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470B1 -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470B1
KR102511470B1 KR1020220089414A KR20220089414A KR102511470B1 KR 102511470 B1 KR102511470 B1 KR 102511470B1 KR 1020220089414 A KR1020220089414 A KR 1020220089414A KR 20220089414 A KR20220089414 A KR 20220089414A KR 102511470 B1 KR102511470 B1 KR 10251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co
fatty acid
e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군진
김건우
이지율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8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70B1/ko
Priority to PCT/KR2023/010391 priority patent/WO20240195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연막확산제는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40 내지 70중량부; 다가알코올 40 내지 12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20 내지 50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1 내지 1중량부; 및 물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Environmental-friendly thermal fogging ag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정성이 증가한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제/방역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스, 구제역, 조류독감, 신종플루, 각종수인성질병 등 전염병예방과 보건목적으로 일반화되어 있다. 또한 농업, 축산업, 임업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모기, 파리, 바퀴벌레 등 살충을 위해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전통적 방역/방제는 경유 또는 등유 (확산제로 사용)에 농약을 소량 혼합하여 휘발유 연소를 통해 얻은 열로 혼합액을 기화시켜 공중에 살포하는 가열연막(Thermal fogging)방식으로 시행되어 왔다. 기존 방법은 비산이 심해 농약성분이 공중에 소실되어 방역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환경호르몬과 유해물질을 배출하여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시야를 방해해 교통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막확산제는 연막 살포시 연기가 공중으로 소실되어 약효가 감소하는 단점과 유화안정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존재하여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9-0253578호(2009년 8월 8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정성이 증가한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연막확산제에 있어서,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40 내지 70중량부; 다가알코올 40 내지 12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20 내지 50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1 내지 1중량부; 및 물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디젤은 지방산메틸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유화제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및 데실글루코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산화안정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뷰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티셔리부틸히드로퀴논, L-에리쏘르빈산류, EDTA류, 몰식자산프로필,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 L-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갈산프로필 및 토코페릴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용유화제를 0.5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유화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유기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그릴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안정제 0.2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콜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50 내지 60중량부;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 50 내지 7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33 내지 43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3 내지 0.5중량부; 및 물 33 내지 43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50 내지 60중량부; 다가알코을 50 내지 7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33 내지 43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3 내지 0.5중량부; 및 물 33 내지 43중량부를 1차 혼합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후에 식용유화제를 0.5 내지 5중량부를 가한 후에 2차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1차 혼합 시의 온도는 상기 2차 혼합 시의 온도보다 높으며, 상기 2차 혼합은 10 내지 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이 증가한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유화안정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연막분사량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보관기간에 따른 산가 및 과산화물가 측정 시료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보관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보관기간에 따른 산가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산화안정제 유무에 따른 확산제 제조 시 변색여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실험에서의 측정시료와 파장별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연막살충력 실험에서 시간에 따른 녹다운 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비교예 3 내지 비교에 7에서의 층분리 및 고점도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기와 간격 등이 실제와 달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바이오디젤의 산화로 인한 변질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바이오디젤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어 산화되어 성상이 변화할 수 있고 특히 여름철과 같이 고온과 직사광선 환경에서 쉽게 산화가 일어날 수 있다. 산화되어 부패한 식물성 기름은 암을 유발할 수 있어 인체에 매우 해롭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화안정제를 포함하여 산패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연막확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연막확산제가 지닌 유화안정성의 문제를 개선하는 목표를 가지고 개발하였다. 기존의 연막확산제는 사용자가 물과 혼합 후 수 시간 내에 분리가 되어버리는 한계가 있어 사용자가 희석 후 바로 사용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농축액으로 제조함은 물론 희석 후에도 수일 동안 안정한 연막확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과 더불어 밀도와 점도가 높은 유화제를 채택하여 연막확산제의 입자를 더욱 무겁게 만들어 연막확산제의 효과를 극대화하다. 입자가 공중으로 소실되어 버리면 연막확산제와 약제의 낭비가 수반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입자를 무겁게 만들어 비산성을 줄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막확산제를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연막확산제는,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40 내지 70중량부 또는 50 내지 60중량부; 다가알코올 40 내지 120중량부 또는 50 내지 7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20 내지 50중량부 또는 33 내지 43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1 내지 1중량부 또는 0.3 내지 0.5중량부; 및 물 10 내지 50중량부 또는 33 내지 43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디젤은 지방산메틸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정제한 폐식용유, 팜유, 카놀라유, 대두유로부터 얻을 수 있다.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은 C13-C22의 지방산과 (C1-3)C6-10의 알코올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 또는 C13- C22의 알코올과 (C1-3)C6-10의 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디젤과 에스테르오일로 이루어진 유류성분 중량부와 글리세린의 중량비는 2~3:1일 수 있으며, 이 사용범위에서 확산기에서 살포하는 연막량이 극대화된다.
식물성 유화제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및 데실글루코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 성분은 과도하게 사용하면 확산제의 끓는점이 매우 높아져 확산제가 기화되지 못하여 확산기 노즐에서 다량의 액체가 배출이 된다. 이로 인해 연막확산제의 연막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글리세린 성분은 과소하게 사용하면 연막확산제의 끓는점이 낮아져 기화 후 응축되는 양이 감소하여 연막확산제의 일부가 기화되어 공중으로 소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식용 산화안정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뷰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티셔리부틸히드로퀴논, L-에리쏘르빈산류, EDTA류, 몰식자산프로필,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 L-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갈산프로필 및 토코페릴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친환경 연막확산제는 식용유화제를 0.5 내지 5중량부 또는 1 내지 3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용유화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유기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그릴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친환경 연막확산제는 유화안정제 0.2 내지 1.0 중량부 또는 0.3 내지 0.7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화안정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니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을 과소하게 사용하면 연막확산제의 친수성분이 부족하여 유화안정성이 떨어지며 물을 과다하게 사용하면 친유성분과 층분리를 일으키는 문제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용유화제를 제외한 다른 성분을 1차 혼합한 후 식용유화제를 가한 후 2차 혼합한다. 2차 혼합 시의 온도는 1차 혼합 시의 온도보다 낮다. 1차 혼합시의 온도는 2차 혼합보다 20 내지 80 ℃ 높을 수 있으며, 2차 혼합 시의 온도는 10 내지 4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차 혼합 시 교반속도는 30 내지 500 rpm이며, 교반온도는 50 내지 100 ℃이고 교반시간은 30 내지 60분일 수 있다. 2차 혼합 시 상온에서 교반속도는 30 내지 500 rpm이며 교반시간은 30 내지 60분일 수 있다.
식용유화제의 경우 고온에서 교반 시 점도가 높아져 크림상으로 변하여 확산제로 이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이에 따라 확산제를 냉각 후 상온에서 2차 혼합하여 액상을 유지하여 2차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막확산제는 물과 1 : 1 내지 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연막확산제의 산화로 인한 변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바이오디젤의 경우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산화가 되어 변질이 일어나는데 산화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변질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더욱이 식용에 사용되는 산화안정제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안전한 연막확산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막확산제는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저온에 노출되었을 때 층분리가 일어난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사용 시마다 흔들어 사용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연막확산제는 유화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연막확산제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점도와 밀도가 높은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입자를 더욱 무겁게 만들어 비산에 의한 약제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개발하여 연막확산제의 성능이 극대화된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연막확산제의 제조
아래와 같은 조성은 4가지 실시예와 5가지 비교예의 연막확산제를 제조하였다.
단위 : g
<표 1>
Figure 112022075670508-pat00001
실시예 1-1에서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린, 물 및 에리쏘르빈산나트륨을 교반기에서 300rpm의 속도로 140 ℃에서 10분간 혼합 후 10 ℃에서 급냉하였다.
실시예 1-2에서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린, 물, 에리쏘르빈산나트륨 및 세틸알코올을 교반기에서 300rpm의 속도로 140 ℃에서 20분간 혼합하였다.
실시예 1-3에서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린, 물 및 에리쏘르빈산나트륨을 교반기에서 400rpm의 속도로 100 ℃에서 10분간 혼합 후,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30 ℃에서 15분간 추가 혼합하여 4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실시예 1-4에서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린, 물 및 에리쏘르빈산나트륨을 교반기에서 300rpm의 속도로 80 ℃에서 60분간 혼합하였다.
비교예 3,4 및 비교예 6,7에서는 모든 성분을 교반기에서 300rpm의 속도로 80 ℃에서 60분간 혼합하였다.
비교예 5는 실시예 1-3과 성분 및 사용량은 동일하나, 모든 성분을 교반기에서 400rpm의 속도로 100 ℃에서 10분간 혼합하였다.
2. 유화안정성 실험
실시예 1-1 내지 1-4의 완성품을 유화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제품을 투명한 용기에 담아 그늘진 실내와 직사광선 하에서 각각 7일간 놓아두고 재료의 색상 변화, 층분리 등을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도 2와 같이 그늘진 실내에서와 직사광선 하에서 모두 색상 변화나 층분리 같은 성상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연막분사량 실험
실시예 1-1 내지 1-4의 완성품을 물과 1:2의 중량비율로 희석 후 연막확산기에 주입하였다. 그리고 확산기를 가열하여 연막이 분사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관찰 결과, 도 3과 같이 연막의 직진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입자가 무거워 공중으로 소실되는 연막량이 거의 없었다. 또한, 연막기 노즐 1미터 내에서 기화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액체의 양이 매우 적었으며 표적위치로 도달하는 연막량이 매우 양호하였다. 확산기 노즐로부터 2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분사되는 연막의 입자크기와 양을 관찰한 결과 모두 양호하였다.
4. 산화안정성 확인
산화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채로 확산제를 제조하면 열 산화에 의해 붉게 변색되었지만 산화안정제를 첨가하여 확산제를 제조하면 변색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AOCS(American Oil Chemist's Society)에서 제시한 산가(acid value)와 과산화물가(peroxide value) 측정법을 통해 확산제의 산패도를 측정했으며, 값이 높을수록 산화가 많이 진행된 것을 의미한다.
산화안정제 유무에 따라 제조된 확산제를 35 ℃에 보관 전후 일정 기간을 간격으로 측정을 진행했다. 시료를 삼각플라스크에 취하여 알칼리 용액 등으로 적정하여 자동산화와 초기산패도 값을 산출했다. 측정결과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산화안정제가 첨가되지 않은 확산제의 초기산패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산화 측정을 위해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산화안정제의 첨가유무에 따라 유/무로 표시하였다. 실시예1-1(유), 실시예1-2(유), 실시예1-3(유), 실시예1-4(유)의 과산화물가는 보관일이 지날수록 0에 가까운 값을 보였다. 실시예1-1(무), 실시예1-2(무), 실시예1-3(무), 실시예1-4(무)의 과산화물가는 35℃에서 보관한 2일 째 가장 높았으며, 보관이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산화물가는 유지의 산화가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산화물의 최고 값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때문에 오래된 유지는 과산화물가는 의외로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실시예의 장기간 보관 시 산화 측정을 위해 산가를 측정하였다. 35℃에서 보관한 30일 째의 실시예1-1(유), 실시예1-2(유), 실시예1-3(유), 실시예1-4(유)의 산가는 실시예1-1(무), 실시예1-2(무), 실시예1-3(무), 실시예1-4(무)에 비해 모두 높았다.
산화안정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0.2 mM DPPH 500 ㎕에 연막확산제 50 ㎕를 용해시켜 실온 암실에서 30분 방치 후, 보라색 DPPH가 최대흡광도를 갖는 517 nm에서 흡광도 차이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했다. DPPH는 라디컬 물질로 보라색을 띄며 517 nm에서 높은 흡광도를 띈다. 그러나 산화안정제가 추가되면 도 8과 같이 DPPH의 라디컬이 산화안정제와 반응하여 노란색으로 변하고 517 nm에서 낮은 흡광도를 보이고 값이 낮을수록 산화안정효과가 큰 것을 의미한다. 도 8과 같이 측정결과 산화안정제를 추가한 확산제에서 흡광도 값이 더 낮아 산화안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입도평균 크기
입도의 평균 크기는 광 채집 기능을 갖춘 광학 기술을 가진 에어로졸 입경분포 측정기를 사용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포를 측정하여 입자의 평균 크기를 측정하였다. 확산제를 물과 1:1로 희석한 후 확산기를 이용하여 희석액을 살포하여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 표 2>
Figure 112022075670508-pat00002
입도의 평균크기가 충분히 작아 확산제를 살포한 후 입자가 낙하하지 않고 표적물질까지 도달이 가능하며 확산제가 충분히 먼 거리까지도 도달이 가능하다.
6. 유해물질 검토
유해물질검출시험은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시험법을 준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장비를 이용해 4대 발암물질인 벤젠, 자일렌, 에틸벤젠, 톨루엔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모든 확산제에서 미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7. 연막살충력 실험
연막 살충력 시험은 실시예 1-1의 연막확산제:물:살충제 = 1:2:0.15의 비율로 희석하여 농약을 살포하였다. 비교예 1은 바이오디젤,에스테르오일, 글리세린, 유화제로 이루어진 종래의 연막확산제이며 비교예 1:물:살충제 = 1:2:0.15로 희석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경유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 살충제를 3:0.15로 현장 교반하였다. 그리고 살충제는 퍼메트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살충력 시험의 포충망(cage)은 바닥 지름 12 cm, 높이 20 cm의 원통형의 통기가 잘 되는 형태의 용기를 사용하였으며 포충망 당 약 15 개체의 암컷 성충 모기 또는 파리를 투입하여 진행하였다. 지면에서 높이 1.5m의 철제 프레임을 설치하고 포충망은 4개를 설치하였으면 포충망 2개에는 파리 나머지 2개에는 모기를 투입하였다. 2일에 걸쳐 2차례 시험을 진행되었으며 매 시험에는 실시예 4종류, 비교예 2종류 총 6종류의 연막확산제를 시험하였다. 따라서 연막확산제 당 파리 60마리 모기 60마리에 대한 살충력을 2차에 걸쳐 시험하였고 살충력을 비교하였다.
모기/파리는 온도 27도, 습도 70%의 사육 환경과 동일한 공간에서 채집해 노출망에 투입 후, 스티로폼 박스나 아이스박스에 담아 이동하였다. 식약처 가이드라인에 맞춰, 포충망간 거리를 1 m씩 띄워 2종의 총 4개 포충망을 고정한 후, 제작한 시험액을 상향 45도 각도로 8초간 분사구에서 포충망까지의 거리 6미터 거리에서 연막 분사해 노출시켰다. 또한 야외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동일한 분사량에 이동하며 노출시켰다. 노출 후에는 매분마다 knockdown 개체수를 10분까지 counting하였고 10분 후 회수하였으며 처리한 파리/모기는 준비한 용기를 이용해 실험실로 이동해 27도, 70% 환경에서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24시간 후 치사율(Mortality)을 확인하였다.
<표 3>
Figure 112022075670508-pat00003
<표 4>
Figure 112022075670508-pat00004
<표 5>
Figure 112022075670508-pat00005
실험결과는 표 3 내지 표 5 및 도 9와 같다.
위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으로 제조된 실시예 1-4가 파리의 경우 10분후 knockdown률이 가장 98.3%로 가장 높았고 24시간 뒤 치사율도 유일하게 100%를 보였다. 모기의 경우에는 모든 실시예와 비교예가 100% 10분후 knockdown률 그리 100% 24시간후 치사율을 보였다.
비교예 3은 실시예 1-4에서 라우릴글루코사이드만 제외한 것인데, 도 10과 같이 층분리가 매우 심하여 분석이 불가하였다.
비교예 4는 실시예 1-4에서 글리세린만 제외한 것인데, 비교예 4 역시 도 10과 같이 층분리가 매우 심하여 분석이 불가하였다.
비교예 5는 실시예 1-3에서 2차 혼합 없이 1차 혼합으로 제조된 것이다. 비교예 5은 도 10과 같이 크림상으로 제조가 되어 확산제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였으며, 90도로 기울여도 쏟아지지 않을만큼 점도가 높았다.
비교예 6는 실시예 1-4에서 라우릴글루코사이드를 과소 사용한 예인데, 비교예 6 역시 도 10과 같이 층분리가 매우 심하여 분석이 불가하였다.
비교예 7는 실시예 1-4에서 글리세린을 과다 사용한 예인데, 비교예 7은 도 10과 같이 수 시간 내에 분리가 일어나 확산제로서 사용이 적합하지 않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친환경 연막확산제에 있어서,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40 내지 70중량부;
    다가알코올 40 내지 12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20 내지 50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1 내지 1중량부;및
    물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유화제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및 데실글루코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식용 산화안정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뷰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티셔리부틸히드로퀴논, L-에리쏘르빈산류, EDTA류, 몰식자산프로필,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 L-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갈산프로필 및 토코페릴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유화안정제 0.2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디젤은 지방산메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식용유화제를 0.5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화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유기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그릴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제는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11. 제3항에 있어서,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50 내지 60중량부;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 50 내지 7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33 내지 43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3 내지 0.5중량부;및
    물 33 내지 43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
  12. 친환경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이오디젤 100중량부; 에스테르 오일 50 내지 60중량부; 다가알코을 50 내지 70중량부; 식물성 유화제 33 내지 43중량부; 식용 산화안정제 0.3 내지 0.5중량부; 및 물 33 내지 43중량부를 1차 혼합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후에 식용유화제를 0.5 내지 5중량부를 가한 후에 2차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용유화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유기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그릴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친환경 연막확산제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 시의 온도는 상기 2차 혼합 시의 온도보다 높으며,
    상기 2차 혼합은 10 내지 40℃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KR1020220089414A 2022-07-20 2022-07-20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414A KR102511470B1 (ko) 2022-07-20 2022-07-20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3/010391 WO2024019517A1 (ko) 2022-07-20 2023-07-19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414A KR102511470B1 (ko) 2022-07-20 2022-07-20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470B1 true KR102511470B1 (ko) 2023-03-17

Family

ID=8587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414A KR102511470B1 (ko) 2022-07-20 2022-07-20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1470B1 (ko)
WO (1) WO20240195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517A1 (ko) * 2022-07-20 2024-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3578A1 (en) 2008-04-03 2009-10-08 Heiman Daniel F Ethylene Biosynthesis Inhibitor Compositions Suitable for Thermal Fogging Applications
KR101085661B1 (ko) * 2011-06-13 2011-11-22 임덕교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KR101151383B1 (ko) * 2012-01-10 2012-05-31 늘푸른(주) 공간살포 방역소독유용 친환경 식물성 기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69197B1 (ko) * 2017-06-19 2018-06-19 최명신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8190203A1 (ja) * 2017-04-11 2018-10-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酸化防止剤分散物
JP2019500381A (ja) * 2015-12-29 2019-01-10 ロレアル 安定した抗酸化組成物
KR20200028557A (ko) * 2018-09-06 2020-03-17 주식회사 이노뷰텍 살균 및 살충 효과를 가진 친환경 연무연막 확산제
KR20210010107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친환경 실리콘 에멀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70B1 (ko) * 2022-07-20 2023-03-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3578A1 (en) 2008-04-03 2009-10-08 Heiman Daniel F Ethylene Biosynthesis Inhibitor Compositions Suitable for Thermal Fogging Applications
KR101085661B1 (ko) * 2011-06-13 2011-11-22 임덕교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KR101151383B1 (ko) * 2012-01-10 2012-05-31 늘푸른(주) 공간살포 방역소독유용 친환경 식물성 기유 및 그 제조방법
JP2019500381A (ja) * 2015-12-29 2019-01-10 ロレアル 安定した抗酸化組成物
WO2018190203A1 (ja) * 2017-04-11 2018-10-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酸化防止剤分散物
KR101869197B1 (ko) * 2017-06-19 2018-06-19 최명신 친환경적 방역을 위한 식물성 연막확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8557A (ko) * 2018-09-06 2020-03-17 주식회사 이노뷰텍 살균 및 살충 효과를 가진 친환경 연무연막 확산제
KR20210010107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친환경 실리콘 에멀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517A1 (ko) * 2022-07-20 2024-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517A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9342B2 (ja) 化学的配合物
KR102511470B1 (ko) 친환경 연막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174546A1 (en) Nano particulate delivery system
CN103210959A (zh) 杀虫组合物
US20210106007A1 (en) Insecticidal composition
CN103371171B (zh) 生物源防虫乳油及其制备方法
RU2035862C1 (ru) Инсектицидная эмульсия
MXPA01007172A (es) Composicion combinada de repelente de insectos y proteccion solar.
JP5345280B2 (ja) コバエ類防除用スプレー製品
CN105123776B (zh) 一种高含量除虫菊素杀虫剂
US20060008495A1 (en) Pesticide for insect control
NL8001713A (nl) Geconcentreerde olie-in-wateremulsies met pesticide werkzaamheid.
CN107668061A (zh) 一种杀虫组合物及其应用
CN107593696B (zh) 高效环保的炔草酯乳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GB421885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combating of insect pests and the like
CN108967438A (zh) 一种航空器仓使用的水基卫生杀虫气雾剂及其制备方法
JP3476238B2 (ja) 有害生物防除用エアゾール組成物
CN105475372A (zh) 薄荷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Elkhiat Formulations of Chlorpyrifos-Ethyl in Non-Conventional Water-Based oil in water emulsion (EW) and micro emulsion (ME), and their Insecticidal Evaluation against Pink BollWorm (P. gossypiella), and migratory locust (L. migratoria).
AU2021103871A4 (en) Pesticide formulation comprising chlorpyrifos and means to monitor the stability thereof
Attia et al. Palm oil formulation as 34% mayonnaise and evaluation of its biological efficacy against citrus mealybug, Planococcus citri under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Cesar-Ribeiro et al. Chronic toxicity test with sea urchin Echinometra lucunter and Lytechinus variegatus (Echinodermata: Echinoidea), exposed to light-stick-flag paternoster used for longline surface fishing
WO2023174908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botanical extract as insecticidal agent
BR102016030252A2 (pt) composição biocida e repelente líquida e semissólida e atividade larvicida frente a carrapatos e insetos
US2210894A (en) Insecticidal emulsio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