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3695A -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3695A
KR20060123695A KR1020060112914A KR20060112914A KR20060123695A KR 20060123695 A KR20060123695 A KR 20060123695A KR 1020060112914 A KR1020060112914 A KR 1020060112914A KR 20060112914 A KR20060112914 A KR 20060112914A KR 20060123695 A KR20060123695 A KR 2006012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toilet
toilet stool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이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filed Critical 이길수
Priority to KR102006011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3695A/ko
Publication of KR2006012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를 사용 후 저장수의 배출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저장수가 양변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통상 저수조내의 오물을 밀어내는 물과 저수조내의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이때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 즉, 세척수를 조름 늦게 나오게 하여 물을 아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양변기, 저수조, 세척수, 급수관, 직수, 차단벽

Description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The construction of toilet stool for sav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양변기 구성도.
도 3은 기존 양변기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릴 때 저수조내의 물의높이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기존 양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릴 때 저수조내의 물의높이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개폐레바 11:볼탑
12:저수탱크 13:저장수
14:세척수 15:직수 차단밸브
16:저수탱크로 유입되는 관 18:차단벽
19:대기상태의 수위(물의 양)
20:본 발명의 세척수(14)가 나올 때의 수위
21:세척수유입공
22:고무마개 23:저장수유입공
24:기존변기의 세척수(14)가 나올 때의 수위
26:저장수유입구 27:저수조
양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리면 통상의 경우 도3과 같이 양변기 내부에는 오물을 배출시키는 물과 저수조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두 가지 물이 동시에 저수조내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도5와 같이 오물의 양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세척수가 저수조 안쪽 벽으로 유입 될 때 오물을 밀어내는 물보다 조금 늦게 도착하여 변기내의 오물과 세척수가 섞이지 않고 상기 오물을 배출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물을 배출시 기존의 양변기와 비교하면 현저히 소리가 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변기의 저수조 전면측과 상측이 일체로 연결된 세척수 유출로와, 상기 세척수 유출로 상측에 저장수를 모아두기 위한 저수탱크가 있고, 상기 저수탱크에 있는 개폐레버와, 상기 개폐레바 를 누르면 저장수 유입구를 통해 저수조내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저장수는 양변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저수조내의 오물을 오물배출구 쪽으로 밀어내는 물과 저수조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로 나누어지는데, 이때 도1과 같이 차단벽(18)을 두어 저수조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이 오물을 밀어내는 물보다 조금 늦게 나올 수 있게 하여 양변기내의 오물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목적이 있다.
상기 차단벽(18)을 두는 이유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게 위하여 도면으로 알아보면, 도3은 기존의 양변기로서 개폐레바(10)를 누르면 고무마개(22)가 열려 저장수 유입구(26)를 통해 양변기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저수조내의 오물을 밀어내는 물(라)과 저수조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마)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상기 물은 저수조 내에 동시에 도착하게 된다.
따라서 도5와 같이 대기상태의 수위(19)의 물과 세척수(14)가 더해져서 대기상태의 물보다 많은 물(24)이 만들어진다.
그 이유는 대기상태의 물(19)이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양변기내의 오물을 밀어주는 물이 오물 배출구 쪽으로 밀어낼 때 조금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양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리면 도5와 같이 물이 순간적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수위가 높아 졌다가 배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2와 같이 물을 내릴 때 세척수가 조금 늦게 나올 수 있게 차단벽(18)을 두어 세척수(14)가 나오는 통로를 길게 하였습니다.
따라서 도4와 같이 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리면, (가)부분으로 흐르는 물이 (나)부분으로 흐르는 물보다 빨리 도착하여 변기내의 오물을 오물배출구(다) 쪽으 로 일부 밀어내기 시작할 때 세척수 유입공(21)을 통해 세척수(14)가 나오게 되고, 사이펀현상에 위해서 배출되고 마지막으로 변기내의 남아있는 물에 의해서 대기상태의 물이 고이게 되는 것입니다.
상기와 같이 변기내의 수위는 도4와 같이 대기상태의 수위(19)보다 낮은 물의 양(20)이 되었을 때 세척수가 나오게 되어 물이 부풀어 오르듯이 많아지는 현상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또한 세척수와 오물을 밀어내는 물이 동시에 나오는 기존의 양변기는 동시에 두 개로 나누어지는 반면, 본 발명의 양변기는 먼저 오물을 밀어주고 세척수가 나오기 때문에 오물을 밀어주는 수압이 더 강하게 작동된다.
그리고 도3의 기존의 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면, (라)부분에 공기가 저장수에서 내려오는 물에 의해서 대기상태의 물(19)밑에 있는 저장수유입공으로 나오게 되어 물을내리는 소리가 많이 나는 반면,
본 발명의 양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리면 도 2와 같이 (가)부분에 있는 공기가 (나)부분으로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기존의 양변기에 비해 물을 내릴 때 나는 소리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따라서 기존의 양변기에 비해 본 발명의 양변기를 사용할 경우 많은 물을 절약하고 소음도 줄어들게 된다.
상기의 내용은 저수탱크(12)가 있는 양변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저수탱크가 없이 직수를 사용하여 경우에도 본 발명의 양변기가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수가 조금 늦게 나오게 하여 대기상태의 물과 섞이지 않고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물을 절약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Claims (1)

  1. 양변기에 있어서 개페레바(10)를 누르면 저장수(13)가 저수조로 내려갈 때 오물을 밀어내는 물보다 저수조 안쪽 벽을 씻어주는 세척수가 조금 늦게 나올 수 있게 차단벽(18)을 두어 대기상태의물(19)과 섞이지 않고 배출시키는 것이 특징인 물 절약형 양변기의 내부 구조
KR1020060112914A 2006-11-13 2006-11-13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KR20060123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914A KR20060123695A (ko) 2006-11-13 2006-11-13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914A KR20060123695A (ko) 2006-11-13 2006-11-13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695A true KR20060123695A (ko) 2006-12-04

Family

ID=3772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914A KR20060123695A (ko) 2006-11-13 2006-11-13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36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360A (zh) * 2016-06-14 2016-10-12 冯莉莉 三开式坐便器的改制方法
CN106013359A (zh) * 2016-06-14 2016-10-12 冯莉莉 三开式坐便器
KR102000232B1 (ko) 2018-06-04 2019-07-15 김응진 양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360A (zh) * 2016-06-14 2016-10-12 冯莉莉 三开式坐便器的改制方法
CN106013359A (zh) * 2016-06-14 2016-10-12 冯莉莉 三开式坐便器
KR102000232B1 (ko) 2018-06-04 2019-07-15 김응진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US7383594B1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KR20090096686A (ko) 수세식 대변기
CN202273300U (zh) 座便器的节水型压力冲水装置及其应用该装置的座便器
US9677261B2 (en) Quick siphon toilet
WO2022174583A1 (zh) 一种排水装置、坐便器和坐便器的冲水方法
KR20060123695A (ko)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KR101721378B1 (ko) 악취 방지와 사이펀 조기종료 기능을 구비한 변기 트랩
CN204081007U (zh) 一种易通蹲便器
CN202610931U (zh) 防止污气返流的节水便器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CN201534990U (zh) 家用厨卫节水装置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CN211571873U (zh) 一种低水箱马桶的冲洗系统
CN215759406U (zh) 一种抽水马桶
WO2014194738A1 (zh) 一种清洁马桶水箱
JP3097053U (ja) 用水回収保存分段給水装置を具えたトイレタンク
CN203741967U (zh) 水气连动蹲便器
CN208266967U (zh) 一种方便洗手且可充分利用水资源的小便装置
CN220058219U (zh) 一种节水环保型厕所
KR101007055B1 (ko) 양변기 구조
CN202347619U (zh) 一种中水优先的双水源便器冲洗水箱
CN110185129B (zh) 大流量一体化排水泵站及其排水方法
CN108331111B (zh) 双封式瞬间负压强力虹吸马桶排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