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34B1 -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34B1
KR101860834B1 KR1020170077713A KR20170077713A KR101860834B1 KR 101860834 B1 KR101860834 B1 KR 101860834B1 KR 1020170077713 A KR1020170077713 A KR 1020170077713A KR 20170077713 A KR20170077713 A KR 20170077713A KR 101860834 B1 KR101860834 B1 KR 10186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rect water
wastewater
pip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인
현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와
이종인
현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와, 이종인, 현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와
Priority to KR102017007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34B1/ko
Priority to PCT/KR2018/005085 priority patent/WO2018236043A1/ko
Priority to EP18820371.5A priority patent/EP3643844B1/en
Priority to CN201880041236.6A priority patent/CN110914504A/zh
Priority to US16/624,975 priority patent/US20200141106A1/en
Priority to JP2019571422A priority patent/JP7012753B2/ja
Priority to ES18820371T priority patent/ES2908735T3/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직수 유입로(101)를 통해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0)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3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00); 상기 연결관(120)에 연결되는 주름관(200); 상기 직수 유입로(101)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0)로의 직수 유입시 상기 직수 유입로(101)으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직수분기부(300);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공급되며 보조 배출홀(422)이 구비된 보조 탱크(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관(400); 상기 연결관(12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직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Wastewater Discharge Apparatus of Variable Type Water Saving Toilet Bowl}
본 발명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수 유입로로부터 일부의 직수가 분기되어 양변기의 오수 배출관 외주에 있는 보조 탱크에 저장되는 직수가 일정량 이상 되면, 보조탱크의 하중에 의해 보울 내의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분뇨배출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분뇨의 원활한 세척을 위해 변기 보울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펀 원리는 역 U자관내의 수위와 변기내의 수위가 평형을 이룰 때는 물이 정체상태인 반면, 변기 보울내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 변기 보울내의 압력상승이 동반 되면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사이펀관과의 압력차에 의해 변기 보울내의 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말한다.
통상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울(bowl)(2)과, 상기 보울(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울(2)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5)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2a)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1)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탱크(1)에 설치된 배수레버(3)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3)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구 패킹(5)이 급수구(10)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의 물이 그 공급로(2a)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울(2) 내 수위 증가에 따라 보울(2) 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울의 배수로(2b)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울 내 침전된 대, 소변을 배수트랩(2c)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는 보울 내에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2c) 높이 이상의 수위를 항상 유지해야 하고 또 수세시에 상기 배수트랩(2c) 높이의 수압을 이길 수 있는 양의 물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변기는 보울 배출관 직경이 원활한 오물의 배출을 위해 KS규격 등을 통해 정해진 45미리 이상 즉 통상 45~55미리 정도가 되어야 함에 따라, 보울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선 일명 사이펀 현상을 발생 시켜야 흡인력에 의해 세척이 되며, 이러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최소한 일시에 60미리 이상의 물을 보울 내부로 공급하여야 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변기는 수조를 설치하고 평상시 수조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다가 사용시 수조내부에 설치된 약 65미리 전후의 배수관 구경에 부착된 개폐마개의 개방으로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를 통해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함으로서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여 세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변기는 구경 약 15미리 정도의 수도관 직수로는 아무리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도 보울 배출관 직경이 통상 45~55미리 정도라 사이펀 현상을 발생 시킬 수 가 없고 그대로 보울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어 보울 내 오물을 세척 시킬 수 없다.
때문에 그동안 남자 소변기의 경우 수도관 직결을 사용함으로서 감지기 등으로 자동세척이 일반화 되어 있지만, 대변기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도관 직결로는 오물세척이 불가능하여 자동 대변기는 일반화 할 수 없었다.
아울러, 기존 변기(일부 급수구경 1인치 세정밸브형 변기는 제외)는 필수적으로 수조기능을 갖추어야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한계와 수조로 인해 변기 크기를 줄일 수 없어 공간적인 제약도 있다. 또한, 수조와 좌대를 일체형으로 도기로 제작(일명 "원피스형 변기)할 때 불량률이 많아 생산수율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도기 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아울러, 수조내부에 설치된 급배수관의 불량 등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사용자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워 상하수도 비용 청구서를 보고서야 인지할 경우도 있다. 또한, 공동 화장실이나 사무빌딩 등 공공의 장소에 사용하는 일명 플래쉬 변기의 경우는 수조가 없기 때문에 수도관 직결로 사용하기 위해 일시에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반 15mm 수도관과 별도로 직경 25mm(1인치)관을 추가로 설비하여야 함으로서 막대한 설비 비용이 추가되며, 세척레바 작동시 일명 "워터함마"라는 현상으로 심한 소음이 수반됨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 제 10-1131810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가변 이중 직선관은 기존의 급수유로와 보울 림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수도 직수공급 시 보울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가변 직선관이 하향되어 오수 배출은 가능하나 수도압력이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와 보울 림 내부의 수로에서 급격히 떨어져 결과적으로 수도압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보울 내부 오수 세척에 문제가 있고, 오수 배출 시 가변 직선관의 하향 지연 시간조절이 어려워 일부 오수의 역류가 가끔 발생한다.
아울러, 특허 제 10-1131810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가변 이중 직선관은 오수 배출을 위한 가변 이중 직선관의 하향시 까지 직수를 보울에 공급해야 하고 공급된 직수는 곧바로 보울에 저장된 오수와 혼합되어 공급된 직수 또한 오수로 변해 결과적으로 세척수가 낭비됨으로서 절수효과를 반감시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특허 제 10-1131810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가변 이중 직선관은 오수 배출관의 외주에 있는 보조탱크의 물을 오수 배출물의 일부를 사용함으로서 일정기간 후 보조탱크에 유입되는 오수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여 오수 배출관의 오동작을 유발시켜 배출 유닛을 오동작시키는 내구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변기의 공급 수로를 통해 일부 직수를 분기시켜 분기된 직수의 자중에 의해 보울의 배출구에 자바라로 연결되는 배출 유닛을 하방으로 탄성 유동시켜 순차적으로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에 탄성적으로 배출 유닛을 원위치로 할 수 있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보울에 담수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관에서 공급되는 상수압의 변화가 있어도 일정 수압 이상만 되면 안정적으로 배출 유닛을 동작 시킬 수 있어 상수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세척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관에서 공급되는 직수를 사용할 수 있어 기존 일반 변기에 필수적으로 있는 수조가 필요없어 도기 디자인의 다양화와 도기의 생산단가 절감 및 설치공간 축소와 감지기 등을 이용한 자동 세척변기 사용의 일반화에 일조할 수 있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직수 유입로(101)를 통해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0)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3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00); 상기 연결관(12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200); 상기 직수 유입로(101)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0)로의 직수 유입시 상기 직수 유입로(101)으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직수분기부(300);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공급된 직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배출홀(422)이 구비된 보조 탱크(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탱크(420)로 공급된 직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422)로 배출되는 속도에 의해 상기 주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400); 상기 연결관(12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직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양단부위에 제 1걸침홀이 형성되는 제 1걸침 부재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 2걸침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의 다수의 제 2걸침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주름관(200)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직수분기부(300)는, 상부가 상기 직수 유입로(101)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보조 탱크(420)의 상부와 연결되는 분기주름관(310)과, 상기 분기주름관(3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직수 유입로(101) 내부에 배치되는 분기수 유입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수 유입부(320)의 입구부위에는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 직수 공급시 수압에 의해 개방되고 직수 차단시 자중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의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방지판막(32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악취 방지부는, 상기 오수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이나 합성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내주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오수 배출관의 내주 타단 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으로 오수가 유동되며, 유동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부재를 개방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오수 배출관에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외형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수 배출관의 외주에 보조 탱크를 형성하여 직수 공급수로에서 일부의 직수를 보조 주름관을 통해 보조 탱크에 공급함으로써 보조 탱크의 자중에 의해 오수 배출관을 회동시켜 오수를 배출되도록 하여 배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직수가 공급되지 않을 시에는 오수 배출관이 가변되지 않아 일시적으로 많은 오수를 보울에 공급하여도 오수 배출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보울의 저장수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보울 내 오물의 부착이나 악취 등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직수의 공급량이 일정 이상만 되면 안정적인 상기 오수 배출관의 동작이 이루어져 공급수압의 변화에 따른 세척력의 저하를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수 공급수로에서 직수분기부를 통해 직수를 보조탱크로 공급하여 오수 배출관을 하향 동작함으로서 직수가 보울에 공급되기 전에 보울의 오수가 배출되어 최대한 절수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배출시 하방으로 회전되는 오수 배출관으로의 탄성력을 보조 탱크의 중량에 따라 배출시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조절할 수 있어 오수의 잔수나 역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한 세척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탱크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서 오수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오수 배출관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배출관 내에 중공의 비닐이나 얇은 고무 등을 설치하여 오수 배출 후, 악취가 양변기 몸체부의 보울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양변기와 같이 수조형 변기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보울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어 자동 세척변기의 일반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가 필요없어 양변기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고, 생산불량을 감소시켜 양변기 생산단가의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의 오수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의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의 오수배출관와 탄성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의 오수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의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의 오수배출관와 탄성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는 크게 양변기 몸체부(100)와, 주름관(200)과, 직수분기부(300)와, 오수 배출관(400) 및 탄성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양변기 몸체부 (100)
본 발명에 따르는 양변기 몸체부(100)는 화장실의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는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로(101)를 통해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0)이 형성된다. 상기 보울(110)로는 상기 직수 유입구(111)를 통해 직수가 공급되어 보울(110)의 세척이 되게 된다. 지수밸브(미도시됨)를 통해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 직수가 유입되어 보울(110)의 세척에 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는 상기 보울(110)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20)이 구비된다.
또,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는 상기 보울(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3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0)가 구비된다.
주름관 (200)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200)은 상기 연결관(12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주름관(200)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120)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주름관(200)의 일단은 연결관(120)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고, 스크류 방식으로 스크류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주름관(200)은 상기 보울(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외력에 의해 방으로의 휨이 가능하다.
직수분기부 (300)
본 발명에 따른 직수분기부(300)는 상기 직수 유입로(101)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0)로의 직수 유입시 상기 직수 유입로(101)으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울(110)의 세척을 위한 보울(110)로의 직수 공급시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부터 상기 직수분기부(300)를 통해 분기된 일부의 직수가 후술할 오수 배출관(400)의 보조 탱크(420)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되어 보조 탱크(420)의 자중에 의해 오수 배출관(400)을 회동시켜 오수 배출관(400)을 통한 오수배출에 관여하게 된다.
상기 직수분기부(300)는, 분기주름관(310)과, 분기수 유입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기주름관(310)은, 상부가 상기 직수 유입로(101)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보조 탱크(420)의 상부와 연결된다.
상기 분기수 유입부(320)는 상기 분기주름관(3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직수 유입로(101) 내부에 배치되어 직수의 일부가 분기된 분기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유입된 분기수는 상기 분기주름관(310)을 통해 후술할 오수 배출관(400)의 보조 탱크(420)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보울(110)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기수 유입부(320)의 입구부위에는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 직수 공급시 수압에 의해 개방되고 직수 차단시 자중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의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방지판막(321)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방지판막(321)을 구비하게 되면 직수 차단시에 자중에 의해 폐쇄되게 되므로 악취가 직수 유입로(101)를 통해 보울(110)로 유입되어 화장실 내부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오수배출관 (40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직수분기부(300)를 통해 유입되는 직수가 보조 탱크(420)에 저장되면, 오수 배출관(400)에 하중이 발생하여 오수 배출관(400)이 하향함으로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를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설치되는 보조 탱크(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 배출관(410)는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 탱크(420)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며, 하부에 저장된 직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배출홀(422)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탱크(420)는 보울(110)의 세척을 위한 보울(110)로의 직수 공급시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공급되어 저장되어 저장된 직수의 자중에 의해 오수배출관(400)을 회동시켜 상기 주름관(200)과 연결된 상기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탱크(420)는,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탱크(420)로 공급된 직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422)로 배출되는 속도에 의해 상기 주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탱크(420)의 상부에는 상기 직수분기부(300)의 분기주름관(310)과 연결되는 연결부(421)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탱크(420)의 하부 외곽부위에는 저장된 직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배출홀(422)이 구비된다.
상기 구성을 참조 하면,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 오수 배출관(400)은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직수분기부(300)로 직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오수 배출관(400)은 회동(동작)되지 않기 때문에 보울(110)은 안정적인 저수량을 유지하게 되어 보울(110) 내부의 오물 부착이나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용변 후 지수밸브, 레버 등을 동작시켜 직수가 직수 유입로(101)로 공급되게 되면 직수 유입로(101)로부터 직수분기부(300)에 의해 일부의 직수가 분기되어 오수 배출관(400)의 보조 탱크(420)로 저장되게 된다.
도 2 및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오수 배출관(400)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도 4 및 도 5의 상태가 되게 된다. 오수 배출관(400)이 회동된 상태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주 배출관(410)이 수평을 이루어 보울(110)로부터 오수의 배출이 가능한 상태이다.
오수 배출관(400)의 보조 탱크(420)로 저장된 직수는 이 직수의 중량으로 인해 주 배출관(410)을 하향 회동시키는 동력이 되고 배출시간을 지연시켜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오수 배출관(400)이 하향 회동되게 되면 보울(110)에 저장된 오수가 주름관(200)을 거쳐 오수 배출관(400)의 주 배출관(4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보조 탱크(420)로 분기되어 저장된 직수는 상기 보조 배출홀(422)을 통해 하방으로 서서히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아울러, 직수 유입로(101)를 거쳐 직수 유입구(111)를 통해 보울(110)로 직수가 유입되면서 보울(110)을 세척하게 되며 세척된 오수도 주름관(200)을 거쳐 오수 배출관(400)의 주 배출관(4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직수 유입로(101)를 거쳐 직수 유입구(111)를 통해 보울(110)로 직수가 유입되는 것은 상기 직수분기부(300)에 의해 분기되는 직수보다 약간 늦게 되므로, 오수 배출관(400)의 오수배출을 위한 회동보다 약간 느리거나 거의 동시에 보울(110)로 직수가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오수 배출관(400)을 통한 오수 배출시점보다 약간 느리거나 거의 동시에 보울(110)로 직수가 공급되게 되면 보울(110)로 공급되는 직수가 오수와 혼합되지 않고 보울(110)을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보울(110)로 공급되는 직수는 보울(110)의 세척에만 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울(110)로 공급되는 직수는 보울(110)의 세척에만 관여하게 되므로, 보울(110)로 공급되는 직수가 보울(110)에 저장된 오수와 혼합되어 차오르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 보울(110)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절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보조 탱크(420)로 분기되어 저장된 직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422)을 통해 일정량 배출되면 탄성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오수 배출관(40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 2 및 도 3의 상태가 되게 된다. 오수 배출관(400)의 보조 탱크(420)로부터 보조 배출홀(422)을 통해 배출되는 직수가 완전히 배출되기 전까지는 오수 배출관(400)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주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오수의 잔량 없이 완전히 배출하여 세척의 효율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주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의 조절은 상기 보조 탱크(420)로 공급된 직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422)을 통해 배출되는 속도를 크게 하느냐 적게 하느냐에 관계되며, 결국 상기 보조 배출홀(422)의 크기를 작게 하느냐 크게 하느냐에 달려 있게 된다.
보조 탱크(420)의 후단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422)의 홀면적을 가변조절하여 주 배출관(410)의 오수 배출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오수 배출관(40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보울(110) 내의 세척수의 배출이 방지되게 된다. 이때, 오수 배출관(400)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시점은 직수가 직수 유입로(101)로 공급되는 끝무렵으로 되며, 직수가 직수 유입로(101)로 공급되는 끝무렵에는 직수가 보울(110)로만 공급되어 보울(110) 내부에 직수가 절반정도 차 있는 상태가 되게 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의 오수배출관와 탄성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탄성부 (500)
도 6과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2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직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보조 탱크(420)로 공급되어 저장된 직수의 자중은 상기 탄성부(500)의 탄성력보다 크도록 하여, 보조 탱크(420)에 저장된 직수의 자중에 의해 오수 배출관(400)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20)과 상기 주름관(200)을 연결하는 연결부(115)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양단부위에 제 1걸침홀(511)이 형성되는 제 1걸침 부재(510)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 2걸침홀(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의 다수의 제 2걸침홀(52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5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제 1걸침홀(511)은,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양단부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 1걸침홀(511)과 상기 제 2걸침홀(521)이 다수개로 구비되는 이유는 탄성 부재(5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주 배출관(410)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120)과 상기 주름관(200)을 연결하는 연결부(115)는 연결관(120)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부(115a)와 주름관(200)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부(115b)로 이루어져 제 1 연결부(115a)와 제 2 연결부(115b)를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악취 방지부 (60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악취 방지부(600)는 상기 오수 배출관(4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된다.
상기 악취 방지부(600)는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이나 얇은 고무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610)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는 중공을 이루고 유연성을 갖는 비닐이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의 일단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주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의 방식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의 타단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주 타단 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의 타단은 오수 배출관(400)의 내부에서 고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울(110)에 저장되는 오수가 연결관(120)을 통해, 주름관(200)으로 유동되면, 유동되는 오수는 악취 방지 부재(61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악취 방지 부재(610)의 둘레는 오수 배출관의 외주 보다 크기 때문에 오수 배출관(40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수 배출관(400)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의 타단은 오수 배출관(400)에 밀착되도록 외형이 가변된다.
즉,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 악취 방지 부재(610)의 타단은 오수 배출관(400)과 밀착되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악취 방지 부재(610)의 타단은 어느 정도 폐쇄 상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오수가 배출되는 측으로부터의 악취는 보울(11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양변기 몸체부 200: 주름관 300: 직수분기부
310: 분기주름관 320: 분기수 유입부 321: 악취방지판막
400: 오수 배출관 410: 주 배출관 420: 보조 탱크
500: 탄성부 600: 악취 방지부

Claims (6)

  1.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직수 유입로(101)를 통해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0)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3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00);
    상기 연결관(12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200);
    상기 직수 유입로(101)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0)로의 직수 유입시 상기 직수 유입로(101)으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직수분기부(300);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공급된 직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배출홀(422)이 구비된 보조 탱크(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수분기부(30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탱크(420)로 공급된 직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422)로 배출되는 속도에 의해 상기 주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400);
    상기 연결관(12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직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관(120)과 상기 주름관(200)을 연결하는 연결부(115)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양단부위에 제 1걸침홀(511)이 형성되는 제 1걸침 부재(510)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 2걸침홀(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의 다수의 제 2걸침홀(52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5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200) 또는 오수 배출관(400)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분기부(300)는,
    상부가 상기 직수 유입로(101)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보조 탱크(420)의 상부와 연결되는 분기주름관(310)과,
    상기 분기주름관(3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직수 유입로(101) 내부에 배치되는 분기수 유입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수 유입부(320)의 입구부위에는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 직수 공급시 수압에 의해 개방되고 직수 차단시 자중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직수 유입로(101)로의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방지판막(32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방지부(600)는,
    상기 오수 배출관(400) 내부에 설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이나 합성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610)를 포함하되,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의 일단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주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악취 방지 부재(620)의 타단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주 타단 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400)으로 오수가 유동되며, 유동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부재(610)를 개방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400)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610)의 타단은 오수 배출관(400)에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외형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20170077713A 2017-06-20 2017-06-20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186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713A KR101860834B1 (ko) 2017-06-20 2017-06-20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PCT/KR2018/005085 WO2018236043A1 (ko) 2017-06-20 2018-05-02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EP18820371.5A EP3643844B1 (en) 2017-06-20 2018-05-02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CN201880041236.6A CN110914504A (zh) 2017-06-20 2018-05-02 可变式节水坐便器的污水排出装置
US16/624,975 US20200141106A1 (en) 2017-06-20 2018-05-02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JP2019571422A JP7012753B2 (ja) 2017-06-20 2018-05-02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ES18820371T ES2908735T3 (es) 2017-06-20 2018-05-02 Dispositivo de descarga de aguas residuales de inodoro de ahorro de agua vari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713A KR101860834B1 (ko) 2017-06-20 2017-06-20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834B1 true KR101860834B1 (ko) 2018-05-25

Family

ID=6229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713A KR101860834B1 (ko) 2017-06-20 2017-06-20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41106A1 (ko)
EP (1) EP3643844B1 (ko)
JP (1) JP7012753B2 (ko)
KR (1) KR101860834B1 (ko)
CN (1) CN110914504A (ko)
ES (1) ES2908735T3 (ko)
WO (1) WO201823604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230B1 (ko) * 2019-05-15 2020-07-13 (주)여명테크 초절수 양변기
KR102162939B1 (ko) * 2020-02-20 2020-10-07 주식회사 와와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KR20210059288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와와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20210059291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와와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20210073729A (ko) * 2019-12-11 2021-06-21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2309442B1 (ko) * 2020-11-17 2021-10-06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직수양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6776A1 (de) 2021-03-11 2022-09-14 Geberit International AG Sanitärartikelanord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24B1 (ko) 2014-03-13 2014-09-26 (주)여명테크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453013B1 (ko) 2014-07-21 2014-11-26 (주)여명테크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638427B1 (ko) 2015-12-30 2016-07-12 (주)여명테크 초절수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ko)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KR100776045B1 (ko) * 2006-12-29 2007-11-16 이영호 양변기의 분뇨배출장치
KR20100006594U (ko) * 2008-12-19 2010-06-29 이재모 절수형 급속배수수단을 갖는 양변기
CN201835357U (zh) * 2010-09-21 2011-05-18 吴先林 环保节水坐便器
KR101016248B1 (ko) * 2010-09-29 2011-02-25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KR101131810B1 (ko) 2010-12-14 2012-03-30 이종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CN202644693U (zh) * 2012-05-14 2013-01-02 义源(上海)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节水座便器
KR101371586B1 (ko) * 2013-11-19 2014-03-24 정호기업 주식회사 중간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CN205242564U (zh) * 2015-11-10 2016-05-18 宁波新卫界高科洁具有限公司 节水坐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24B1 (ko) 2014-03-13 2014-09-26 (주)여명테크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453013B1 (ko) 2014-07-21 2014-11-26 (주)여명테크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638427B1 (ko) 2015-12-30 2016-07-12 (주)여명테크 초절수 양변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230B1 (ko) * 2019-05-15 2020-07-13 (주)여명테크 초절수 양변기
WO2020231212A1 (ko) * 2019-05-15 2020-11-19 (주)여명테크 초절수 양변기
KR20210059288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와와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20210059291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와와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102309439B1 (ko) * 2019-11-15 2021-10-06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102309445B1 (ko) * 2019-11-15 2021-10-06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20210073729A (ko) * 2019-12-11 2021-06-21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2278315B1 (ko) * 2019-12-11 2021-07-1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2162939B1 (ko) * 2020-02-20 2020-10-07 주식회사 와와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KR102309442B1 (ko) * 2020-11-17 2021-10-06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직수양변기
WO2022108182A1 (ko) * 2020-11-17 2022-05-27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직수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3844A4 (en) 2021-03-10
EP3643844A1 (en) 2020-04-29
JP2020524235A (ja) 2020-08-13
EP3643844B1 (en) 2021-12-15
WO2018236043A1 (ko) 2018-12-27
CN110914504A (zh) 2020-03-24
JP7012753B2 (ja) 2022-01-28
ES2908735T3 (es) 2022-05-03
US20200141106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834B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1638427B1 (ko) 초절수 양변기
CN104988973B (zh) 节水马桶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JP6540937B2 (ja) 小便器
KR101860833B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0798661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102162939B1 (ko)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KR20170106528A (ko) 절수 양변기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1453013B1 (ko)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442624B1 (ko)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2309442B1 (ko) 직수양변기
KR20220005373A (ko) 초절수 양변기
CN207727649U (zh) 一种卫生间用节水设备
KR101198900B1 (ko) 비데의 제어방법 및 워터햄머 방지방법
KR102133230B1 (ko) 초절수 양변기
JP2001173072A (ja) 便器内部の導水路の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サイホン式便器
KR20140075235A (ko)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