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053A -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053A
KR20090122053A KR1020080048251A KR20080048251A KR20090122053A KR 20090122053 A KR20090122053 A KR 20090122053A KR 1020080048251 A KR1020080048251 A KR 1020080048251A KR 20080048251 A KR20080048251 A KR 20080048251A KR 20090122053 A KR20090122053 A KR 20090122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charge
guide
hermetic compresso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931B1 (ko
Inventor
김진국
박경준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93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04B39/023Hermetic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50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 F05B2280/5001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는, 토출밸브가 복수 개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면서 직선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냉매가 사방으로 토출되도록 함에 따라 냉매의 토출속도를 높여 압축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의 압축배면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고 밸브의 열림량을 낮춤으로써 토출밸브가 신속하게 닫히면서 냉매의 누설이나 역류를 방지하고 밸브타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를 정확하게 고정하여 오조립으로 인한 밸브의 불안정한 거동과 이로 인한 밸브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토출밸브, 밸브가이드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VALVE DEVICE FOR 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된 냉매의 토출을 제어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부와 그 전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가 함께 구비되어 주로 냉장고나 에어콘 등의 냉동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압축 방식과 사용되는 냉매의 종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왕복동식 압축기는 선형 실린더와, 그 실린더에 피스톤이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냉매를 압축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선단면에는 냉매의 흡입과 토출을 조절하는 밸브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조립체의 일측에는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토출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조립체의 흡입측에 연통되도록 흡입머플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밸브조립체는 실린더헤드에 장착되는 밸브플레이트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흡입측에 장착되어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밸브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토출측에 장착되어 토출구를 개폐하는 외팔보 형상의 토출밸브와, 상기 토출밸브의 압 력배면쪽에 배치되어 토출밸브가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밸브스프링과, 상기 밸브스프링의 배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스프링을 지지하는 밸브스토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토출밸브는 그 일단이 상기 토출커버에 의해 밸브플레이트에 눌려 고정되고, 그 고정단을 중심으로 타측 자유단이 휘어져 회전운동을 하면서 토출구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프링은 토출밸브와 함께 그 일단이 상기 토출커버에 의해 밸브플레이트에 눌려 고정되고, 상기 토출밸브의 열림시 압축되었다가 그 토출밸브가 신속하게 닫힐 수 있도록 복원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토퍼는 그 양단이 상기 토출커버에 눌려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는 그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어 상기 고정단에서 멀어질수록 열림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토출밸브의 고정단쪽에서는 유로저항이 증가하여 냉매가 상기 고정단의 반대쪽으로 집중 토출되므로 냉매의 토출속도가 지연되면서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토출밸브가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되어 상기 토출밸브의 닫힘속도가 지연되고, 이로 인해 압축실의 냉매가 누설되거나 또는 토출된 냉매가 압축실로 역류하여 압축기 성능이 저하된다.
또, 상기 토출밸브가 밸브스프링과 밸브스토퍼와 함께 토출커버에 눌려 고정되도록 조립됨에 따라 가공오차나 조립오차가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토출밸브가 긴밀하게 고정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토출밸브가 토출구를 정확하게 개폐하지 못하면서 압축기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 오조립으로 인한 밸 브소음이나 밸브특성으로 인한 밸브소음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상기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압축냉매에 대한 유로저항을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하여 압축냉매의 토출속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 상기 토출밸브의 닫힘속도를 높여 토출된 냉매가 압축전 냉매가 누설되거나 토출된 냉매가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 상기 토출밸브가 토출구를 정확하게 개폐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오조립이나 밸브특성으로 인한 밸브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의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밸브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토출구의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는, 상기 토출밸브가 복수 개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면서 직선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냉매가 사방으로 토출되도록 함에 따라 냉매의 토출속도를 높여 압축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의 압축배면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고 밸브의 열림량을 낮춤으로써 토출밸브가 신속하게 닫히면서 냉매의 누설이나 역류를 방지하고 밸브타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를 정확하게 고정하여 오조립으로 인한 밸브의 불안정한 거동과 이로 인한 밸브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장치가 구비된 왕복동식 압축기는, 케이싱(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고정자(110)와 회전자(120) 그리고 회전축(130)으로 된 전동부(100)와, 상기 케이싱(1)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전동부(100)의 회전축(130)에 결합되어 그 전동부(1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흡입 압축하는 압축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부(200)는 상기 케이싱(1)의 내부공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일측에 압축공간(V1)을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는 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210)의 상면에 얹힌 상기 회전축(130)의 캠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리브(220)와, 상기 슬리브(2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30)의 회전운동을 후술할 피스톤(240)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커넥팅로드(230)와, 상기 커넥팅로드(2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210)의 압축공간(V1)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13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240)과, 상기 실린더(210)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냉매의 흡입과 토출을 조절하는 밸브조립체(250)와, 상기 실린더(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토출공간(V2)을 구비하여 밸브조립체(250)에 고정되는 토출커버(260)와, 상기 밸브조립체(250)의 흡입측에 연통되도록 상기 토출커버(260)에 결합되는 흡입머플러(270)와, 상기 토출커버(260)를 통해 상기 밸브조립체(250)의 토출측에 연통되도록 상기 실린더(210)에 장착되는 토출머플러(280)를 포함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밸브조립체(250)는 실린더(210)의 선단면에 설치되는 밸브플레이트(251)와, 상기 실린더(210)와 밸브플레이트(251)의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구(251a)를 개폐하는 흡입밸브(252)와, 상기 밸브플레이트(251)와 토출커버(260)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가이드(253)와, 상기 밸브가이드(253)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후술할 토출구(251b)의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토출구(251b)를 개폐하는 토출밸브(254)와, 상기 토출밸브(254)의 압력배면과 상기 밸브가이드(253)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밸브(25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밸브스프링(2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플레이트(251)는 그 일측에 상기 실린더(210)의 내부로 냉매가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251a)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51a)의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25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51b)의 주변에는 후술할 밸브가이드(253)의 가이드부(253b)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도면에선 4개)의 가이드고정홈(254c)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51b)는 한 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압축되는 냉매의 궤적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251b)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냉매가 압축되는 궤적을 따라 상류쪽 보다 하류쪽 토출구(251b)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251b)가 한 개인 경우는 물론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밸브가이드(253)와 토출밸브(25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밸브가이드(253)는 공유하면서 복수 개의 토출밸브(254)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밸브가이드(253)는 판체로 된 본체부(253a)와, 그 본체부(253a)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51b)의 주변에 마련된 가이드고정홈들(251c)에 삽입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토출밸브(254)가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적어도 2개 이상(도면에선, 4개)의 가이드부(25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253a)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53b)는 본체부(253a)의 외주면에 각각 90°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53b)는 그 개수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53a)와 가이드부(253b)의 사이는 밸브스토퍼부(253c)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53a)의 일측면, 즉 상기 가이드부(253b)쪽 측면에는 상기 밸브스프링(255)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스프링돌기(253d)가 돌출 형성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돌기(253d)의 높이(H1)는 밸브스토퍼부(253c)의 높이(H2)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254)는 도 3에서와 같이 원형 박판으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상기 밸브가이드(253)의 가이드부(253b)에 미끄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끄럼구멍(254a)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밸브(254)는 토출구(251b)를 개폐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를 갖는다면 그 형상은 네모 또는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밸브스프링(255)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은 상기 밸브가이드(253)의 스프링돌기(253d)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반면 그 타단은 상기 토출밸브(254)의 압축배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프링(255)은 토출밸브(254)가 열릴 때 완전히 압축되지 않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밸브스프링(255)은 상기 토출밸브(254)가 열리는 과정에서 압축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밸브스프링(255)이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 그 끝단이 적어도 상기 밸브가이드(255)의 밸브스토퍼부(253c) 보다는 안쪽, 즉 본체부(253a)쪽으로 더 근접되게 압축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상기 밸브스프링(255)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밸브스프링(255)의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커버(260)는 도 2에서와 같이, 대략 사각용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개구측이 가스켓(29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밸브플레이트(251)에 밀착되어 복개되며, 그 모서리에는 상기 토출커버(260)가 밸브플레이트(251)와 함께 실린더(210)에 체결되도록 체결구멍(2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커버(260)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머플러(270)가 장착되도록 흡입머플러장착홈(262)이 음각지게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는 지지스프링, 3은 오일피더, 252a는 밸브부, 252b는 토출용 관통구멍, 291은 가스켓의 흡입구멍, SP는 흡입관, DP는 토출관이다.
상기와 같은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회전자(12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자(120)에 압입된 상태의 회전축(13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0)의 회전은 캠부에 연결된 커넥팅로드(230)에 의해 수평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피스톤(240)이 실린더(210) 내부를 왕복동 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240)의 왕복운동에 의해 냉매가 상기 흡입머플러(270)와 밸브조립체(250)의 흡입밸브(252)를 통해 상기 실린더(210)의 압축공간(V1)로 흡입되었다가 상기 밸브조립체(250)의 토출밸브(254)를 통해 상기 토출커버(260)의 체적부와 토출머플러(280)를 차례대로 거쳐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토출밸브(254)가 열릴 때에는, 그 토출밸브(254)의 미끄럼구멍(254a)이 상기 밸브가이드(253)의 가이드부(253b)에 삽입되어 미끄러지게 됨에 따라 상기 토출밸브(254)는 밸브스프링(255)의 탄성력을 이기고 토출구(251b)의 축방향을 따라 대략 일직선상으로 상승하면서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구(251b)가 방사상으로 고르게 개방되어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에 대한 유로저항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면서 냉매가 사방으로 고르게 퍼져 토출된다. 따라서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구(251b)를 통해 신속하게 토출커버(260)의 토출공간(V2)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토출밸브(254)가 닫힐 때에는, 그 토출밸 브(254)가 상기 밸브스프링(255)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가이드(253)의 가이드부(253b)를 따라 상기 토출구(251b)의 축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상으로 하강하면서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밸브(254)의 닫힘동작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압축되는 냉매가 적정압력까지 압축되기 전에 토출되거나 또는 토출된 냉매가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밸브(254)가 열리는 과정에서 그 토출밸브(254)가 상기 밸브가이드(253)의 밸브스토퍼부(253c)에 의해 그 열림량이 제한됨에 따라 열림높이가 외팔보 방식의 토출밸브에 비해 낮게 되므로 상기 토출밸브(254)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플레이트(251)에 부딪히는 충격량이 작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토출밸브(254)의 밸브타음을 낮춰 압축기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밸브가 밸브가이드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미끄러지면서 토출구를 개폐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토출밸브(254)가 밸브가이드(253)의 가이드부(253b)에 삽입되지 않고 그 토출밸브(254)의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부재(253)의 가이드부(253b)의 내주면에 미끄러지면서 상기 토출구(251b)를 개폐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밸브스프링(255)의 길이나 밸브스토퍼부(253c)의 위치 등 대부분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 경우 상기 토출밸브(25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는 그 토출밸 브(254)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53b)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상기 토출밸브(254)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253b)가 삽입되도록 미끄럼홈(254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토출밸브의 열림량을 균일하게 하여 냉매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매의 토출속도를 높여 압축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가 신속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냉매의 누설이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밸브의 열림높이를 낮춰 밸브타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밸브를 정확하게 고정하여 오조립으로 인한 밸브의 불안정한 거동과 이로 인한 밸브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장치가 구비된 밀폐형 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를 일례로 들어 살펴보았으나 통상의 로터리 압축기와 같이 리드형 밸브를 토출밸브로 사용하는 모든 압축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밸브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토출밸브를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토출밸브를 조립하여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I-I선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토출밸브가 열릴 때와 닫힐 때를 보인 종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토출밸브가 밸브가이드의 내주면에 삽입된 밸브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및 조립하여 보인 종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50 : 밸브조립체 251 : 밸브플레이트
251b : 토출구 251c : 가이드고정홈
253 : 밸브가이드 253a : 본체부
253b : 가이드부 253c : 밸브스토퍼부
253d : 스프링돌기 254 : 토출밸브
254a : 미끄럼구멍 254b : 미끄럼홈
255 : 밸브스프링 260 : 토출커버

Claims (8)

  1.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의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밸브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토출구의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판체로 된 본체부와, 그 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주변에 고정되고 상기 밸브부재가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가이드부 사이는 밸브스토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프링은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 그 끝단이 상기 밸브스토퍼부 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스프링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부에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미끄럼구멍이 형성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부의 내주면에 미끄러지게 결합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미끄럼홈이 형성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KR1020080048251A 2008-05-23 2008-05-23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KR101462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251A KR101462931B1 (ko) 2008-05-23 2008-05-23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251A KR101462931B1 (ko) 2008-05-23 2008-05-23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053A true KR20090122053A (ko) 2009-11-26
KR101462931B1 KR101462931B1 (ko) 2014-11-19

Family

ID=4160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251A KR101462931B1 (ko) 2008-05-23 2008-05-23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9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07B1 (ko) * 2018-05-02 2019-11-08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역류 방지 밸브
KR102218406B1 (ko) * 2019-10-24 2021-02-19 주식회사 포스코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00A (ko) * 2002-11-12 2004-05-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밸브장치
KR100504912B1 (ko) * 2003-01-03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내부압력조절밸브
KR20040087184A (ko) * 2003-04-04 2004-10-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07B1 (ko) * 2018-05-02 2019-11-08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역류 방지 밸브
KR102218406B1 (ko) * 2019-10-24 2021-02-19 주식회사 포스코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931B1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264B2 (ja) リニア圧縮機
US10533546B2 (en) Linear compressor
US10280914B2 (en) Linear compressor
KR20180083075A (ko) 리니어 압축기
US11248594B2 (en) Linear compressor
KR20090122053A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KR20090119272A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US20220220953A1 (en) Linear compressor
CN215256694U (zh) 压缩机
KR102217342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00083651A (ko) 밸브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KR101454243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42574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유로저항 저감 구조
KR100323526B1 (ko) 압축기의 토출 장치
KR10144703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KR100442391B1 (ko) 흡입밸브 조립체
EP3783224B1 (en) Linear compressor
KR10146383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212598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KR20030055036A (ko) 흡입밸브 조립체
KR20090122052A (ko) 밀폐형 압축기
KR100486570B1 (ko) 흡입밸브 조립체
KR20050080495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
KR100575807B1 (ko)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장치
CN112412747A (zh) 线性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