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544B1 -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544B1
KR101377544B1 KR1020130067147A KR20130067147A KR101377544B1 KR 101377544 B1 KR101377544 B1 KR 101377544B1 KR 1020130067147 A KR1020130067147 A KR 1020130067147A KR 20130067147 A KR20130067147 A KR 20130067147A KR 101377544 B1 KR101377544 B1 KR 10137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ischarge pipe
water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돈
이종인
Original Assignee
(주)여명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여명테크 filed Critical (주)여명테크
Priority to KR102013006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양변기 몸체부; 및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양변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직수 유입구를 통해 직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이상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WATER-SUPPLY APPARATUS FOR TOILET BOWL WITHOUT WATER TANK}
본 발명은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물이 일정량 이상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울러 수조가 없어 양변기 디자인의 다변화와 생산단가의 절감 및 직수 공급관에 전자적 개폐장치를 부가하여 자동 세척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분뇨배출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분뇨의 원활한 세척을 위해 변기 보울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펀 원리는 역 U자관내의 수위와 변기내의 수위가 평형을 이룰 때는 물이 정체상태인 반면, 변기 보울내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 변기 보울내의 압력상승이 동반 되면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사이펀관과의 압력차에 의해 변기 보울내의 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말한다.
통상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울(bowl)(2)과, 상기 보울(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울(2)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5)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2a)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1)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탱크(1)에 설치된 배수레버(3)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3)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구 패킹(5)이 급수구(10)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의 물이 그 공급로(2a)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울(2) 내 수위 증가에 따라 보울(2) 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울의 배수로(2b)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울 내 침전된 대, 소변을 배수트랩(2c)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는 보울 내에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2c) 높이 이상의 수위를 항상 유지해야 하고 또 수세시에 상기 배수트랩(2c) 높이의 수압을 이길 수 있는 양의 물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변기는 보울 배출관 직경이 원활한 오물의 배출을 위해 KS규격 등을 통해 정해진 45미리 이상 즉 통상 45~55미리 정도가 되어야 함에 따라, 보울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선 일명 사이펀 현상을 발생 시켜야 흡인력에 의해 세척이 되며, 이러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최소한 일시에 60미리 이상의 물을 보울 내부로 공급하여야 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변기는 수조를 설치하고 평상시 수조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다가 사용시 수조내부에 설치된 약 65미리 전후의 배출관 구경에 부착된 개폐마개의 개방으로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를 통해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함으로서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여 세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변기는 구경 약 15미리 정도의 수도관 직수로는 아무리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도 보울 배출관 직경이 통상 45~55미리 정도라 사이펀 현상을 발생 시킬 수 가 없고 그대로 보울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어 보울 내 오물을 세척 시킬 수 없다.
때문에 그동안 남자 소변기의 경우 수도직결을 사용함으로서 감지기 등으로 자동세척이 일반화 되어 있지만, 대변기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도관 직결로는 오물세척이 불가능하여 자동 대변기는 일반화 할 수 없었다.
아울러, 기존 변기는 필수적으로 수조기능을 갖추어야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한계와 수조로 인해 변기 크기를 줄일 수 없어 공간적인 제약도 있다. 또한, 수조와 좌대를 일체형으로 도기를 제작(일명 "원피스형 변기)할 때 불량률이 많아 생산수율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도기 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아울러, 수조내부에 설치된 급배출관의 불량 등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사용자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워 상하수도 비용 청구서를 보고서야 인지할 경우도 있다. 또한, 공동 화장실이나 사무빌딩 등 공공의 장소에 사용하는 일명 플래쉬 변기의 경우는 수조가 없기 때문에 직수로 사용하기 위해 일시에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도관과 별도로 직경 25미리(1인치)관을 추가로 설비하여야 함으로서 막대한 설비비용이 추가되며, 레바 작동시 일명 "워터함마"라는 현상으로 심한 소음이 수반된다.
아울러, 특허 제 10-1131810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가변 이중 직선관은 기존의 급수유로와 보울 림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수도 직수공급 시 보울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가변 직선관이 하향되어 오물배출은 가능하나 수도압력이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와 보울 림 내부의 수로에서 급격히 떨어져 결과적으로 수도압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보울 내부 오물세척에 문제가 있고, 오물배출 시 가변 직선관의 하향 지연 시간조절이 어려워 일부 오물의 역류가 가끔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변기의 오수 저장부에 저장된 오수를 직수를 사용하여 오수 저장부의 배출구에 자바라로 연결되는 배출 유닛을 하방으로 탄성 유동시켜 순차적으로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에 탄성적으로 배출 유닛을 원위치로 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양변기 몸체부; 및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양변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직수 유입구를 통해 직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이상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오수 배출관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 배출 유닛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관 형상의 자바라 관과, 상기 자바라 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단부에 주 배출구를 갖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중공 형상의 주 배출관과,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 외주에 밀착 설치되며, 단부에 보조 배출구를 갖고, 후단측에 잔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보조 배출관과, 상기 주 배출관의 내부에 상기 오수가 기준 오수량에 이르면 상기 자바라 관을 직립시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오수가 상기 기준 오수량 이상을 이루면 상기 주 배출관을 하방으로 강제 탄성 유동시켜 상기 주 배출관을 통해 상기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주 배출관의 상단 외주에 상기 주 배출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안내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안내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자바라 관의 타단부 상단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 배출구와 상기 보조 배출구는 서로 'V'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 배출구에는, 상단이 상기 주 배출구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수가 배출시 개방되는 주 개폐판이 설치되고, 상기 주 배출구에는, 상단이 상기 주 배출구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배출구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개폐판의 하단 내측부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의 내주에 밀착되는 밀착 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 개폐판은 상하를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오수를 직수를 사용하여 오수 저장부의 배출구에 자바라로 연결되는 배출 유닛을 하방으로 탄성 유동시켜 순차적으로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에 탄성적으로 배출 유닛을 원위치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오수가 배출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는 크게 양변기 몸체부(100)와, 오수 배출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는 도기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오수가 내부에 저장될 수 있는 오수 저장 공간(101)을 형성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오수 저장 공간(101)으로 상수도를 직수로 연결하는 직수 유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의 일측 하단부에는 측부로 연장되는 오수 배출관(130)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수 배출관(13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오수 저장 공간(101)에 저장되는 오수는 상기 오수 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오수 배출 유닛(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오수 배출 유닛(200)은 크게 자바라 관(210)과, 주 배출관(220)과, 보조 배출관(230)과, 탄성 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바라 관(210)의 일단은 상기 오수 배출관(130)의 단부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자바라 관(210)은 사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로 주름이 형성된다.
상기 주 배출관(220)은 상기 자바라 관(21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중공 형상을 이루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주 배출관(220)의 단부에는 주 배출구(221)가 형성된다. 상기 주 배출구(221)는 측면 절개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주 배출관(220)의 하단 외주에는 보조 배출관(23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배출관(230)은 상단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절개되는 상단 테두리가 상기 주 배출관(220)의 하단 외주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조 배출관(230)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주 배출관(220)의 하단 외주에 본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른 볼트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배출관(230)의 타단측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잔수 배출구(2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배출관(230)의 단부에는 보조 배출구(231)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배출구(231)는 측면 절개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 배출구(221)와 보조 배출구(231)는 서로 'V'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다.
특히, 보조 배출관(230)의 타단은 상기 주 배출관(220)과 자바라 관(210)의 연결 위치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잔수 배출구(232)는 오수 배출시 보조 배출관(230)의 내부에 잔류될 수 있는 잔류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수단(240)은 슬라이딩 안내부재(241)와, 슬라이딩 부재(242)와, 탄성 스프링(2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 부재(241)는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꺽여 형성되는 로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241)는 주 배출관(220)의 상단 외주에서 주 배출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241)의 일단은 주 배출관(220)의 상단 외주 일단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안내부재(241)의 타단은 주 배출관(220)의 상단 외주 타단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241)의 양단에는 한 쌍의 고정단(241a,241b)이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단(241a,241b)은 슬라이딩 레일(241b)의 양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241)는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3052176199-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42)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24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42)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241c)과 주 배출관(220)의 상단 사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241c)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연결바는 슬라이딩 레일(241c)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연결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242)는 슬라이딩 레일(24c)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탄성 스프링(243)은 단일개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242)와 자바라 관(210)의 상단을 탄성 연결한다.
상기 자바라 관(210)의 상단에는 걸림홀(244a)이 형성되는 걸림단(24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243)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242)의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단(244)의 걸림홀(244a)에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스프링(243)은 주 배출관(220) 및 보조 배출관(230)이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때, 탄성 스프링(243)은 압축된 상태(원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주 배출구(220)에는 상단이 상기 주 배출구(22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수가 배출시 개방되는 주 개폐판(222)이 설치된다.
상기 주 배출구(221)에는 상단이 상기 주 배출구(222)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배출구(231)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판(233)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 개폐판(233)의 하단 내측부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231)의 내주에 밀착되는 밀착 부재(233a)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 개폐판(233)은 상하를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수형 양변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오수가 배출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6은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양변기 몸체부(100)의 일단부에는 내부에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몸체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상술한 구성의 오수 배출 유닛(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몸체부(120)의 하단에는 지면(10)의 하방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에 끼워져 설치되는 하단측 배출관(11)이 설치된다.
도 5를 참조 하면, 양변기 몸체부(100)의 오수 저장 공간(101)에는 일정량의 오수가 저장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오수는 오주 배출관(130)을 통해, 자바라 관(210)의 내부로 유동하고, 이 유동된 오수는 직립되어 대기되는 주 배출관(220)의 내부에서 일정 수준을 이루는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자바라 관(210)은 상방으로 벤딩되어 꺽인 상태를 이룬다.
이와 동시에, 탄성 스프링(243)은 압축된 상태를 이루고, 탄성 스프링(243)의 일단은 슬라이딩 부재(242)에 연결되는 상태이고, 타단은 자바라 관(21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단(244)에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탄성 스프링(243)의 일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부재(242)는 슬라이딩 안내부재(241)의 슬라이딩 레일(241c) 중간 정도에 위치되는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탄성 스프링(243)의 원상태를 유지하는 압축력은 자바라 관(210)이 벤딩되어 유지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주 배출관(220) 및 보조 배출관(230)의 단부에 설치된 주 개폐판(222)과 보조 개폐판(233)은 각각 주 배출구(221) 및 보조 배출구(231)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오수는 주 배출관(220)의 내부에서 일정 수위를 이루어 대기되고, 주 개폐판(222)이 주 배출구(221)를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오수로 인한 악취가 주 배출관(22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세척을 위해 직수 유입구(110)를 통해 직수가 오수 저장 공간(101)의 내부로 유입되면, 오수 저장 공간(101)에 저장되는 전체 오수의 양이 증가된다.
이어, 오수 저장 공간(101)으로부터 오수는 오수 배출관(130)을 통해 자바라 관(210)으로 유동되고, 자바라 관(210)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는 주 배출관(220)의 내부로 배출되면서, 수위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주 배출관(220)의 내부에서의 오수 수위가 기준 오수량 이상을 이루는 경우, 수위가 증가하는 오수의 하중으로 인해, 자바라 관(221)은 하방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힘을 받는다.
이때, 탄성 스프링(243)의 일단에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242)는 슬라이딩 연결부재(241)를 따라 주 배출관(220)의 타단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슬라이딩 부재(242)는 슬라이딩 연결부재(241)의 타단에 위치된다.
이때, 탄성 스프링(243)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로 이완되고, 주 배출관(220)은 자바라 관(210)이 펼쳐짐으로 인해 하방을 향해 일정 구배를 이룬다.
따라서, 주 배출관(220)에 일시 저장되는 오수는 점진적으로 주 배출관(220)의 구배에 의해 주 배출구(221) 측으로 유동되며, 이 유동되는 오수는 주 배출구(221)에 마련된 주 개폐판(222)을 외측으로 밀어 주 배출구(221)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 배출관(220)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는 개방되는 주 배출구(2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주 배출관(220)의 하단 외주에 설치된 보조 배출관(230)의 보조 개폐판(233)은 상기와 같이 주 배출구(221)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 개폐판(233)은 상하를 따라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배출되는 오수가 외측으로 퍼지지 않고, 점진적으로 흐르도록 유도한다.
특히, 보조 배출관(230)의 내부에는 주 배출관(220)으로 유동되면서 누수되는 오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보조 배출관(230)의 내부에 저장되는 오수는 보조 배출관(230)의 타단에 형성되는 잔수 배출구(232)를 통해 점진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주 배출관(220)을 통해 오수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주 배출관(220)은 탄성 스프링(243)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직립되지 않는다.
즉, 주 배출관(220)의 하단 외주에 설치되는 보조 배출관(230) 내부에 잔존하는 오수가 잔수 배출구(232)를 통해 모두 배출되면, 탄성 스프링(243)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자바라 관(210)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벤딩되도록 변형되고, 이와 아울러, 주 배출관(220)은 다시 직립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때, 탄성 스프링(243)의 일단에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242)는 슬라이딩 연결부재(241)를 따라 주 배출관(220)의 일단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탄성 스프링(243)은 원상태, 압축된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 배출관(220) 및 보조 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는 하단측 배출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오수를 직수를 사용하여 오수 저장부의 배출구에 자바라로 연결되는 배출 유닛을 하방으로 탄성 유동시켜 순차적으로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에 탄성적으로 배출 유닛을 원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양변기 몸체부 101 : 오수 저장 공간
110 : 직수 유입구 120 : 보조 몸체부
130 : 오수 배출관 200 : 오수 배출 유닛
210 : 자바라 관 220 : 주 배출관
222 : 주 개폐판 230 : 보조 배출관
232 : 잔수 배출구 233 : 보조 개폐판
240 : 탄성 수단 241 : 슬라이딩 연결부재
242 ; 슬라이딩 부재 243 : 탄성 스프링

Claims (7)

  1.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양변기 몸체부; 및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양변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직수 유입구를 통해 직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이상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양변기 몸체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오수 배출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오수 배출 유닛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관 형상의 자바라 관과,
    상기 자바라 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단부에 주 배출구(221)를 갖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중공 형상의 주 배출관(220)과,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 외주에 밀착 설치되며, 단부에 보조 배출구(231)를 갖고, 후단측에 잔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보조 배출관(230)과,
    상기 주 배출관의 내부에 상기 오수가 기준 오수량에 이르면 상기 자바라 관을 직립시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오수가 상기 기준 오수량 이상을 이루면 상기 주 배출관을 하방으로 강제 탄성 유동시켜 상기 주 배출관을 통해 상기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주 배출관의 상단 외주에 상기 주 배출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안내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안내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자바라 관의 타단부 상단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재는 로드 형상의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단을 구비하여, '
    Figure 112014005361048-pat00008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주 배출관의 외주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주 배출관의 외주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주 배출관의 상단 사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양측부에 걸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주 배출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의 둘레는 원주를 이루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단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주 배출구(221)와 상기 보조 배출구(231)는 서로 'V'자 형상을 이루도록 단부가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고,
    상기 주 배출구(221)에는, 상단이 상기 주 배출구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수가 배출시 개방되는 주 개폐판이 설치되고,
    상기 주 배출구(221)에는, 상단이 상기 주 배출구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배출구(231)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판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개폐판(233)은 상기 주 배출구(221)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고, 배출되는 오수가 외측으로 퍼지지 않고, 점진적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면서 상하를 따라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출관(230)의 내부에는 상기 주 배출관(220)으로 유동되면서 누수되는 오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잔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보조 개폐판의 하단 내측부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의 내주에 밀착되는 밀착 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67147A 2013-06-12 2013-06-12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KR10137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147A KR101377544B1 (ko) 2013-06-12 2013-06-12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147A KR101377544B1 (ko) 2013-06-12 2013-06-12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544B1 true KR101377544B1 (ko) 2014-03-25

Family

ID=5064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147A KR101377544B1 (ko) 2013-06-12 2013-06-12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5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340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KR102035339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KR20200091187A (ko) 2019-01-22 2020-07-30 진명홈바스(주) 잔수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5810B1 (en) 1999-02-19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Works Co., Ltd. Flushing device for disposing of human waste with improved drainage properties
US6668391B1 (en) 1999-11-11 2003-12-30 Korea Item Development Inc. Water-saving toilet
US20060137085A1 (en) 2003-02-26 2006-06-29 Dongcai Xiang Toilet bowl with changeable water seal
KR101131810B1 (ko) * 2010-12-14 2012-03-30 이종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5810B1 (en) 1999-02-19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Works Co., Ltd. Flushing device for disposing of human waste with improved drainage properties
US6668391B1 (en) 1999-11-11 2003-12-30 Korea Item Development Inc. Water-saving toilet
US20060137085A1 (en) 2003-02-26 2006-06-29 Dongcai Xiang Toilet bowl with changeable water seal
KR101131810B1 (ko) * 2010-12-14 2012-03-30 이종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87A (ko) 2019-01-22 2020-07-30 진명홈바스(주) 잔수공급장치
KR102035340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KR102035339B1 (ko) 2019-07-08 2019-10-22 손정우 잔수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4890B1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JP6765627B2 (ja) 排水ソケット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101377544B1 (ko)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JP6465454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1638427B1 (ko) 초절수 양변기
JP2015145583A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KR100923770B1 (ko) 양변기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JP4441616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082633B1 (ko) 좌변기용 배수관
JP2006291496A (ja) 水洗トイレ用手洗器の排水構造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KR20170106528A (ko) 절수 양변기
CN102899851B (zh) 一种波轮式节水洗衣机
KR20110026848A (ko)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KR101442624B1 (ko) 직수형 절수양변기
KR20060123695A (ko)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KR101028851B1 (ko) 오수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JP2020117954A (ja) 水洗大便器装置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KR20210059288A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200333403Y1 (ko)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KR20130033855A (ko)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