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197B1 -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197B1
KR101869197B1 KR1020170077329A KR20170077329A KR101869197B1 KR 101869197 B1 KR101869197 B1 KR 101869197B1 KR 1020170077329 A KR1020170077329 A KR 1020170077329A KR 20170077329 A KR20170077329 A KR 20170077329A KR 101869197 B1 KR101869197 B1 KR 101869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weight
parts
agent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신
최유신
Original Assignee
최명신
최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신, 최유신 filed Critical 최명신
Priority to KR102017007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연막확산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a) 에스테르오일; b) 바이오오일 또는 미네랄오일; c)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가 유화 혼합된 식물성 연막확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따르면, 연막 분사량의 최적화뿐만 아니라 연막확산제와 함께 사용되는 약품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연막확산제의 제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며, 연막확산제에 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완성된 연막확산제의 부피가 크게 줄어 제품의 포장 단위 소량화가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통단계에서의 저장 공간과 물류처리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소비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A vegetable smoke fogging agent for environment-friendly disease prevention meth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막 분사량의 최적화뿐만 아니라 연막확산제와 함께 사용되는 약품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연막확산제의 제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며, 연막확산제에 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완성된 연막확산제의 부피가 크게 줄어 제품의 포장 단위 소량화가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통단계에서의 저장 공간과 물류처리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소비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병충해와 각종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이 증가하고, 글로벌화의 영향으로 사람과 동식물의 이동이 빈번하며, 인구증가로 대규모 농축산 생산업이 발달함에 따라서 전 지구적으로 사람과 동식물에 발생하는 질병과 전염병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방역 및 방제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안이 마련되지 않아 각종 전염병의 창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방역, 방제 약품의 희석 및 살포 방법에는 물 분무식과 가열 연무식 또는 가열 연막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물에 약품을 희석하여 분무기로 분사하는 물 분무식 살포방법은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살포 효율이 떨어지고 그 약효도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서, ULV나 동력식 분무기 또는 광역살포기 등과 같은 기계식 분무장치의 개선을 통해서 보다 넓은 면적에 살포되는 원리로 발전해 왔으나, 이 방법은 단위 면적에 대해서 많은 양의 약품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물과 약품의 희석비율이 수백에서 수천 배에 이르기 때문에 분무기로 분사하는 대부분의 노력이 약제의 살포라는 본래의 목적 보다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을 살포하게 되어 많은 노동력과 많은 약품 비용을 투입하고서도 실제적으로는 그 약효가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와 같은 물 분무식 약품살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열에 의한 연무식 또는 연막식 약품살포 기술이 개발되었다. 가열 연무식 살포방법의 경우 물에 약품을 희석한 것을 가열식 연무기계를 통해서 분사하는 것인데, 기계에서 분사되는 물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서 물 분무식으로 분사하는 방법에 비해서 약간의 살포효율 개선에 그치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물과 약제를 희석할 때 통상 연무확산제라 일컫는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점도가 높은 액상 원료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분사액의 비산거리와 체공시간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고안되어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연무 확산제의 점성이 높아서 많은 양을 첨가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비산 및 확산성에 있어서 크게 개선이 이루어지지는 않아서 약품의 살포효율 면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경유나 등유와 같은 석유류 액체에 약품을 희석하여 가열식 연막기로 희석액을 가열하여 분사하는 연막살포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석유류에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높은 독성과 발암성을 가진 환경오염 및 인체 유해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분사되므로 사람과 동식물의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방법이며, 가열 연막기계장치 내에서 고온으로 기화되는 과정에서 석유류의 인화성이 높아 기계의 가열부 온도를 약제의 인화점 이상의 고온으로 끌어올림(over heating)으로써 여기에 희석된 약제가 대부분 열기에 타기 때문에(over burning) 살충효과나 살균소독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석유류 연막살포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려고 동식물성 기름 또는 수송연료용 바이오디젤(BD100)을 연무연막확산제 조성물의 주원료로 사용하여 석유류의 기화 연막제 역할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어왔으며, 국내 선행특허로 몇 가지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행특허는 연막확산제로서 요구되는 두 가지 핵심기능인 확산성과 약효작용 중 연막의 발생량 증대에 의한 확산성에 있어서는 양호한 역할을 발휘하나 약효작용 기능에 있어서는 분사되는 연막 속에 기화가 되지 않고 미세한 입자로 분사되어야 하는 약제 성분의 크기와 흡착성 등에 있어서는 다소 미흡한데, 이는 조성물의 선택에 있어서 연막확산제로서의 핵심기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또한,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조성물의 주성분에 물이 포함됨으로써 불필요하게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그 제조 과정이 혼합 조성물의 온도를 상승시켜야 하고 고속으로 장시간 교반과 숙성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혼합교반 방법이 비효율적이어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이오디젤과 물을 계면활성제로 혼합한 선행특허(한국특허 등록번호 10-0930653)에서는 바이오디젤(BD100) 67~75중량%를 사용하고, 물을 28~22중량%를 사용하였는데, 바이오디젤은 연막기계에서 기화되는 비율이 너무 높아서 석유류(경유, 등유)를 연막제로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막 분사량은 많으나 기화율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분사되는 연막의 입자가 작고 가벼워 공중에서 하늘로 솟아오르며 소실이 되고 또한 연막 속에 기화가 되지 않고 미세한 입자로 분사되어야 하는 유효 약제 성분이 적어져서 약효의 발휘도 미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동식물성 정제유와 물을 전분으로 혼합한 선행특허(한국특허 등록번호 10-098469)에서는 20~30중량%의 동식물성 정제유를 사용하고, 50~70중량%의 물을 사용하였는데, 동식물성 정제유는 촉매반응을 거쳐서 그 화학적 구조를 경유와 같이 변환한 바이오디젤에 비해서 연막 발생 성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연막 속에 포함되어야 하는 기화되지 않은 유효 약제 성분도 적어져서 약효의 발휘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바이오디젤과 글리세린과 물을 계면활성제로 혼합한 선행특허(한국특허 등록번호 10-1085661)에서는 선행특허(등록번호 10-0930653)에 비해 바이오디젤의 조성비를 낮추고 글리세린을 조성물의 주요성분으로 포함시켜 연막발생 양을 다소 줄이고 연막 속에 분사되는 유효 약제성분이 유지되도록 하였으나, 글리세린은 점도가 높아서 다른 조성물들과 유화된 이후에도 분사된 연막 내에서 유효 약제성분의 입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방역시 차량 등에 과도하게 흡착이 되어 민원발생 소지가 있고 살균 및 살충제를 사용한 경우 유효 입자의 크기를 더 줄이지 못함으로써 그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바이오디젤 또는 식물성 기름과 글리세린과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수산화나트륨과 물을 혼합한 선행특허(한국특허 등록번호 10-1151383)에서는 앞에 언급한 선행특허들에서의 제약사항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막확산제로서의 기능(연막발생 또는 약효전달)을 발휘하는 데에 불필요한 원료들(에탄올 또는 메탄올, 수산화나트륨 등)이 다량 주요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들에서는 모두 물을 조성물의 주원료로 다량 포함하고 있어서 이 때문에 부피가 커서 생산-보관-유통-소비자 취급 등 전반적인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조성물을 혼합하는 교반방법에 있어서, 교반기 내에서 혼합조성물의 온도를 35~80 ℃ 내외로 올린 상태에서 적어도 1,000~3,000 rpm 이상 고속의 회전속도로 장시간(2~48시간) 반복적인 교반 또는 숙성하는 과정이 필요한 방법들이어서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연막확산제로서의 주요기능인 적당한 수준의 연막발생 분사량과 약품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기화되지 않고 에어로졸 형태로 분사되는 유효 입자의 미세한 크기 조절이 필요하고, 혼합되는 원료의 점도 조절로 흡착문제 개선과 더불어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단순화 및 생산성 향상, 제품의 단위 부피 감소 등의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001: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930653 (연무 확산제) 특허문헌 002: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98469 (전분이 함유된 친환경 연무확산제) 특허문헌 003: 한국특허 등록번호 10-1085661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특허문헌 004: 한국특허 등록번호 10-1151383 (공간살포 방역소독유용 친환경 식물성기유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막확산제의 구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분사시 적절한 양의 연막 발생과 기화되지 않고 분사되는 유효 미세입자의 크기와 양을 최적화하여 약효를 발휘함에 있어서 최상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연막확산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연막확산제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주원료서의 물을 포함하지 않는 농축된 연막확산제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단위부피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물류비의 절감과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저장안정성이 높으며, 사용자가 물과 혼합하여 사용시 혼합이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막확산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막확산제의 제조 방법을 획기적으로 단순화하여 종래의 제조방법들이 별도의 온도 상승과정이 필요하고 고속에서 장시간 교반 및 숙성과정이 필요한 것과 달리 온도상승 과정 없이 상온 또는 실온 상태에서 단시간에 저속교반을 통하여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연무 또는 연막확산제가 약품의 희석을 사용자가 사용단계에서 실시하도록 하는 것과 달리 연막확산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약품들을 조성물의 일부로 포함시켜 혼합함으로써 연막확산제를 사용하려는 용도에 맞는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만들고 사용단계에서는 적용 분야별로 현장 사용자가 권장사용 기준에 따르는 물만 희석하여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연막확산제의 살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에스테르오일;
b) 바이오오일 또는 미네랄오일;
c)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
가 유화 혼합된 식물성 연막확산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a) 에스테르오일 5 내지 30 중량부;
b) 바이오오일 10 내지 60 중량부 또는 미네랄오일 5 내지 30 중량부;
c) 글리세린 10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5 내지 30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 1 내지 10 중량부;
가 유화 혼합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연막확산제에 포함된 물의 함량은 10 중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 5 중량부 이하이며, 더더욱 바람직하기로 1 중량부 이하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에스테르오일: 바이오오일: 글리세린의 중량비가 1: 1-3.8: 1-3.8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에스테르오일은 C13- C22의 지방산과 (C1-3)C6-10의 알코올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 또는 C13- C22의 알코올과 (C1-3)C6-10의 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에스테르오일은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d)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스터(Modified Polyoxyethylene Alkyl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Modified Polyoxyethylene Alkyl Ether),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Modified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Sorbitan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약효 성분인 살충제, 살균제, 살균소독제, 탈취제, 미생물제, 미네랄제 및 식물영양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기 내에서 a) 에스테르오일; b) 바이오오일 또는 미네랄오일; 및 d) 유화제를 1차 혼합한 후 c)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을 2차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혼합시 교반속도는 30 내지 500 rpm이며, 교반시간은 5 내지 20분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혼합시 a) 에스테르오일 5 내지 30 중량부; b) 바이오오일 10 내지 60 중량부 또는 미네랄오일 5 내지 30 중량부; c) 글리세린 10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5 내지 30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1차 혼합 또는 2차 혼합시 약효 성분인 살충제, 살균제, 살균소독제, 탈취제, 미생물제, 미네랄제 및 식물영양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더욱 혼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막확산제를 물과 1: 1.5-2.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의 살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막확산제로서 요구되는 두 가지 기능 중 연막 분사량의 최적화뿐만 아니라 기화되지 않고 연막 속에 포함되어 분사되는 에어로졸 형태의 유효 약제성분의 미세입자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적절한 수준의 흡착 기능을 발휘하도록 조성물의 혼합비율을 최적화하여 연막확산제와 함께 사용되는 약품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연막확산제의 혼합방법이 실온 또는 상온에서 저속의 교반속도로 짧은 시간에 손쉽게 이루어져 연막확산제의 제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며, 연막확산제에 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완성된 연막확산제의 부피가 크게 줄어 제품의 포장 단위 소량화가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통단계에서의 저장 공간과 물류처리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소비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a) 에스테르오일; b) 바이오오일 또는 미네랄오일; c)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가 유화 혼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a) 에스테르오일을 포함하여 연막확산제의 연막확산성과 연막확산제에 포함되는 약재의 약효성분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연막확산제에 포함되는 바이오오일, 미네랄오일,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유화제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물이 없이도 혼합이 용이하며, 혼합 이후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자가 연막확산제를 물과 혼합하여 사용시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이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a) 에스테르오일 5 내지 30 중량부; b) 바이오오일 10 내지 60 중량부 또는 미네랄오일 5 내지 30 중량부; c) 글리세린 10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5 내지 30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 1 내지 10 중량부;가 유화 혼합된 것이 좋다. 이 경우 연막확산제의 연막확산성과 연막확산제에 포함되는 약재의 약효성분을 극대화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또한 상기 연막확산제에 포함된 물의 함량은 전혀 포함되지 않거나 10 중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5 중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1 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연막확산제는 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완성된 연막확산제의 부피가 크게 줄어 제품의 포장 단위 소량화가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통단계에서의 저장 공간과 물류처리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스테르오일, 바이오오일, 미네랄오일,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유화제는 연막확산제에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에스테르오일은 C13- C22의 지방산과 (C1-3)C6-10의 알코올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 또는 C13- C22의 알코올과 (C1-3)C6-10의 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 바이오오일, 미네랄오일,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유화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에스테르오일은 세칠에틸헥사노에이트인 것이 좋으며, 이 경우 연무의 확산성과 약효성을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오일의 구체적인 예로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 연막확산제에 사용되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경우 고순도가 필수적으로 요청되었으나, 본 발명의 연막확산제의 경우 에스테르오일의 동시사용으로 인하여 정제한 폐식용유 등 비교적 저순도의 지방산메틸에스테르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d)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스터(Modified Polyoxyethylene Alkyl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Modified Polyoxyethylene Alkyl Ether),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Modified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Sorbitan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연막확산제는 에스테르오일, 바이오오일, 글리세린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상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바이오오일: 글리세린의 중량비가 1: 1-3.8: 1-3.8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연막확산제의 연막확산성과 연막확산제에 포함되는 약재의 약효성분을 극대화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며, 물이 없이도 혼합이 용이하며, 혼합 이후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자가 연막확산제를 물과 혼합하여 사용시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연막확산제와 동시 사용이 가능한 약효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효성분은 살충제, 살균제, 살균소독제, 탈취제, 미생물제, 미네랄제 및 식물영양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약효성분의 함량은 당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각각 독립적으로 0.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교반기 내에서 도 1과 같이 교반기 내에서 a) 에스테르오일; b) 바이오오일 또는 미네랄오일; 및 d) 유화제를 1차 혼합한 후 c)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을 2차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별도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혼합시 교반속도는 30 내지 500 rpm이며, 교반시간은 5 내지 20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성 연막확산제는 종래의 연막확산제의 제조에 필수적이었던 고속고온교반이 없이 제조됨으로써 연막확산제의 제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약효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혼합시 a) 에스테르오일 5 내지 30 중량부; b) 바이오오일 10 내지 60 중량부 또는 미네랄오일 5 내지 30 중량부; c) 글리세린 10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5 내지 30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을 사용한다.
또한 약효성분으로 상기 1차 혼합 또는 2차 혼합시 살충제, 살균제, 살균소독제, 탈취제, 미생물제, 미네랄제 및 식물영양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더욱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지용성 약효성분은 상기 1차 혼합과정에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수용성 약효성분은 2차 혼합과정에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약재의 약효성분을 극대화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며, 혼합 이후 저장안정성이 더욱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막확산제는 사용자가 상기 연막확산제를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연막확산제를 물과 혼합은 1: 1.5-2.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연막확산제의 연막확산성과 연막확산제에 포함되는 약재의 약효성분을 극대화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또한 물을 넣기 전 연막확산제는 연노랑의 오일컬러이고 물을 희석한 후에는 흰색으로 변화되며, 사용단계에서 물을 희석하여 사용한 후 남은 양을 그대로 보관하여도 상당기간 유화안정성이 확보되어 이후에 재차 사용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완성품 1,000ml를 제조하는 조성물의 구성비를 8가지로 실시한 것이며, 이를 표 1에 정리하였다. 혼합은 도 1에 나타난 과정을 따랐다.
실시예 1-1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200ml, 지방산메틸에스테르 400ml와 유화제 5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35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2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200ml, 지방산메틸에스테르 300ml와 유화제 5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45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3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50ml, 지방산메틸에스테르 400ml와 유화제 5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40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4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50ml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320ml와 유화제 6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320ml와 솔비톨 15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5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ml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220ml와 미네랄오일 150ml와 유화제 6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320ml와 프로필렌글리콜 15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6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ml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260ml와 미네랄오일 100ml와 유화제 8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5분간 속도로 혼합한 후 글리세린 260ml와 솔비톨 100ml와 프로필렌글리콜 10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7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ml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150ml와 미네랄오일 150ml와 유화제 8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250ml와 솔비톨 150ml와 프로필렌글리콜 12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8에서는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200ml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200ml와 미네랄오일 60ml와 유화제 8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200ml와 솔비톨 200ml와 프로필렌글리콜 6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함량비율(중량부)
(1) (2) (3) (4) (5) (6) (7) (8) (9)
1-1 20 40 35 5
1-2 20 30 45 5
1-3 15 40 40 6
1-4 15 32 32 15 6
1-5 10 22 15 32 15 6
1-6 10 26 10 26 10 10 8
1-7 10 15 15 25 15 12 8
1-8 20 20 6 20 20 6 8
2 10 35 35 6 10
3 10 35 35 6 10
주) 조성물 명칭 : (1)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2)지방산메틸에스테르, (3)미네랄오일, (4)글리세린, (5)솔비톨, (6)프로필렌글리콜, (7)유화제, (8)살충제, (9)탈취제
<실시예 2>
실시예 2는 살충제를 첨가한 연막확산살충제 조성물이며, 유제인 살충제 100ml와 유화제 6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2분간 혼합한 후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ml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350ml를 넣고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다음 글리세린 350ml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8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탈취제를 첨가한 연막확산탈취제 조성물이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ml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350ml와 유화제 60ml를 교반기에서 50rpm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한 후 글리세린 350ml와 수용성 탈취제를 투입하여 150rpm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였다.
다음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연막확산제로 실험을 실시한 것이다.
<실험예 1>
실험예 1에서는 실시예 1-1 내지 1-8과 실시예 2와 3에 대하여 유화안정성 확인, 연막분사량 확인, 살충력 확인의 3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유화안정성 확인
실시예 1 내지 3의 완성품 10종을 각각 투명한 용기에 담아서 그늘진 실내에 7일간,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옥외 장소에 7일간 두고 관찰한 결과 모두 조성물간의 재료분리나 색상의 변화 등 눈에 띄는 성상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유화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연막분사량 확인
실시예 1 내지 3의 완성품을 각각 연막확산제 : 물 = 1 : 2의 중량비율로 희석한 후 가열식 휴대용 연막기에 넣고 분사하여 연막분사량과 분사된 연막의 질적인 특성을 관찰한 결과 모두 연막의 발생량과 직진확산성이 우수하였고, 연막 분사구로부터 2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분사된 연막 내에 포함된 유효 미세입자의 크기와 양을 관찰한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살충력 확인
상기 연막분사량 확인과 병행하여 진딧물에 대한 살충력 실험을 실시하였고, 살충제는 합성 피레트로이드 계열의 퍼메트린 제재를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1 내지 1-8은 연막확산제 : 물 : 살충제 = 1 : 2 : 0.15의 중량비율로 희석하고 실시예 2는 완성품 : 물 = 1 : 2의 중량비율로 희석하여 살충제의 희석비를 약 5% 정도로 하였으며, 비교예 1은 경유에 동일한 살충제를 5중량%로 희석한 것이고, 비교예 2는 종래의 연무연막제로 바이오디젤 30중량부, 글리세린 30중량부, 물 31중량부, 계면활성제 4중량부, 살충제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추, 겨자채, 깻잎 등 쌈채소류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에서 진딧물이 다발생 한 곳을 선정하여 채소 잎 뒷면에 30~50마리 정도의 진딧물이 서식하는 것을 선별하여 떼어다가 휴대용 연막기의 분사구에서 약 5미터 떨어진 거리에 설치한 후 10초씩 3회 연막을 분사한 후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살충력을 확인하였고, 살충제에 접촉된 후 서서히 죽어가는 진딧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살포 후 약 6시간 경과 후 최종 생존개체수를 확인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93% 이상의 살충율을 보여 우수한 방제효과가 확인되었고, 비교예 1과 2에 비해서도 현저하게 그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처리 전 처리 후
생존 개체수 생존 개체수 살충율(%)
1-1 32 2 93.8
1-2 43 2 95.3
1-3 36 0 100.0
1-4 34 1 97.1
1-5 42 0 100.0
1-6 30 0 100.0
1-7 46 3 93.5
1-8 32 0 100.0
2 34 1 97.1
비교예 1 39 28 28.2
비교예 2 41 11 73.2
<실험예 2>
실험예 2는 위생해충 구제를 위한 방역 용도로서의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대상 해충은 모기, 개미, 날파리 등이며 각각의 해충을 포집하여 촘촘한 매쉬로 짜여진 망에 넣고 휴대용 연막기의 분사구로부터 약 5미터 거리에 설치하였다.
이 살충실험에서는 실시예 1-3과 1-8, 실시예 2, 그리고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살포 후 약 1시간 경과 후 최종 생존개체수를 확인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95% 이상의 살충율을 보여 우수한 방제효과가 확인되었고, 비교예 1과 2에 비해서도 현저하게 그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모기 개미 버섯파리
처리 전/후 생존 개체수 살충율(%) 처리 전/후 생존 개체수 살충율(%) 처리 전/후 생존 개체수 살충율(%)
1-3 10/0 100.0 20/0 100.0 20/0 100.0
1-8 10/0 100.0 20/1 95.0 20/0 100.0
2 10/0 100.0 20/0 100.0 20/0 100.0
비교예 1 10/4 60.0 20/9 55.0 20/8 60.0
비교예 2 10/1 90.0 20/3 85.0 20/3 73.2
<실험예 3>
실험예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막확산탈취제로서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악취가 발생한 건물의 실내나 자동차 내부, 냉난방 공조기기 및 배관설비 내부, 축사나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비료공장 등 다양한 악취발생시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악취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돈사 시설 중 분뇨처리장과 위생이 불량한 다중이용화장실을 선정하여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과 상기 실험에서와 동일한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10%의 탈취제를 섞어서 휴대용 연막기로 동일한 양을 분사하였고,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살포하기 전과 살포 30분 경과후에 악취도를 10점 척도(가장 심한 악취는 10점, 악취가 전혀 없는 경우 1점)로 평가하도록 하여 그 평균점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취효과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비교예 1과 2에 비해서도 현저하게 그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돈사 내 분뇨처리장 화장실
처리 전 처리 후 처리 전 처리 후
3 10 4.3 6.8 3.1
비교예 1 10 8.5 7.2 5.7
비교예 2 10 5.5 6.6 5.3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a)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5 내지 30 중량부;
    b) 지방산메틸에스테르 10 내지 60 중량부;
    c) 글리세린 10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5 내지 30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
    d) 유화제 1 내지 10 중량부;
    가 유화 혼합되어 있으며,
    물의 함량은 10 중량부 이하인 식물성 연막확산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오일: 바이오오일: 글리세린의 중량비가 1: 1-3.8: 1-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스터(Modified Polyoxyethylene Alkyl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Modified Polyoxyethylene Alkyl Ether),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Modified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Sorbitan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
  8. 제1항에 있어서,
    살충제, 살균제, 살균소독제, 탈취제, 미생물제, 미네랄제 및 식물영양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
  9. 교반기 내에서 a)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5 내지 30 중량부; b) 지방산메틸에스테르 10 내지 60 중량부; 및 d) 유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1차 혼합한 후 c) 글리세린 10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5 내지 30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을 2차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식물성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시 교반속도는 30 내지 500 rpm이며, 교반시간은 5 내지 2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 또는 2차 혼합시 살충제, 살균제, 살균소독제, 탈취제, 미생물제, 미네랄제 및 식물영양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더욱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
  13. 제1항,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연막확산제를 물과 1: 1.5-2.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연막확산제의 살포방법.
KR1020170077329A 2017-06-19 2017-06-19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6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29A KR101869197B1 (ko) 2017-06-19 2017-06-19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29A KR101869197B1 (ko) 2017-06-19 2017-06-19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197B1 true KR101869197B1 (ko) 2018-06-19

Family

ID=6279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329A KR101869197B1 (ko) 2017-06-19 2017-06-19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19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21B1 (ko) * 2018-09-27 2019-05-29 조재철 살진균/살충용 나노 에멀젼 조성물
KR102115780B1 (ko) * 2019-06-24 2020-05-27 삼비엔지니어링(주) 목초액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1430A (ko) 2019-06-28 2021-01-06 (주)엠제이폴리텍 색소가 첨가된 친환경 연무 확산제
KR102206649B1 (ko) * 2020-07-09 2021-01-22 (주)이에프하이드로 연무연막제, 이를 포함하는 살충제 및 탈취제, 상기 연무연막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연무연막제 제조장치
KR20210072270A (ko) 2019-12-09 2021-06-17 (주)이룸켐앤텍 고상 연무확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농축산물 처리방법
KR102412596B1 (ko) * 2022-01-21 2022-06-22 이지희 친환경 가열식 분무용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활용 방법
KR20220111431A (ko) 2021-02-02 2022-08-09 금강실리테크(주) 사용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연막확산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0617B1 (ko) * 2021-12-23 2022-09-06 승탑건설(주)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KR102511470B1 (ko) * 2022-07-20 2023-03-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489A (ko) * 2000-03-29 2001-10-29 허원기 무공해 연무확산제
KR100930653B1 (ko) * 2008-08-28 2009-12-09 주식회사 그린바이오매스 연무 확산제
KR100998469B1 (ko) * 2010-01-13 2010-12-06 늘푸른(주) 전분이 함유된 친환경 연무확산제
KR20130044281A (ko) * 2013-04-12 2013-05-02 고정길 단당류를 함유한 방역용 연무 확산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489A (ko) * 2000-03-29 2001-10-29 허원기 무공해 연무확산제
KR100930653B1 (ko) * 2008-08-28 2009-12-09 주식회사 그린바이오매스 연무 확산제
KR100998469B1 (ko) * 2010-01-13 2010-12-06 늘푸른(주) 전분이 함유된 친환경 연무확산제
KR20130044281A (ko) * 2013-04-12 2013-05-02 고정길 단당류를 함유한 방역용 연무 확산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21B1 (ko) * 2018-09-27 2019-05-29 조재철 살진균/살충용 나노 에멀젼 조성물
KR102115780B1 (ko) * 2019-06-24 2020-05-27 삼비엔지니어링(주) 목초액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1430A (ko) 2019-06-28 2021-01-06 (주)엠제이폴리텍 색소가 첨가된 친환경 연무 확산제
KR20210072270A (ko) 2019-12-09 2021-06-17 (주)이룸켐앤텍 고상 연무확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농축산물 처리방법
KR102206649B1 (ko) * 2020-07-09 2021-01-22 (주)이에프하이드로 연무연막제, 이를 포함하는 살충제 및 탈취제, 상기 연무연막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연무연막제 제조장치
KR20220111431A (ko) 2021-02-02 2022-08-09 금강실리테크(주) 사용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연막확산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74195A (ko) 2021-02-02 2023-12-27 금강실리테크(주) 사용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연막확산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0617B1 (ko) * 2021-12-23 2022-09-06 승탑건설(주)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을 동시에 하기 위한 확산연막살충제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검사 및 방역 방법
KR102412596B1 (ko) * 2022-01-21 2022-06-22 이지희 친환경 가열식 분무용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활용 방법
KR102511470B1 (ko) * 2022-07-20 2023-03-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19517A1 (ko) * 2022-07-20 2024-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197B1 (ko)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US8206763B2 (en) Insect repellent concentrate formulation
US20080274072A1 (en) Insect repellants and insecticides
AU2005333269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removing noxious materials malodors and microbes, and methods of use and preparation thereof
JP6887342B2 (ja) アリ忌避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アリ忌避製品
US20090169655A1 (en) Insect repellent formulation
CN111066808B (zh) 一种瓷砖防蟑剂及其制备方法、瓷砖防蟑方法、防蟑瓷砖
KR20180062787A (ko) 해충 및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CN102283242A (zh) 一种水基蚊香及其制备方法
JP2010138117A (ja) 飛翔害虫忌避剤及びこれを用いる飛翔害虫の忌避方法
KR101151383B1 (ko) 공간살포 방역소독유용 친환경 식물성 기유 및 그 제조방법
US4795637A (en) Rodent repellent powders
KR101888813B1 (ko) 식물성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제조방법
KR100456808B1 (ko) 무공해 연무확산제
CN101530079B (zh) 一种含有乙草胺的水乳剂
JP2012040417A (ja) 有機系消臭成分の効力増強剤、ならびにこれを配合した消臭剤
CN104206456A (zh) 环保型家用香薰水基杀虫剂
JP6086757B2 (ja) エアゾール型殺虫剤
KR102206649B1 (ko) 연무연막제, 이를 포함하는 살충제 및 탈취제, 상기 연무연막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연무연막제 제조장치
CN100382701C (zh) 顺式氯氰菊酯水乳剂及其制备工艺
JPH02207004A (ja) ゴキブリ忌避剤
CN114246183B (zh) 驱蟑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35215B1 (ko) 소독 및 해충 퇴치용 연막 조성물
US8753695B1 (en) Insect repellent formulation
CN102150690A (zh) 抑菌驱蚊绿色蚊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