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617B1 -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617B1
KR102440617B1 KR1020210186037A KR20210186037A KR102440617B1 KR 102440617 B1 KR102440617 B1 KR 102440617B1 KR 1020210186037 A KR1020210186037 A KR 1020210186037A KR 20210186037 A KR20210186037 A KR 20210186037A KR 102440617 B1 KR102440617 B1 KR 10244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wage
smoke
sewage pip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섭
윤진수
Original Assignee
승탑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탑건설(주) filed Critical 승탑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18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시에 사용되는 확산 연막제 성분과 방역을 위한 살충제 성분을 혼합 조성하여 확산연막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와 살충에 의한 하수관의 방역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막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살충제 5~1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A diffusion smoke screen for simultaneous inspection and quarantine of sewage pipes, and a method for inspection and quarantine of sewage pip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시에 사용되는 확산연막 성분과 살충 성분을 혼합 조성하여 하수관의 오접검사시에 하수관의 방역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폐수 및 우수를 처리하는 하수관은 주로 분류식 하수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분류식 하수관은 생활폐수 등을 처리하는 오수관과 우수를 처리하는 우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류식 하수관을 구성하는 오수관과 우수관은 서로 분리되도록 설치하는데, 특정부분에서 상기 오수관과 우수관이 잘못되어 서로 연결되는 현상을 하수관의 오접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하수관의 오접으로 하수관 시공 후에는 오접 확인을 위한 사전 점검이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 하수관은 외부 충격이나 노후화로 크랙(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오수나 우수가 누출되어 주변 토양의 오염시키거나 싱크홀 등을 유발하게 되기 때문에 하수관의 수시 점검이 요구되었다.
이와 같이 하수관은 오접 검사, 크랙 검사 등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연막(또는 연기), 염료 등을 이용한 방법이나 내시경을 이용한 육안 검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하수관의 오접이나 크랙을 검사하도록 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던 방법이 연막 시험(Smoke Testing)인데, 이는 검사하고자 하는 하수관의 특정 구간을 선정하고 상기 특정 구간 이외에 연막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 후 맨홀에 연막을 발생시켜 하수관으로 공급하면서 지중 누출을 확인하여 하수관의 오접이나 크랙을 검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방법과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819호에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수관의 검사 구간에서 상류측 위치에 내 삽입 설치하여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검사 구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 개폐하는 통수관을 갖는 상류측 에어 팩커와, 하수관의 검사 구간에서 하류측 위치에 내 삽입 설치하여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검사 구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 개폐하는 통수관을 갖는 하류측 에어 팩커 및, 하수관의 검사 구간에서 맨홀 상부로 설치되어 하수관으로 연막을 발생시켜 압송 공급하는 연막 공급수단으로 구성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검사 구간의 상류측과 하류측 하수관을 에어 팩커로 차단한 상태에서 맨홀을 통해 검사 구간의 하수관으로 연막을 압송 공급하여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시에 하수관으로 투입되는 연막을 이용하여 하수관을 방역한다면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방역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819호(2017.04.05. 등록)
본 발명은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시 사용되는 확산연막 성분과 살충 성분을 혼합 조성하여 하수관의 오접검사 시 하수관의 방역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행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는, 연막제 성분과 살충제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한 것으로서, 연막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살충제 5~15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를 조성하는 성분 중, 연막제 성분은,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 15~30중량%; 글리세린 25~35중량%; 물 30~50중량%; 계면활성제 1~3중량%; 및 향료 3~4.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살충제 성분은, 퍼메트린, 트리데실알코올, 이소파엠, n-메틸피롤리돈, 디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및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퍼메트린 25~35중량%; 상기 트리데실알코올 10~40중량%; 상기 이소파임 5~20중량%; 상기 n-메틸피롤리돈 5~20중량%; 상기 디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5~20중량%; 및 상기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 10~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은, 하수관의 검사 구간에서 상류 측 하수관 내부에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통수관을 갖는 상류 측 에어 팩커를 설치하는 상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 하수관의 검사 구간에서 하류 측 하수관 내부에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통수관을 갖는 하류 측 에어 팩커를 설치하는 하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 하수관의 검사 구간에 설치된 맨홀 상부에 연막 공급장치를 설치하는 연막 공급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연막 공급장치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확산연막살충제를 투입하고 연막 공급장치를 가동시켜 하수관의 검사 구간에 연막을 공급하면서 하수관을 오접검사 및 방역하는 오접검사 및 방역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의하면, 확산연막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를 행하는 동시에 하수관 내 살충 방역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확산연막살충제가 하수관 내에 골고루 퍼지게 됨에 따라 해충 및 해충의 알 등을 박멸하여 방역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대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상류 측 에어팩커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하류 측 에어팩커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연막 공급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연막 공급장치에 대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는, 연막제 성분과 살충제 성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연막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살충제 5~1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막제 성분은,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 15~30중량%; 글리세린 25~35중량%; 물 30~50중량%; 계면활성제 1~3중량%; 및 향료 3~4.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은 상기 글리세린과 함께 가열됨에 따라 기화되면서 연막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식물성 오일로써 사용된다. 또한, 상기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은 해충의 호흡 및 지방대사를 방해하여 살충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이 1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연막 발생이 적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3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글리세린은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글리세린이 2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연막 발생이 적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3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점도가 높아져 연막 공급장치(30)의 노즐이 막힐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물은 정제수가 사용된다. 상기 물이 3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의 점도가 높아져 바람직하지 못하며, 5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상기 글리세린과 상기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의 농도가 낮아져 연막 발생이 적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이 상기 물과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환경 호르몬의 위험이 없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알킬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민,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상기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과 상기 물이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3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향료는 연막 발생시 발생하는 기름 냄새를 줄이되 향취를 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향료로서 커피향, 아카시아향, 허브향 등 다양한 종류의 향기가 발생하는 향료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향료가 3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향취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4.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비용이 상승하고 다른 성분들의 물성이 저해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살충제 성분은 상기 연막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5~15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살충제는 퍼메트린, 트리데실알코올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충제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살충제는, 퍼메트린 15~35중량%; 트리데실알코올 10~50중량%; 이소파임 5~20중량%; n-메틸피롤리돈 5~20중량%; 디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5~20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 10~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퍼메트린은 곤충을 죽이는 꽃으로 알려진 제충국(국화과의 꽃)의 가루를 염소 처리한 합성물로서 살충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는 성분이다. 상기 퍼메트린은 곤충에 대하여 넉다운(knockdown) 활성 및 살충기능과 함께 방충성을 나타내는 합성 피레트로이드(pyrethroid)이다. 천연 화합물 및 이의 합성 제조된 동족체 모두를 포함하여 피레트로이드는 진드기, 바퀴벌레, 집파리, 모기, 흑파리, 벼룩, 및 기타 날아다니거나 기어다니는 곤충과 같은 각종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상기 트리데실알코올, 이소파엠 및 n-메틸피롤리돈은 유기용매로서 사용된다.
상기 디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은 산화방지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디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이 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산화 방지 효과가 미미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2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살충제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가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상기 퍼메트린이 유기용매와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3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가 10~30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경우 연막에 포함된 입자의 크기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확산 범위가 넓으면서 우수한 효율을 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연막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트르산 5~20중량부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2~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르산은 약 유기산으로 자연에서는 감귤, 레몬 등에서 주로 발견되는 물질이다. 상기 시트르산은 식품의 감미제나 방향제로 사용되며, 살균 효과가 있어서 친환경 살균제로도 널리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르산은 향료 및 살균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시트르산은 하수관 내의 녹을 분해하는 작용을 하여 하수관을 세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시트르산이 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그 효능이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살충제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로서 주로 이용되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산화되기 쉬운 화합물의 안정화를 돕고,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주며, 세정 및 탈취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살충제의 안정화를 돕고, 하수관 내벽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며, 하수관 내의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이 2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그 효능이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살충제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연막제 성분과 살충제 성분을 섞어 혼합 교반하면 성분들 중 대부분은 혼합 및 용해가 이루어지게 되나, 일부에서는 용해과정에서 알코올, 에틸 성분 등으로 화합이 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일부 화합이 되더라도 전혀 다른 물질로 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분위기에서 가열에 의해 물질 본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결합되었다가 확산용 연무 생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비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물질 결합 사슬이 쉽게 끊어지는 정도가 되게 하여 당해 성분 고유의 특성은 소실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가 조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에 의하면,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연막살충제가 널리 확산되는 것에 의해 하수관 내에 고루 퍼지게 됨에 따라 방역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대한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상류 측 에어팩커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하류 측 에어팩커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연막 공급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사용되는 연막 공급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은 크게 상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S10), 하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S20), 연막 공급장치 설치단계(S30) 및 오접검사 및 방역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서 상류 측 하수관 내부에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2)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통수관(15)을 갖는 상류 측 에어 팩커(1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하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S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서 하류 측 하수관 내부에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2)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통수관(25)을 갖는 하류 측 에어 팩커(2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상류 측 에어팩커(10)는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서 상류 측 위치에 내 삽입 설치하여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2)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검사 구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 개폐하는 통수관(15)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류 측 에어 팩커(20)는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서 하류 측 위치에 내 삽입 설치하여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2)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검사 구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 개폐하는 통수관(25)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류 측 에어 팩커(10)와 하류 측 에어 팩커(20)는 에어 충진에 의해 신축 작동하는 주름관 형태의 고무 재질로 형성하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에어 충진 또는 빼기를 위한 에어 니플(12)(22)과, 고정 설치를 위한 고정링(13)(23)이 구비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 측 에어 팩커(10)의 통수관(15)은, 에어 팩커 내부를 관통되게 삽입 설치되되 상류 측 위치에 상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부로 돌출된 유입구(16)와, 하류 측 위치에 수평으로 개구되고 하수 흐름에 따라 상하 개폐되는 뚜껑(18)이 설치된 유출구(17)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6)로 오버 플로우되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검사 구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 측 에어 팩커(20)의 통수관(25)은, 에어 팩커 내부를 관통되게 삽입 설치되되 상류 측 위치에 수평으로 개구되는 유입구(26)와, 하류측 위치에 상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부로 돌출되며 하수 흐름에 따라 상하 개폐되는 뚜껑(28)이 설치되는 유출구(27)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26)로 유입되어 오버 플로우되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검사 구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류 측 에어 팩커(10)와 하류 측 에어 팩커(20)는 원통 형상으로 하수관의 상류 측과 하류 측 위치를 밀폐 차단하고 하수의 흐름에 따라 검사 구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류 측 에어 팩커(10)의 통수관(15)의 유입구(16)와 하류 측 에어 팩커(20)의 통수관(25)의 유출구(27)는 상단을 경사 형성하여 하수의 유입, 유출이 더욱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막 공급장치 설치단계(S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 설치된 맨홀(5)의 상부에 연막 공급장치(3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연막 공급장치(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5)의 상부에 차단 설치되는 커버판(31)과, 상기 커버판(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막을 발생하는 연막 발생기(33) 및, 상기 커버판(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막 발생기(33)에서 발생되는 연막을 하수관(2)으로 압송 공급하는 브로워(35)를 일체 형성하여 간편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로서, '32'는 연막 발생기(33)에서 발생된 연막을 맨홀 내부로 주입하되 내부에 가열 코일이 내장되는 연막 배출구, '37'은 엔진(36)의 연료통, '37a'는 연료 주입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오접검사 및 방역 단계(S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막 공급장치(30)에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를 투입하고 연막 공급장치(30)를 가동시켜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 연막을 공급하면서 하수관(2)을 오접검사 및 방역을 함께 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에서는 하수관(2)의 검사 구간 상류 측과 하류 측을 차단한 상태에서 연막 공급장치(30)의 연막 발생기(33)에서 발생되는 연막을 브로워(35)에 의해 하수관(2) 내부로 압송 공급하여 연막의 지중 누출을 확인하면서 하수관(2)의 오접부위 및 크랙을 부위를 검사하는 오접검사를 실시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확산연막살충제에 함유된 살충 성분에 의해 하수관(2)의 방역 작업을 함께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확산연막살충제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에 의하면,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연막이 하수관 내에 고루 퍼지게 됨에 따라 방역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 오접검사 및 동시 방역을 행하는 방법에 의하면, 동시에 행하는 오접검사 및 방역 과정에서 하수관(2)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상류 측 하수는 상기 상류 측 에어팩커(10)의 통수관(15)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통수관(15)의 유입구(16)는 상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류 측 하수가 오버 플로우되어 통수관(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수관(15)으로 유입된 하수는 상류 측 에어팩커(10)의 유출구(17)를 차단하고 있는 뚜껑(18)이 하수의 흐름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것에 의해 통수관(15)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류 측 에어팩커(10)를 통과한 하수는 다시 하류 측 에어팩커(20)의 통수관(25)을 통해 하류 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수관(25)의 유입구(26)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 하수가 통수관(25)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수관(25)으로 유입된 하수는 하류 측 에어팩커(20)의 유출구(27)를 통해 오버플로우 될 때에 상기 유출구(27)를 차단하고 있는 뚜껑(28)을 밀어내면서 통수관(25)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하수관(2) 내부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면서 하수가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 하수관 5 : 맨홀
10 : 상류 측 에어팩커 12 : 니플
13 : 고정링 15 : 통수관
16 : 유입구 17 : 유출구
18 : 뚜껑 20 : 하류 측 에어팩커
22 : 니플 23 : 고정링
25 : 통수관 26 : 유입구
27 : 유출구 28 : 뚜껑
30 : 연막 공급장치 31 : 커버판
33 : 연막 발생기 35 : 브로워

Claims (5)

  1. 하수관 내부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연막제 성분과 살충제 성분이 혼합되어 조성되며, 상기 연막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살충제 5~15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막제는, 팜유 또는 바이오디젤 15~30중량%; 글리세린 25~35중량%; 물 30~50중량%; 계면활성제 1~3중량%; 및 향료 3~4.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살충제는, 상기 퍼메트린 25~35중량%; 상기 트리데실알코올 10~40중량%; 상기 이소파임 5~20중량%; 상기 n-메틸피롤리돈 5~20중량%; 상기 디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5~20중량%; 및 상기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에테르 10~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막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트르산 5~20중량부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2~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2. 제1항의 확산연막살충제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으로서,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서 상류 측 하수관 내부에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2)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통수관(15)을 갖는 상류 측 에어 팩커(10)를 설치하는 상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S10);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서 하류 측 하수관 내부에 에어 충진으로 하수관(2)을 차단하되 하수의 흐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통수관(25)을 갖는 하류 측 에어 팩커(20)를 설치하는 하류 측 하수관 차단단계(S20);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 설치된 맨홀(5)의 상부에 연막 공급장치(30)를 설치하는 연막 공급장치 설치단계(S30); 및
    상기 연막 공급장치(30)에 제1항의 확산연막살충제를 투입하고 연막 공급장치(30)를 가동시켜 하수관(2)의 검사 구간에 연막을 공급하면서 하수관(2)을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실시하는 오접검사 및 방역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86037A 2021-12-23 2021-12-23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KR10244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037A KR102440617B1 (ko) 2021-12-23 2021-12-23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037A KR102440617B1 (ko) 2021-12-23 2021-12-23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617B1 true KR102440617B1 (ko) 2022-09-06

Family

ID=8328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037A KR102440617B1 (ko) 2021-12-23 2021-12-23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6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661B1 (ko) * 2011-06-13 2011-11-22 임덕교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KR20120106015A (ko) * 2011-03-17 2012-09-26 송해청 도관 누설 감지용 시스템 장비
KR101725819B1 (ko) 2016-12-19 2017-04-11 안희섭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869197B1 (ko) * 2017-06-19 2018-06-19 최명신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015A (ko) * 2011-03-17 2012-09-26 송해청 도관 누설 감지용 시스템 장비
KR101085661B1 (ko) * 2011-06-13 2011-11-22 임덕교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KR101725819B1 (ko) 2016-12-19 2017-04-11 안희섭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869197B1 (ko) * 2017-06-19 2018-06-19 최명신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ser et al. Alarm pheromones of the ant Atta texana
JP6887342B2 (ja) アリ忌避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アリ忌避製品
US11330812B2 (en) Mosquito trapping device
KR20070074062A (ko)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KR102440617B1 (ko)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US7320439B2 (en) Self-contained insect repelling and killing apparatus
WO2004071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sts
US20110064834A1 (en) Novel pest repell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101850733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808687B1 (ko) 제충국 균일 혼입 및 투입량 조절이 용이한 oh 라디칼수 플라즈마 오존 살균장치
US20050066537A1 (en) Abatement of contamination present in structures
US20180014531A1 (en) Sprayable gelling animal attractant
KR101850734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JP7110026B2 (ja) 巣から逃散させる害虫駆除方法および害虫駆除剤
AU2016227020A1 (en) Water-based insecticidal composition to be vaporized and diffused by being heated, and method for vaporizing and diffusing said composition by heating
US20110236589A1 (en) Novel pest repellant and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6485827B1 (ja) 害虫の殺虫施設及びその殺虫施設を用いた植物体の殺虫方法
KR101610667B1 (ko) 악취저감 시스템
US20140199257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Toilet Odor Containing Polypropylene Glycol as a Reactive Gas Barrier
NL2022024B1 (nl) Ontsmettingseenheid en toepassing van de ontsmettingseenheid.
KR101974131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1974132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0475080Y1 (ko) 초파리 트랩
US109454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adicating mosquito eggs
US20060278170A1 (en) Method for removing unwanted animals and their attract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