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094B1 -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094B1
KR100332094B1 KR1019990033129A KR19990033129A KR100332094B1 KR 100332094 B1 KR100332094 B1 KR 100332094B1 KR 1019990033129 A KR1019990033129 A KR 1019990033129A KR 19990033129 A KR19990033129 A KR 19990033129A KR 100332094 B1 KR100332094 B1 KR 10033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vaporization
ultrasonic
tank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550A (ko
Inventor
조용헌
Original Assignee
한준석
주식회사 이.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석, 주식회사 이.그린 filed Critical 한준석
Priority to KR101999003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094B1/ko
Priority to KR2019990025889U priority patent/KR200179049Y1/ko
Publication of KR2001001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액상의 소독약제를 초음파에 의해 저온 비등시켜 상온에서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기화 분사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 기화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에 의한 초음파 진동자와 압축공기에 의한 초음파 발생기 동시에 기화탱크에 장입하고, 각각의 방법으로 동시에 소독약제에 초음파를 가할 때 단시간에 소독약제가 극히 미세한 입자로 기화되며, 다량의 기화가스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액상의 소독약제가 투입되는 다수개의 기화탱크를 가지며, 각각의 기화탱크 내측에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초음파 진동자와 압축공기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기화탱크 상방에는 기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며, 저장탱크 일측에는 배기파이프와 송풍팬을 가지며, 기화탱크 일측에는 공기 압축기가 설치되며, 각각의 기화탱크 외측에는 열선을 감아 소독약제를 일정온도로 유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va porizing injector of liquid disinfectant to use of ultrasonic}
본 발명은 액상의 소독약제(살균제 또는 살충제)를 공기중에 살포하거나 대상물체에 살포하여 해충이나 각종 세균을 박멸하는 소독약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상의 소독약제를 초음파에 의해 저온비등시켜 소독약제를 상온에서 극히 미세한 미립자 형태로 기화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의 소독약제로도 넓은 범위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연기와 같이 기화된 상태로 소독약제를 분사토록 하여 구석구석 파고 들어 분포됨으로 인해 높은 살충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살충, 살균제와 같은 소독약제를 살포하는 방법 및 장치로는 크게 2가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첫번째로는 소독약제를 물에 희석시키고 이를 분사노즐을 통해 살포하는 노즐분사식 소독방법 및 장치를 볼 수 있으며,
두번째로는 경유나, 신나와 같은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켜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연무상태로 분사하는 연무(연막) 소독방법 및 장치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 분사식 소독방법에 있어서는 공기소독보다는 농작물이나 가로수등의 살균 살충에 주로 사용되며, 액상의 소독약제를 펌핑하여 미세한 노즐을 통해 분사시키게 된다.
그러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액상의 소독약제는 작은 물방울 형태로 살포되어지기 때문에 구석구석 소독약제가 살포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소독약제가 소비되었다. 또한, 물방울 형태로 소독약제가 살표된 후, 바로 증발되지 못하고 토양에 흡수될 경우 토양속의 유용한 생물인 지렁이나 유용한 박테리아까지 제거하여 토양을 산성화하는 2차 폐단을 초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경유나 신나등의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켜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연무(연막) 상태로 분사하는 연막은 공기중의 모기, 파리등과 같은 해충을 박멸하는데 주로 사용되나, 90% 이상의 가연성 물질에 10% 미만의 소독약제를 혼합한 것을 연무(연막) 상태로 분사하게 된다.
즉, 소독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해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키고, 연소가스와 함께 소독약제를 분무하게 될 때, 가연성 물질의 연소시 발생되는 산화물 즉,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등의 공해물질이 함께 배출되어 공해를 유발하게 되며, 연소열에 의해 소독약제는 그 약성이 떨어져 실질적인 살균, 살충 능력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였다.
본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 살균, 살충방법이나 그 장치는 효과적으로 소독약제를 살포하지 못하고, 오히려 토양오염과 과다한 소독약제의 사용을 유발하며, 이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고자 본발명이 개발된 것으로, 본발명은 소독약제를 상온(15-25°) 즉, 저온에서 비등 기화시켜 연무상태로 분사시킴으로 인해 적은 양으로 넓은 범위를 살균소독할 수 있으며, 그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환경오염이나 토양오염등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은 액상의 살충제, 살균제등의 소독약제를 상온에서 비등 기화시켜 연무(연막)상태로 발생되도록 하여 종래 노즐에 의한 분사방식이나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킴으로 소독약제를 분사하는 방식에 비해 적은 양으로 극히 높은 살균 살충 소독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액상의 소독약제를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초음파 진동자와 압축공기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로 동시에 저온 비등시켜 소독약제를 극히 미세한 연무상태로 기화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은 액상의 소독약제를 기화시키는 다수개의 기화탱크를 갖게 되며, 그 내측에 각각 전기에 의한 초음파 진동자와 압축공기에 의한 초음파 발생기를 설치하며, 각각의 기화탱크에서 발생된 연무상태의 소독약제를 저장탱크 집합한 후 이를 송풍팬에 의해 공급파이프를 분사되도록 하는 구조로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본발명에 대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1 - 본발명의 개략단면도.
도2 - 본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초음파 발생기의 사시도.
도3 - 본발명에 사용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초음파 발생기의 단면도.
액상 소독약제(11)가 투입되는 다수개의 기화탱크(12)(13)(14)를 가지며, 각각의 기화탱크(12)(13)(14) 내측에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초음파 발생진동자(15)와 압축공기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16)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기화탱크(12)(13)(14) 상방에는 기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7)가 각각의 연결관(12')(13')(1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17) 일측에는 배기파이프(21)와 송풍팬(22)이 설치되며, 상기 기화탱크(12)(13)(14) 일측에는 공기압 초음파발생기(16)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23)가 설치되며, 각각의 기화탱크(12)(13)(14) 외측벽에는 열선테이프(25)을 감아 기화탱크(12)(13)(14) 내측의 소독약제(11)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1은 공급밸브, 32는 배출밸브이다.
각각의 기화탱크(12)(13)(14)로 일정량의 소독약제(11)를 공급밸브(31)를 통해 공급한 후, 전기에 의한 초음파 진동자(15)와 공기압축기(23)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16)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소독약제(11)를 저온 비등시켜 연무상태로 기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에 사용된 압축공기에 의한 초음파 발생기(16)의 구조 및 초음파 발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축기(23)로부터 7-10㎏/㎠의 압축공기가 공기공급관(41)을 통해 압축공기 분배관(42)으로 연결된 초음파 진동기(43) 내부로 유입하게 되면, 유입된 압축공기는 초음파 진동기(43) 내측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된 진동판(44) 가운데에 형성된 0.3-0.6mm의 원형세공을 통과하는 순간 서로 대향한 진동판(44)은 1,500-1,600 싸이클의 진동파형을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진동파형은 진동기(43) 외측에 형성된 스릿트상 압출공(45)을 통과하면서 15-20kc 정도의 초음파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초음파는 액체의 저온 비등 작용을 가지므로 액상의 소독약제는 기화되어 연무가스를 발생하게 되며, 동시에 발생된 기화가스는 기화탱크(12)(13)(14) 상방에 위치한 저장탱크(17)로 유입되어지게 되며, 배기파이프(21) 및 송풍팬(22)을 통해 연기상태로 분사되어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기화가스탱크(12)(13)(14) 내측에 전기에 의한 초음파 발생진동자(15)는 액상의 소독약제를 역시 저온 비등시켜 기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기화탱크(12)(13)(14) 내측에 전기에 의한 초음파 발생진동자(15)와 압축공기에 의한 초음파 발생기(16)를 함께 소독약제(11)에 위치시킨 후, 각각의 방법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킬때 액상의 소독약제(11)는 극히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되어 빠른시간내에 다량의 기화가스를 발생하게 되며, 전기에 의한 초음파 진동자(15)와 압축공기에 의한 초음파 발생기(16)를 동시에 작용시켜 발생된 기화가스는 그 입자가 극히 미세화되어 마치 연기와 같은 연막상태로 기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에 의한 초음파 진동자와 압축공기를 이용한 초음파 발생기로 액상의 소독약제를 기화시킬 때 단시간에 많은 양의 기화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기화가스는 극히 미세한 입자형태를 갖게 되어 쉽게 응집되어 물방울로 되지않게 되므로 인해 살충, 살균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발명은 소독약제가 유성약제나 수성약제를 불문하고 빠른 시간에 다량의 기화가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발명의 기화탱크(12)(13)(14) 외측에는 열선(25)을 감아 기화탱크(12)(13)(14) 내의 소독약제(11) 온도를 상승시킴으로 동절기에 기화탱크(12)(13)(14)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독약제(11)의 물성에 따라 기화가 용이한 상태로 소독약제의 온도를 상승시켜 주게 된다.
살균, 살충, 소독등의 방역작업은 사회전반에 걸쳐 행해지고 있다.
즉, 농촌에 있어서는 축사나 계사등의 살균 소독을 위해 소독약제를 살포하며, 벼나 과수, 채소류의 농작물은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하게 된다. 또한, 도회지에 있어서는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등의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집 안팍을 소독하게 된다.
그외에 전염병 예방이나 기타 질병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방역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살균, 살충제등의 소독약제를 분사하는 장치는 경유나 신나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을 태워 발생하는 연소열이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소독약을 연막형태로 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소독약액을 물로 희석시킨 후, 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연막소독은 가연성 물질을 태우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등의 공해물질이 함께 발생하게 되며, 연소열에 의해 소독약액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즐을 통해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과다한 소독약액의 사용을 유발하게 되며, 땅에 스며들 경우 땅속의 유익한 미생물까지 제거하여 토양을 산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본발명에 의한 소독약제 살포장치는 소독약제가 유성이나 수성임을 불문하고 미세한 입자로 기화시켜 연막상태로 구석구석 파고 들어 살균 소독하므로 살균효과가 지대하게 되며, 적은 양의 소독약으로 많은 범위를 소독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잇점을 갖게 되며, 소독약액이 미세하게 액체와 함께 기화되어 넓고 골고루 분사됨으로 인해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등의 해충의 박멸은 물론이거니와 극히 미세한 세균까지도 완전히 박멸시킬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액상 소독약제(11)가 투입되는 다수개의 기화탱크(12)(13)(14)를 가지며, 각각의 기화탱크(12)(13)(14) 내측에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초음파 발생진동자(15)와 압축공기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는 공기압 초음파 발생기(16)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기화탱크(12)(13)(14) 상방에는 기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7)가 각각의 연결관(12')(13')(1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17) 일측에는 배기파이프(21)와 송풍팬(22)이 설치되며, 상기 기화탱크(12)(13)(14) 일측에는 공기압 초음파발생기(16)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23)가 설치되며, 각각의 기화탱크(12)(13)(14) 외측벽에는 열선테이프(25)을 감아 기화탱크(12)(13)(14) 내측의 소독약제(11)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1019990033129A 1999-08-12 1999-08-12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10033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129A KR100332094B1 (ko) 1999-08-12 1999-08-12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2019990025889U KR200179049Y1 (ko) 1999-08-12 1999-11-24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129A KR100332094B1 (ko) 1999-08-12 1999-08-12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889U Division KR200179049Y1 (ko) 1999-08-12 1999-11-24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550A KR20010017550A (ko) 2001-03-05
KR100332094B1 true KR100332094B1 (ko) 2002-04-17

Family

ID=1960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129A KR100332094B1 (ko) 1999-08-12 1999-08-12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35B1 (ko) * 2006-01-06 2007-07-25 주식회사 이.그린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KR101465118B1 (ko) * 2011-08-18 2014-11-25 이문석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약제의 살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075U (ko) * 1977-07-30 1979-02-27
JPS58183270U (ja) * 1982-06-01 1983-12-06 ライオン株式会社 超音波噴霧装置
JPS58183271U (ja) * 1982-06-01 1983-12-06 ライオン株式会社 超音波噴霧装置
JPH04371257A (ja) * 1991-06-21 1992-12-24 Koji Toda 超音波噴霧装置
JPH11138073A (ja) * 1997-11-10 1999-05-25 Sanyo Electric Co Ltd 噴霧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075U (ko) * 1977-07-30 1979-02-27
JPS58183270U (ja) * 1982-06-01 1983-12-06 ライオン株式会社 超音波噴霧装置
JPS58183271U (ja) * 1982-06-01 1983-12-06 ライオン株式会社 超音波噴霧装置
JPH04371257A (ja) * 1991-06-21 1992-12-24 Koji Toda 超音波噴霧装置
JPH11138073A (ja) * 1997-11-10 1999-05-25 Sanyo Electric Co Ltd 噴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550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635B1 (ko) 초음파 기화 소독장치
US73263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e mist sterilization or sanitation using a biocide
KR19990036062A (ko) 공기 소독방법
KR10115764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KR10051611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살포장치
CN105772272B (zh) 一种环保健康绿色高压喷杀器
KR10033209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KR200179049Y1 (ko)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약제의 기화 분사장치
CN105724351A (zh) 一种园林打药机
CN108452360A (zh) 过氧化氢空气消毒机
KR102381489B1 (ko) 휴대용 살균기
JP2022140536A (ja) イソプロピルメチルフェノールの持続性向上方法及び定量噴射型除菌用エアゾール
KR20000058687A (ko) 진공청소분무기
JPH08238049A (ja) 土壌燻蒸方法
JP4708141B2 (ja) 殺虫装置
US6139857A (en) Method of repelling rodents and vermin
CN113456869A (zh) 一种烟雾消毒、杀虫方法及装置
JP2001031517A (ja) 土壌の殺菌殺虫改良及び作物成長促進方法
CN102239886B (zh) 一种硫酰氟复配剂
JP2818777B2 (ja) 全量噴射型エアゾール製品
JPS58216103A (ja) 殺虫散組成物
CN1194585A (zh) 消毒空气的方法
JP2017206473A (ja) 害虫忌避方法、植物活性化方法および機能水製造方法
JP4157042B2 (ja) モグラ等の駆除装置
KR20190005563A (ko) 시험용 훈증 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