출구 부분에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구비되기만 하면 상기 하수관로(10)를 방역할 수 있으므로 방역장치(100)의 설치 및 운용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부(140)는 상기 바디부(101)에서 연장되는 제1안내덕트(141)와, 상기 제1안내덕트(141)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안내덕트(142)와, 상기 제2안내덕트(142)에서 말단이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연장되거나, 상기 하수관로(10)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3안내덕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덕트(141)와 상기 제2안내턱트(142)는 모두 일자형 또는 직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디부(101)가 지상에 구비되는 것을 감안하면 상기 제1안내덕트(141)는 제1각도(D)로 하향 절곡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각도(D)는 9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유동하는 공기 또는 방역 연무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자형 또는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안내덕트(143)는 상기 제2안내덕트(142)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므로 제2각도(E)로 상향 절곡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안내덕트(142)가 유입부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 절곡되어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어야 상기 방역 연무가 물에 용해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은 상기 하수관로(10)의 하수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140)에서 토출되는 방역연무가 최대한 물과 접촉되지 않고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은 상기 하수관로(10)의 상단과 상기 수중층(A)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수(A)의 수위가 계절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하수관로(10)의 설치 깊이와 상기 유입부(20)의 깊이가 지역에 따라 다르므로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는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일단이 상기 제1안내덕트(1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3안내덕트는 일단이 상기 제2안내덕트(142)의 말단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안내덕트(141)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상기 안내부(140)에서 제거되고 상기 제1안내덕트(141)와 상기 제3안내덕트(143)만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이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 상단과 상기 하수(A)의 상부 사이에 정확히 배치되는데 필요한 길이만큼 적절한 개수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덕트들(141,142,143)은 일단에 제1결합부(161)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제1결합부(16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61)은 상기 안내덕트들(141,142,143)의 일단에서 안내덕트들(141,142,143) 보다 직경이 작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안내덕트들(141,142,143)의 타단에서 상기 제1결합부(161)의 외주면과 결합되도록 직경이 크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제1결합부(161)와 상기 제2결합부(162)는 커넥터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바디부(10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안내덕트(14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분무부(150)에서 분무된 방역연무는 공기와 함께 상기 안내덕트 전체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분무부(150)가 상기 바디부(10)에서 상기 제1안내덕트(141)까지만 연장되어 구비되다면, 상기 분무부(150)에서 분무된 연무는 상기 제1안내덕트(141)가 절곡되어 구비된 부분과 상기 제3안내덕트(143)가 절곡되어 구비된 부분에 충돌하게 되고, 상기 방역 연무는 충돌된 부분에 응축되어 적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으로 상기 연무 방역제가 전부 분무되지 않으므로 방역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역 연무가 상기 안내부(140)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도4와 도5는 상기 연무 방역제 또는 방역 연무가 상기 안내부(140)에서 응축되거나,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무부(1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방역탱크(120)에서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까지 연장되는 분무관(151)과, 상기 분무관(151) 말단에 구비되어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노즐(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역탱크(120)에서 상기 분무노즐(154)까지는 상기 분무관(151)에 방역제가 액체상태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방역탱크(120)에서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까지 연장되는 분무관(151)을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140) 내부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안내부(140)에는 공기만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무관(151)은 상기 안내부(140) 내부에서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무노즐(154)은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분무노즐(154)은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에서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부(140)에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연무와 함께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방역연무가 상기 안내부(140) 내부를 유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방역연무가 상기 안내부(140)에서 응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분무관(151)은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고려하여 이와 대응되도록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154)은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에 구비되는 노즐고정부(155)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고정부(155)는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에서 내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무노즐(154)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고정부(155)는 상기 분무노즐(154)의 일단을 상기 안내덕트(143)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155A)와 상기 분무노즐(154)의 타단을 상기 안내덕트(143)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2고정부(155A,155B)는 상기 분무노즐(154)에서 방사상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덕트(14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노즐고정부(155)가 상기 제1,2고정부로 구성되어 상기 분무노즐(154)의 양단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분무노즐(154)의 각도를 고정하여 방역 연무가 의도한 방향으로 분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무노즐(154)의 말단은 상기 노즐고정부(155)에 의해 상기 안내덕트(143)의 단면 중심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분무노즐(154)에서 분무된 방역 연무가 안내부(140)에서 토출된 공기와 고르게 접촉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6과 도7은 상기 안내부(140)에서 방역연무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분무부(1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안내부(1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안내부(14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약제탱크(120)에서 연장되는 분무관(151)과, 상기 분무관(15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관(152)과, 상기 연결관(152)의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장관(153)과, 상기 분무관(153)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분무노즐(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무관(151)과 상기 연결관(152)은 상기 안내부(140)에 면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분무관(151)과 상기 연결관(152)이 결합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내부(140)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분무관(151)과 상기 연결관(152) 각각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안내부(14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무부(150)가 상기 안내부(140)에 외부에 구비되면 상기 방역제가 상기 안내부(140)에 응축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분무부(150)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상기 분무부(150)의 설치, 유지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관(153)이 생략되고, 상기 분무노즐(154)은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외주면에서 중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분무노즐(154)의 말단은 노즐고정부(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140)는 길이가 가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무부(150)도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될 필요가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152)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52)은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가 짧아지면 일부가 제거되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가 길어지면 추가적인 연결관(152)을 상기 분무부(15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관(152)은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를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관(152)은 일단이 확장되어 구비되는 제1연결부(163)과, 타단이 확장되어 구비되되 다른 상기 연결관(152)의 상기 제1연결부(16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2연결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163)는 구형상 또는 타원 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부(164)는 상기 제1연결부(16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연결부(163)는 상기 제2연결부(164)에 결합되어도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도8은 상기 안내부(1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내부(140)는 일부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벨로우즈(일명, 자바라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덕트(142)가 벨로우즈 구조와 같이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면, 상기 제1안내덕트(141)를 제외하고, 상기 제2안내덕트(142)와 상기 제3안내덕트(143)는 일자형 또는 직선형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안내덕트(142)가 절곡 가능하므로 상기 제3안내덕트(143)가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안내부(140)는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말단이 상기 하수관로의 하수의 수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3안내덕트(143)를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부(140)에는 도6과 도7에서 도시된 분무부(15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8(a)를 참조하면, 상기 분무관(151)은 상기 제1안내덕트(141)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152)은 상기 제2안내덕트(142)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분무노즐이 결합되는 연장관(153)은 상기 제3안내덕트(14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153)의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형상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152)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152)은 상기 연장관(153)에 결합된 순서를 기준으로 제1연결관(152a), 제2연결관(152b), 제3연결관(153c), 제4연결관(15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52)은 이보다 더 많은 연결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8(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152) 중 제1연결관(152a)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관(152b)이 상기 연장관(15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안내덕트(142)중 상기 분무부(150)가 설치된 부분은 짧아지게 되고, 상기 분무부(150)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안내덕트(142)은 상기 분무부(150)가 설치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52) 중 다른 연결관이 더 제거된다면 상기 제2안내덕트(142)가 회전하는 각도는 더 커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3안내덕트(143)가 제2안내덕트(142)에서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8(c)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152) 중 상기 제3연결관(152c)도 추가적으로 제거하면, 상기 제2안내덕트(142)는 신축되어 짧아진체로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안내덕트(143)의 각도가 고정된 체로 상기 제2안내덕트(142)의 길이만 짧아지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안내덕트(143)에는 상기 제3안내덕트(143)가 하수에 접촉되어도 상기 제3안내덕트(143)를 상기 하수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부(17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170)는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170)는 상기 제3안내덕트(143)이 상기 하수관로(10)의 하수(A)에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과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부력부(170)는 전술한 안내부(140)의 다른 실시예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가 상기 유입부(20)의 깊이보다 더 길게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이 상기 부력부(170)에 의해 하수(A) 위로 부양되어, 항상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이 상기 하수(A)보다 상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역 연무와 공기가 상기 공기층(B)에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방역장치(100)로 다수의 하수관로(10)를 방역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방역장치(100)는 바디부(101)가 지상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140)만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안내부(140)는 지상의 공기와 방역탱크(120)에서 분무된 방역연무를 상기 하수관로(10)를 흐르는 하수(A)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공기층(B)에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110)가 제공하는 동력 또는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이고, 상기 분무부(150)에서 분무된 방역 연무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면, 상기 안내부(140)에서 토출된 방역 연무는 상기 하수관로(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수관로(10) 전체를 방역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수관로(10)를 상류에서 하류 방향의 순서로, 제1하수관로(11)와, 제2하수관로(12), 제3하수관로(13), 제4하수관로(14)로 구분한다면, 상기 방역 연무는 상기 제2,3,4하수관로(12,13,14)의 공기층(B)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방역연무의 일부는 자중에 의해 상기 하수(A)에 용해될 수 있고, 상기 용해된 방역제는 상기 하수(A)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수(A)의 유충, 알, 기생충, 세균 등을 박멸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방역장치(100)는 상기 제2,3,4 하수관로(12,13,14)의 공기층(B)과 하수(A) 전체를 모두 방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110)가 제공하는 압력이 충분히 커서, 상기 방역 연무가 상기 제2하수관로와 상기 제3하수관로 사이에 구비된 제2유입부(22)나, 상기 제3하수관로와 상기 제4하수관로 사이에 구비된 제3유입부(23)로 일부가 배출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 방역장치(100)에서 분무된 상기 방역연무는 방역연막과 달리 투명하여 시야를 차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방역연무가 하수관로(10)에서 유출되어도 교통이나 통행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수(A)에 방역제가 용해되어도 상기 방역제는 기름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수질오염도 방지될 수 있고, 가스도 생성되지 않는바 상기 하수관로(10)가 고온 고압의 상황이어도 폭발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하수관로(10)를 방역할 수 있다.
도10은 다수의 하수관로(10) 전체를 수용성 방역연무를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방역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방역방법 또는 방역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하수관로(10)의 출구에는 전방에 구비된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배풍장치(3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방역시스템은 방역장치(100)뿐만 아니라 배풍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풍장치(300)는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에서 유입된 방역 연무 뿐만 아니라, 상기 하수관로(10)에 존재하였던 기존 공기층(B)까지 모두 흡입하여 상기 하수관로(10)의 출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수관로(10)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공기층(B)에 상기 방역 연무가 공급될 수 있어 방역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풍장치(300)는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나 출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풍장치(300)의 설치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방역연무가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되거나 공급되는 것을 돕고, 상기 방역연무가 물에 쉽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수관로(11)와 상기 제2하수관로(12) 사이에 구비된 제1유입부(21)의 상부에 본 발명 방역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방역장치(100)의 안내부(140)가 제2하수관로(12)의 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출구에 상기 배풍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방역장치(100)에서 수용성 방역 연무와 공기가 배출되어 제2하수관로(12)에 유입되면 상기 방역연무는 상기 공기층(B)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배풍장치(300)가 가동하면 상기 공기층(B)의 공기와 방역연무가 흡입되어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공기와 방역연무가 더욱 원할하게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출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하수관로(12) 전역에 방역연무가 공급될 수 있어 방역효율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배풍장치(300)에서 토출된 공기와 방역연무는 상기 제2하수관로(12)와 상기 제3하수관로(1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유입부(22)와, 제3하수관로(13)의 공기층(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이동부(110)와 상기 배풍장치(300)가 발생시킨 압력이 상기 방역연무에 작용하므로, 상기 방역연무는 상기 제3하수관로(13)의 공기층(B)이나 상기 제4하수관로(14)의 공기층(B)까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방역연무는 상기 하수관로(10) 전체의 공기층(B)의 해충이나 세균을 박멸할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하수(A)에 용해되어 상기 하수(A)의 해충의 유충, 알, 세균을 모두 박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연무는 연막방식과 달리 분무 타입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방역장치(100)의 설치가 해제되거나, 공기공급부(110)의 작동이 중단되어도 장시간 상기 하수관로 공기층(B)에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방역장치(100)를 이용한 방역시스템은 상기 하수관로(10)를 지속적으로 방역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방역장치(100)와 배풍장치(300)를 이용하는 방역시스템은 일정 지역에 배치된 하수관로(10)의 공기층(B)과 수중층(B)까지 한번에 방역할 수 있으며, 장시간 방역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방역시스템으로 일정지역의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하기 위해, 상기 방역장치(100)와 인접하지 않은 제2유입부(22)나 제3유입부(23)의 뚜껑은 모두 차단막(20c)으로 차폐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방역시스템은 상기 유입부(20)을 차폐하는 차단막(2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출구에서 배풍장치(300)로 배출된 공기와, 방역연무는 상기 유입부(20)의 상부로 유출되지 않고 전부 제3하수관로(13)와 제4하수관로(14)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역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도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 방역시스템은 방역장치(100)가 구비되지 않는 하수관로(1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풍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배풍장치(300)는 하수관로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배풍장치(310)와, 하수관로 출구에 구비되는 제2배풍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방역장치(100)에서 배출된 공기와 방역연무는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하수관로(10)를 따라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부(20)가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유입부(20)을 개방하거나, 상기 유입부(20)에서 방역하지 않고 이와 인접한 유입부(20)에서 방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풍장치(300)는 후술하는 방역장치(100)를 유입부에 고정하는 고정장치(200) 등으로 상기 하수관로(10)나 유입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 방역장치(100)가 상기 유입부(2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방역장치(100)는 바디부(101)가 지상이 아닌 유입부(20) 내부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이는 상기 바디부(101)가 외부로 노출되면 교통이나 통행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안내부(140)는 노즐 형상이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101)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40)가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에 배치될 수 있는 높이에 상기 바디부(10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101)에는 지상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바디부(101)에 설치된 공기이동부(110)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0')는 복수의 흡입덕트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고무호스나, 자바라 타입의 신축 가능한 호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0')가 복수의 흡입덕트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상에서 상기 유입부(20)로 연장되는 제1흡익덕트(141'), 상기 제1흡입덕트(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흡입덕트(142'), 상기 제2흡입덕트(14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디부(101)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3흡입덕트(1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는 전술한 안내덕트와 대응된다고 볼 수 있으며, 상기 안내덕트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에 도시된, 본 발명 방역장치(100)는 상기 바디부(101)가 상기 유입부(20)에 설치되어 고정장치(200)등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되므로, 상기 안내부(140)를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위치, 또는 나란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부(140)에서 배출되는 방역연무나 공기가 하수(A)에 접촉되지 않고 공기층(B)으로 효과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도11(b)는 본 발명 바디부(101)를 상기 유입부(20)에 고정하는 고정장치(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11(c),(d)는 상기 고정장치(200)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 고정장치(200)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부(20)의 뚜껑 구멍(20b)에 결합되는 고정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의 뚜껑(20a)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강체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유입부의 뚜껑구멍(20b)을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하수관로(10)를 방역할 때 상기 유입부(20)를 차폐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20) 뚜껑은 두꺼운 강판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바디부(101)가 상당한 하중을 구비하여도 상기 고정바(210)는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1)의 모든 면을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상기 바디부(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바(210)는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제1고정바(211)와, 상기 제1고정바(211)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부(20)에 거치될 수 있는 제2고정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211)는 결합부(213)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1)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볼트 또는 너트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고정바(212)는 상기 유입부(20)의 구멍(20b)을 관통하거나, 상기 유입부(20)의 내주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부가 만곡되어 구비되는 만곡부(212a)와, 상기 만곡부(212) 또는 상기 제2고정바(212)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바(2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거나 거치하도록 구비된 되는 지지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2b)는 상기 제2고정바(212)의 말단에서 갈고리 형상을 돌출되어 구비되거나, 지면 또는, 유입부 뚜껑, 외부거치대, 외부장치 등에에 접지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바(211)와 상기 제2고정바(212)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정바(210)는 상기 제1고정바(211)는 일부가 상기 제2고정바(212)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고정바(21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돌기와, 상기 제2고정바(212)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11(c)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200)는 상기 바디부(101)에서 수평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전산볼트(220)로 구비될 수 있다.
도11(d)는 상기 전산볼트(220)가 상기 바디부(101)를 유입부(20)에서 고정하는 것을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산볼트(220)는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220)는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서 상기 유입부(20)의 내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220)은 외주면에 나사홈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101)는 일면에 상기 전산볼트(220)가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220)는 상기 바디부(101)의 모든 면에서 복수개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12는 상기 고정장치(200)가 상기 바디부(101)를 지지하는 지지대(230)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200)는 상기 바디부(101)가 안착될 수 있는 지지대(230)와, 상기 상기 지지대(230)에서 상기 유입부(20) 바닥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23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기둥(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231)은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2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바디부(101)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바디부(101)의 하중이 크거나, 상기 하수관로(10)를 흐르는 수량이 많다고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바디부(10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1)가 유입부(20) 바닥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부면에 상기 바디부(101)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32)는 상기 바디부(101)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01)의 모서리마다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본 발명 방역장치를 통해 하수관로(10)를 효과적으로 방역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역방법은 수용성 연무를 상기 하수관로(10)의 하수에 즉각 용해시키지 않고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수관로의 공기층에 공급하여, 상기 하수관로의 수중층과 공기층을 모두 방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성 방역 연무를 상기 하수가 흐르는 방향과 조금만 경사지게 분무한다면 상기 방역연무가 상기 하수(A)에 즉각 용해되므로, 상기 하수관로의 공기층을 방역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 방역방법은 수용성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하는 분무단계(s1)와, 상기 연무를 상기 하수관로(10)로 분무하여 상기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방역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역단계(s2)는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단계(s3)는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관로를 흐르는 하수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수의 수면위로 상기 연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와 상기 방역 연무는 상기 하수관로(10)를 흐르는 물의 상부면, 즉 공기층(B)에 상기 하수관로(10)와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안내단계(S3)는 수용성 연무가 물에 곧바로 접촉되어 공기층(B)을 방역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방역단계(s2)는 상기 하수관로(10)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연무와 함께 상기 하수관로 내부로 주입하는 이동단계(s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계(s2-1)는 상기 하수관로(10)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방역 연무와 함께 상기 하수관로로 이동시키는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방역연무가 공중에 부유되지 않고 방향성을 갖고 상기 하수관로(10)로 이동시키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역단계(s2)는 상기 안내부(140)가 길이가 가변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방역장치(100)의 안내부(140)의 말단이 상기 하수관로(10)의 하수(A)의 상부와 하수관로(1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나, 상기 안내부(140)의 말단이 상기 하수관로(10)의 하수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내부(14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단계(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방역방법은 상기 하수관로와 상기 하수관로의 인접한 다른 하수관로까지 방역하는 지역방역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방역단계(S5)는 하수관로(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될 수 있는 배풍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하수관로의 타단에서 상기 하수관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단계(S5-1)이나, 유입부(20)를 차폐하는 차폐단계(S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방역장치(100)로 직접 방역하는 하수관로와 상기 하수관로의 하류에 구비되는 다른 하수관로까지 모두 방역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 방역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방역장치(100)는 지상의 공기를 유입하여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에 유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류 하수관로(11)의 공기를 유입하여 하류의 하수관로(12)의 공기층(B)에 유입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방역장치(100)는 상기 상류 하수관로(11)의 공기층(B)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류 하수관로(11)의 공기를 흡입하는 인입부(181)와, 상기 하류 하수관로(12)의 공기층(B)에 공기를 배출하는 안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40)는 상기 하류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역장치(100)는 수용성 방역제를 물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방역탱크(120)와, 상기 방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부(150)와, 공기를 하수관로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이동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공기와 상기 연무 방역제를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로 안내할 수 있고, 상기 공기와 상기 연무 방역제가 상기 하류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역장치(100)는 본체를 이루는 바디부(101)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01)에 상기 인입부(181)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안내부(140)로 배출하는 공기이동부(110)와, 수용성 방역제를 수용하는 상기 방역탱크(12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이동부(110)는 송풍팬이나, 압축기(Compresso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입부(181)는 디퓨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내부(140)는 노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무부(150)는 상기 안내부(14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입부(181)는 상기 상류하수관로(11)의 공기층(B)에서 공기를 음압을 이용하여 흡입하므로 하수(A)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입부(181)에는 하수(A)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183)는 상기 인입부(181)의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입부(181)는 상기 하수(A)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14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역장치(100)는 상기 하류의 하수관로(12)를 방역하기 위해, 하수관로(10) 자체의 공기를 이용하므로 하수관로(10)의 내압이 상승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상기 방역장치(100)는 공기이동부(110)의 출력을 강화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하수관로(10)를 방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방역장치(100)는 전술한 방역장치와 같이 수용성 방역 연무를 하수(A)에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며,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에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성 연무로도 효과적으로 상기 하수관로(10)를 방역할 수 있다.
도13(b)는 본 발명 바디부(101)를 상기 유입부(20)에 고정하는 고정장치(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13(c),(d)는 상기 고정장치(200)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 고정장치(200)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부(20)의 구멍(20b)에 결합되는 고정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강체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유입부의 뚜껑(20a)을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하수관로(10)를 방역할 때 상기 유입부(20)을 차폐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20)은 두꺼운 강판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바디부(101)가 상당한 하중을 구비하여도 상기 고정바(210)는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1)의 모든 면을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10)는 상기 바디부(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바(210)는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제1고정바(211)와, 상기 제1고정바(211)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부(20)에 거치될 수 있는 제2고정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바(212)는 상기 유입부(20)의 뚜껑(20a)의 구멍(20b)을 관통하거나, 상기 유입부(20)의 내주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부가 만곡되어 구비되는 만곡부(212a)와, 상기 만곡부(212) 또는 상기 제2고정바(212)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바(2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거나 거치하도록 구비된 되는 지지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2b)는 상기 제2고정바(212)의 말단에서 갈고리 형상을 돌출되어 구비되거나, 지면에 접지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바(211)와 상기 제2고정바(212)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정바(210)는 상기 제1고정바(211)는 일부가 상기 제2고정바(212)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고정바(21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돌기와, 상기 제2고정바(212)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13(c)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200)는 상기 바디부(101)에서 수평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전산볼트(220)로 구비될 수 있다.
도13(d)는 상기 전산볼트(220)가 상기 바디부(101)를 유입부(20)에서 고정하는 것을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산볼트(220)는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220)는 상기 바디부(101)의 일면에서 상기 유입부(20)의 내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220)은 외주면에 나사홈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101)는 일면에 상기 전산볼트(220)가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220)는 상기 바디부(101)의 모든 면에서 복수개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14는 상기 고정장치(200)가 상기 바디부(101)를 지지하는 지지대(230)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4(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200)는 상기 바디부(101)가 안착될 수 있는 지지대(230)와, 상기 상기 지지대(230)에서 상기 유입부(20) 바닥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23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기둥(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231)은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2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바디부(101)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바디부(101)의 하중이 크거나, 상기 하수관로(10)를 흐르는 수량이 많다고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바디부(10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1)가 유입부(20) 바닥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부면에 상기 바디부(101)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32)는 상기 바디부(101)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01)의 모서리마다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15는 상기 도13의 방역장치를 이용하여 일정지역의 하수관로(10) 전체를 방역할 수 있는 방역시스템 및 방역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수관로(10)의 출구와 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하수관로(10)의 공기층(B)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유입부(20)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수관로(10)에 투입시키는 배풍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풍장치(300)는 상기 상류 하수관로(11)에 유입된 방역연무와, 상기 상류 하수관로(11)에 존재하였던 기존 공기층(B)의 공기를 모두 흡입하여 상기 하류에 구비된 유입부(2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풍장치(300)는 상기 하수관로(10)의 입구나 출구에 구비되면, 상기 방역연무가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상기 방역연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에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로(10)의 방역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입부(21)의 상부에 본 발명 방역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방역장치(100)의 안내부(140)는 제2하수관로(12)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출구에는 상기 배풍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방역장치(100)에서 방역연무와 공기가 함께 배출되어 제2하수관로(12)에 유입되면 상기 상기 안내부(140)에 의해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층(B)을 이동한다. 이때, 상기 배풍장치(300)가 가동하면 상기 공기층(B)의 공기와 방역연무가 이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므로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공기와 방역연무가 더욱 원할하게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출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방역연무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공기층(A)을 방역하게 되고, 일부가 용해되어 상기 하수(B)에 용해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제2하수관로(12) 전역에 방역연무가 공급될 수 있어 방역효율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배풍장치(300)에서 토출된 공기와 방역연무는 제2유입부(22)의 상부나, 제3하수관로(13)의 공기층(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이동부(110)와 상기 배풍장치(300)가 발생시키는 압력이 합하여지므로 상기 방역연무는 상기 제3하수관로(13)의 공기층(A)이나 상기 제4하수관로(14)의 공기층(B)까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방역연무는 상기 하수관로(10)의 전역의 공기층(A)의 해충이나 세균을 박멸할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하수(B)에 용해되어 상기 하수(B)의 해충의 유충, 알, 세균을 모두 박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연무는 연막방식과 달리 분무 타입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방역장치(100)의 설치가 해제되거나, 공기공급부(110) 및 배풍장치(300)의 작동이 중단되어도 장시간 상기 하수관로 공기층(B)에 잔류할 수 있다. 상기 잔류하는 방역 연무는 지속적으로 살충 및 살균작용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자중 및 하수와의 마찰로 인해 상기 하수(A)에 용해된다. 이때, 방역 연무는 수용성이므로 상기 하수(A)에 즉각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수(A)도 지속적으로 살충 및 살균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방역장치(100)를 이용한 방역시스템은 상기 하수관로(10)를 지속적으로 방역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방역장치(100)와 배풍장치(300)를 이용하는 방역시스템은 일정 지역에 배치된 하수관로(10)의 공기층(B)과 수중층(B)까지 한번에 방역할 수 있으며, 방역효과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이때,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역시스템으로 일정지역의 하수관로 전체를 방역하기 위해, 상기 방역장치(100)와 인접하지 않은 제2유입부(22)이나 제3유입부(23)의 뚜껑 중 일부를 차단막(20c)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하수관로(12)의 출구에서 배풍장치(300)로 배출된 공기와, 방역연무는 상기 유입부(20)로 유출되지 않고 전부 제3하수관로(13)와 제4하수관로(14)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역효율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도15을 참조하면, 본 발명 방역시스템은 방역장치(100)가 구비되지 않는 하수관로(1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풍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배풍장치(300)는 하수관로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배풍장치(310)와, 하수관로 출구에 구비되는 제2배풍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방역장치(100)에서 배출된 공기와 방역연무를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하수관로(10) 상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풍장치(300)는 전술한 방역장치(100)를 유입부에 고정하는 고정장치(200)를 적용하여 상기 하수관로(10)나 유입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방역장치 101 바디부
110 공기이동부 120 약제탱크
130 연결부 140 안내부
141 제1안내덕트 142 제2안내덕트
143 제3안내덕트 140' 흡입부
150 분무관 151 분무관
152 연결관 153 연장관
154 분무노즐 155 분무고정부
160 가변장치 170 부력장치
200 고정장치 300 배풍장치

Claims (15)

  1. 수용성 방역제를 수용하는 방역탱크와, 공기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이동부와, 상기 방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부와, 상기 연무를 하수관로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관로 내부에 설치되는 방역장치를 이용하는 하수관로 방역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역장치를 상기 하수관로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수용성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하는 분무단계;
    상기 연무를 상기 하수관로로 주입시켜 상기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방역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에서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단계는
    상기 연무가 상기 하수관로를 흐르는 하수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수의 수면위로 상기 연무를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하수관로의 공기를 상기 연무와 함께 인접한 상기 하수관로 내부로 주입하는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안내부의 말단이 상기 하수의 수면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방역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단계는
    상기 안내부에 인접한 하수관로 뿐만 아니라, 상기 하수관로에 인접한 다른 하수관로의 공기와 하수까지 한번에 방역하는 지역방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방역단계는 상기 하수관로의 출구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배풍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하수관로의 타단에서 상기 하수관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단계와,
    복수의 상기 하수관로 사이에 구비되는 유입부의 뚜껑을 차폐하는 차폐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방법.
  7. 지면과 연통하는 유입부를 구비하며 물이 흐를 수 있는 하수관로를 방역하는 방역장치에 있어서,
    수용성 방역제를 수용하는 방역탱크;
    상기 방역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방역제를 연무로 분무시키는 분무부;
    공기를 하수관로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이동부;
    상기 공기와 상기 연무 방역제를 상기 하수관로의 입구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유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역탱크와 상기 공기이동부가 구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공기와 상기 연무 방역제가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하수관로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부 내부에서 상기 안내부가 상기 하수의 수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안내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입부의 외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유입부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를 상기 유입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입부를 차폐하는 상기 유입부 뚜껑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가 상기 하수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둥은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KR1020170098914A 2017-08-04 2017-08-04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85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14A KR101850733B1 (ko) 2017-08-04 2017-08-04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14A KR101850733B1 (ko) 2017-08-04 2017-08-04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36A Division KR101974131B1 (ko) 2018-04-09 2018-04-09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733B1 true KR101850733B1 (ko) 2018-04-20

Family

ID=6208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14A KR101850733B1 (ko) 2017-08-04 2017-08-04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80B1 (ko) * 2018-10-30 2019-03-08 김경기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기 및 그를 구비하는 이류체 압축 방식의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시스템
KR102441575B1 (ko) * 2021-08-31 2022-09-06 임덕교 하수관로 연막 소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80B1 (ko) * 2018-10-30 2019-03-08 김경기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기 및 그를 구비하는 이류체 압축 방식의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시스템
KR102441575B1 (ko) * 2021-08-31 2022-09-06 임덕교 하수관로 연막 소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635B1 (ko)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KR101850733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711079B1 (ko) 세척과 배수 기능을 갖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207709B1 (ko) 살균을 통한 청정한 공기의 공급과 내부 양압 유지를 통한 질병의 차단을 행할 수 있는 축사
KR101850734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US11191260B2 (en) Aquatic organism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974131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974132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190060729A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477668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236833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236834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20165700A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210112890A (ko) 하수관로를 방역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JPH10202274A (ja) 養殖場水域環境保全装置
CN114128690A (zh) 一种蚊虫诱捕器
KR100833653B1 (ko) 탈취장치
CN216315073U (zh) 粮仓用绿色储粮灭菌杀虫系统
KR200359088Y1 (ko) 에어하우스
WO2018054346A1 (zh) 户外灭虫装置
KR101810566B1 (ko) 가축 전염병의 방역 및 차단 시스템
RU2706586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молоди рыб от попадания в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2440617B1 (ko)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KR101440411B1 (ko) 공기정화기
CN218096421U (zh) 新风管道装置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