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624B1 - 직수형 절수양변기 - Google Patents

직수형 절수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624B1
KR101442624B1 KR1020140029435A KR20140029435A KR101442624B1 KR 101442624 B1 KR101442624 B1 KR 101442624B1 KR 1020140029435 A KR1020140029435 A KR 1020140029435A KR 20140029435 A KR20140029435 A KR 20140029435A KR 101442624 B1 KR101442624 B1 KR 101442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charge pipe
water
wastewate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인
현돈
Original Assignee
(주)여명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여명테크 filed Critical (주)여명테크
Priority to KR102014002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624B1/ko
Priority to PCT/KR2014/007198 priority patent/WO20151375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연결관을 갖는 양변기 몸체부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와; 상기 주름관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관과; 상기 연결관과 상기 오수 배출관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오수 배출관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수형 절수양변기{WATER SAVING CLOSET}
본 발명은 직수 사용이 가능한 직수형 절수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물이 일정량 이상 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직수형 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분뇨배출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분뇨의 원활한 세척을 위해 변기 보울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펀 원리는 역 U자관내의 수위와 변기내의 수위가 평형을 이룰 때는 물이 정체상태인 반면, 변기 보울내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 변기 보울내의 압력상승이 동반 되면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사이펀관과의 압력차에 의해 변기 보울내의 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말한다.
통상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울(bowl)(2)과, 상기 보울(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울(2)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5)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2a)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1)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탱크(1)에 설치된 배수레버(3)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3)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구 패킹(5)이 급수구(10)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의 물이 그 공급로(2a)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울(2) 내 수위 증가에 따라 보울(2) 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울의 배수로(2b)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울 내 침전된 대, 소변을 배수트랩(2c)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는 보울 내에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2c) 높이 이상의 수위를 항상 유지해야 하고 또 수세시에 상기 배수트랩(2c) 높이의 수압을 이길 수 있는 양의 물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변기는 보울 배출관 직경이 원활한 오물의 배출을 위해 KS규격 등을 통해 정해진 45미리 이상 즉 통상 45~55미리 정도가 되어야 함에 따라, 보울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선 일명 사이펀 현상을 발생 시켜야 흡인력에 의해 세척이 되며, 이러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최소한 일시에 60미리 이상의 물을 보울 내부로 공급하여야 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변기는 수조를 설치하고 평상시 수조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다가 사용시 수조내부에 설치된 약 65미리 전후의 배수관 구경에 부착된 개폐마개의 개방으로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를 통해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함으로서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여 세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변기는 구경 약 15미리 정도의 수도관 직수로는 아무리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도 보울 배출관 직경이 통상 45~55미리 정도라 사이펀 현상을 발생 시킬 수 가 없고 그대로 보울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어 보울 내 오물을 세척 시킬 수 없다.
때문에 그동안 남자 소변기의 경우 수도직결을 사용함으로서 감지기 등으로 자동세척이 일반화 되어 있지만, 대변기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도관 직결로는 오물세척이 불가능하여 자동 대변기는 일반화 할 수 없었다.
아울러, 기존 변기는 필수적으로 수조기능을 갖추어야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한계와 수조로 인해 변기 크기를 줄일 수 없어 공간적인 제약도 있다. 또한, 수조와 좌대를 일체형으로 도기를 제작(일명 "원피스형 변기)할 때 불량률이 많아 생산수율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도기 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아울러, 수조내부에 설치된 급배수관의 불량 등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사용자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워 상하수도 비용 청구서를 보고서야 인지할 경우도 있다. 또한, 공동 화장실이나 사무빌딩 등 공공의 장소에 사용하는 일명 플래쉬 변기의 경우는 수조가 없기 때문에 직수로 사용하기 위해 일시에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도관과 별도로 직경 25미리(1인치)관을 추가로 설비하여야 함으로서 막대한 설비비용이 추가되며, 레바 작동시 일명 "워터함마"라는 현상으로 심한 소음이 수반된다.
아울러, 특허 제 10-1131810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가변 이중 직선관은 기존의 급수유로와 보울 림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수도 직수공급 시 보울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가변 직선관이 하향되어 오물배출은 가능하나 수도압력이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와 보울 림 내부의 수로에서 급격히 떨어져 결과적으로 수도압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보울 내부 오물세척에 문제가 있고, 오물배출 시 가변 직선관의 하향 지연 시간조절이 어려워 일부 오물의 역류가 가끔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변기의 오수 저장부에 저장된 직수를 사용하여 오수 저장부의 배출구에 자바라로 연결되는 배출 유닛을 하방으로 탄성 유동시켜 순차적으로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에 탄성적으로 배출 유닛을 원위치로 할 수 있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연결관을 갖는 양변기 몸체부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와; 상기 주름관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주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오수 일부를 설정된 양으로 저장 후 보조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주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과; 상기 연결관과 상기 오수 배출관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오수 배출관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양단에 제 1걸침홀이 형성되는 제 1걸침 부재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 2걸침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의 다수의 제 2걸침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오수 배출관은,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과,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을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 외주에 설치되는 보조 배출관을 구비한다.
상기 주 배출관의 단부와, 상기 보조 배출관의 단부는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르도록 절개되되, 상기 보조 배출관의 단부는 밀폐되고, 상기 주 배출관의 양측부에는,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름관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를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수홀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배출관의 후단에는,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배출홀의 직경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단위 배출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배출홀 각각은, 설정된 면적을 이루고, 상기 면적 내에서 천공되는 사각 또는 원 형상의 다수의 단위 배출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는,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에서 상단을 따라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배출홀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주 배출관의 단부를 포함하여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변기는, 세척량 조절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량 조절 유닛은,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통해 신호를 받아 급수부에 솔레로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걸침 부재의 중심부는,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걸침 부재의 제 1걸침홀은, 상기 제 1걸침 부재의 양단부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주 배출관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걸침홀은,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 각각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 방지부는,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이나 얇은 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주름관의 내주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상기 주름관의 내주 타단 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주름관으로 오수가 유동되며, 유동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부재를 벌리고, 상기 주름관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도록 외형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오수 배출관을 주 배출관과 보조 배출관으로 형성하되, 이들의 단부를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양변기 부피를 줄여 설치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배출시 하방으로 회전되는 오수 배출관으로의 탄성력을 보조 배출관의 중량에 따라 배출지연 효과를 볼 수 있어 오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관 내에 중공의 비닐이나 얇은 고무 등을 설치하여 오수 배출 후, 악취가 양변기 몸체부의 저장 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의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악취 방지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의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는 크게 양변기 몸체부(100)와, 주름관(200)과, 악취 방지부(300)와, 오수 배출관(400)과, 탄성부(500)로 구성된다.
상기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양변기 몸체부(100)
본 발명에 따르는 양변기 몸체부(100)는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는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 공간(1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는 상기 저장 공간(101)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관(110)을 갖는다.
주름관(200)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200)은 상기 연결관(11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주름관(200)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110)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주름관(200)의 일단은 연결관(110)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고, 스크류 방식으로 스크류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주름관(200)은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외력에 의해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악취 방지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악취 방지부(300)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악취 방지부(300)는 상기 주름관(200)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된다.
상기 악취 방지부(300)는 상기 주름관(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이나 얇은 고무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310)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는 중공을 이루고 유연성을 갖는 비닐이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일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내주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의 방식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내주 타단 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주름관(200)의 내부에서 고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저장 공간(101)에 저장되는 오수가 연결관(110)을 통해, 주름관(200)으로 유동되면, 유동되는 오수는 악취 방지 부재(31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악취 방지 부재(310)의 둘레는 주름관(200)의 내주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도록 외형이 가변된다.
즉,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어느 정도 폐쇄 상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오수가 배출되는 측으로부터의 악취는 저장 공간(101)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오수 배출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오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하단을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하단 외주에 설치되는 보조 배출관(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 배출관(410)의 단부와,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단부는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르도록 절개된다. 즉, 서로 일자 형상의 단면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배출관의 전단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후단에는 보조 배출홀(421)이 형성된다.
상기 주 배출관(410)의 양측부에는,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수홀(4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배출홀(411) 각각은, 설정된 면적을 이루고, 상기 면적 내에서 천공되는 사각 또는 원 형상의 다수의 단위 배출홀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하단에서 상단을 따라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배출홀(411)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주 배출관(410)의 단부를 포함하여 절개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참조 하면,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 오수 배출관(400)은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 저장 공간(101)에 저장된 오수가 연결관(110) 및 주름관(200)을 통해 유동되면, 유동되는 오수는 주 배출관(410)으로 유동된다.
이때, 주 배출관(410)으로 유동되는 오수는 주 배출관(410)의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411)을 통해 주 배출관(410)의 하단에 연결된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보조 배출관(421)의 전단은 밀폐되는 상태로, 주 배출관(41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보조 배출관(421)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어, 보조 배출관(421)의 내부에 일정의 오수가 저장되면, 이의 중량에 의해 전체 오수 배출관(400)은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되고, 보조 배출관(420)에 저장된 오수는 보조 배출관(420)의 후단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4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보조 배출관(420) 내부의 오수가 모두 배출되면, 오수 배출관(400)은 후술되는 탄성부에 의해 직립되는 상태인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이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주 배출관(41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에 저장되고, 이 오수 중량으로 인해 주 배출관(410)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는 중요한 역활을 한다.
이에 따라,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오수의 잔량 없이 완전히 배출하여 세척의 효율을 상승시키고, 보조 배출관(420) 후단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421)을 통해 오수가 일정량 배출되면, 오수 배출관(400)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탄성부(500)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1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10)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양단에 제 1걸침홀(511)이 형성되는 제 1걸침 부재(510)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 2걸침홀(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의 다수의 제 2걸침홀(52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5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제 1걸침홀(511)은,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양단부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주 배출관(410)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양변기는, 세척량 조절 유닛(미도시)을 더 갖는다.
세척량 조절 유닛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세척량 조절 유닛은,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통해 신호를 받아 급수부(120)에 솔레로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급수량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저장 공간(101)에는 오수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보조 배출관의 후단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의 홀면적을 가변조절하여 주 배출관의 오수 배출에 걸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홀 면적의 조절은 서로 다른 홀 사이즈를 갖는 보조 배출홀이 형성되는 부재를 오수 배출관의 후단에 탈착시킴으로서 가능할 수 있다. 탈착은 오수 배출관의 후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양변기 몸체부 101 : 저장 공간
110 : 연결관 120 : 직수 유입관
11 : 배수홀 200 : 주름관
300 : 악취 방지부 310 : 악취 방지 부재
400 : 오수 배출관 410 : 주 배출관
411 : 배출홀 420 : 보조 배출관
500 : 탄성부 510, 540, 550 : 제 1걸침 부재
511 : 제 1걸침홀 520 : 제 2걸침 부재
521 : 제 2걸침홀 530 : 탄성 부재

Claims (8)

  1. 바닥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연결관을 갖는 양변기 몸체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
    상기 주름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 및
    상기 주름관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주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오수 일부를 설정된 양으로 저장 후 보조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주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오수 배출관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오수 배출관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양단에 제 1걸침홀이 형성되는 제 1걸침 부재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 2걸침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의 다수의 제 2걸침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악취 방지부는,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주름관의 내주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상기 주름관의 내주 타단 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으로 오수가 유동되며, 유동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부재를 개방시키고, 상기 주름관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외형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관은,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과,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을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 외주에 설치되는 보조 배출관을 구비하되,
    상기 주 배출관의 단부와, 상기 보조 배출관의 단부는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르도록 절개되되, 상기 보조 배출관의 단부는 밀폐되고,
    상기 주 배출관의 양측부에는,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름관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를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출관의 후단에는, 상기 주 배출관의 내부로 배출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배출홀 각각은,
    설정된 면적을 이루고, 상기 면적 내에서 천공되는 사각 또는 원 형상의 다수의 단위 배출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는,
    상기 주 배출관의 하단에서 상단을 따라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배출홀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주 배출관의 단부를 포함하여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는, 세척량 조절 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세척량 조절 유닛은,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와,
    수위 센서를 통해 신호를 받아 급수부에 솔레로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 양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침 부재의 중심부는,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고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 양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침 부재의 제 1걸침홀은, 상기 제 1걸침 부재의 양단부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주 배출관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 2걸침홀은,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 각각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8. 삭제
KR1020140029435A 2014-03-13 2014-03-13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442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435A KR101442624B1 (ko) 2014-03-13 2014-03-13 직수형 절수양변기
PCT/KR2014/007198 WO2015137574A1 (ko) 2014-03-13 2014-08-05 직수형 절수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435A KR101442624B1 (ko) 2014-03-13 2014-03-13 직수형 절수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624B1 true KR101442624B1 (ko) 2014-09-26

Family

ID=5176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435A KR101442624B1 (ko) 2014-03-13 2014-03-13 직수형 절수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34B1 (ko)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ko)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KR20120015982A (ko) * 2010-08-13 2012-02-22 홍성정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KR101131810B1 (ko) * 2010-12-14 2012-03-30 이종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KR20140075235A (ko) * 2012-12-11 2014-06-19 이종인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ko)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KR20120015982A (ko) * 2010-08-13 2012-02-22 홍성정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KR101131810B1 (ko) * 2010-12-14 2012-03-30 이종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KR20140075235A (ko) * 2012-12-11 2014-06-19 이종인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34B1 (ko)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WO2018236043A1 (ko) *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CN110914504A (zh) * 2017-06-20 2020-03-24 株式会社Wawa 可变式节水坐便器的污水排出装置
JP2020524235A (ja) * 2017-06-20 2020-08-13 ワ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Wawa Co., Ltd.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7012753B2 (ja) 2017-06-20 2022-01-28 ワ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834B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JP5597831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101638427B1 (ko) 초절수 양변기
KR100798661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442624B1 (ko)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453013B1 (ko) 직수형 절수양변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JP5756938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1860833B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20170106528A (ko) 절수 양변기
KR101304302B1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20100033034A (ko) 욕실의 배수시스템
JP2006291496A (ja) 水洗トイレ用手洗器の排水構造
KR102162939B1 (ko)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KR100453128B1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KR101358562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CN105155660A (zh) 防臭排水器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102309445B1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101755188B1 (ko) 유수면 조절장치
CN204311537U (zh) 一种液固分流蹲便器
CN103924638A (zh) 单元楼房节水系统
KR20140075235A (ko)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