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855B1 - 쉐이크용 블렌더 날 - Google Patents

쉐이크용 블렌더 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855B1
KR102220855B1 KR1020200136274A KR20200136274A KR102220855B1 KR 102220855 B1 KR102220855 B1 KR 102220855B1 KR 1020200136274 A KR1020200136274 A KR 1020200136274A KR 20200136274 A KR20200136274 A KR 20200136274A KR 102220855 B1 KR102220855 B1 KR 10222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ender
shake
pill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휘
Original Assignee
김동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휘 filed Critical 김동휘
Priority to KR102020013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Abstract

본 발명은 쉐이크용 블렌더 날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날 및 제2 날의 형상을 통해 쉐이크의 블렌딩 성능을 극대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쉐이크용 블렌더 날{BLENDER BLADE FOR SHAKE}
본 발명은 쉐이크용 블렌더 날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날 및 제2 날의 형상을 통해 쉐이크의 블렌딩 성능을 극대화한 것이다.
쉐이크(Shake)의 사전적 의미는 '흔들다'는 뜻이나, 우유와 각종 첨가물을 혼합하여 블렌딩하여 걸쭉한 형태의 음료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러한 쉐이크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자면, 작업자는 컵 형상의 도구를 준비하여 컵 내에 우유 및 기호에 따른 첨가물을 넣고 이를 블렌더에 가져간다. 그 뒤 블렌더의 날이 컵 내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전원을 가동시켜 블랜더의 날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첨가물이 부서지면서 우유와 섞이고, 혼합되는 과정에서 걸쭉한 형태의 쉐이크가 제작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쉐이크용 블렌더를 도시한 것이다.
본체(1)는 작업대 또는 지면에 지지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이며, 내부에 회전 모터(미도시)가 삽입되어 결합된 블렌더 날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봉(2)은 본체(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이다. 봉(2)의 단부에는 다양한 형상의 날(3)이 결합되어 있고, 날(3)은 일반적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우유 내의 첨가물을 효율적으로 분쇄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쉐이크용 블렌더 날을 도시한 것이다.
블렌더 날은 세척이 가능하도록 봉(2)과 탈부착 가능한 형상이며, 일 예로 도 2와 같이 날 본체(31)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봉(2)이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끼워진다. 또한, 날(3)에 형성된 돌기(33)는 도 3과 같이 뾰족하게 형성한다.
다만, 이러한 뾰족한 형상의 블렌더 날이 효율적으로 첨가물을 분쇄할 수 있음을 별론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우유 및 첨가물이 담긴 컵(4)에서의 블렌더 날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블렌더 날은 중심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첨가물의 분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컵(4)을 파지하여 지속적으로 흔들어 준다. 이로 인해, 블렌더 날이 맞닿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블렌더 날의 돌기(33)는 분쇄를 위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로 인해, 컵(4)의 내측면과 돌기(33)가 맞닿을 때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컵(4) 내부가 손상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과 같이 컵(4)의 모서리 부분에 돌기(33)가 들어가기 어려워 분쇄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한계점이 있었고, 무리하게 모서리 부분에 돌기(33)를 삽입하다가 컵(4)의 모서리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블렌더 날을 거쳐 분쇄된 첨가물이 블렌더 특성 상 우유 내에서 아래에서 위로 승강하게 되고, 이를 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부재하므로 블렌딩 과정에서 쉐이크가 자주 튀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8099호
본 발명은 쉐이크용 블렌더 날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날 및 제2 날의 형상을 통해 쉐이크의 블렌딩 성능을 극대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쉐이크용 블렌더 날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날; 및 상기 제1 날의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제2 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날의 외연은 라운드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쉐이크용 블렌더 날의 상기 제1 날의 일 지점에는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쉐이크용 블렌더 날의 상기 제1 날은, 중심부에서 외연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쉐이크용 블렌더 날의 상기 한 쌍의 홀의 사이의 지점에는 상기 기둥부를 향하도록 함몰된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쉐이크용 블렌더 날의 상기 그루브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쉐이크용 컵의 내구성 및 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날의 홀 및 그루브를 통해 블렌더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의 파형 형상을 통해 블렌더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쉐이크용 블렌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쉐이크용 블렌더 날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우유 및 첨가물이 담긴 컵에서의 블렌더 날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의 제1 날 및 제2 날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2 날의 회전이 반복되었을 때의 웨이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이 컵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었을 때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의 제1 날 및 제2 날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은 기둥부(100), 제1 날(200), 제2 날(300) 및 체결구(400)를 포함한다.
기둥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원통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100)는 블렌더 본체(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제1 날(200)은 기둥부(100)의 단부에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기둥부(100)의 하방의 단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날(200)에 기둥부(100)가 관통되어, 기둥부(100)의 단부는 체결구(400)가 결합된다. 체결구(400)는 일 예로 너트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날(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하기에서는 제1 날(200)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날(200)은 바디(210), 홀(220) 및 그루브(230)로 구성된다. 바디(210)는 제1 날(200)의 뼈대를 이룬다.
이때, 바디(210)의 외연은 라운드(round)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라운드진 것이라 함은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아닌 유선형으로 외연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뾰족한 형상의 날과 비교했을 때, 컵의 내측면과 맞닿았을 때 컵의 내측면이 덜 손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바디(210)는 중심부에서 외연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치 '버섯' 형상을 지닌 것으로, 기둥부(100)가 관통하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형상을 지니게 된다. 이때, 바디(210)의 경사는 라운드지도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 날이 컵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었을 때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날의 바디(210)는 중심부에서 외연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를 지니게 되므로, 제1 날(200)의 외연의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지니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와는 달리 컵(4)의 모서리 부분에 제1 날(200)이 위치될 수 있으므로 날이 들어올 수 없는 공백 영역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첨가물의 분쇄 효율이 좋아져 품질이 향상된 쉐이크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홀(220)은 바디(210)의 일 지점에 바디(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둥부(10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버섯' 형상의 바디(210)의 특성 상 바디(210)의 내측면에 우유 및 첨가물이 고립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립이 반복되면 순환이 더뎌 블렌딩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바디(210)를 관통하는 홀(220)을 형성하여 바디(210) 내측에 고립된 우유 및 첨가물이 홀(22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컵(4) 내에서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품질이 향상된 쉐이크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한 쌍으로 홀(220)이 형성되기에 대칭을 만들게 된다. 만약 이러한 대칭성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일측으로 우유 및 첨가물이 쏠려 블렌딩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순간적으로 컵(4) 외부로 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대칭성을 부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루브(230)는 바디(210)의 외연에서 바디(210)의 중심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홀(2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둥부(10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그루브(230)의 구성으로 인해, 그루브(230)의 골과 바디(210)의 산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는 마치 '돌기' 형상이 구현된 것으로, 라운드 진 바디(210)의 외연의 특성 상 순간적인 분쇄의 힘이 약한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이때, 그루브(230) 또한 홀(220)과 마찬가지로 대칭성을 부여하였다. 이로 인해, 일측으로 우유 및 첨가물이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블렌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날(300)은 제1 날(200)의 상부에 위치된다. 또한, 기둥부(100) 관통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날(200)과 제2 날(300)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형상을 지니게 된다.
제2 날(300)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둥부(100)와 수직되는 평면을 따라 파형을 그리면서 벤딩되어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100)의 회전에 따라, 제2 날(30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파형을 형성한 제2 날(300)이 회전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제2 날(300)이 웨이브를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6은 제2 날(300)의 회전이 반복되었을 때의 웨이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1 날(200)에 의해서 1차적으로 분쇄된 첨가물과 우유는 블렌딩 된다. 이때,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는 순환에 따라 승강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제2 날(300)이 부재하다면,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는 컵(4)의 윗부분에서 이를 막아주는 것이 없으므로 컵(4) 외부로 튀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블렌딩에 어려움을 겪게 되, 버리는 우유 및 첨가물이 생겨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날(300)이 승강하는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를 위에서 막는 소위 '방패' 역할을 한다. 따라서,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가 컵(4)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300)이 웨이브 형상을 지니게 되므로,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의 윗부분(컵(4) 내에서는 전부 블렌딩이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상방에 위치된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를 말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웨이브 형상을 지니면서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하방에 위치된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승강하는 순환 형상을 지니게 되고, 상방에 위치된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는 웨이브 형상을 지니게 되어, 블렌딩 된 첨가물과 우유의 흐름이 컵(4) 내에서 상이하게 되므로 더욱이 외부로 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300) 또한 제1 날(200)과 같이 첨가물을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날이 2개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1개인 경우보다 분쇄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은 일 예로 부식 방지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블렌더 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구성요소 전체의 표면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제1 날(200) 및 제2 날(3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111127098-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제1 날(200) 및 제2 날(300)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제1 날(200) 및 제2 날(3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제1 날(200) 및 제2 날(300)과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1127098-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소재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날(200) 및 제2 날(3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체,
100 : 기둥부,
200 : 제1 날,
210 : 바디,
220 : 홀,
230 : 그룹,
300 : 제2 날,
400 : 체결구.

Claims (5)

  1.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날; 및
    상기 제1 날의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제2 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날의 외연은 라운드지고,
    상기 제1 날의 일 지점에는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날은,
    중심부에서 외연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를 지니고,
    상기 한 쌍의 홀의 사이의 지점에는 상기 기둥부를 향하도록 함몰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고,
    상기 제2 날은,
    상기 기둥부와 수직되는 평면을 따라 벤딩 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전체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층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쉐이크용 블렌더 날:
    [화학식 1]
    Figure 112021002518575-pat00010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36274A 2020-10-20 2020-10-20 쉐이크용 블렌더 날 KR10222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274A KR102220855B1 (ko) 2020-10-20 2020-10-20 쉐이크용 블렌더 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274A KR102220855B1 (ko) 2020-10-20 2020-10-20 쉐이크용 블렌더 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855B1 true KR102220855B1 (ko) 2021-02-25

Family

ID=7473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274A KR102220855B1 (ko) 2020-10-20 2020-10-20 쉐이크용 블렌더 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8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0073A (ja) * 1996-12-26 1998-07-07 Lion Corp 撹拌装置及び高粘度液状物の製造方法
JP2009163622A (ja) * 2008-01-09 2009-07-23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攪拌具
KR20170118099A (ko) 2015-02-04 2017-10-24 프리얼 푸즈 엘엘씨 착탈식 스핀들 및 모니터링된 저장조를 갖는 블렌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0073A (ja) * 1996-12-26 1998-07-07 Lion Corp 撹拌装置及び高粘度液状物の製造方法
JP2009163622A (ja) * 2008-01-09 2009-07-23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攪拌具
KR20170118099A (ko) 2015-02-04 2017-10-24 프리얼 푸즈 엘엘씨 착탈식 스핀들 및 모니터링된 저장조를 갖는 블렌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30478C (zh) 水基双组分保护涂料组合物
CN1141347C (zh) 由含封闭的异氰酸酯的组合物制成的产品
CN1178994C (zh) 一种纳米氧化锌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0336C (zh) 低致黄的可电沉积涂料组合物及涂覆方法
CN1990615A (zh) 电沉积油漆
CN1206292C (zh) 用于阴极电涂组合物的氧化铋催化剂
CN1153647C (zh) 钎料粉末及其制造方法
JPS6139351B2 (ko)
CN1263545A (zh) 涂膜形成方法与涂料组合物
CN1822322A (zh) 微细孔电镀和金凸起形成方法、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2220855B1 (ko) 쉐이크용 블렌더 날
CN101076573A (zh) 环氧防腐涂料组合物、防腐涂膜和有机聚硅氧烷系防污性复合涂膜以及用该复合涂膜覆盖的船舶或水中构造物
CN1234915C (zh) 涂覆稳定层的铜箔、涂覆法和含绝缘衬底与铜箔的层压件
CN1639847A (zh) 抛光组合物和用于形成配线结构的方法
CN1075973A (zh) 水基电沉积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268702C (zh) 阳离子电解沉积涂料组合物
CN1203136C (zh) 具有电沉积潜能的电沉积涂料组合物和电沉积涂覆方法
CN100336840C (zh) 环氧树脂固化组合物和包括它的环氧树脂组合物
CN1033040C (zh) 阴极电涂的热固性涂料组合物和用它制备阴极电涂层的方法
CN1265028C (zh) 在物品表面形成电镀膜的方法
CN1231549C (zh) 阳离子涂料组合物
CN110982383B (zh) 一种用于阴极电泳漆的乳液及其制备方法
CN101037565A (zh) 罐用涂料组合物
KR0157224B1 (ko) 음극전착성 페인트용 결합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N1097095C (zh) 以沉淀硬化和固溶硬化为特征的铜基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