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406B1 -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406B1
KR102218406B1 KR1020190132737A KR20190132737A KR102218406B1 KR 102218406 B1 KR102218406 B1 KR 102218406B1 KR 1020190132737 A KR1020190132737 A KR 1020190132737A KR 20190132737 A KR20190132737 A KR 20190132737A KR 102218406 B1 KR102218406 B1 KR 10221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pper
liquid
inlet en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3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cutting-off parts of tanks, e.g. tank-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는 액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서 이동되게 구비되어,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유입단부를 개폐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유입단부의 반대단인 상기 지지부재의 받침단부와 상기 마개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Backflow prevention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지진 발생 및 지반 붕괴로 배수관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배수지 물 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유입 배관을 타고 역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를 설치하거나, 탱크 내의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수위(High Water Level: HWL) 보다 더 높은 곳에서 물이 유입되도록 배관의 일부가 수위보다 높게 배치하거나, 수위 상에 공기층을 두어 배관의 배출단부가 공기층 상에 배치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역류 발생시 밸브를 잠그기 위해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데, 대형 물 저장탱크는 산속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인력이 상주하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역류 방지를 위하여 배관의 일부가 수위보다 높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높은 곳에서 물이 떨어지기 때문에 낙하에 따른 소음이 심하고, 배출단부가 공기층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물 유입시 기포가 발생하고, 또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중에서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하는 밸브가 있는데, 이러한 밸브는 물이 가득찬 저장탱크에서는 부력부재가 항상 유입구를 개방한 상태로 떠있기 때문에 역류를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부력을 이용한 개폐 밸브는 물이 빠지는 배출 배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완전히 빠진 상태에서 배관을 통하여 저장탱크로 물이 역류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으나, 반대로 유입 배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유입 배관으로 역류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KR 20-2010-0013385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으로 유체가 역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체 역류 차단의 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는 액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서 이동되게 구비되어,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유입단부를 개폐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유입단부의 반대단인 상기 지지부재의 받침단부와 상기 마개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입단부와 상기 받침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복수의 기둥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입단부와 상기 받침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복수의 기둥부 전체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의 단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받침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마개부재가 상기 유입단부에 접하게 배치되면, 타단부가 상기 마개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크기의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받침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개부재와 상기 받침단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접촉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마개부재는, 금속소재 또는 상기 액체보다 밀도가 작은 부력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유입단부에 형성된 유입홀에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개폐마개 및 상기 개폐마개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단부와 상기 받침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기둥부가 삽입되는 지지홀이 형성된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개폐마개는, 일단부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단부에 걸리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개폐마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고무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개폐마개의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폐마개가 상기 유입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는 저항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저항날개부는, 상기 개폐마개의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저항탭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받침단부에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의 역류시에 상기 마개부재를 상기 유입단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상기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액체가 유동되는 배관과 연결되어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부재 및 상기 배관에 구비되는 상기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으로 유체가 역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는 유체 역류 차단의 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에서 마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에서 탄성부재가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에서 탄성부재가 단일 스프링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에서 탄성부재의 크기가 마개부재의 최저 위치보다 짧은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에서 마개부재가 저항날개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저장탱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역류방지밸브(1)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액체(W)가 유입되는 배관(3)으로 액체(W)가 역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 액체(W) 역류 차단의 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나 방법과는 달리, 저장탱크 등으로 액체(W)가 유입되는 배관(3)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에 의하면 저장탱크 내부의 액체(W)가 액체(W) 유입 배관(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역류의 방지를 별도의 동력 없이 역류하는 액체(W)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면서도, 역류 방지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는 액체(W)가 유동하는 배관(3)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0), 상기 지지부재(10) 내부에서 이동되게 구비되어, 상기 액체(W)가 유입되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유입단부(11)를 개폐하는 마개부재(20) 및 상기 유입단부(11)의 반대단인 상기 지지부재(10)의 받침단부(12)와 상기 마개부재(2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는 상기 지지부재(10)에 구비되는 상기 마개부재(20)에 의해서 상기 배관(3)을 통하여 상기 유입단부(11)로 액체(W)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마개부재(20)가 상기 액체(W)의 압력 때문에 상기 유입단부(11)에서 멀어지면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액체(W)가 상기 유입단부(11)를 통하여 상기 배관(3)으로 역류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개부재(20)가 역류하는 액체(W)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입단부(11)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체(W)가 상기 배관(3)으로 역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액체(W)가 상기 유입단부(11)를 통하여 상기 배관(3)으로 역류하는 초기에, 상기 액체(W)가 배관(3)으로 역류하여 유입되면서 상기 마개부재(20)가 상기 유입단부(11)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는 상기 탄성부재(30)를 더 구비하여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액체(W)가 상기 유입단부(11)를 통하여 상기 배관(3)으로 역류하기 직전까지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탄성부재(30)를 상기 받침단부(12) 방향으로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액체(W)가 상기 유입단부(11)를 통하여 상기 배관(3)으로 역류하는 초기에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유입단부(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W)의 압력 및 역류하는 액체(W)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액체(W)에 의한 외력이 없는 시점이 발생하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마개부재(20)를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미는 힘을 상기 시점에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개부재(20)는 역류하려는 액체(W)보다 먼저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단부(11)에 밀착되면서 상기 배관(3)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는 이러한 역류의 방지를 별도의 동력 없이 역류하는 액체(W)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면서도, 역류 방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상기 마개부재(20), 탄성부재(30)가 구비되는 바디의 역할을 하며, 액체(W)가 유동하는 배관(3)에 설치되어 액체(W)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10)는 상기 액체(W)가 유입되는 위치에 배치된 유입단부(11) 및 이의 반대단에 배치된 받침단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단부(11)와 상기 받침단부(12)를 연결하는 기둥부(13)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단부(11)는 상기 배관(3)에서 액체(W)가 유입되도록 유입홀(1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의 상기 받침단부(12)는 상기 마개부재(20)가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높이도록 연통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지지부재(10)는, 상기 받침단부(12)에 연통홀(12a)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W)의 역류시에 상기 마개부재(20)를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가압하게 상기 액체(W)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체(W)가 상기 유입단부(11)를 통하여 상기 배관(3)으로 역류시에 상기 마개부재(20)를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가압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받침단부(12)와 상기 유입단부(11)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3)가 삽입되는 지지홀(22a)에 의해서 상기 받침단부(12) 또는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액체(W)가 역류하면 복수의 상기 기둥부(13) 사이로 액체(W)가 유입 후에 상기 유입홀(11a)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마개부재(20)는 역류 액체(W)의 압력을 측면부로 받게 되므로,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이 약해진다. 따라서, 상기 받침단부(12)에 상기 연통홀(12a)을 형성하여 역류하는 액체(W)가 상기 연통홀(12a)을 통하여 상기 마개부재(20)의 단부를 밀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액체(W)가 유동되는 배관(3)과 연결된 상기 유입단부(1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받침단부(12)와 상기 유입단부(11)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3)가 삽입되는 지지홀(22a)에 의해서 상기 받침단부(12) 또는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마개부재(20)는, 금속소재 또는 상기 액체(W)보다 밀도가 작은 부력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개부재(20)는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액체(W)가 역류시에 상기 유입단부(11)로 이동하는 힘을 자중(自重)에 의해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마개부재(20)는 부력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액체(W)가 상기 유입단부(11)를 통하여 유입시에 부력에 의해서 상기 유입단부(11)를 개방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액체(W)의 역류 초기에 상기 마개부재(20)를 상기 유입단부(11)로 미는 힘을 보강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받침단부(12)와 상기 마개부재(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부재(30)는 상기 유입단부(11)와 상기 받침단부(12)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부(13)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기둥부(13) 전체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의 단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의 크기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익 마개부재(20)에 닿지 않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에서 마개부재(2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유입단부(11)에 형성된 유입홀(11a)에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개폐마개(21) 및 상기 개폐마개(2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단부(11)와 상기 받침단부(12)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10)의 기둥부(13)가 삽입되는 지지홀(22a)이 형성된 가이드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받침단부(12)와 상기 유입단부(11)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3)가 삽입되는 지지홀(22a)에 의해서 상기 받침단부(12) 또는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마개(21), 가이드판(22)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22)은 상기 기둥부(13)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홀(22a)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13) 상에서 이동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2)은 상기 받침단부(12)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단부(12)에 일단부가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30)의 타단부에 의해서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개폐마개(21)는 상기 가이드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단부(11)와 상기 받침단부(12) 사이를 이동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입단부(11)에 형성된 유입홀(11a)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유입홀(11a)을 폐쇄하거나 상기 유입홀(11a)에서 이탈되어 상기 유입홀(11a)을 개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개폐마개(21)는 상기 유입홀(11a)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유입홀(11a)로 완전히 끼워지지 않도록 일단부에 단턱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개폐마개(21)는, 일단부에 단턱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단부(11)에 걸리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단턱부(21a)의 형성에 의해서 상기 개폐마개(21)는 일단부의 일부만이 상기 유입홀(11a)에 삽입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개폐마개(21)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고무패킹(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마개(21)가 상기 유입홀(11a)에 끼워지는 경우에 상기 유입단부(11)와의 밀착력을 높여서 역류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무패킹(23)은 일례로 상기 단턱부(21a)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21a)에 끼워질 수 있는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에서 탄성부재(30)가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에서 탄성부재(30)가 단일 스프링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에서 탄성부재(30)의 크기가 마개부재(20)의 최저 위치보다 짧은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는 상기 마개부재(20)가 상기 지지부재(10)의 상기 받침단부(12)에 인접하게 이동되어 상기 유입홀(11a)이 개방된 상태로서, 상기 배관(3)을 통하여 액체(W)가 유입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마개부재(20)가 상기 지지부재(10)의 상기 유입단부(11)에 밀착되게 이동되어 상기 유입홀(11a)이 폐쇄된 상태로서, 상기 배관(3)으로 액체(W)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유입단부(11)와 상기 받침단부(12)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10)의 복수의 기둥부(13)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기둥부(13)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기둥부(13)에서 상기 마개부재(20)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탄성력을 분산하여 상기 마개부재(20)에 부여하기 때문에, 상기 마개부재(20)가 안정적으로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유입단부(11)와 상기 받침단부(12)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10)의 복수의 기둥부(13) 전체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의 단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30)가 상기 유입단부(11)와 상기 받침단부(12) 사이에 단일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개부재(20)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3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탄성부재(30)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0)의 받침단부(12)에 고정되되, 상기 마개부재(20)가 상기 유입단부(11)에 접하게 배치되면, 타단부가 상기 마개부재(20)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크기의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30)의 길이는 상기 마개부재(20)가 상기 유입단부(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단부(12)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마개부재(20)에 의해서 상기 유입홀(11a)이 개방될 때,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한 탄성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상기 마개부재(20)에 의한 상기 유입홀(11a)의 개방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마개부재(20)가 액체(W)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유입홀(11a)을 폐쇄할 때,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마개부재(20)에 의해서 압축되게 밀착된 상태로서, 상기 마개부재(20)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재(30)의 길이가 상기 마개부재(20)가 상기 유입단부(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단부(12)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면, 상기 액체(W)의 순방향 이동시의 상기 유입홀(11a)의 개방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액체(W)의 역방향으로의 역류시에 상기 유입홀(11a) 폐쇄를 위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탄성부재(30)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0)의 받침단부(1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개부재(20)와 상기 받침단부(12) 사이에서 이동되는 접촉판(30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판(30a)은 상기 탄성부재(30)가 부여하는 탄성력을 상기 마개부재(20)에 균일하게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가 복수의 스프링 또는 단일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경우 등의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접촉판(30a)이 중간에서 먼저 탄성력을 전달받고, 이를 상기 마개부재(20)에 전달하므로, 탄성력의 균일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에서 마개부재(20)가 저항날개부(24)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마개부재(20)는, 상기 개폐마개(21)의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폐마개(21)가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는 저항날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저항날개부(24)는 상기 개폐마개(21)가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펼쳐지게 구비되기 때문에, 역류하는 상기 액체(W)에 의하여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더 크게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밸브(1)의 상기 저항날개부(24)는, 상기 개폐마개(21)의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스토퍼(24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저항탭(24b)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저항날개부(24)는 상기 개폐마개(21)의 측면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날개부(24)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단부에는 스토퍼(24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항날개부(24)는 타단부에 저항탭(24b)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단부(11) 방향으로 이동시에 펼쳐지게 된다. 다시 말해, 역류하는 액체(W)가 상기 저항탭(24b)에 부딪히면서 상기 저항날개부(24)를 상기 개폐마개(21)의 측면부에 펼쳐지게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항날개부(24)의 타단부에 상기 저항탭(24b)이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개폐마개(21)가 상기 유입단부(11)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홀(11a)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W)가 상기 저항탭(24b)을 밀면서 상기 저항날개부(24)가 상기 개폐마개(21)에 밀착되게 작동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1)를 포함하는 저장탱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액체(W)가 유동되는 배관(3)과 연결되어 액체(W)를 저장하는 탱크부재(2) 및 상기 배관(3)에 구비되는 상기 역류방지밸브(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상기 역류방지밸브(1)를 포함함에 의해서, 탱크부재(2) 내부의 액체(W)가 액체(W) 유입 배관(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이러한 역류의 방지를 별도의 동력 없이 역류하는 액체(W)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면서도, 역류 방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탱크는 액체(W)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상기 액체(W)가 물인 저수조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액체(W)가 유류연료인 연료저장조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체(W)를 저장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저장탱크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역류방지밸브 2: 탱크부재
3: 배관 10: 지지부재
11: 유입단부 12: 받침단부
13: 기둥부 20: 마개부재
21: 개폐마개 22: 가이드판
23: 고무패킹 24: 저항날개부
30: 탄성부재

Claims (13)

  1. 액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서 이동되게 구비되어,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유입단부를 개폐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유입단부의 반대단인 상기 지지부재의 받침단부와 상기 마개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유입단부에 형성된 유입홀에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개폐마개;
    상기 개폐마개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단부와 상기 받침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기둥부가 삽입되는 지지홀이 형성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개폐마개의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폐마개가 상기 유입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는 저항날개부;
    을 포함하는 역류방지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입단부와 상기 받침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복수의 기둥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입단부와 상기 받침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복수의 기둥부 전체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의 단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받침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마개부재가 상기 유입단부에 접하게 배치되면, 타단부가 상기 마개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크기의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받침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개부재와 상기 받침단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접촉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금속소재 또는 상기 액체보다 밀도가 작은 부력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마개는, 일단부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단부에 걸리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개폐마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고무패킹;
    을 포함하는 역류방지밸브.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날개부는, 상기 개폐마개의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저항탭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받침단부에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의 역류시에 상기 마개부재를 상기 유입단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상기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13. 액체가 유동되는 배관과 연결되어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부재; 및
    상기 배관에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9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역류방지밸브;
    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KR1020190132737A 2019-10-24 2019-10-24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KR10221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37A KR102218406B1 (ko) 2019-10-24 2019-10-24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37A KR102218406B1 (ko) 2019-10-24 2019-10-24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406B1 true KR102218406B1 (ko) 2021-02-19

Family

ID=7468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737A KR102218406B1 (ko) 2019-10-24 2019-10-24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978A1 (en) * 2022-06-21 2023-12-28 Applied Materials, Inc. Self-adjustable variable orifice check valve for back pressure redu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548A (ja) * 1994-10-28 1996-05-21 Sekisui Chem Co Ltd 逆止弁
CN1301338A (zh) * 1998-05-26 2001-06-27 卡尔-阿道夫-岑那水表工厂有限公司 复合水表
KR20040087184A (ko) * 2003-04-04 2004-10-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20070041206A (ko) * 2005-10-1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용 펌핑 라인의 역류차단밸브
KR20090122053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548A (ja) * 1994-10-28 1996-05-21 Sekisui Chem Co Ltd 逆止弁
CN1301338A (zh) * 1998-05-26 2001-06-27 卡尔-阿道夫-岑那水表工厂有限公司 复合水表
KR20040087184A (ko) * 2003-04-04 2004-10-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20070041206A (ko) * 2005-10-1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용 펌핑 라인의 역류차단밸브
KR20090122053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978A1 (en) * 2022-06-21 2023-12-28 Applied Materials, Inc. Self-adjustable variable orifice check valve for back pressure re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3685A1 (en) Non-Return Valve for Flue Gas Venting and Damper Assembly for Use Therein
KR102218406B1 (ko)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KR20080098988A (ko) 맨홀 커버장치
WO2016016471A1 (fr) Dispositif de toilettes
US6595236B2 (en) Valve
US2546956A (en) Submersible buoy
GB1592597A (en) Accumulator drain closure
US20110239359A1 (en) Pressurized device for toilets
KR101377544B1 (ko)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JP2009264529A (ja) 蓄圧装置
US1657658A (en) Automatic valve
JPH0932942A (ja) 逆止弁装置
US10329756B2 (en) Leak-proof toilet tank
JP4646029B2 (ja) 逆流防止装置
JP2819122B2 (ja) 加圧開放弁
US9464723B2 (en) Timing valve and kick-down valve
KR200310493Y1 (ko) 부력식 역지밸브
KR102147767B1 (ko) 상수도용 부동전
JP4563753B2 (ja) 逆止弁
JP6986242B2 (ja) 圧力緩和装置
US10167968B1 (en) Check valve
KR102163629B1 (ko) 커플러
CN216075399U (zh) 用于抽水马桶的清洁剂释放装置
KR102173945B1 (ko) 퀵오픈 릴리프 밸브에 의한 수충격 완화장치
KR200410705Y1 (ko) 다이아프램식 컨트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