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819B1 - 외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외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819B1
KR102218819B1 KR1020157029158A KR20157029158A KR102218819B1 KR 102218819 B1 KR102218819 B1 KR 102218819B1 KR 1020157029158 A KR1020157029158 A KR 1020157029158A KR 20157029158 A KR20157029158 A KR 20157029158A KR 102218819 B1 KR102218819 B1 KR 10221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urgical implant
pockets
base structure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357A (ko
Inventor
폴케르 하름스
수잔 쿠퍼
다자나 카이저
크리스토프 발테르
Original Assignee
존슨 앤 존슨 메디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 존슨 메디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앤 존슨 메디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3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61F2002/0068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having a special mesh pattern

Abstract

외과용 임플란트(100)는 중심 영역을 갖는 메시형 가요성 기본 구조체(104) 및 외측 주변부(120)를 포함하고, 여기서 외측 주변부(120)는 N개의 코너(122)를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N은 3 이상이다. 임플란트(100)는 적어도 2개의 포켓(124)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포켓(124)은 기본 구조체(104)의 외측 주변부(120)의 2개의 코너(122)를 연결하는 주변 선으로부터 기본 구조체(104)의 중심 영역을 향해 연장된다. 기본 구조체(104)의 중심 영역은 중심 마킹(130)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여기서 방향 지시기(132)는 중심 마킹(130)으로부터 기본 구조체(104)의 외측 주변부(120)의 적어도 2개의 코너(122)로 지향된다

Description

외과용 임플란트{SURGICAL IMPLANT}
본 발명은 외과용 임플란트(surgical impla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적 기반 형상을 갖고 메시형(mesh-like) 가요성 기본 구조체를 포함하는 외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예컨대 복부 탈장 장치로서 복강내 공간에 적용될 수 있지만, (제대 탈장 결손부, 절개 탈장 결손부와 같은) 복부 탈장 결손부의 다른 징후에, 탈장 방지에, 그리고 일반적으로 조직 또는 근육 벽 결손부를 수복하는 데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유럽 특허 EP 2 032 073 A호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세포의 내성장을 위해 구성된 2개의 면(면) 및 외측 주연부(주변부)를 갖는 조직 수복 재료를 포함하는 이식가능한 의료 장치를 개시한다. 커프(cuff)가 조직 수복 재료의 면 상에 중첩되도록 외측 주연부로부터 형성되어, 커프와 조직 수복 재료 사이에 개구를 생성한다. 커프는 환자의 조직에 장치를 결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의 외측 에지에서의 고정 영역을 형성한다.
미국 출원 공개 제2008/0147099 A호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탈장 수복을 위한 2층 패치(patch) 장치를 보여준다. 제1 층은 위치설정 플레이크(flake)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된다. 제1 층 및 제2 층의 에지들이 연결되어 포켓을 형성한다. 제2 층은 보조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패치는 탈장을 수복하기 위해 복막의 공동(cavity)에 부착될 수 있다.
미국 출원 공개 제2011/0118851 A호는 해부학적 약화부 또는 결손부를 수복하거나 강화하기 위한 이식가능한 보형물을 개시하며, 이는 연조직 및 근육 벽 개구의 수복에 특히 적합하다. 보형물은, 조직 내성장을 허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조직 및 장기와의 유착의 형성 및 미란(erosion)에 민감한 수복 직물을 포함한다. 보형물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미란 및/또는 유착의 형성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형물은 미란-저항성 에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식도와 같은 관형 구조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현재 시판 중인 포켓 형상의 임플란트는 몇몇 단점을 보인다. 포켓은 다양한 재료 층들을 서로 겹쳐 배치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에지들에서의 시임 연결(seam connection)에 의해 형성된다. 때때로, 지지 링이 또한 에지 영역에 포함된다. 임플란트 고정은 이들 에지 연결부 내부에서만 허용된다. 이는 에지 재료를 고정되지 않게 하여, 팽창된 및/또는 접힌 에지 영역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강성 재료, 예를 들어 지지 링은 (구부러지거나 파단됨으로써) 고장나기 쉽다. 장기 염증 또는 부상뿐만 아니라 조직 내성장과 관련한 문제들이 전술한 단점들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상이한 재료 층들을 서로 겹쳐 위치시키는) 조립 공정의 결과, 몇몇 포켓 형상의 임플란트의 외측 에지는 유착 방지 재료로 덮이지 않고 유착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제기한다.
최근, 그러한 포켓 형상의 임플란트의 고정은 흔히 스테이플러(stapler) 또는 택커(tacker)에 의해 수행된다. 현재의 개방 IPOM(복강내 온레이 메시 기술, Intra-Peritoneal Onlay-Mesh technique) 장치의 형상(상당히 둥근 에지를 갖는 타원형,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인해, 사전한정된 제1 고정점 위치가 찾아질 수 없다.
또한, 복강 내로의 삽입 후 임플란트의 배향 및 중심설정에 관한 정확한 배치는 흔히 어렵다.
국제 출원 공개 WO 2011/159700 A호는 특히 복강내 응용에 대해, 탈장, 특히 절개 탈장을 수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복합 임플란트를 기술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정렬 마커(alignment marker)를 포함하고, 이는 비대칭이며 임플란트의 중심 및 임플란트에 대한 바람직한 배치 방향을 보여주도록 구성된다.
국제 출원 공개 WO 2003/037215 A호는 임플란트의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 영역 내의 마킹(marking) 및 메시형 기본 구조체를 갖는 면적형 임플란트(areal implant)를 개시한다. 마킹 선은 중심 마킹을 통해 연장한다. 중심 마킹 및 마킹 선은 조직을 보강하기 위해 수술 개구 위로 임플란트를 정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배향에 대한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신체 조직에 의해 숨겨질 수 있는 임플란트의 주변부의 실제 위치를 외과의에게 명확하게 알려주지는 않는다. 그러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가 그의 주변 영역에서 신체 조직에 고정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외과 시술을 용이하게 하는, 탈장 수복에 유용한 외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들을 갖는 외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는 중심 영역을 갖는 메시형 가요성 기본 구조체 및 외측 주변부를 포함한다. 외측 주변부는 N개의 코너들을 갖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N은 3 이상이다. 용어 "코너"는 또한 다소 둥근 형태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과용 임플란트는 육각형 또는 팔각형 형상을 가지며, 즉 N=6 또는 N=8이다.
다각형 형상의 임플란트는 외과의가, 흔히 임플란트의 일부가 신체 조직에 의해 숨겨질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지 않은 임플란트의 경계들을 추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대체로 잘-한정되고 소형인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주요 태양에 따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외과용 임플란트는 적어도 2개의 포켓(pocket)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포켓(또는 파우치(pouch)는 (기본 구조체의 외측 주변부의 2개의 코너들을 연결하는) 주변 선 또는 에지 선으로부터 기본 구조체의 중심 영역을 향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는 N개의 포켓들을 포함한다.
포켓들은 별개로 제조되어 기본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한 실시예에서, 메시형 기본 구조체 및 포켓들은 공통 블랭크(common blank)로부터 접힘 선들 주위로 접히고, 여기서 접힘 선들은 기본 구조체의 외측 주변부에 위치된다. 포켓들은 접힘 선들에 대향하는 각각의 에지들을 통해 접근가능하다. 이러한 용어에서, 공통 블랭크는 메시형 재료로 제조되고, 기본 구조체의 재료 및 접힘 선들을 따라 기본 구조체를 향해 되접히는 포켓 플랩들의 재료를 포함하며; 포켓의 하나의 면은 포켓 플랩으로부터 형성되는 반면, 포켓의 대향하는 면은 기본 구조체의 일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가 예컨대 탈장 수복에 사용될 때, 포켓 플랩들을 포함하는 면(체벽측, 고정 층)은 외과의로 지향되는 반면, 임플란트의 대향하는 면(내장측, 수복 층)은 환자의 내부를 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주어진 포켓의 재료는 각각의 중첩 영역에서 인접한 포켓의 재료와 중첩되고, 여기서 중첩 영역에서 인접한 포켓들의 재료는 서로 연결된다. 중첩 영역들은 예컨대 스트립형(strip-like), 곡선형, 지그재그(zigzag) 형상, 비대칭형, 및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중첩 영역들에서, 인접한 포켓들의 재료는 예컨대 용접, 접착 또는 재봉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접착(예컨대, 필름 재료) 또는 재봉(예컨대, 스레드(thread) 재료)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영구적(비흡수성), 흡수성(재흡수성) 또는 부분적 흡수성일 수 있다.
포켓 플랩의 재료는 또한 중첩 영역의 외부에서 기본 구조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포켓이 그를 통해 접근가능한 포켓 플랩의 에지가 비교적 긴 경우에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그것이 임플란트를 신체 조직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포켓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연결은 점형(point-like)일 수 있으며, 방향 지시기(directional indicator)(이하 참조)가 그러한 점형 연결 영역으로 향할 때 유리하다.
다른 한편, 인접한 포켓들이 중첩 영역 내에서 서로 부착되지 않는 것, 또는 심지어 인접한 포켓들 사이에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포켓 플랩들이 형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포켓들의 형상은 그럼에도 임플란트에 대한 고정 층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유착 방지 필름(anti-adhesive film)(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유착 방지 층)이 포켓들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기본 구조체의 면에, 즉 임플란트의 내장측 상에 위치된다. 유착 방지 층은 메시형 기본 구조체 내로의 신체 조직의 내성장을 억지 및 방지하며, 유착 방지제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착 방지 필름/층은 초기 치유 기간 동안 그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도록 흡수성이다. 유착 방지 필름/층은 기본 구조체의 영역을 덮을 수 있고, 또한 기본 구조체의 외측 주변부를 지나 연장될 수 있으며, 그곳에서 유착 방지 필름/층이 포켓들의 재료(플랩들)와 함께 되접힌다. 바람직하게는, 포켓 플랩 재료의 면적의 50% 미만이 유착 방지 층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과용 임플란트의 에지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원하지 않는 신체 조직에 대한 유착으로부터 보호된다.
유착 방지 필름/층에 적합한 재료들은 예컨대 폴리-p-다이옥사논(PDS), ε-카프로락톤, 글리콜라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예컨대, 에치콘(Ethicon)의 모노크릴(MONOCRYL)™ 필름), 산소화 재생 셀룰로오스(ORC), 콜라겐 또는 이들의 조합이지만,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유착 방지 및 생체적합성 재료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유착 방지 필름은 예컨대 2 ㎛ 내지 1000 ㎛ 범위 내의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인 두께는 5 ㎛ 내지 100 ㎛ 및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30 ㎛ 범위 내이다.
유착 방지 필름 또는 층은 유착 방지 필름/층의 전체 표면에 대해 또는 유착 방지 필름/층의 표면의 일부에 대해, 예컨대 라미네이팅(laminating), 용접, 접착 및/또는 재봉(예컨대, 모노크릴 필름 및 PDS 필름을 포함하는 2층 필름의 라미네이션)에 의해 기본 구조체의 재료에 연결될 수 있다. 라미네이팅, 접착 및/또는 재봉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재료는 영구적(비흡수성), 흡수성 또는 부분적 흡수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요 태양에서, 외과용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경계들이 신체 조직에 의해 숨겨지는 경우에도, 그의 위치 및 배향에 대한 명확한 지시를 외과의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메시형 기본 구조체의 중심 영역은 중심 마킹에 의해 표시되고, 방향 지시기는 중심 마킹으로부터 기본 구조체의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2개의 코너들로 지향된다. 바람직하게는, 방향 지시기는 중심 마킹으로부터 기본 구조체의 외측 주변부의 코너들 모두로 지향된다. 중심 마킹은 임플란트의 무게 중심과 같은 특정 지점을 지시하는 마킹, 예컨대 십자형일 수 있지만, 또한 상이하지만 명백한 방식으로 임플란트의 중심 영역을 표시하는 연장된 마킹 배열일 수 있다. 그러한 중심 마킹 및 방향 지시기들은 또한 포켓들이 없는 메시형 기본 구조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방향 지시기들은 중심 마킹으로부터 기본 구조체의 외측 주변부의 각각의 코너까지 연장되는 선 마크(line mark)들(예컨대, 연속적인 선들 또는 파선들 등)로서 제공되며, 이는 수술 동안 임플란트의 위치 및 배향을 명확히 지시하는 원하는 효과를 최대화하는 경향이 갖는다.
중심 마킹 및/또는 방향 지시기들은 기본 구조체에 연결되는 필름 구조체로부터 형상화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기본 구조체에 연결된 스레드형 구조체(threaded structure)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기본 구조체 상에 자수(embroidered)되거나 기본 구조체 상에 재봉될 수 있다. 또한, 중심 마킹 및/또는 방향 지시기들은 기본 구조체와 하나의 피스(piece)로 제조되는데; 예컨대 경편직(warp-knitting) 공정으로 통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심 마킹 및/또는 방향 지시기들은 염색되지만, 이들은 외과용 임플란트의 나머지와 양호한 대비(contrast)가 존재한다면, 또한 염색되지 않을 수 있다. 중심 마킹 및/또는 방향 지시기들은 흡수성 재료로부터 또는 비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기본 구조체를 위해 유리한 재료들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 모두 비흡수성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펜의 공중합체의 블렌드(예컨대, 에치콘의 프로노바(PRONOVA)™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VDF) 재료), 또는 폴리-p-다이옥사논(PDS),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공중합체, 90:10 비의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공중합체(예컨대, 에치콘의 바이크릴(VICRYL)™(폴리글락틴 910) 합성 흡수성 필라멘트), 모두 흡수성인, 글리콜라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예컨대, 에치콘의 모노크릴 흡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본 구조체를 위한 다른 생체적합성 재료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기본 구조체는 흡수성 재료들의 그리고 비흡수성 재료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상이한 재료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기본 구조체는 거대-다공성(macro-porous)이며, 예컨대 1 mm 이상의 기공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50 g/m2 미만의 면적 중량(areal weight)을 갖는 경량 구성이지만, 이는 또한 더 무거울 수 있다. 기본 구조체는 예컨대 경편물(warp-knit), 위편물(weft-knit), 크로셰-편물(crochet-knit), 직포 직물 및/또는 천공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이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경우, 필라멘트들은 생체흡수성이거나 비흡수성일 수 있으며, 필라멘트들은 모노필라멘트들 및/또는 (상이한 재료들로 제조된 멀티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얀(tape yarn)들 및 인발 필름 테이프(drawn film tape)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요약하면, 포켓들을 포함하는 외과용 임플란트는, 특히 조직-분리 특성들(유착 방지 필름)을 갖는 "복부 탈장 장치"(VHD)로서 설계될 때, 종래 기술에 비해 복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현재 시판 중인 임플란트와 대조적으로, VHD의 수복 층 및 고정 층(포켓)은 단지 하나의 가요성 블랭크를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 층은 에지에서 인접한 플랩들과 중첩할 수 있는 수개의 접힌 플랩들로 구성된다. 이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형인 재료의 이중부(doublings)들을 융접하는 것은 임플란트의 코너들로 배향되는 만져질 수 있는 영역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융접된 스트립들은 보다 우수한 촉각 제어 및 코너로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장치의 개선된 수술중 취급으로 이어진다. 또한, 단지 하나의 가요성 블랭크로부터의 파우치(포켓) 형성은 장치 에지들 및 코너들의 최외측 위치들에서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는 비고정 에지 영역들이 방지된다. VHD는 체벽측(고정 층)으로 연장되는 유착 방지 재흡수성 층에 의해 내장측(수복 층) 상에서 덮일 수 있다. 덮인 에지들은 유착 형성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하나의 가요성 블랭크로부터 외과용 임플란트를 접는 것은 또한 상당한 재료 감소 및 조직 내성장에 이용가능한 증가된 면적을 생성하며, 이는 기본 구조체의 주변부를 따른 시임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 층의 강성은 포켓들의 중첩 영역들의 형상 및 중첩 영역들에서의 연결 유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수복 층은 마킹 가이드(marking guide)(중심 마킹 및 방향 지시기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임플란트의 외측 형상에 연결되고 임플란트 중심 및 코너들의 위치를 지시한다. 이러한 마킹 가이드는 외과의가 임플란트의 현재 위치 및 배향을 인지하는 것에 도움을 주고, 고르게 배치된 스테이플들에 의한 제어된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수술 동안 표준화된 고정 접근접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제1 고정점이 사전한정되고, 마킹 가이드를 따름으로써 직관적으로 발견될 수 있음).
본 발명에 따라 중심 마킹 및 방향 지시기를 포함하는 외과용 임플란트는 또한 포켓들이 없는 설계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이 도시된다.
도 1은 부분 (a) 내지 (d)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의 제1 실시예의 수개의 도면으로서, 즉 부분 (a)에서 임플란트의 구성요소의 분해도이고, 부분 (b)에서 부분적으로 완성된 임플란트의 등각도이며, 부분 (c)에서 임플란트의 평면도이고, 부분 (d)에서 임플란트의 등각도임.
도 2는 부분 (a) 내지 (f)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의 제2 실시예의 수개의 도면으로서, 즉 부분 (a)에서 임플란트를 위한 블랭크의 등각도이고, 부분 (b)에서 블랭크 및 유착 방지 필름의 분해도이며, 부분 (c)에서 용융-접착 영역을 예시하는 유착 방지 필름을 가진 블랭크의 평면도이고, 부분 (d)에서 부분적으로 완성된 임플란트의 등각도이며, 부분 (e)에서 임플란트의 평면도이고, 부분 (f)에서 임플란트의 등각도임.
도 3은 부분 (a) 내지 (e)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의 제3 실시예의 수개의 도면으로서, 즉 부분 (a)에서 임플란트를 위한 블랭크의 등각도이고, 부분 (b)에서 블랭크 및 유착 방지 필름의 분해도이며, 부분 (c)에서 부분적으로 완성된 임플란트의 등각도이고, 부분 (d)에서 임플란트의 평면도이며, 부분 (e)에서 임플란트의 등각도임.
도 4는 부분 (a) 내지 (e)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의 제4 실시예의 수개의 도면으로서, 즉 부분 (a)에서 임플란트를 위한 블랭크의 등각도이고, 부분 (b)에서 임플란트의 조립에 사용되는 수개의 층들의 분해도이며, 부분 (c)에서 부분적으로 완성된 임플란트의 등각도이고, 부분 (d)에서 임플란트의 평면도이며, 부분 (e)에서 임플란트의 등각도임.
도 5는 인접한 플랩들 사이의 중첩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수개의 설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부분 (a) 내지 (c)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 내의 중심 마킹들 및 방향 지시기들의 배열에 대한 예로서의 수개의 개략적인 표현.
도 1은 도면 부호 100으로 지시된 외과용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제1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의 (a)의 분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100)는 3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하나의 부분은 메시형 재료, 본 실시예에서는 89 ㎛의 필라멘트 두께를 포함하는 편직된, 염색되지 않은 모노필라멘트 폴리프로필렌 메시(에치콘의 프롤렌(PROLENE)™ 폴리프로필렌 메시; 비흡수성)로 구성되는 블랭크(102)이다. 블랭크(102)는 임플란트(100)의 기본 구조체(104) 및 6개의 플랩(106)을 한정한다.
블랭크(102)의 상부에서, 도 1의 (a)는 50 ㎛의 두께를 갖고 총 8개의 개구(110)를 포함하는 폴리-p-다이옥사논(PDS)(흡수성)의 염색된 (보라색) 필름으로 구성된 마킹 층(108)을 도시한다. 개구(110)는 펀칭되거나, 예컨대 레이저-절단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는 제3 부분은 유착 방지 필름(112)의 블랭크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착 방지 필름(112)은 20 ㎛ 두께의 모노크릴 필름(염색되지 않음)이다. 모노크릴 재료(에치콘)는 글리콜라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흡수성 공중합체이며, 유착 방지 특성을 갖는다.
3개의 층(102, 108, 112)이 서로 겹쳐 배치되고, 열에 의해 라미네이팅된다. 그 단계에서, 층(108)의 폴리-p-다이옥사논이 용융되거나 매우 연질로 되고, 블랭크(102)의 기공을 통해 침투하여, 이는 블랭크(102)에 양호하게 부착되고, 추가적으로 유착 방지 필름(112)을 블랭크(102)에 접착시켜, 유착 방지 필름(112)의 영역의 일부가 블랭크(102)에 부착된다.
그 후,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랩(106)이 유착 방지 필름(112)의 에지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각각의 접힘 선(114) 주위로 접혀서, 역시 접히지만 플랩(106)을 완전히 덮지는 않는 유착 방지 필름(112)의 구역(116)이 형성된다.
인접한 플랩(106)은 그들의 공통 에지 구역에서 약간 중첩되어, 중첩 영역(118)이 제공된다. 중첩 영역(118)에서, 인접한 플랩(106)의 재료는 서로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스트립형 형상으로 융접된다.
도 1의 (c)는 완성된 임플란트(100)를 평면도로 예시한다. 접힘 선(114)은 기본 구조체(104)의 외측 주변부(120)를 한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본 구조체(104), 즉 완성된 임플란트(100)는 6개의 코너(122)를 포함하는 육각형 형상을 갖는다. 6개의 포켓(124)이 플랩(106) 및 기본 구조체(104)의 대향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포켓은 원래 블랭크(102)의 외측 에지의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에지(126)를 통해 접근가능하다.
마킹 층(108)은 중심 마킹(130), 코너(122)로 지향되어 코너까지 연장되는 6개의 방향 지시기(132), 및 추가적으로 임플란트(100)의 외측 주변부(120)까지 또한 연장되는 중간선 지시기(134)를 제공한다. 도 1의 (c)에서, 중첩 영역(118)은 음영으로 표시되지만, 블랭크(102)의 메시 재료가 반투명이기 때문에, 방향 지시기(132) 및 또한 중간선 지시기(134)는 임플란트(100)를 도 1의 (c)에 표시된 그의 상부측으로부터 볼 때 플랩(106)을 통해 잘 볼 수 있다.
도 1의 (d)는 상부로부터 본 임플란트(100)의 등각도이다.
외과용 임플란트(100)는 가요성이며, 메시형 면적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중심 마킹(130) 및 방향 지시기(132)는, 그의 외측 주변부(120)가 가시적이지 않거나 완전히 가시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임플란트(100)의 위치 및 배향의 소정의 평가를 허용한다. 중첩 영역(118)에서, 재료는 2배의 두께를 가지며, 이는 촉각적 응답을 제공하고, 따라서 외과 시술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6개의 잘 한정된 코너(122)를 가진 임플란트(100)의 육각형 형상(이는 그럼에도 비외상적 방식으로 약간 둥글게 형성될 수 있음)은 임플란트(100)의 취급 특성을 추가로 개선한다.
마킹 층(108)의 재료가 또한 접힘 선(114)의 영역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임플란트(100)의 외측 주변부(120)가 또한 (신체 조직에 의해 숨겨지지 않는 한) 잘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100)는 포켓(124) 내로 스테이플링 기구를 도입하고 스테이플이 단지 플랩(106)을 관통하여 기본 구조체(104)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도록 스테이플을 방출함으로써 신체 조직에 부착된다. 이러한 절차는 잘-규정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의 스테이플이 2배의 두께로 인해 보다 강한 중첩 영역(118)에서 플랩(106)의 재료를 관통하도록 하나의 스테이플이 각각의 코너(122)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 부호 200으로 지시된 외과용 임플란트의 제2 실시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임플란트(200)는 임플란트(100)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임플란트(200)의 부분 및 구성요소는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임플란트들(100, 200) 사이의 차이만이 언급된다. 도 2에서, 도 1로부터의 각각의 관련된 도면 부호가 100만큼 증가되었다.
블랭크(202)는 폴리프로필렌의 염색되지 않은 모노필라멘트(89 ㎛ 두께; 프롤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p-다이옥사논의 염색된 (보라색) 모노필라멘트(81 ㎛ 두께; PDS)로부터 제조된 편직된 부분적 흡수성 메시 재료로부터 절단된다.
임플란트(200)에서, 중심 마킹(230) 및 방향 지시기(232)는 필름형 마킹 층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흡수성 보라색 폴리-p-다이옥사논 모노필라멘트(109 ㎛ 두께; PDS)의 스레드(208)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중심 마킹(230), 6개의 방향 지시기(232), 중간선 지시기(234)뿐만 아니라 임플란트(200)의 외측 주변부(220)를 따른 육각형 선을 형성하기 위해 블랭크(202)에 재봉된다(도 2의 (a) 참조).
가요성 블랭크(202) 및 유착 방지 흡수성 층(212)(도 2의 (b) 참조, 본 실시예에서 20 ㎛ 두께의 염색되지 않은 모노크릴 필름)이 PDS의 재봉된 마킹 스레드(208)의 영역 내에서 그리고 구역(216)에서 부분적으로 연결된다(도 2의 (c) 참조). 이를 위해, 조립체는 마킹 스레드(208) 및 블랭크(202)의 PDS 재료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들 영역에서 용융되어 용융-접착제로서 작용하도록 (도 2의 (c)에 음영으로 표시된) 사전선택된 영역에서 가열된다. 중첩 영역(218)에서, 접힌 플랩(206)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스트립형 형상으로 융접된다(도 2의 (d) 참조). 도 2의 (e) 및 도 2의 (f)는 완성된 임플란트(200)를 표시한다.
도면부호 300으로 지시된 외과용 임플란트의 제3 실시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임플란트(300)는 임플란트(200)와 유사하다. 역시, 각각의 관련된 도면 부호는 100만큼 증가되었다. 임플란트(300)에서, 재봉된 마킹 스레드(308) 및 블랭크(302)를 위한 재료는 각각 임플란트(200)에서와 동일하다.
임플란트(200)와 대조적으로, 유착 방지 필름(312)(역시 염색되지 않은 모노크릴 필름)은 단지 10 ㎛ 두께이고,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 블랭크(302)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라미네이션 공정 동안, 마킹 스레드(308)에서만이 아니라 유착 방지 필름(312)에 대향하는 블랭크(302)에서 PDS 필라멘트를 충분히 연화시키거나 용융시키도록 열이 제어된다. 중첩 영역(318)에서, 접힌 플랩(306)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스트립형 형상으로 융접된다.
도 3의 (a)는 마킹 스레드(308)와 함께 블랭크(302)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추가로 유착 방지 필름(312)을 도시하며, 도 3의 (c)는 부분적으로 완성된 임플란트(300)를 도시하고, 도 3의 (d) 및 도 3의 (e)는 완성된 임플란트(300)를 도시한다.
도 4는 도면부호 400으로 지시된 외과용 임플란트의 제4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각각의 관련된 도면 부호는 역시 100만큼 증가되었다.
블랭크(402)는 염색된 폴리프로필렌 모노필라멘트(89 ㎛ 두께; 프롤렌 폴리프로필렌)로 재봉된 마킹 가이드(408)를 중심 영역에 포함하는, 89 ㎛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모노필라멘트(프롤렌 폴리프로필렌; 염색됨 및 염색되지 않음)의 편직된 메시로부터 제조된다(도 4의 (a) 참조).
산소화 재생 셀룰로오스(ORC; 염색되지 않음)의 가요성 블랭크(402) 및 유착 방지 재흡수성 층(412)은 20 ㎛ 두께의 염색되지 않은 PDS 필름으로 제조된 중간 층(411) 및 고온-용융 접착제로서 5 ㎛ 두께의 염색되지 않은 흡수성 PDS 필름으로 제조된 추가 층(413)을 사용함으로써 연결된다(도 4의 (b) 참조). 중첩 영역(418)에서, 접힌 플랩(406)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스트립형 형상으로 융접된다. 도 4의 (c)는 부분적으로 완성된 임플란트(400)를 도시하고, 도 4의 (d) 및 도 4의 (e)는 완성된 임플란트(400)를 도시한다.
도 5는 외과용 임플란트(500)의 인접한 플랩들(506)이 서로 연결되는, (음영으로 표시된) 중첩 영역(518)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다. 중첩 영역(518)의 크기 및 형상을 설계함으로써, 포켓(524)의 (특히 가요성에 관한) 특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통상, 형상은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에서와 같이 주어진 임플란트 내의 모든 중첩 영역에 대해 동일할 것이지만, 도 5의 형상과 같은 조립체가 또한, 특히 대칭 축에 대해 대칭일 때, 고려될 수 있다.
외과용 임플란트의 상이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플랩들은 중첩 영역에서 연결되지 않거나 전혀 중첩되지 않는다.
도 6은 외과용 임플란트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본 구조체 형상 및 중심 마킹과 방향 지시기의 몇몇 개략적인 표현을 표시한다.
도 6의 (a)에서, 해부학적 환경에 대해 3개 내지 6개의 코너를 가진 다각형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배향이 나타나 있다.
도 6의 (b)는 중심 마킹(630)이 점형이고 각각의 임플란트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등변 다각형의 예를 도시한다. 방향 지시기(632)는 임플란트의 코너까지 연장된다. 추가적인 마킹 선(636)이 임플란트의 주변부를 따라 제공된다.
도 6의 (c)의 예에서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100, 200, 300, 400)와 같은 육각형 형상을 갖는다. 2가지 경우에, 마킹 선(636)은 임플란트의 주변부를 따라 포함된다. 다른 경우에, 그러한 마킹 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경우에, 방향 지시기(632)는 코너까지 연장된다. 하나의 경우에, 코너는 연장된 도트(dot)(638)에 의해 추가적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방향 지시기는 이들이 코너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일부 경우에, 추가적인 중간선 지시기(634)가 제공된다. 도 1의 (c)로부터, 각각의 임플란트의 중심 영역은 중심 마킹(630)이 점형이 아닌 경우에도 용이하게 접근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마킹 선의 배열에 대한 다른 많은 예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복부 탈장 장치(VHD)로서 설계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임플란트의 일반적인 개념을 예시한다. 요약하면,
복부 탈장 장치(VHD)는 개방 복강내 온레이 메시 기술을 사용하여, 복부, 절개 및 더 큰 제대 탈장 수복에서 복벽의 보강 및 연결(bridging)을 위한 조직-분리 특성을 가진 포켓 형상의 장치이다.
VHD는 중심 영역(수복 층) 및 주변 플랩(고정 층)을 가진 다각형 가요성 기본 구조체를 포함한다. 플랩은 포켓을 형성하지만, 고정 층이 중심 개구를 갖고 포켓이 이러한 중심 개구를 통해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일종의 파우치를 형성하도록 고정 층의 기하학적 중심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중첩 영역에서의 플랩 접힘 및 융접은 스트립이 코너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고정 층의 바람직하게는 스트립형 이중부를 생성하며; 이중부의 면적은 고정 층 면적의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를 덮을 수 있다. 융접된 스트립은 보다 우수한 촉각 제어 및 코너로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임플란트의 개선된 수술중 취급으로 이어진다.
고정 층 내의 중심 개구는 손가락 또는 스테이플러와 같은 외과용 기구가 내장측과 체벽측 사이에 생성되는 공간 내로, 즉 포켓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단지 하나의 가요성 블랭크의 접힘에 의한 포켓 형성은 임플란트의 주변부 및 코너의 최외측 위치에서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평평하게 펼쳐진 임플란트를 형성한다. (상이한 층들을 연결하기 위한 지지 링 또는 시임을 가진 제품의 경우에서와 같은) 비고정 에지 재료는 비고정 에지 재료의 팽창 또는 접힘이 통상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된다.
내장측(수복 층) 상에서, 임플란트는 유착 방지 흡수성 층으로 덮이며, 이는 일 면으로부터 기본 구조체 상에 고정되고, 또한 복부측으로부터 체벽측으로 연장되는 임플란트의 주변부에서 에지를 덮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덮인 고정 층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층의 50% 미만이 흡수성 층으로 덮이며, 이는 매우 우수한 조직 내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그러한 연장된 흡수성 층은 유착 형성에 대한 추가적인 에지 보호를 제공한다.
메시 포켓을 갖는 외과용 임플란트는 복부 탈장의 수복을 위한 소위 개방 IPOM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메시 포켓의 고정에 대해, 두개골/미골의 축에서 메시 포켓의 고정을 개시한 후 다른 정점을 고정시키고, 이어서 통상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고정을 완성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절차에서, 두개골/미골의 축에서의 고정으로 개시함으로써, 비교적 부드러운 복벽 상에서의 메시 포켓의 고르지 않은 고정에 의해 야기되는 임플란트에서의 접힘 형성에 대한 경향이 확실히 줄어들고, 임플란트가 복벽에서 현저하게 보다 우수하게 통합(조직 내성장)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임플란트의 외측 형상에 연결되고 임플란트 중심 및 코너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복 층에서의 마킹 가이드(중심 마킹 및 방향 지시기)는 신체 조직을 추가로 들어올리거나 임플란트를 조작함이 없이 외과의가 실제 장치 위치 및 배향을 인지하는 것에 도움이 되며, 고르게 배치된 스테이플 또는 클립에 의한 제어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또한 표준화된 고정 접근법에 대한 가능성을 외과의에게 제공한다(예를 들어, 초기 고정점은 사전한정되고, 마킹 가이드를 따름으로써 직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메시 포켓의 형상 및 메시 에지/코너의 보다 우수한 시각화는 수술중 취급을 상당한 정도로 개선한다.
마킹 가이드(중심 마킹 및 방향 지시기)는 또한 포켓이 없는 면적형 외과용 임플란트(특히, 메시형 구조체)에 매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임플란트 메시의 외측 윤곽 또는 형상은 외과의에게 수복 메시의 방향-의존성 특성, 예컨대 결손부의 소정의 적용범위 또는 중첩을 달성하는 것, 메시의 연신 특성, 고정 동안의 배향, 제1 고정점으로의 안내, 또는 고정될 영역의 명확한 확인을 고려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결손부에 대한 임플란트의 배향 및 중심설정에 관한 정확한 배치는 성공적인 수복을 위해 중요하다. 그리고, 고정 동안 임플란트의 주름형성 및 접힘은 공동을 주름지게 하고(그리고 그 결과 장액종(seroma) 형성), 이는 복벽 내로의 임플란트의 통합이 열악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한 문제는 임플란트의 메시형 기본 구조체가 다각형 형상을 가질 때, 그리고 임플란트가 마킹 가이드를 포함할 때, 즉 중심 마킹 및 방향 지시기가 중심 마킹으로부터 코너로 지향될 때 방지될 수 있다. 형상과 마킹 가이드 사이의 연결은 조직을 추가로 들어올리거나 임플란트 조작 없이도 결손부의 중심을 보는 것만으로 임플란트의 현재 위치 및 배향을 외과의가 인지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코너 팁이 흉골과 같은 골질 구조체 아래에 놓일 때,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우수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임플란트 중심으로부터 정점까지 고정 장치를 가진 연속적인 마킹 가이드를 따름으로써 임플란트의 정점(코너 영역)에서의 고정을 개시하는 것은 고르게 배치된 스테이플에 의해 임플란트를 평평하게 펼쳐지게 한다. 이는 외과의에게 구조화되고 표준화된 고정 접근법, 예컨대 제1 고정점이 사전한정되고 마킹 가이드를 따라 직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임플란트의 육각형 형상이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사각형 메시(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로 절개 탈장을 수복하기 위한 이식 동안,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점 또는 코너 "1" 및 "3"으로 지향되는 마킹 가이드는 두개골-미골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육각형 형상의 경우, 코너 "1" 및 "4"가 두개골-미골 방향을 지시한다. 오각형 메시 형상에서는 두개골에서 미골로의 배향은 코너 점 "1" 및 코너점 "3"과 "4" 사이를 기준으로 그 중심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Claims (20)

  1. 중심 영역 및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를 갖는 메시형(mesh-like) 가요성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는 N개의 코너들(122; 222; 322; 422)을 갖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며, N은 3 이상인, 외과용 임플란트(Surgical implant)(100; 200; 300; 400)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100; 200; 300; 400)는 적어도 2개의 포켓(pocket)들(124; 224; 324; 424)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켓(124; 224; 324; 424)은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의 2개의 코너들(122; 222; 322; 422)을 연결하는 주변 선(114; 214; 314; 414)으로부터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중심 영역을 향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2. 제 1 항에 있어서, N은 하기 세트: {6, 8}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켓들(124; 224; 324; 424)은 N개의 포켓들(124; 224; 324; 4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형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 및 상기 포켓들(124; 224; 324; 424)은 공통 블랭크(common blank)(102; 202; 302; 402)로부터 접힘 선들(114; 214; 314; 414) 주위로 접히고, 상기 접힘 선들(114; 214; 314; 414)은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에 위치되며, 상기 포켓들(124; 224; 324; 424)은 상기 접힘 선들(114; 214; 314; 414)의 반대쪽에 있는 각각의 에지들(126; 226; 326; 426)을 통해 접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5. 제 4 항에 있어서, 주어진 포켓(124; 224; 324; 424)의 재료는 각각의 중첩 영역(118; 218; 318; 418)에서 인접한 포켓(124; 224; 324; 424)의 재료와 중첩되고, 상기 중첩 영역(118; 218; 318; 418)에서 상기 인접한 포켓들(124; 224; 324; 424)의 재료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들(118; 218; 318; 418)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형상들: 스트립형(strip-like), 곡선형, 지그재그(zigzag) 형상, 비대칭형, 및 다이아몬드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들(118; 218; 318; 418)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인접한 포켓들(124; 224; 324; 424)의 재료는 하기 방식들: 용접, 접착, 재봉; 영구적, 흡수, 부분적 흡수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8.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포켓(124; 224; 324; 424)의 재료는 중첩 영역(118; 218; 318; 418)의 외부에서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임플란트는 상기 포켓들(124; 224; 324; 424)의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면에 위치되는 유착 방지 필름(anti-adhesive film)(112; 212; 312; 41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 필름(112; 212; 312; 412)은 하기 범위들: 2 ㎛ 내지 1000 ㎛, 5 ㎛ 내지 100 ㎛, 및 8 ㎛ 내지 30 ㎛ 중 하나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 필름(112; 212; 312; 412)은 하기 방식들: 상기 유착 방지 필름(312; 412)의 전체 표면에 대한 부착, 상기 유착 방지 필름(112; 212)의 표면의 일부에 대한 부착; 라미네이팅(laminated), 용접, 접착, 재봉; 영구적, 흡수, 부분적 흡수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재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형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중심 영역은 중심 마킹(center marking)(130; 230; 330; 430; 630)에 의해 표시되고, 방향 지시기(directional indicator)들(132; 232; 332; 432; 632)이 상기 중심 마킹(130; 230; 330; 430; 630)으로부터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의 적어도 2개의 코너들(122; 222; 322; 422)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마킹(130; 230; 330; 430; 630) 및 상기 방향 지시기들(132; 232; 332; 432; 632)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특성들: 상기 기본 구조체(104)에 연결된 필름 구조체(108)로부터 형상화, 상기 기본 구조체(204; 304; 404)에 연결된 스레드형 구조체(threaded structure)(208; 308; 408)로부터 형성, 상기 기본 구조체 상에 자수(embroidered), 상기 기본 구조체(204; 304; 404) 상에 재봉, 상기 기본 구조체와 하나의 피스(piece)로 제조; 염색(108; 208; 308; 408), 염색되지 않음; 흡수(108; 208; 308), 비흡수(408)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는 하기 목록: 폴리프로필렌,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 폴리-p-다이옥사논,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공중합체, 90:10 비의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공중합체, 글리콜라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펜의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포함되는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는 하기 목록: 거대-다공성(macro-porous)인 것, 1 mm 이상의 기공 크기를 갖는 것, 50 g/m2 미만의 면적 중량(areal weight)을 갖는 것, 경편물(warp-knit)을 포함하는 것, 위편물(weft-knit)을 포함하는 것, 크로셰-편물(crochet-knit)을 포함하는 것, 직포 직물(woven fabric)을 포함하는 것, 천공된 필름을 포함하는 것, 생체흡수성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것, 비흡수성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것, 모노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것, 멀티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것, 테이프 얀(tape yarn)들을 포함하는 것, 인발 필름 테이프(drawn film tape)들을 포함하는 것에 포함되는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 필름(112; 212; 312; 412)은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영역을 덮고,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를 지나 연장하며, 상기 유착 방지 필름(112; 212; 312; 412)은 상기 포켓들(124; 224; 324; 424)의 재료와 함께 되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 필름(112; 212; 312; 412)은 흡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 필름(112; 212; 312; 412)은 하기 물질들: 폴리-p-다이옥사논, ε-카프로락톤, 글리콜라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산소화 재생 셀룰로오스, 콜라겐,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19. 제 12 항에 있어서, 방향 지시기들(132; 232; 332; 432; 632)은 상기 중심 마킹(130; 230; 330; 430; 630)으로부터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의 코너들(122; 222; 322; 422) 모두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기들(132; 232; 332; 432; 63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심 마킹(130; 230; 330; 430; 630)으로부터 상기 기본 구조체(104; 204; 304; 404)의 외측 주변부(120; 220; 320; 420)의 각각의 코너(122; 222; 322; 422)까지 연장되는 선 마크(line mark)들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KR1020157029158A 2013-03-14 2014-02-21 외과용 임플란트 KR102218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4486.3 2013-03-14
DE102013004486.3A DE102013004486A1 (de) 2013-03-14 2013-03-14 Chirurgisches Implantat
PCT/EP2014/000467 WO2014139634A1 (en) 2013-03-14 2014-02-21 Surgical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357A KR20150135357A (ko) 2015-12-02
KR102218819B1 true KR102218819B1 (ko) 2021-02-24

Family

ID=5015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158A KR102218819B1 (ko) 2013-03-14 2014-02-21 외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95469B2 (ko)
EP (1) EP2967788B1 (ko)
JP (1) JP6444900B2 (ko)
KR (1) KR102218819B1 (ko)
CN (1) CN105188602B (ko)
AU (1) AU2014231266B2 (ko)
BR (1) BR112015022927B1 (ko)
CA (1) CA2905549C (ko)
DE (1) DE102013004486A1 (ko)
IL (1) IL240534A0 (ko)
MX (1) MX361294B (ko)
RU (1) RU2633282C2 (ko)
WO (1) WO2014139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5709B2 (en) 2010-08-25 2016-10-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ed graphene deionization or desalination
US10258448B2 (en) * 2012-03-22 2019-04-16 C.R. Bard, Inc. Implantable prosthesis for soft tissue repair
US9610546B2 (en) 2014-03-12 2017-04-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paration membranes formed from perforated graphen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10653824B2 (en) 2012-05-25 2020-05-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uses thereof
US9744617B2 (en) 2014-01-31 2017-08-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perforating multi-layer graphene through ion bombardment
US9834809B2 (en) 2014-02-28 2017-12-0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ringe for obtaining nano-sized materials for selective assay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10980919B2 (en) 2016-04-14 2021-04-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vivo and in vitro use of graphene and other two-dimensional materials
WO2014164621A1 (en) 2013-03-12 2014-10-0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filter with uniform aperture size
US9572918B2 (en) 2013-06-21 2017-02-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raphene-based filter for isolating a substance from blood
SG11201606289RA (en) 2014-01-31 2016-08-30 Lockheed Corp Perforating two-dimensional materials using broad ion field
CA2938305A1 (en) 2014-01-31 2015-08-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rocesses for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with a two-dimensional material using a porous, non-sacrificial supporting layer
EP3116625A4 (en) 2014-03-12 2017-12-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paration membranes formed from perforated graphene
KR20170095804A (ko) 2014-09-02 2017-08-23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이차원 막 소재에 기반을 둔 혈액 투석 및 혈액 여과 막과 이를 이용하는 방법
DE102014015179A1 (de) 2014-10-15 2016-04-21 Johnson & Johnson Medic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chirurgischen Implantats mit einer Markierung
WO2016058696A1 (en) * 2014-10-15 2016-04-21 Johnson & Johnson Medical Gmbh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gical implant having a marking
JP2018528144A (ja) 2015-08-05 2018-09-27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フェン系材料の穿孔可能なシート
AU2016303049A1 (en) 2015-08-06 2018-03-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Nanoparticle modification and perforation of graphene
DE102015013989A1 (de) * 2015-10-30 2017-05-04 Johnson & Johnson Medical Gmbh Chirurgisches Implantat
DE102015013992A1 (de) * 2015-10-30 2017-05-04 Johnson & Johnson Medical Gmbh Chirgurgisches Implant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17074639A1 (en) 2015-10-30 2017-05-04 Ethicon Llc Surgical implant
EP3223181B1 (en) * 2016-03-24 2019-12-18 Sofradim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model and simulating an effect on a surgical repair site
JP2019521055A (ja) 2016-04-14 2019-07-25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フェン欠陥の選択的界面緩和
KR20190018410A (ko) 2016-04-14 2019-02-22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흐름 통로들을 갖는 2차원 막 구조들
EP3443329A4 (en) 2016-04-14 2020-04-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PROVIDING IN SITU MONITORING AND CONTROL OF DEFECT TRAINING OR HEALING
KR20190019907A (ko) 2016-04-14 2019-02-27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자유-플로팅 방법을 사용한 대규모 이송을 위한 그래핀 시트 취급 방법
WO2017180135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mbranes with tunable selectivity
CN106391101A (zh) * 2016-08-26 2017-02-15 江苏万路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doc催化剂修复浆料及其制备方法
RU184391U9 (ru) * 2018-03-12 2018-11-30 Дмитрий Феликсович Черепанов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для пластики вентральных гры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1685A (ja) * 1997-02-13 2001-08-14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低侵襲骨盤手術で使用するための安定化スリング
WO2008023164A1 (en) * 2006-08-23 2008-02-28 Evexar Medical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mplantable prostheses
US20110152897A1 (en) 2008-09-03 2011-06-23 Bates Brian L Hernia patch with removable resilient element
US20110307077A1 (en) * 2010-06-14 2011-12-15 Ethicon, Inc. Composite anisotropic tissue reinforcing implants having alignment mark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0289A (en) * 1963-02-05 1965-06-22 Kendall & Co Surgical sponge
FR2807936B1 (fr) * 2000-04-20 2002-08-02 Sofradim Production Renfort de paroi abdominale pour le traitement des hernies inguinales par voie anterieure sans tension
US20020042658A1 (en) * 2000-10-10 2002-04-11 Tyagi Narendra S. Hernia repair mesh prosthesis, and method of using same
DE10153334B4 (de) 2001-10-29 2004-04-29 Ethicon Gmbh Flächiges Implantat
US6790213B2 (en) * 2002-01-07 2004-09-14 C.R. Bard, Inc. Implantable prosthesis
US7011688B2 (en) 2002-05-10 2006-03-14 C.R. Bard, Inc. Prosthetic repair fabric
US6645597B1 (en) * 2002-06-20 2003-11-11 Michael R. Swain Containment mat
US20040019360A1 (en) * 2002-07-25 2004-01-29 Farnsworth Ted R. Tissue repair device with a removable support member
US20050192600A1 (en) * 2004-02-24 2005-09-01 Enrico Nicolo Inguinal hernia repair prosthetic
DE102005009356A1 (de) * 2005-03-01 2006-09-07 Ethicon Gmbh Chirurgisches Implantat
DE102006011903A1 (de) * 2006-03-09 2007-09-13 Aesculap Ag & Co. Kg Flächiges Implantat, insbesondere Herniennetz
US20070299538A1 (en) 2006-06-26 2007-12-27 Roeber Peter J Ease of use tissue repair patch
US20080147099A1 (en) 2006-12-14 2008-06-19 Yih-Huei Uen Bilayer patch device for hernia repair
RU2389449C2 (ru) * 2008-06-04 2010-05-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Экофлон" Грыжевой имплант из пористого политетрафторэтилена
US9750592B2 (en) * 2008-10-10 2017-09-05 Carsten Nils Gutt Arrangement for implanting and method for implanting
JP5961686B2 (ja) * 2011-05-13 2016-08-02 エイテ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寸法安定化小孔を有する外科用メッシ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1685A (ja) * 1997-02-13 2001-08-14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低侵襲骨盤手術で使用するための安定化スリング
WO2008023164A1 (en) * 2006-08-23 2008-02-28 Evexar Medical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mplantable prostheses
US20110152897A1 (en) 2008-09-03 2011-06-23 Bates Brian L Hernia patch with removable resilient element
US20110307077A1 (en) * 2010-06-14 2011-12-15 Ethicon, Inc. Composite anisotropic tissue reinforcing implants having alignment mark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88602B (zh) 2018-05-18
AU2014231266B2 (en) 2017-11-23
EP2967788B1 (en) 2018-12-26
AU2014231266A1 (en) 2015-10-29
JP2016513504A (ja) 2016-05-16
JP6444900B2 (ja) 2018-12-26
WO2014139634A1 (en) 2014-09-18
RU2015143893A (ru) 2017-04-20
KR20150135357A (ko) 2015-12-02
CA2905549A1 (en) 2014-09-18
MX361294B (es) 2018-11-30
MX2015012117A (es) 2016-05-18
CN105188602A (zh) 2015-12-23
BR112015022927A2 (pt) 2017-07-18
IL240534A0 (en) 2015-10-29
BR112015022927B1 (pt) 2022-01-11
CA2905549C (en) 2021-03-23
EP2967788A1 (en) 2016-01-20
US20140276999A1 (en) 2014-09-18
RU2633282C2 (ru) 2017-10-11
DE102013004486A1 (de) 2014-09-18
US9795469B2 (en)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819B1 (ko) 외과용 임플란트
JP4934042B2 (ja) 軟組織修復用の埋植可能なプロテーゼ
US7101381B2 (en) Implantable prosthesis
CN104755044B (zh) 用于修复肌肉壁缺陷的折叠网片
JP6599454B2 (ja) マーキングを有する外科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