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546B1 -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Google Patents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0546B1 KR102220546B1 KR1020200132570A KR20200132570A KR102220546B1 KR 102220546 B1 KR102220546 B1 KR 102220546B1 KR 1020200132570 A KR1020200132570 A KR 1020200132570A KR 20200132570 A KR20200132570 A KR 20200132570A KR 102220546 B1 KR102220546 B1 KR 1022205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window
- arm
- frame
- hing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0 mo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9—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one of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necessarily precedes the 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N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2—Additional wing mo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개폐의 작동이 미서기식으로 슬라이딩 수평이동하면서, 창호의 잠금상태에서 틸팅을 통해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기능의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창과, 창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창호를 개폐하는 이동창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은, 창호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고정창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창호개방 작동시에 이동창의 슬라이딩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창이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이동창에 설치된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잠금, 해지 및, 틸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하는 작동유닛이 상기 이동창의 이동프레임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기 기능을 가진 개폐식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호의 개폐의 작동이 미서기식으로 슬라이딩 수평이동하면서, 창호의 잠금상태에서 틸팅을 통해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기능의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벽체와 마찬가지로 건물의 내외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경계를 이루게 하면서도, 시야를 확보하거나 채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부족한 점을 보완한다.
이러한 창호는 크게 고정창(FW)호와 개폐창호로 나뉘어지며, 개폐창호는 고정창(FW)호에 비하여 환기가 가능하고 창호를 통해 출입이나 물건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개폐창호의 상기한 편의성은 다른 한편으로 외부인의 침입 통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창호가 잠금되어 외부인의 침입을 불가능하게 하면서도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의 창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의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02305호의 '슬라이딩 및 틸팅 일체형 구조의 시스템 창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시스템 창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내주부에 제1가이드 레일(11)이 구비되고, 하측 내주부에는 볼록한 원형단면의 제2가이드 레일(12)이 구비된 창틀 프레임(10); 상측 외주부에 상기 제1가이드 레일(11)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21)가 구비되고, 하측 외주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 레일(12)에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가이드 레일(11)과 상기 가이드 부재(21)에 각각 절첩식으로 결합되는 틸트 암(23)이 구비된 창문 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제1가이드 레일(11)과 상기 창문 프레임(20)의 가이드 부재(21) 사이의 미끄럼 운동과 더불어 상기 제2가이드 레일(12)과 상기 가이드 롤러(22) 사이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 상기 창틀 프레임(10)을 따라 창문 프레임(20)이 슬라이딩 개폐되고, 상기 창문 프레임(20)의 틸트 암(23)이 펼쳐지거나 접힘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22)가 상기 제2가이드 레일(12) 상에서 틸팅됨으로써 상기 창틀 프레임(10) 상에서 창문 프레임(20)이 틸팅 개폐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시스템 창호는 창문 프레임(20)을 창틀 프레임(10) 상에서 슬라이딩 및 틸팅시키거나 고정 상태로 잠금하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된다.
상기 시스템 창호는 핸들을 이용하여 잠금장치의 조작함으로써, 창문 프레임(20)이 완전 잠금되게 하거나, 창문 프레임(20)이 해제되어 슬라이딩되게 하거나, 창문 프레임(20)이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잠금된 상태에서 틸팅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의 시스템 창호와 같은 2개의 창문이 겹쳐지도록 개폐되는 미서기식 창호는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창문 프레임이 슬라이딩 되는 것이어서, 창문와 레일사이 및 안팎의 겹쳐진 창문들 사이에는 많은 틈이 발생된다. 따라서 모헤어 등의 기밀수단을 설치하나, 장기간 사용시 변형으로 인하여 기밀기능이 저하되어 실내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문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하여 평행하게 수평 이동한 후 여닫이식으로 닫힘되도록 하는 창문의 개폐장치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99324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창문 프레임 슬라이딩을 위한 장치들이 창틀 프레임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외관이 저해될 뿐 아니라, 부품교체 등의 유지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호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고, 개폐를 위한 공간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환기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창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창과, 창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창호를 개폐하는 이동창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은, 창호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고정창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창호개방 작동시에 이동창의 슬라이딩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창이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이동창에 설치된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잠금, 해지 및, 틸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하는 작동유닛이 상기 이동창의 이동프레임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가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이동창의 상부이동프레임과 하부이동프레임에 각 연결된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창틀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각 내부에는 상기 상부이동대차가 이동하는 상부대차이동로와 하부이동대차가 이동하는 하부대차이동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상부대차이동로와 하부대차이동로의 각 외측에는 대차이동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이동대차는 상부전방대차와 상부후방대차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하부이동대차는 하부전방대차와, 후방에 위치한 하부후방대차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대차이동개구 중 고정창이 위치한 부분에는 대차이동개구의 개폐를 위한 커버가 설치되고, 창호폐쇄시에는 커버가 닫히고 창호개방시에는 커버가 열리도록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의 각 후방에는 상기 커버를 작동시키는 커버작동수단을 구비시킬 수 있다.
상하부전방대차는, 상하부이동대차로에 삽입되는 상하부전방몸체와 상하부전방몸체에 힌지결합되고 문고정편 또는 문고정봉이 구비된 회동암 및 상하부전방몸체와 회동암에 힌지결합되는 작동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부후방대차는, 상하부이동대차로에 삽입되는 상하부후방몸체와 상하부후방몸체에 힌지결합되고 문고정편 또는 문고정봉 구비된 회동암과 상하부후방몸체와 회동암에 힌지결합되는 작동암 및 제1링크와 제2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각 작동암에는 호형의 가이드슬릿이 구비되고, 상하부전방몸체와 상하부 후방몸체의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가이드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하부전방대차의 작동암에 구비된 가이드슬릿의 전방에는 정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슬릿과 정지홈 사이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전방대차와 상부후방대차의 회동암에 구비된 문고정편은 작동유닛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고정대를 매개로 하여 작동유닛에 결합되게 할 수 있다.
하부전방대차와 하부후방대차의 회동암에 구비된 문고정봉은 이동창의 하부이동프레임과 수직이동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코너조립블록에 구비된 결합공에 삽입됨으로써 힌지결합되게 할 수 있다.
작동유닛은, 수직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수직이동부, 상하부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하부이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부에는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이동하는 캐리어가 설치되어 작동유닛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에는 캐리어와 연결되는 상부로드와 하부로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로드에는 이동창의 틸팅을 위한 틸팅끼움슬릿을 구비시킬 수 있다. 이때 하단에 걸림봉이 구비된 틸팅암의 상단이 상부로드가 접하게 되는 창틀의 수직프레임에 힌지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부와 수직이동부와 상부이동부 및 하부이동부 중 적어도 수직이동부와 하부이동부에는 잠금돌기가 형성된 잠금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체가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창틀의 수직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잠금돌기가 수용될 수 있는 잠금수용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이동창이 창틀에서 미서기 방식으로 슬라이딩 수평이동하여 창호를 개폐하도록 하면서도, 창호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고정창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한다. 따라서 창호의 설치폭을 줄여 실내의 가용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하고, 창호의 외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질 뿐 아니라, 창틀에 외부로 돌출되는 레일이 없어 밀폐성이 향상되므로 창호의 폐쇄상태에서 실내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개폐구조를 가지면서도 창호의 폐쇄상태에서 이동창의 틸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판의 제거만으로 창틀에서 이동창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바, 부품의 교체 등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슬라이딩 및 틸팅 일체형 구조의 시스템 창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가 폐쇄된 상태 및 틸팅된 상태의 각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개방 작동되는 상태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상하부 절단하여 내부의 이동대차가 보이도록).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상부이동대차 중 전방에 위치한 상부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상부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상부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창틀에 설치되는 상부유도블록의 사시도 및 평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창이 닫힐 때 상기 상부유도블록과 상부전방대차에 설치된 작동암 사이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창이 열릴 때 상기 상부유도블록과 상부전방대차에 설치된 작동암 사이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상부이동대차 중 후방에 위치한 상부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상부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상부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커버개폐수단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하부이동대차 중 전방에 위치한 하부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하부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하부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창틀에 설치되는 하부유도블록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하부이동대차 중 후방에 위치한 하부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하부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하부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22는 작동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23은 상기 작동유닛에 설치된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틸팅구조가 설치된 창틀과 이동창의 각 부분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틸팅구조의 작동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6은 상부전방대차와 상부후방대차가 작동유닛에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잠금돌기가 핸들부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잠금수용체에 수용되는 것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8은 이동창의 하부이동프레임과 수직이동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9은 하부전방대차가 이동창과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0는 하부후방대차가 이동창과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작동유닛의 후방쪽 수직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작동유닛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코너드라이브에 관한 사시도 및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가 폐쇄된 상태 및 틸팅된 상태의 각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개방 작동되는 상태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상하부 절단하여 내부의 이동대차가 보이도록).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상부이동대차 중 전방에 위치한 상부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상부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상부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창틀에 설치되는 상부유도블록의 사시도 및 평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창이 닫힐 때 상기 상부유도블록과 상부전방대차에 설치된 작동암 사이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창이 열릴 때 상기 상부유도블록과 상부전방대차에 설치된 작동암 사이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상부이동대차 중 후방에 위치한 상부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상부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상부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커버개폐수단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하부이동대차 중 전방에 위치한 하부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하부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하부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창틀에 설치되는 하부유도블록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하부이동대차 중 후방에 위치한 하부후방대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하부후방대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하부후방대차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22는 작동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23은 상기 작동유닛에 설치된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틸팅구조가 설치된 창틀과 이동창의 각 부분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틸팅구조의 작동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6은 상부전방대차와 상부후방대차가 작동유닛에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잠금돌기가 핸들부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잠금수용체에 수용되는 것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8은 이동창의 하부이동프레임과 수직이동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9은 하부전방대차가 이동창과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0는 하부후방대차가 이동창과 결합되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작동유닛의 후방쪽 수직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작동유닛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코너드라이브에 관한 사시도 및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가 설치된 상태를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창호가 폐쇄되어 잠금된 상태 및 틸팅된 상태를 각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창호가 개방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는 이동창(SW)이 창틀에서 미서기 방식으로 슬라이딩 수평이동하여 창호를 개폐하는 구조로, 창틀의 일측에는 고정창(FW)이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는, 창호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창(SW)이 고정창(FW)과 동일한 평면을 이룸으로써, 창호의 외측면에 돌출부분 없이 매끈하게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향상될 뿐 아니라, 창문들이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창틀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의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실내의 가용공간이 넓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서 틸팅시켜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과 이동창(SW)호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되, 슬라이딩 이동수단이 창호개방을 위해 작동할 때에는 이동창(SW)을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이동창(SW)이 창틀의 프레임부재 외측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참고로, 방향과 관련하여 전방은 이동창(SW)이 닫혀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은 창호의 앞쪽, 즉 이동창(SW)의 창호개방 작동시 돌출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과 내측은 이들의 각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창(SW)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로 이루어진다.
상부이동대차는 이동창(SW)의 상부이동프레임(SF1)과 연결된 상태에서 창틀의 상부프레임(BF1) 내부에 구비된 상부대차이동로(71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상부전방대차(100)와 후방에 위치한 상부후방대차(200)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14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이동대차 역시 이동창(SW)의 하부이동프레임(SF2)과 연결된 상태에서 창틀의 하부프레임(BF2) 내부에 구비된 하부대차이동로(72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하부전방대차(300)와 후방에 위치한 하부후방대차(400)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340)으로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7은 상부전방대차(100)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이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이를 상부 및 아래에서 바라본 것을 각 도시한 것이다.
상부전방대차(100)는 상부전방몸체(110)와 회동암(120) 및 작동암(130)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상부전방몸체(110)는 상부프레임(BF1)에 형성된 상부대차이동로(710)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창(SW)을 슬라이딩시킨다.
이러한 상부전방몸체(110)는 전후방에 한 쌍의 롤러설치구(114)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롤러(114a)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설치구(114)는 상부전방몸체(110)를 내외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전방몸체(110)에 설치된 롤러(114a)는 상부대차이동로(710)의 내측벽을 따라 구름되도록 수평 설치된다.
상기한 한 쌍의 롤러설치구(114) 사이의 상부전방몸체(110)에는 회동축수공(111a)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수공(111a)과 이에 삽입되는 회동축(112)을 통해 회동암(120)의 일단부(구체적으로 후술하는 회동암의 축부)가 상부전방몸체(110)에 힌지 결합된다.
상부전방몸체(110)의 후단에는 연결봉삽입구(11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봉삽입구(117)에는 연결봉(140)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회동암(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부전방몸체(110)에 힌지결합되고, 회동암(120)의 타단부는 이동창(SW)에 구비된 작동유닛(500)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부대차이동로(710)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상부이동대차와 함께 이동창(SW)에 연결된 회동암(120) 역시 함께 이동되어야 하므로 상부대차이동로(710)의 외측에는 대차이동개구(711)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암(120)은 상부전방몸체(110)와 힌지결합되는 축부(120A)와, 상기 축부(120A)로부터 연장되고 작동암(130)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전방핀홀(123)이 구비된 안내부(120B) 및, 상기 안내부(120B)로부터 연장되어 작동유닛(500)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120C)로 이루어진다. 지지부(120C)에는 작동유닛(500)과의 결합을 위한 문고정편(126)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동암(120)은 작동암(130)의 안내에 따라 외측으로 회동하여 이동창(SW)을 창틀로부터 이탈시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거나, 이동창(SW)을 내측으로 당겨 창틀에 놓여지게 한다.
작동암(130)은 일단부가 회동암(1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전방몸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전방몸체(110)의 전방 하부에는 가이드핀(115)이 설치되고, 작동암(130)에는 내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가이드슬릿(131)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이드핀(115)이 가이드슬릿(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작동암(130)은 상부전방몸체(110)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암(120)을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된다.
상부전방대차(100)의 작동암(130)에 구비된 가이드슬릿(131)의 전방에는 내측방향으로 정지홈(135)이 구비된다. 상기 정지홈(135)은 회동암(120)이 돌출된 상태, 즉 이동창(SW)이 전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창틀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일종의 이동창(SW) 이동중 회동암(120)에 대한 임시 잠금수단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정지홈(135)은 가이드슬릿(131)과 연통하여 이와 함께 S자 형상의 슬릿을 형성한다.
이때 가이드슬릿(131)과 정지홈(135) 사이에는 정지홈(135)에 삽입된 가이드핀(115)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걸림돌기(132)가 형성된다. 아울러 가이드핀(115) 내측의 상부전방몸체(110)에는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작동암(130)을 밀어주는 판스프링(116)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정지홈(135)에 삽입된 가이드핀(115)은 작동암(130)의 전방부분을 내측으로 가압하지 않으면 정지홈(13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정지홈(135)에 삽입 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창(SW)이 닫힌 상태에서는 회동암(120)이 내측으로 당겨져 상부전방몸체(110)와 평행한 상태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동창(SW)이 닫혀질 즈음에 정지홈(135)에 삽입 고정되어 있던 가이드핀(115)이 정지홈(135)으로부터 이탈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작동암(130)의 정지홈(135) 전방에 가이드편(134)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BF1)에 형성된 상부대차이동로(710)에 상부유도블록(740)이 설치된다.
도 8은 상기 상부유도블록(740)의 구조에 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그의 단면도이며, 도 9, 10은 상부유도블록(740)과 작동암(130) 사이의 작동관계를 각 설명한 것이다.
상부유도블록(740)에는 이동창(SW)이 닫힘될 때 가이드편(13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74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홈(741)을 중심으로 전방쪽에 경사가압면(742)이 형성되고 후방쪽에 경사이탈면(743)이 형성된다.
경사가압면(742)은 가이드편(134)이 삽입홈(7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편(134)의 외단부(134b)를 가압하여 가이드핀(115)이 정지홈(135)으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가압면(742)은 내측에서부터 후방쪽으로 경사져 삽입홈(741)의 개구를 좁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경사이탈면(743)은 삽입홈(741)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편(134)이 이탈하는 과정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편(134)의 내단부(134a)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상부유도블록(740)의 삽입홈(741)으로부터 가이드편(134)이 쉽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이탈면(743) 역시 내측에서부터 후방쪽으로 경사져 삽입홈(741)의 개구를 넓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경사가압면(742)의 돌출정도는 경사이탈면(743)보다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부유도블록(740)은 이동창(SW)의 닫힘 방향에 따라 창틀의 설치장소 및 방향이 바뀔 수 있는바, 양쪽 방향 모두에 사용 가능하도록 삽입홈(741)을 대칭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범용성를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하부유도블록(750)도 같다.
도 11 내지 13은 상부후방대차(200)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은 이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이를 상부 및 아래에서 바라본 것을 각 도시한 것이다.
상부후방대차(200)는 상부전방대차(100)와 비교하여 작동암(230)에 정지홈(135)과 가이드편(134)이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과 커버작동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상부전방대차(100)의 대응구성과 동일하다. 즉 상부후방대차(200) 역시 상부후방몸체(210)와 회동암(220) 및 작동암(23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후방몸체(210)는 상부프레임(BF1)에 형성된 상부대차이동로(710)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것으로서, 그의 전후방에 한 쌍의 롤러설치구(214)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롤러(214a)가 수평 설치되어 상부대차이동로(710)의 내측벽을 따라 구름된다. 상부후방몸체(210)의 전단에는 연결봉삽입구(217)가 구비되어, 상부전방몸체(110)의 연결봉삽입구(117)에 삽입된 연결봉(140)의 타단부가 삽입된다.
또한 회동암(220)은 일단부가 상부후방몸체(2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이동창(SW)에 구비된 작동유닛(500)에 힌지결합되며, 작동암(230) 역시 일단부가 회동암(2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후방몸체(2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를 위해 상부후방몸체(210)의 전방 하부에 가이드핀(215)이 설치되고, 작동암(230)에는 내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가이드슬릿(231)이 구비되어, 가이드핀(215)이 가이드슬릿(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작동암(230)이 상부후방몸체(210)에 슬라이딩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암(220)은 상부후방몸체(210)와 힌지결합되는 축부(220A)와, 상기 축부(220A)로부터 연장되고 작동암(230)과 힌지결합을 위한 전방핀홀(223)이 구비된 안내부(220B) 및, 상기 안내부(220B)로부터 연장되어 작동유닛(500)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220C)로 이루어지며, 작동암(230)의 안내에 따라 외측으로 회동하여 이동창(SW)을 창틀로부터 이탈시켜 외측으로 돌출하게 하거나, 이동창(SW)을 내측으로 당겨 창틀에 놓여지게 한다. 지지부(220C)에는 작동유닛(500)과의 결합을 위한 문고정편(226)이 구비된다.
한편, 대차이동개구(711,721)는 창틀의 상부프레임(BF1)과 하부프레임(BF2)의 각 외측에 슬릿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이동창(SW)이 닫힘된 경우에도 고정창(FW)이 위치한 부분에는 대차이동개구(711,721)에 의한 슬릿의 외관이 그대로 나타나 창호의 미관을 저해한다.
따라서 대차이동개구(711,721) 중 고정창(FW)이 위치한 부분에는 대차이동개구(711,721)의 개폐를 위한 커버(712,7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712,722)는 창호폐쇄시 닫힘되어 대차이동개구(711,721)의 슬릿형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창호개방시 열림되어 대차이동개구(711,721)를 통해 회동암(120,220,320,420) 등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712,722)의 작동을 위하여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의 각 후방에 상기한 커버작동수단이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후방대차(200)와 후술하는 하부후방대차(400)에 각 구비된다.
상부후방대차(200)에 구비되는 커버작동수단은, 상부후방몸체(210)에 구비되는 암지지대(218)와, 상기 암지지대(218)와 회동암(220) 사이에 힌지결합되는 링크암(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암(240)은 제1링크(241)와 제2링크(243)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1링크(241)의 후단은 암지지대(218)에 힌지결합되고, 제2링크(243)의 전단은 회동암(220)의 안내부(220B)에 구비된 후방핀홀(224)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241)의 전단에는 가압편(24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크암(240)은 회동암(220)의 회동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서, 회동암(220)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241)가 제2링크(243)를 수직으로 세우면서 가압편(242)으로 하여금 커버(712)의 내측을 밀어주어 커버(712)가 열림되도록 한다. 창호가 폐쇄된 상태, 즉 이동창(SW)이 닫힘되면 회동암(220)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243)를 당겨주어 가압편(242)이 눕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커버(712)는 자중에 의해 대차이동개구(711)를 폐쇄시켜 도 2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창(FW)의 상부에 대차이동개구(711)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깔끔한 외관을 가지게 한다.
도 15 내지 17은 하부전방대차(300)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15는 이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7은 이를 상부 및 아래에서 바라본 것을 각 도시한 것이다.
하부전방대차(300)는 상부전방대차(100)에 대응하여 하부전방몸체(310)와 회동암(320) 및 작동암(33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구성 및 작동방식 역시 상부전방대차(100)와 크게 다르지 않고, 설치 위치의 차이 관계로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다.
하부전방몸체(310)는 하부프레임(BF2)에 형성된 하부대차이동로(720)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창(SW)을 슬라이딩시킨다.
하부전방몸체(310)에도 전후방에 한 쌍의 롤러설치구(314)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롤러(314a)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설치구(314)는 상부전방몸체(110)에서와는 달리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전방몸체(310)에 설치된 롤러(314a)는 하부대차이동로(720)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되도록 수직 설치된다. 이때 하부대차이동로(720)의 바닥면에는 레일을 형성시키고, 상기 롤러(314a)에도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홈을 구비시켜 하부전방몸체(310)의 전후방 이동이 흔들림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한 한 쌍의 롤러설치구(314) 사이, 즉 하부전방몸체(310)의 중앙에는 내외측으로 관통된 축수개구(311)가 구비되고, 상기 축수개구(311)를 상하 관통하도록 회동축수공(311a)이 구비된다. 하부전방몸체(310)의 후단에는 연결봉삽입구(317)가 구비되어, 이에 연결봉(340)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회동암(320)은 일단부가 하부전방몸체(310)에 힌지결합되고, 회동암(320)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코너조립블록(590)을 통해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된다. 하부대차이동로(720)의 외측에도 대차이동개구(721)가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회동암(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축수개구(311)에 삽입되어 회동축수공(311a)에 삽입되는 회동축(312)에 의해 일단부가 하부전방몸체(310)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축부(320A)와, 상기 축부(320A)로부터 연장되고 작동암(330)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전방핀홀(323)이 구비된 안내부(320B) 및, 상기 안내부(320B)로부터 연장되어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320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부전방대차(300)의 회동암(320) 역시 작동암(330)의 안내에 따라 외측으로 회동하여 이동창(SW)을 창틀로부터 이탈시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거나, 이동창(SW)을 내측으로 당겨 창틀에 놓여지게 한다.
작동암(330)은 일단부가 회동암(3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전방몸체(3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전방몸체(310)의 전방 상부에는 가이드핀(315)이 설치되고, 작동암(330)에는 내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가이드슬릿(331)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이드핀(315)이 가이드슬릿(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작동암(330)은 하부전방몸체(310)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암(320)을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된다.
하부전방대차(300)의 작동암(330)에 구비된 가이드슬릿(331)의 전방에는 내측방향으로 정지홈(335)이 구비된다. 이러한 정지홈(335)은 가이드슬릿(331)과 연통하여 이와 함께 S자 형상의 슬릿을 형성한다. 또한 가이드슬릿(331)과 정지홈(335) 사이에는 정지홈(335)에 삽입된 가이드핀(315)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걸림돌기(332)가 형성되고, 가이드핀(315) 내측의 하부전방몸체(310)에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작동암(330)을 밀어주는 판스프링(316)이 설치된다는 점 및 이들의 작동관계에서도 상부전방대차(100)와 큰 차이가 없다.
작동암(330)의 정지홈(335) 전방에는 상부전방대차(100)의 가이드편(134)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334)가 하향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돌기(334)의 내측 전방은 원호면(334a)으로 형성되고 외측 후방은 테이퍼면(334b)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상은 후술하는 하부유도블록(750)에 형성된 삽입홈(751)에 대한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게 한다.
도 18은 상기 하부유도블록(750)의 구조에 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그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하부유도블록(750)은 하부프레임(BF2)에 형성된 하부대차이동로(720)에는 설치되어 이동창(SW)이 닫힘될 때 가이드돌기(334)가 삽입홈(751)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홈(751)을 중심으로 전방의 경사가압면(752)과 후방의 경사이탈면(753)이 각 형성된다.
경사가압면(752)은 이동창(SW)이 닫힘되면서 가이드돌기(334)가 삽입홈(751)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가이드돌기(334)의 내측 전방, 즉 원호면(334a)을 가압하여 가이드핀(315)이 정지홈(335)으로부터 쉽게 이탈하게 하고, 경사이탈면(753)은 이동창(SW)이 열림되면서 가이드돌기(334)가 삽입홈(751)에서 이탈되는 과정 중에 가이드돌기(334)의 외측 후방, 즉 테이퍼면(334b)과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작동관계는 상부전방대차(100)의 가이드편(134)과 상부유도블록(740) 사이와 다르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상부전방대차(100)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다만 하부전방대차(300)에서는 이동창(SW)의 닫힘될 때 회동암(320)이 보다 쉽게 내측으로 이동하여 이동창(SW)이 창틀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가력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력수단은 코일스프링(313)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회동암(320)의 축부(320A)에 권취롤(322)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롤(322)에 코일스프링(313)을 설치하되, 상기 코일스프링(313)의 일단은 축부(320A)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전방몸체(3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19 내지 21은 하부후방대차(400)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19는 이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0은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21은 이를 상부 및 아래에서 바라본 것을 각 도시한 것이다.
하부후방대차(400) 역시 상부후방대차(200)에 대응하여 하부후방몸체(410)와 회동암(420) 및 작동암(430)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링크암(440)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작동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작동암(430)에는 정지홈(335)과 가이드돌기(334)가 구비되지 않는다.
하부후방몸체(410)는 하부프레임(BF2)에 형성된 하부대차이동로(720)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창(SW)을 슬라이딩시킨다.
하부후방몸체(410)에도 전후방에 한 쌍의 롤러설치구(414)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롤러(414a)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설치구(414)는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여기에 설치된 롤러(414a)는 하부대차이동로(720)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되도록 수직 설치된다. 상기 바닥면에 레일이 설치되고 롤러(414a)에 레일홈을 구비시키는 것은 하부전방몸체(310)의 것과 같다.
하부후방몸체(410)의 중앙에는 내외측으로 관통된 축수개구(411)가 구비되고, 상기 축수개구(411)를 상하 관통하도록 회동축수공(411a)이 구비된다. 하부후방몸체(410)의 전단에는 연결봉삽입구(417)가 구비되어, 연결봉(340)에 의해 하부전방몸체(310)와 연결된다.
회동암(420)은 일단부는 하부후방몸체(410)에 힌지결합되고, 회동암(420)의 타단부는 코너조립블록(590)을 통해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회동암(420)은 상기 축수개구(411)에 삽입되어 회동축수공(411a)에 삽입되는 회동축(412)에 의해 일단부가 하부후방몸체(410)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축부(420A)와, 상기 축부(420A)로부터 연장되고 작동암(430)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전방핀홀(423)이 구비된 안내부(420B) 및, 상기 안내부(420B)로부터 연장되어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부(42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부(420A)에도 권취롤(422)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롤(422)에는 코일스프링(413)이 설치되며, 코일스프링(413)의 일단은 축부(420A)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후방몸체(4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413)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창(SW)의 닫힘될 때 회동암(420)이 보다 쉽게 내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작동암(430)은 일단부가 회동암(4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하부후방몸체(4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후방몸체(410)의 전방 상부에는 가이드핀(415)이 설치되고, 작동암(430)에는 내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가이드슬릿(431)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이드핀(415)이 가이드슬릿(4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작동암(430)은 하부후방몸체(410)에 슬라이딩하면서 회동암(420)을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된다.
하부프레임(BF2)의 경우도 대차이동개구(721) 중 고정창(FW)이 위치한 부분에 커버(722)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작동수단으로 하부후방몸체(410)에 암지지대(418)가 구비되고, 전단에 가압편(442)이 구비된 제1링크(441)과 상기 제1링크(441)와 힌지결합된 제2링크(443)로 이루어지는 링크암(440)이 상기 암지지대(418)와 회동암(420) 사이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441)의 후단은 암지지대(418)에 힌지결합되고, 제2링크(443)의 전단은 회동암(420)의 안내부(420B)에 구비된 후방핀홀(424)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링크암(440)의 작동관계는 상부후방대차(200)에 형성되는 링크암(240)과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작동유닛(50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작동유닛(500)은 이동창(SW)에 설치된 핸들부(600)의 회전에 따라 잠금, 해지 및, 틸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으로서 이동창(SW)의 이동프레임부재에 구비된다. 즉 상기 작동유닛(500)은 상부이동프레임(SF1)과 하부이동프레임(SF2) 및 수직이동프레임(SF3)에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유닛(500)은, 수직방향의 작동부(500A)와 수직이동부(500D), 수평방향의 상부이동부(500B)와 하부이동부(500C)로 구분된다.
작동부(500A)는 핸들부(600)가 위치한 전방쪽의 수직이동프레임(SF3)에 설치되어, 핸들부(600)가 회전함에 따라 작동유닛(5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창(SW)을 잠금하거나, 해지하여 이동 개방하게 하거나, 틸팅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동부(500A)에는 핸들부(600)에 구비된 작동편(620)과 결합되는 캐리어(510)가 설치된다. 핸들부(600) 내부에는 렉기어(미도시)가 구비되어 핸들(610)을 회전시키면 작동편(620)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510)는 핸들부(600)의 회전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이동하면서 작동부(500A)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한다.
도 23은 상기 캐리어(5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리어(510)는 일체로 성형된 구조일 수도 있으나,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캐리어(511)와 수캐리어(512)가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핸들부(600)의 작동편(620)과의 결합 및 작동부(500A)의 조립에 대한 용이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510)의 중앙에 고정홈(513)을 형성시켜 핸들부(600)의 작동편(620)이 삽입됨으로써 이들 사이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10)는 상부쪽으로 상부로드(520)와 연결되고 하부쪽으로 하부로드(530)와 연결된다.
도 24, 25는 본 발명의 틸팅구조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24는 이와 관련된 창틀과 이동창(SW)의 각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도 25는 틸팅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드(520)에는 틸팅끼움슬릿(521)이 구비되고, 이동창(SW)이 담힘되었을 때 상부로드(520)가 접하게 되는 창틀의 수직프레임(BF3)에는 하단에 걸림봉(761)이 구비된 틸팅암(760)의 상단이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캐리어(510)가 하부로 수직이동하게 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끼움슬릿(521)에 틸팅암(760)의 걸림봉(761)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이동창(SW)은 틸팅암(760)을 매개로 창틀의 수직프레임(BF3)에 힌지결합되어 창호의 외측으로 틸팅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상부이동프레임(SF1)에 설치되는 상부이동부(500B)와 회동암(120),220)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이동부(500B)는 상부전방대차(100)와 상부후방대차(200)의 각 회동암(120),220)이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이동부(500B)에는 슬라이딩부(541)가 구비된 상부이동대(540)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541)에는 암고정대(545)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암(120,220)에 구비된 각 문고정편(126,226)은 암고정대(545)를 매개로 하여 작동유닛(500)의 상부이동부(500B)에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암고정대(545)는 하부에 트렌치(547)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이동대(540)의 슬라이딩부(541)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암고정대(545)의 슬라이딩은 이동창(SW)의 이동과 회동암(120,220)의 회동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문고정편(126,226)에 힌지홀(127,227)이 구비되는바, 암고정대(545)에도 상기 힌지홀(127,227)에 삽입되는 힌지축(546)이 상부 중앙에 구비됨으로써, 회동암(120,220)과 암고정대(545) 사이가 힌지결합된다.
이때 문고정편(126,226)의 힌지홀(127,227)에 키홈(127a,227a)을 구비시키고, 암고정대(545)의 힌지축(546)에 잠금키(546a)를 구비시킴으로써, 문고정편(126,226)에 힌지결합된 암고정대(545)가 이동창(SW)의 작동과정 중에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부이동부(500B)에 구비되는 상부이동대(540)는 두 개의 슬라이딩부(541)를 구비한 하나의 부재로 구성시킬 수 있으나, 상부전방대차(100)와 상부후방대차(200)의 각 회동암(120,220)에 대응하도록 하나의 슬라이딩부(541)를 구비한 상부이동대(540)를 각 구비시킴으로써 창호의 규모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어느 하나는 그 길이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창호의 크기에 맞추게 할 수 있는데, 이때 슬라이딩부(54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암고정대(545)의 슬라이딩이 제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부이동대(540)에는 잠금돌기(544)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이동대(540)에 잠금돌기(544)가 설치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창틀 상부프레임(BF1)에도 잠금수용체(730)가 설치되어야 한다. 잠금돌기(544)는 핸들부(60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상부이동대(540)를 통해 수평이동하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용체(730)에 수용됨으로써 이동창(SW)이 외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28 내지 30은 이동창(SW)의 하부에서 이동창(SW)과 회동암(320,420)이 결합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8은 이동창(SW)의 하부이동프레임(SF2)과 수직이동프레임(SF3)의 결합구조를 설명한 것이고, 도 29, 30은 하부전방대차(300)의 회동암(320)과 하부후방대차(400)의 회동암(420)이 이동창(SW)과 결합되는 각각의 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하부이동프레임(SF2)과 수직이동프레임(SF3)의 결합은 도 28에 도시된 코너조립블록(590)에 의한다. 상기 코너조립블록(590)은 하부이동프레임(SF2)에 구비된 끼움홈(미도시)에 삽입되는 수평끼움편(592)과 수직이동프레임(SF3)에 구비된 끼움홈(미도시)에 삽입되는 수직끼움편(591)이 각 구비되고, 상기 수평끼움편(592)의 하면에는 결합공(593)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전방대차(300)와 하부후방대차(400)의 각 회동암(320,420)에는 문고정봉(325,425)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결합공(593)에 문고정봉(325,425)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동암(320,420)은 하부전방대차(300)와 하부후방대차(400)에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29는 하부전방대차(300)의 회동암(320)이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암(320)의 문고정봉(325)은 하부이동프레임(SF2)과 수직이동프레임(SF3)을 결합시킨 코너조립블록(590) 하부의 결합공(593)에 삽입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힌지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회동암(320)의 회동에 따라 이동창(SW)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창틀에 안착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이동프레임(SF2)에 설치되는 하부이동부(500C)에는 하부조립대(551)가 구비되어 핸들부(600)의 작동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회동암(320)과 하부조립대(551)는 각자의 작동이 서로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게 되며, 이를 위해 하부조립대(551)에는 이동슬릿(551a)이 구비된다. 따라서 문고정봉(325)은 상기 이동슬릿(551a)을 통해 하부조립대(551)에 의한 간섭없이 자유롭게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문고정봉(325)의 하단에 링홈(325a)을 구비시키고, 상기 링홈(325a) 부분이 이동슬릿(55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공(593)에 삽입된 문고정봉(325)이 이탈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슬릿(551a)의 폭을 문고정봉(325)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시킴으로써 링홈(325a)에 이동슬릿(551a)이 삽입된 하부조립대(551)를 상기 링홈(325a)으로부터 이탈할 수 없게 한다. 다만 슬릿의 일측에는 조립작업시 문고정봉(325)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문고정봉(325)의 외경보다 큰 조립확개공(551b)을 구비시켜야 한다.
하부이동부(500C)에는 이동창(SW)이 닫힘된 상태에서는 이동창(SW)이 외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체(560)가 하부조립대(551)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체(560)에는 잠금돌기(564)가 형성되는 바, 잠금돌기(564)는 핸들부(600)의 회전 작동에 따라 하부조립대(551)를 통해 수평이동하여 창틀의 하부프레임(BF2)에 설치되는 잠금수용체(730)에 수용됨으로써 이동창(SW)이 외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30은 하부후방대차(400)의 회동암(420)이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하부후방대차(400)의 회동암(420)의 문고정봉(425) 역시 하부이동프레임(SF2)과 수직이동프레임(SF3)을 결합시킨 코너조립블록(590) 하부의 결합공(593)에 삽입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힌지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단지 이 부분에서의 하부이동프레임(SF2)에는 하부이동부(500C)가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 문고정봉(425)과 코너조립블록(590)의 결합구조는 잠금판(552)에 의해 잠금된다.
이를 위해 하부후방대차(400)의 문고정봉(425)의 하단에는 하부전방대차(300)의 문고정봉(325)과 마찬가지로 링홈(425a)이 구비된다. 아울러 잠금판(552)은 확개삽입공(552a)과 잠금공(552b)이 연통하도록 각 구비된다. 이때 확개삽입공(552a)의 내경을 문고정봉(425)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시킴으로써 조립작업시 문고정봉(425)에 잠금판(552)이 설치될 수 있게 하고, 링홈(425a)의 위치에서 잠금판(552)을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잠금공(552b)이 링홈(425a)에 삽입되어 문고정봉(425)이 잠금판(55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공(552b)의 내경을 문고정봉(425)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시켜야 한다. 문고정봉(425)을 잠금한 상태에서 잠금판(552)을 코너조립블록(590)의 하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결합공(593)에 삽입된 문고정봉(425)은 이탈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도 31은 후방쪽의 수직이동프레임(SF3)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부(500D)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이동부(500D)에는 수직연결대(570)와 잠금체(560)가 구비된다. 잠금체(56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돌기(564)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창틀 수직프레임(BF3)에는 잠금수용체(730)가 설치된다. 따라서 핸들부(600)가 회전 작동함에 따라 수직연결대(570)가 잠금체(560)를 수직이동시킴으로써 잠금돌기(564)가 잠금수용체(730)에 수용되어 이동창(SW)은 후방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금된다.
도 32는 작동부(500A)와 상부이동부(500B)의 사이와 작동부(500A)와 하부이동부(500C) 사이 및 상부이동부(500B)와 수직이동부(500D) 사이의 각 모서리부분을 연결하면서 이들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너드라이브(500E)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코너드라이브(500E)는 코너하우징(581)과 수평이동편(582) 및 수직이동대(583)로 구성된다.
코너하우징(581)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수평이동편(582)과 수직이동대(583)를 수용하면서 이들의 움직임을 안내한다.
수직이동대(583)는 작동부(500A) 또는 수직이동부(500D)에 연결되고, 수평이동편(582)은 상부이동부(500B) 또는 하부이동부(500C)와 연결됨으로써, 핸들부(600)의 회전작동이 작동유닛(500) 전체에 전달되게 한다.
상기 수평이동편(582)은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판상의 부재 내지 와이어로 이루어져 코너하우징(581)의 코너부분에서의 수직 수평방향의 전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수직이동대(583)에는 잠금돌기(584)를 형성시킬 수 있다. 몰론 이에 대응하여 창틀의 수직프레임(BF3)과 하부프레임(BF2)에는 잠금수용체(730)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부대차이동로와 하부대차이동로의 각 후단에는 이동창을 개방시킬 때 창틀의 수직프레임과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각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상부전방대차 110; 상부전방몸체
120,220,320,420; 회동암 130,230,330,430; 작동암
131,231,331,431; 가이드슬릿 135,335; 정지홈
140,340; 연결봉 200; 상부후방대차
210; 상부후방몸체 240,440; 링크암
300; 하부전방대차 310; 하부전방몸체
400; 하부후방대차 410; 하부후방몸체
500; 작동유닛 500A; 작동부
500B; 상부이동부 500C; 하부이동부
500D; 수직이동부 510; 캐리어
520; 상부로드 521; 틸팅끼움슬릿
540; 상부이동대 545; 암고정대
551; 하부조립대 552; 잠금판
560; 잠금체 570; 수직연결대
590; 코너조립블록 600; 핸들부
710; 상부대차이동로 711,721; 대차이동개구
712,722; 커버 720; 하부대차이동로
730; 잠금수용체 740; 상부유도블록
750; 하부유도블록 760; 틸팅암
120,220,320,420; 회동암 130,230,330,430; 작동암
131,231,331,431; 가이드슬릿 135,335; 정지홈
140,340; 연결봉 200; 상부후방대차
210; 상부후방몸체 240,440; 링크암
300; 하부전방대차 310; 하부전방몸체
400; 하부후방대차 410; 하부후방몸체
500; 작동유닛 500A; 작동부
500B; 상부이동부 500C; 하부이동부
500D; 수직이동부 510; 캐리어
520; 상부로드 521; 틸팅끼움슬릿
540; 상부이동대 545; 암고정대
551; 하부조립대 552; 잠금판
560; 잠금체 570; 수직연결대
590; 코너조립블록 600; 핸들부
710; 상부대차이동로 711,721; 대차이동개구
712,722; 커버 720; 하부대차이동로
730; 잠금수용체 740; 상부유도블록
750; 하부유도블록 760; 틸팅암
Claims (31)
- 창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창(FW)과, 창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창호를 개폐하는 이동창(SW)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SW)은, 창호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고정창(FW)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창호개방 작동시에 이동창(SW)의 슬라이딩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창(SW)이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이동창(SW)에 설치된 핸들부(600)의 회전에 따라 잠금, 해지 및, 틸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하는 작동유닛(500)이 상기 이동창(SW)의 이동프레임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이동창(SW)의 상부이동프레임(SF1)과 하부이동프레임(SF2)에 각 연결된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로 이루어지고, 창틀의 상부프레임(BF1)과 하부프레임(BF2)의 각 내부에는 상기 상부이동대차가 이동하는 상부대차이동로(710)와 하부이동대차가 이동하는 하부대차이동로(72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상부대차이동로(710)와 하부대차이동로(720)의 각 외측에는 대차이동개구(711,7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차이동개구(711,721) 중 고정창(FW)이 위치한 부분에는 대차이동개구(711,721)의 개폐를 위한 커버(712,722)가 설치되어 창호폐쇄시에는 커버(712,722)가 닫히고 창호개방시에는 커버(712,722)가 열리며, 상부이동대차와 하부이동대차의 각 후방에는 상기 커버(712,722)를 작동시키는 커버작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대차는, 전방에 위치한 상부전방대차(100)와, 후방에 위치한 상부후방대차(200)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이동대차는, 전방에 위치한 하부전방대차(300)와, 후방에 위치한 하부후방대차(400)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3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방대차(100)는, 상부프레임(BF1)에 형성된 상부대차이동로(71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부전방몸체(110)와, 일단부가 상부전방몸체(1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 문고정편(126)이 구비되어 이동창(SW)에 구비된 작동유닛(500)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암(120) 및, 일단부가 회동함(1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전방몸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작동암(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5항에 있어서,
상부전방몸체(110)의 전방 하부에는 가이드핀(115)이 설치되고, 작동암(130)에는 호형의 가이드슬릿(13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115)이 가이드슬릿(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작동암(130)이 상부전방몸체(110)에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131)의 전방에는 내측방향으로 정지홈(135)이 구비되어 가이드슬릿(131)과 함께 S자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가이드슬릿(131)과 정지홈(135) 사이에는 걸림돌기(132)가 형성되어, 정지홈(135)에 삽입된 가이드핀(115)은 걸림돌기(132)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115) 내측의 상부전방몸체(110)에는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작동암(130)을 밀어주는 판스프링(11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130)의 정지홈(135) 전방에는 가이드편(134)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BF1)에 형성된 상부대차이동로(710)에는 이동창(SW)이 닫힘될 때 상기 가이드편(13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741)이 형성된 상부유도블록(74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유도블록(740)에는 경사가압면(7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편(134)이 삽입홈(741)에 삽입되는 과정에 경사가압면(742)이 가이드편(134)의 외단부(134b)를 가압하여 가이드핀(115)이 정지홈(135)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후방대차(200)는, 상부프레임(BF1)에 형성된 상부대차이동로(71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부후방몸체(210)와, 일단부가 상부후방몸체(2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 문고정편(226)이 구비되어 이동창(SW)에 구비된 작동유닛(500)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암(220)과, 일단부가 회동암(2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후방몸체(2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작동암(230) 및, 일단부가 회동암(22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부후방몸체(210)의 후방에 힌지결합된 링크암(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0항에 있어서,
상부후방몸체(210)의 전방 하부에는 가이드핀(215)이 설치되고, 작동암(230)에는 호형의 가이드슬릿(23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215)이 가이드슬릿(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작동암(230)이 상부후방몸체(210)에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후방몸체(210)에는 암지지대(218)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암(240)은 제1링크(241)와 제2링크(243)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며,
제1링크(241)의 후단은 암지지대(218)에 힌지결합되고, 제2링크(243)의 전단은 작동암(23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241)의 전단에는 가압편(24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방대차(300)는, 하부프레임(BF2)에 형성된 하부대차이동로(72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하부전방몸체(310)와, 일단부가 하부전방몸체(3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암(320) 및, 일단부가 회동암(3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전방몸체(3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작동암(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방몸체(310)의 중앙에는 내외측으로 관통된 축수개구(311)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암(320)은, 상기 축수개구(311)에 삽입되어 회동축(312)에 의해 하부전방몸체(310)와 힌지결합되는 축부(320A)와, 전방핀홀(323)이 구비되어 작동암(330)과 힌지결합되는 안내부(320b) 및, 이동창(SW)과 힌지결합되도록 문고정봉(325)이 설치된 지지부(320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320A)에는 권취롤(322)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롤(322)에는 코일스프링(313)이 설치되되, 코일스프링(313)의 일단은 축부(320A)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전방몸체(3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3항에 있어서,
하부전방몸체(310)의 전방 상부에는 가이드핀(315)이 설치되고, 작동암(330)에는 호형의 가이드슬릿(33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315)이 가이드슬릿(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작동암(330)이 하부전방몸체(310)에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331)의 전방에는 내측방향으로 정지홈(335)이 구비되어 가이드슬릿(331)과 함께 S자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가이드슬릿(331)과 정지홈(335) 사이에는 걸림돌기(332)가 형성되어, 정지홈(335)에 삽입된 가이드핀(315)은 걸림돌기(332)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315) 내측의 하부전방몸체(310)에는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작동암(330)을 밀어주는 판스프링(31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330)의 정지홈(335) 전방에는 가이드돌기(334)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BF2)에 형성된 하부대차이동로(720)에는 이동창(SW)이 닫힘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3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751)이 형성된 하부유도블록(75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유도블록(750)에는 경사가압면(75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돌기(334)가 삽입홈(751)에 삽입되는 과정에 경사가압면(752)이 가이드돌기(334)의 내측 전방을 가압하여 가이드핀(315)이 정지홈(335)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방대차(400)는, 하부프레임(BF2)에 형성된 하부대차이동로(72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하부후방몸체(410)와, 일단부가 하부후방몸체(4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창(SW)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암(420)과, 일단부가 회동암(42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하부후방몸체(4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작동암(430) 및, 일단부가 회동암(42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부후방몸체(410)의 후방에 힌지결합된 링크암(4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방몸체(410)의 중앙에는 내외측으로 관통된 축수개구(411)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암(420)은, 상기 축수개구(411)에 삽입되어 회동축(412)에 의해 하부후방몸체(410)와 힌지결합되는 축부(420A)와, 전방핀홀(423)이 구비되어 작동암(430)과 힌지결합되는 안내부(420B) 및, 이동창(SW)과 힌지결합되도록 문고정봉(425)이 설치된 지지부(420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420A)에는 권취롤(422)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롤(422)에는 코일스프링(413)이 설치되되, 코일스프링(413)의 일단은 축부(420A)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후방몸체(4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20항에 있어서,
하부후방몸체(410)의 전방 상부에는 가이드핀(415)이 설치되고, 작동암(430)에는 호형의 가이드슬릿(43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415)이 가이드슬릿(4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작동암(430)이 하부후방몸체(410)에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방몸체(410)에는 암지지대(418)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암(440)은 제1링크(441)와 제2링크(443)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며,
제1링크(441)의 후단은 암지지대(418)에 힌지결합되고, 제2링크(443)의 전단은 회동암(42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441)의 전단에는 가압편(44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방대차(100)와 상부후방대차(200)의 각각에는 상부대차이동로(710)의 내측벽을 따라 구름되도록 롤러(114a,214a)가 수평 설치되고,
상기 하부전방대차(300)와 하부후방대차(400)의 각각에는 하부대차이동로(720)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되도록 롤러(314a,414a)가 수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500)은, 이동창(SW)의 이동프레임부재를 구성하는 상부이동프레임(SF1)과 하부이동프레임(SF2) 및 수직이동프레임(SF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핸들부(600)가 위치한 전방쪽의 수직이동프레임(SF3)에 설치되는 작동부(500A)와, 후방쪽의 수직이동프레임(SF3)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부(500D)와, 상부이동프레임(SF1)에 설치되는 상부이동부(500B) 및, 하부이동프레임(SF2)에 설치되는 하부이동부(500C)로 이루어지고,
작동부(500A)에는 핸들부(600)의 회전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이동하는 캐리어(5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10)는, 상부쪽으로 상부로드(520)와 연결되고 하부쪽으로 하부로드(530)와 연결되며,
상부로드(520)에는 틸팅끼움슬릿(521)이 구비되고,
상부로드(520)가 접하게 되는 창틀의 수직프레임(BF3)에는 하단에 걸림봉(761)이 구비된 틸팅암(760)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며,
캐리어(510)의 하부 이동에 따라 틸팅끼움슬릿(521)에 걸림봉(761)이 삽입되어 이동창(SW)의 틸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500A)와 수직이동부(500D)와 상부이동부(500B) 및 하부이동부(500C) 중 적어도 수직이동부(500D)와 하부이동부(500C)에는 잠금돌기(564)가 형성된 잠금체(560)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체(560)가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창틀의 수직프레임(BF3)과 하부프레임(BF2)에는 상기 잠금돌기(564)가 수용될 수 있는 잠금수용체(7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문고정편(126,226)은 작동유닛(5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고정대(545)를 매개로 하여 작동유닛(5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고정편(126,226)에는 힌지홀(127,227)이 구비되고,
상기 암고정대(545)에는 상기 힌지홀(127,227)에 삽입되는 힌지축(54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14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SW)의 하부이동프레임(SF2)과 수직이동프레임(SF3)의 결합은 코너조립블록(59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코너조립블록(590)은, 하부이동프레임(SF2)에 구비된 끼움홈에 삽입되는 수평끼움편(592)과, 수직이동프레임(SF3)에 구비된 끼움홈에 삽입되는 수직끼움편(591)이 각 구비되되,
상기 수평끼움편(592)의 하면에는 결합공(593)이 형성되고,
문고정봉(325,425)이 상기 결합공(593)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문고정봉(425)은 하단에 링홈(425a)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593)에 삽입된 문고정봉(425)은 잠금판(55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잠금되되,
상기 잠금판(552)은, 내경이 문고정봉(425)의 외경보다 큰 확개삽입공(552a)과, 내경이 문고정봉(425)의 외경보다 작은 잠금공(552b)이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570A KR102220546B1 (ko) | 2020-10-14 | 2020-10-14 |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570A KR102220546B1 (ko) | 2020-10-14 | 2020-10-14 |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0546B1 true KR102220546B1 (ko) | 2021-02-24 |
Family
ID=7468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2570A KR102220546B1 (ko) | 2020-10-14 | 2020-10-14 |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05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7676B1 (ko) | 2022-05-02 | 2022-07-07 | 주식회사 미맥스 | 틸팅형 시스템 창호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6874A (ko) * | 2004-10-26 | 2006-05-02 | 홍지창 | 조립식 방범창 |
KR20080100392A (ko) * | 2006-03-17 | 2008-11-17 | 하우타우 게엠베하 |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새시를 위한 피팅 시스템 |
KR101102305B1 (ko) | 2009-06-03 | 2012-01-03 | 주식회사동양강철 | 슬라이딩 및 틸팅 일체형 구조의 시스템 창호 |
KR20180121621A (ko) * | 2016-03-14 | 2018-11-07 |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 평행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위치에서 수평 변위 될 수 있는 창문 또는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새시를 위한 여닫이 장치 |
KR101989754B1 (ko) * | 2018-12-11 | 2019-06-14 | 이상일 | 미닫이방식의 시스템 창호 |
KR102099324B1 (ko) | 2018-12-14 | 2020-04-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문장치 |
-
2020
- 2020-10-14 KR KR1020200132570A patent/KR1022205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6874A (ko) * | 2004-10-26 | 2006-05-02 | 홍지창 | 조립식 방범창 |
KR20080100392A (ko) * | 2006-03-17 | 2008-11-17 | 하우타우 게엠베하 |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새시를 위한 피팅 시스템 |
KR101102305B1 (ko) | 2009-06-03 | 2012-01-03 | 주식회사동양강철 | 슬라이딩 및 틸팅 일체형 구조의 시스템 창호 |
KR20180121621A (ko) * | 2016-03-14 | 2018-11-07 |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 평행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위치에서 수평 변위 될 수 있는 창문 또는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새시를 위한 여닫이 장치 |
KR101989754B1 (ko) * | 2018-12-11 | 2019-06-14 | 이상일 | 미닫이방식의 시스템 창호 |
KR102099324B1 (ko) | 2018-12-14 | 2020-04-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문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7676B1 (ko) | 2022-05-02 | 2022-07-07 | 주식회사 미맥스 | 틸팅형 시스템 창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0546B1 (ko) |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 | |
US8763205B2 (en) | Running gear arrangement having a guide rail for a sliding door | |
JP2790792B2 (ja) | 窓の開閉装置 | |
TWI647371B (zh) | 用於門扇的引導系統 | |
KR102026155B1 (ko) | 지지대를 형성하는 여행용 가방 | |
CA2337989C (en) | Sliding element unit | |
EP3122974B1 (en) | Mechanism at pivoting window | |
KR102373584B1 (ko) |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 |
KR102494937B1 (ko) |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 |
JPH0238681A (ja) | 窓,ドア等の開閉用継手金物 | |
PL201187B1 (pl) | Zestaw okuć do okna lub drzwi oraz okno lub drzwi | |
JP5594939B2 (ja) | 扉装置 | |
JP7268175B2 (ja) | 少なくとも1つの可動の家具扉をガイドするための装置 | |
JP3942899B2 (ja) | 間仕切り装置 | |
JP4002597B2 (ja) | 引き戸 | |
KR102514611B1 (ko) | 패닉 자동 도어 | |
KR102531391B1 (ko) | 자동 도어 시스템 | |
PL208642B1 (pl) | Kryta zawiasa drzwiowa lub okienna | |
KR20240095095A (ko) | 폴딩도어 잠금장치 | |
WO2022228635A1 (en) | Roof window with a set of hinges | |
JP6802951B2 (ja) | 可動式テナーガイド装置 | |
JP5548881B2 (ja) | 伸縮式門扉 | |
JP2023173823A (ja) | ドア装置におけるドア枠構造およびドア枠の点検カバー開放方法 | |
JP2596344Y2 (ja) | 折畳み扉装置 | |
JPS6349500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