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530B1 -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 Google Patents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530B1
KR102216530B1 KR1020157028077A KR20157028077A KR102216530B1 KR 102216530 B1 KR102216530 B1 KR 102216530B1 KR 1020157028077 A KR1020157028077 A KR 1020157028077A KR 20157028077 A KR20157028077 A KR 20157028077A KR 102216530 B1 KR102216530 B1 KR 10221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contact member
seat
cush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418A (ko
Inventor
로버트 제이. 맥밀런
레나토 콜자
Original Assignee
레겟 앤드 플랫 캐나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겟 앤드 플랫 캐나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레겟 앤드 플랫 캐나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700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1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공압식으로 조절가능한 시트는 시트 백 프레임 부분을 갖춘 시트와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는 탄성 쿠션을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가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블래더가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1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시트 백 프레임에 더욱 가까운 제1 위치로부터 시트 백 프레임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제2 위치로 신장시킨다. 제2 블래더가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2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시트의 탑승자로부터 멀어지게 선회시킨다.

Description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SEAT WITH PNEUMATIC HEADREST AND THIGH ADJUSTMENT}
본 발명은 탑승자의 두부와 대퇴부를 지지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쿠션을 갖춘 시트(seat)에 관한 것이다.
시트 조절가능성은 동일한 일반 시트 구성으로 매우 다양한 탑승자를 적절히 수용하기 위해 차량에서 바람직한 특징이다. 종래의 조절가능 시트는 각각의 조절가능 구성요소에 개별 기계식 액추에이터 유닛을 사용한다. 따라서, 시트의 조절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추가의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여, 중량, 복잡성, 및 비용을 추가시킨다.
공압식으로 조절가능한 시트의 일 실시예에서, 시트는 시트 백 프레임(seat back frame) 부분을 갖춘 시트 프레임(seat frame)과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는 탄성 쿠션을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가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블래더(bladder)가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source)와 유체 연통된다.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선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지지 부재가 제1 선형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블래더를 향한 탄성 쿠션의 내부 표면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고, 접촉 부재와 함께 이동한다.
공압식으로 조절가능한 시트의 일 실시예에서, 시트는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을 갖춘 시트 프레임과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쿠션 신장 부분을 포함한다. 쿠션 신장 부분은 탄성 쿠션을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가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블래더가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선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지지 부재가 제1 선형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블래더를 향한 탄성 쿠션의 내부 표면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고, 접촉 부재와 함께 이동한다.
공압식으로 조절가능한 시트의 일 실시예에서, 시트는 시트 백 프레임 부분을 갖춘 시트 프레임과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는 탄성 쿠션을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가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블래더가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1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시트 백 프레임에 더욱 가까운 제1 위치로부터 시트 백 프레임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제2 위치로 신장시킨다. 제2 블래더가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된다.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2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시트의 탑승자로부터 멀어지게 선회시킨다.
시트 백 프레임 부분과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을 구비하고, 헤드레스트가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고 탄성 헤드레스트 쿠션을 포함하며, 쿠션 신장 부분이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고 탄성 시트 쿠션을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을 조절하는 방법에서, 이러한 방법은 유체를 펌프로 가압시키는 단계, 가압 유체를 탄성 헤드레스트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제1 블래더에 분배하는 단계, 및 가압 유체를 탄성 시트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제2 블래더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제1 블래더를 팽창시켜 헤드레스트 쿠션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신장시키는 단계와 제2 블래더를 팽창시켜 시트 쿠션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신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이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의 고려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헤드 레스트와 대퇴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절가능 시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절가능 시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헤드 레스트에 근접하게 장착된 구동 조립체와 대퇴부 지지부에 근접하게 장착된 구동 조립체를 예시한, 위에 놓인 쿠션이 제거된, 도 1의 조절가능 시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헤드 레스트와 대퇴부 지지부가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도 1의 조절가능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동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제1 장착 구성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제2 장착 구성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a의 장착 구성으로 헤드 레스트에 결합된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a의 장착 구성으로 헤드 레스트에 결합된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a의 제1 장착 구성으로 헤드 레스트에 결합된 선회된 제3 위치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a의 장착 구성으로 대퇴부 지지부에 결합된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a의 장착 구성으로 대퇴부 지지부에 결합된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a의 장착 구성으로 대퇴부 지지부에 결합된 선회된 제3 위치에 있는 도 5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다른 구동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구동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9b의 장착 구성으로 헤드 레스트에 결합된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9b의 장착 구성으로 헤드 레스트에 결합된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9b의 장착 구성으로 헤드 레스트에 결합된 선회된 제3 위치에 있는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9b의 장착 구성으로 대퇴부 지지부에 결합된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9b의 장착 구성으로 대퇴부 지지부에 결합된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9b의 장착 구성으로 대퇴부 지지부에 결합된 선회된 제3 위치에 있는 도 16의 구동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은 신장 위치에 있는 다른 구동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후퇴 위치에 있는 도 26의 구동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이 그의 적용에 있어 하기의 설명에 기술되거나 하기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의 세부 사항과 구성요소의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시트(10)가 일반적으로 각각 시트 탑승자의 수평 및 수직 지지를 위한 시트 기저부(14)와 시트 백레스트(backrest)(18)를 포함한다. 위에 놓인 쿠션(26)에 의해 덮이는 프레임(22)이 시트(10)에 구조 건전성을 제공하고, 시트 백 프레임 부분(30)과 시트 기저부 프레임 부분(34)을 포함한다. 시트(10)는 본 명세서에서 차량의 객실 내의 차량 시트로 기술될 것이지만, 차량 응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10)는 추가의 안락함과 지지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절가능한 다수의 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시트 기저부(14)와 시트 백레스트(18)는 조절가능 요추 지지부(38), 천골 지지부, 상부 어깨 지지부(42), 둔부와 다리 지지부(46), 측부 볼스터(bolster)(50), 및 다른 모듈과 유사한 조절가능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조절가능 구성요소는 제1 펌프(54) 및/또는 제2 펌프(56)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압 구동장치로부터 가압 유체(예컨대, 압축 공기)의 소스(source)를 받는다.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 유체 라인(58)이 가압 유체를 조절가능 시트(10) 전반에 걸쳐 상이한 전술된 지지 및 모듈 위치에 분배한다. 제1 펌프(54)는 가압 유체를 시트 백레스트(18)의 조절가능 구성요소에 분배하고, 제2 펌프(56)는 가압 유체를 시트 기저부(14)의 조절가능 구성요소에 분배한다. 두 펌프(54, 56)의 사용은 시트 백레스트(18)를 시트 기저부(14)에 조립할 때 추가의 공압 연결부의 필요를 없앤다. 그렇게 위치된 2개의 공압 펌프(54, 56)가 시트(10)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시키고, 시트 전반에 걸쳐 위치되는 각각의 지지부 또는 모듈과 관련되는 복수의 기계식 액추에이터보다 소음이 덜하고 저렴하다. 제어 유닛(미도시)이 가압 유체를 필요한 경우 사용자 작동에 기초하여 펌프(54, 56)로부터 전송한다. 몇몇 응용에서, 단일 공압 펌프가 가압 유체를 본 명세서에 기술될 구동 조립체를 비롯한 시트(10)의 모든 조절가능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도 3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64)가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기 위해 시트 백 프레임 부분(30)에 결합되고, 탄성 헤드 쿠션(68)을 포함한다. 쿠션(68)은 추가로 후술될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100)에 의해 후퇴 상태로부터 신장 상태로 그리고 선회 위치로 그리고 그로부터 조절가능하다. 유사하게, 대퇴부 지지부(72)가 탑승자의 대퇴부를 지지하기 위해 시트 기저부 프레임 부분(34)에 결합되고, 다른 구동 조립체(100)에 의해 유사하게 조절가능한 탄성 대퇴부 쿠션(76)을 포함한다.
헤드레스트(64)에 근접하게 장착되는 제1 구동 조립체(100)는 대퇴부 지지부(72)에 근접하게 장착되는 제2 구동 조립체(100)와 유사하며, 공통 구성요소가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것으로 언급될 것이다. 시트 응용에 따라, 제2 구동 조립체는 제1 구동 조립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조립체(100)는 롤러 브라켓(112)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 핀(10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아치형 접촉 부재 또는 롤러(104)를 포함한다. 롤러(104)는 헤드 쿠션(68)(또는 대퇴부 쿠션(76))의 내부 표면과 함께 작동하고, 그의 길이를 따라 홈(114)이 형성되며, 이것의 목적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롤러 브라켓(112)은 롤러(104)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1 블래더(bladder) 맞물림 표면(116)을 포함하고, 제1 슬라이드 레일 부분(124) 및 제2 슬라이드 레일 부분(128)의 단부에서 레일(120)에 고정된다.
장착 브라켓(132)이 각각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 부분(124, 128)을 활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구멍(140)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재(136)를 포함한다. 선회 브라켓(144)이 제1 측방향 부재(136)로부터 제2 측방향 부재(136)까지 신장되고, 그것에 결합된다. 선회 브라켓(144)은 선회 바(15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중심에 위치된 관형 부분(148)을 포함하며, 이러한 관형 부분은 선회 축(156)을 한정하고, 구동 조립체(100)와 시트 프레임(22) 사이의 고정점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 9a를 참조하면, 구동 조립체(100)는 후퇴 또는 신장 위치에서 구동 조립체(100)를 탑승자를 향해 회전 편향시키도록 선회 바(152)의 각각의 단부에 배향되는 제1 클록 스프링(clock spring)(157)과 제2 클록 스프링(158)을 포함하는 제1 장착 구성으로 프레임(22)에 장착된다. 선회 브라켓(144)은 그에 결합되는 그리고 관형 부분(148)의 양측에 위치되는 제1 팽창가능 선회 블래더(160)와 제2 팽창가능 선회 블래더(164)를 포함한다. 제1 장착 구성에서, 선회 블래더(160, 164)는 구동 조립체(100)를 탑승자로부터 멀어지게 선회시키도록 팽창가능하다.
장착 브라켓(132)은 장착 브라켓(132)을 롤러 브라켓(112)의 제1 블래더 맞물림 표면(116)에 그들 사이에 위치되는 팽창가능 블래더(172)를 통해 결합시키는 제2 블래더 맞물림 표면(168)을 포함한다. 팽창가능 블래더(172)는 더욱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공압 펌프(54, 56) 중 하나에 결합되는 유체 라인(60) 중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가압 유체를 통해 팽창가능하여 구동 조립체(100)의 움직임을 구동시킨다.
스프링(176)과 같은 제1 및 제2 편향 부재가 롤러 브라켓(112) 및 장착 브라켓(132) 둘 모두에 고정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132)은 스프링(176)의 부착을 위한 제1 및 제2 플랜지(180)를 포함하지만, 정확한 장착 브라켓 부착점은 변할 수 있다. 레일(120)은 또한 슬라이드 레일 부분(124, 128) 사이의 측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지 밴드 부분(184)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밴드(188)가 지지 밴드 부분(184)과 롤러(104)의 홈(114) 사이에 결합되며, 이러한 홈은 롤러(104)의 운동 중에 지지 밴드(188)를 적소에 그리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시켜 유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도 5와 도 6은 제1 후퇴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100)를 예시한다. 후퇴 위치에서, 블래더(172)는 수축되고, 스프링(176)은 제1 블래더 맞물림 표면(116)을 제2 블래더 맞물림 표면(168)을 향해 편향시킨다. 펌프(54, 56)를 통해 가압 유체의 소스를 받을 때, 블래더(172)가 팽창하여,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브라켓(112) 상의 제1 블래더 맞물림 표면(116)과 장착 브라켓(132) 상의 제2 블래더 맞물림 표면(168)을 이격시킨다. 장착 브라켓(132)이 시트 프레임(22)에 결합되기 때문에, 팽창하는 블래더(172)로부터의 힘은 롤러 브라켓(112)과 롤러(104)를 장착 브라켓(132)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며, 이때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 부분(124, 128)이 제1 및 제2 측방향 부재(136)의 구멍(140)을 통해 상향으로 병진한다.
블래더(172)가 팽창함에 따라, 롤러 브라켓(112)과 롤러(104)가 장착 브라켓(132)으로부터 멀어지게 신장된다. 쿠션(68)(또는 76) 내에서 롤러 브라켓(112)과 동시에 병진하는 지지 밴드(188)가 동시에 탑승자의 두부(또는 대퇴부)와 팽창하는 블래더(172) 사이에 위치되어, 쿠션에 대한 탄성 표면을 제공하고, 동시에 팽창된 블래더(172)를 탑승자 또는 다른 것에 의한 우발적인 직접적인 접촉으로부터 보호한다. 후퇴된 제1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블래더(172)가 공압 배관(60)을 통해 국소적으로 또는 다시 펌프(54, 56)로 수축되고, 코일 스프링(176)이 롤러 브라켓(112)을 다시 장착 브라켓(132)을 향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편향시킨다. 블래더 크기 또는 블래더(172)의 섹션의 개수를 변화시키는 것은 롤러(104)의 신장의 양을 변화시키며, 따라서 헤드레스트(64) 또는 대퇴부 지지부(72)의 이동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제1 선회 블래더(160)와 제2 선회 블래더(164)는 가압 유체의 소스를 받을 때 팽창가능하여 구동 조립체(100)를 선회축(156)을 중심으로 - 후퇴된 제1 위치 또는 신장된 제2 위치에서 - 선회된 제3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전에 논의된 도 9a의 장착 구성의 경우에, 선회 블래더(160, 164)는 팽창하여 구동 조립체(100)를 클록 스프링(157, 158)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시트 탑승자로부터 멀어지게 선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후퇴된 제1 위치에서 헤드 쿠션(68)에 결합된 구동 조립체(100)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블래더(172)는 수축되고, 코일 스프링(176)은 롤러 브라켓(112)을 장착 브라켓(132)을 향해 편향시킨다. 선회 블래더(160)는 팽창되어 시트 백 프레임 부분(30)의 선회 맞물림 표면(192)과 맞물려서 구동 조립체(100)를 클록 스프링(157, 158)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회전방향으로 탑승자의 두부로부터 멀어지게 유지시킨다. 도 11은 신장된 제2 위치에서 헤드 쿠션(68)에 결합된 구동 조립체(100)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블래더(172)는 팽창되어, 롤러(104)를 장착 브라켓(132)으로부터 멀어지게 가압시키고, 쿠션(68)을 편다. 롤러(104)가 신장될 때 쿠션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번지(bungee) 요소(미도시)가 프레임과 쿠션의 후방 표면(19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밴드(188)는 명확성을 위해 도 10 내지 도 12에 예시되지 않지만, 쿠션(68)에 추가의 지지를 제공한다. 도 12는 선회된 제3 위치에서 헤드 쿠션(68)에 결합된 구동 조립체(100)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선회 블래더(160)는 수축되어 클록 스프링(157, 158)이 구동 조립체(100)를 탑승자의 두부를 향해 완전히 편향시키도록 허용한다.
도 13은 후퇴된 제1 위치에서 대퇴부 쿠션(76)에 결합된 구동 조립체(100)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블래더(172)는 수축되고, 코일 스프링(176)은 롤러 브라킷(112)을 장착 브라켓(132)을 향해 편향시킨다. 선회 블래더(164)는 팽창되어 시트 기저부 프레임 부분(34)의 선회 맞물림 표면(196)과 맞물려서 구동 조립체(100)를 클록 스프링(157, 158)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그리고 회전방향으로 탑승자의 대퇴부로부터 멀어지게 유지시킨다. 도 14는 이전에 기술된 번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쿠션(76)이 펴진 상태에 있는 신장된 제2 위치에서 태퇴부 쿠션(76)에 결합된 구동 조립체(100)를 예시한다. 도 15는 선회된 제3 위치에서 대퇴부 쿠션(76)에 결합된 구동 조립체(100)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선회 블래더(164)는 수축되어 클록 스프링(157, 158)이 구동 조립체(100)를 탑승자의 대퇴부를 향해 완전히 편향시키도록 허용한다. 도 12와 도 15에 후퇴 위치로 도시되지만, 구동 조립체(100)는 또한 블래더(172)가 팽창된 신장 위치에서 스프링(157, 158)에 의해 탑승자의 두부 또는 대퇴부를 향해 편향된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한다. 구동 조립체(200)는 바(204) 형태의 기하학적 직선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200)의 특징은 구동 조립체(100)의 그것과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유사하게 식별된다. 슬라이드 레일 부분(124, 128)의 단부는 바(204)에 직접 결합되어 그와 함께 이동한다. 코일 스프링(176)도 또한 일단부에서 바(204)에 직접 결합된다. 구동 조립체(200)는 블래더(172)가 수축된 후퇴된 제1 위치에서 예시된다. 도 18과 도 19는 블래더(172)가 팽창되고 바(204)가 장착 브라켓(132)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된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하며, 이때 레일 부분(124, 128)이 측방향 부재(136)를 통해 병진된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구동 조립체(200)는 구동 조립체(200)를 중립적으로 회전 편향시키기 위해 선회 바(152)의 양단부에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제1 클록 스프링(208)과 제2 클록 스프링(212)을 갖는 제2 장착 구성으로 프레임(22)에 장착되며, 즉 구동 조립체(200)를 완전히 전방(탑승자의 두부를 향하는)도 아니고 완전히 후방도 아닌 중립 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해 스프링력이 상쇄된다. 도 9a와 도 9b가 조립체(100)로 예시되지만, 클록 스프링(157, 158) 또는 클록 스프링(208, 212) 중 어느 하나가 조립체(100 또는 200)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0은 헤드 쿠션(68)에 결합된 후퇴된 제1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블래더(172)는 수축되고, 선회 블래더(160)는 팽창되어 구동 조립체를 중립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탑승자의 두부로부터 멀어지게 선회하도록 가압시킨다. 도 21은 블래더(172)가 팽창된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한다. 쿠션(68)은 바(204)와 함께 병진하고, 직물 부분(216)이 팽창된 블래더(172)에 의해 생성되는 전방 갭을 덮는다. 도 22는 선회 블래더(164)가 팽창되고 선회 맞물림 표면(192)과 맞물려 구동 조립체(200)를 편향된 중립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탑승자의 두부를 향해 선회시킨 선회된 제3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한다.
도 23은 대퇴부 쿠션(76)에 결합된 후퇴된 제2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선회 블래더(164)가 팽창되어 선회 맞물림 표면(196)과 맞물려서 구동 조립체(200)를 중립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탑승자의 대퇴부로부터 멀어지게 선회시킨다. 도 24는 선회 블래더(164)가 계속하여 팽창된, 신장된 제2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한다. 도 25는 선회 블래더(164)가 수축되고 선회 블래더(160)가 팽창되고 선회 맞물림 표면(196)과 맞물려 구동 조립체(200)를 중립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탑승자의 대퇴부를 향해 선회시킨 선회된 제3 위치에 있는 구동 조립체(200)를 예시한다. 도 22와 도 25에 후퇴 위치로 도시되지만, 구동 조립체(200)는 또한 블래더(172)가 팽창된 신장 위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선회가능하다.
도 26과 도 2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300)를 예시한다. 구동 조립체(300)의 특징은 구동 조립체(100)의 그것과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유사하게 식별된다(선회 브라켓(144)과 선회 바(152)의 일부분이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 블래더(172)는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롤러(104)의 신장을 위해 제1 블래더 맞물림 표면(116)과 제2 블래더 맞물림 표면(168) 사이에 위치된다. 편향 스프링 대신에, 제2 블래더(304)가 브라켓(144)과 지지 밴드 부분(184) 사이에서 브라켓(144)의 저면(308)에 결합된다. 지지 밴드 부분(184)에 대한 블래더(304)의 결합은 추가의 브라켓으로 또는 블래더(304)를 부분(184)에 고정시키는 다른 수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블래더(304)는 롤러(104)를 후퇴시키도록 팽창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작동 중, 블래더(304)의 팽창시, 블래더(172)가 동시에 수축되어(공압 배관을 통해), 맞물림 표면(116)을 맞물림 표면(168)을 향해 구동시키며, 이때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 부분(124, 128)이 제1 및 제2 측방향 부재(136)의 구멍(140)을 통해 도 27의 위치로 하향으로 병진한다. 구동 조립체(300)는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장착 구성 중 어느 하나로 작동가능하고, 또한 후퇴 또는 신장 위치로부터 선회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이점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술된다.

Claims (21)

  1. 공압식으로 조절가능한 시트이며,
    시트 백 프레임 부분을 갖춘 시트 프레임;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 헤드레스트는 탄성 쿠션을 포함함 - ; 및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구동 조립체는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격된 슬라이드 레일,
    상기 한 쌍의 이격된 슬라이드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 바,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고, 한 쌍의 이격된 슬라이드 레일 사이에 결합되고, 지지 바로부터 이격된 접촉 부재,
    접촉 부재 및 한 쌍의 이격된 슬라이드 레일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블래더, -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선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접촉 부재는 블래더가 수축될 때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위해 편향됨 - 및
    탄성 쿠션의 내부 표면과 블래더 사이에 배치된 지지 부재 - 지지 부재는 제1 선형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블래더를 향한 탄성 쿠션의 내부 표면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고, 지지 부재는 지지 바와 접촉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이격된 슬라이드 레일의 선회가능한 운동이 지지 부재, 접촉 부재 및 블래더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선회시킴 - 를 포함하는
    조절가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는 탄성 쿠션을 아치형 표면과 맞물리게 하는 조절가능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는 탄성 쿠션을 직선 표면과 맞물리게 하는 조절가능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시트 백 프레임에 더욱 가까운 제1 위치로부터 시트 백 프레임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제2 위치로 신장시키는 조절가능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는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조절가능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2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선회시키는 조절가능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접촉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조절가능 시트.
  8. 공압식으로 조절가능한 시트이며,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을 갖춘 시트 프레임;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쿠션 신장 부분 - 쿠션 신장 부분은 탄성 쿠션을 포함함 - ; 및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구동 조립체는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지지 프레임,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고, 슬라이딩 지지 프레임과 함께 활주 및 선회 운동을 위해 슬라이딩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접촉 부재, 및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블래더 -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선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접촉 부재는 블래더가 수축될 때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위해 편향되고, 블래더는 슬라이딩 지지 프레임과 함께 선회 운동을 위해 슬라이딩 지지 프레임에 결합됨 - 및
    탄성 쿠션의 내부 표면과 블래더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지지 프레임과 함께 활주 및 선회 운동을 위해 슬라이딩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 지지 부재는 제1 선형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블래더를 향한 탄성 쿠션의 내부 표면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조절가능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는 탄성 쿠션을 아치형 표면과 맞물리게 하는 조절가능 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는 탄성 쿠션을 직선 표면과 맞물리게 하는 조절가능 시트.
  11. 제8항에 있어서,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에 더욱 가까운 제1 위치로부터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제2 위치로 신장시키는 조절가능 시트.
  12. 제8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는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조절가능 시트.
  13. 제8항에 있어서,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2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선회시키는 조절가능 시트.
  14. 제8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접촉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조절가능 시트.
  15. 공압식으로 조절가능한 시트이며,
    시트 백 프레임 부분을 갖춘 시트 프레임;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 헤드레스트는 탄성 쿠션을 포함함 - ; 및
    시트 백 프레임 부분에 선회식으로 결합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구동 조립체는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접촉 부재,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1 블래더 -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1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선형 방향으로 신장시킴 -, 및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2 블래더 -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2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선회시키고, 접촉 부재가 제2 블래더에 의해 선회될 때 제1 블래더가 접촉 부재와 함께 선회하도록 제1 블래더가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됨 - 를 포함하는 조절가능 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가압 유체의 소스는 공압 펌프인 조절가능 시트.
  17. 제15항에 있어서,
    구동 조립체는
    접촉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 바, 및
    지지 바로부터 접촉 부재까지 신장되는 복수의 지지 밴드를 더 포함하고, 지지 밴드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조절가능 시트.
  18. 제15항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접촉 부재를 편향시키는 편향 요소를 더 포함하는 조절가능 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편향 요소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인 조절가능 시트.
  20. 제15항에 있어서,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3 블래더를 더 포함하고,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3 블래더의 팽창이 접촉 부재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조절가능 시트.
  21. 제15항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의 시트 쿠션 프레임 부분에 결합되는 쿠션 신장 부분 - 쿠션 신장 부분은 제2 탄성 쿠션을 포함함 - ; 및
    제2 구동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2 구동 조립체는
    제2 탄성 쿠션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는 제2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 유체의 소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3 블래더를 포함하며, 가압 유체의 소스를 통한 제3 블래더의 팽창이 제2 접촉 부재를 제5 위치로부터 제6 위치로 신장시키는 조절가능 시트.
KR1020157028077A 2013-03-14 2014-03-07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KR10221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3827A KR102321165B1 (ko) 2013-03-14 2014-03-07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31,017 US9090185B2 (en) 2013-03-14 2013-03-14 Seat with pneumatic headrest and thigh adjustment
US13/831,017 2013-03-14
PCT/CA2014/000185 WO2014138865A1 (en) 2013-03-14 2014-03-07 Seat with pneumatic headrest and thigh adjustm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827A Division KR102321165B1 (ko) 2013-03-14 2014-03-07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418A KR20150130418A (ko) 2015-11-23
KR102216530B1 true KR102216530B1 (ko) 2021-02-16

Family

ID=515243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827A KR102321165B1 (ko) 2013-03-14 2014-03-07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KR1020157028077A KR102216530B1 (ko) 2013-03-14 2014-03-07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827A KR102321165B1 (ko) 2013-03-14 2014-03-07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090185B2 (ko)
KR (2) KR102321165B1 (ko)
CN (2) CN108909559B (ko)
WO (1) WO2014138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KR101396203B1 (ko) * 2013-03-13 2014-05-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에어 쿠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US9315131B2 (en)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EP2944509B1 (de) * 2014-05-14 2017-12-20 Lantal Textiles AG Fahrzeugsitz mit bewegbarer Lehne
US9688170B2 (en) * 2014-06-13 2017-06-27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tiltable front cushion module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9340131B1 (en) * 2014-11-06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 restraint with a multi-cell bladder assembly
US9707877B2 (en) * 2015-01-20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thigh extension and support trim carrier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JP2017113251A (ja) * 2015-12-24 2017-06-29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CH712316A1 (de) * 2016-04-04 2017-10-13 Lantal Textiles Ag Fahrzeugsitz mit mindestens einem pneumatischen Kissen.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925901B2 (en) 2016-04-06 2018-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component spring system for dynamic thigh and cushion support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10363852B2 (en) 2016-09-15 2019-07-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vehicle seat
DE102016219765A1 (de) * 2016-10-11 2018-04-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opfstützenanordnung mit verschieblichem Betätigungselement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358065B2 (en) 2016-12-23 2019-07-23 Leggett & Platt Canada Co. Pneumatic four way lumbar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US11820267B2 (en) * 2019-06-11 2023-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US11021090B2 (en) * 2019-09-27 2021-06-01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with leg support
US11059407B2 (en) 2019-10-22 2021-07-1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Cushion length adjuster
US20220381238A1 (en) * 2019-11-01 2022-12-01 Leggett & Platt Canada Co. Pump noise attenuator and method thereof
US11130432B2 (en) 2019-12-10 2021-09-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thigh tilt
US11027635B1 (en) 2019-12-10 2021-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pper thoracic support for vehicle seating assembly
GB202006178D0 (en) * 2020-04-27 2020-06-10 Ipeco Holdings Ltd Seat apparatus
WO2024026130A1 (en) * 2022-07-29 2024-02-01 Lear Corporation Multi-way lumbar sup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7027A (en) 1986-02-28 1987-11-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Pneumatically cushioned vehicle seat(s) and apparatus and method to adjust the same
US4720146A (en) * 1986-08-28 1988-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eat headrest apparatus and method
US5082326A (en) * 1989-04-28 1992-01-21 Okamoto Industries, Inc. Vehicle seat with automatic adjustment mechanisms utilizing inflatable air bags
US5529377A (en) 1993-06-25 1996-06-25 Mccord Winn Texton Air cell module for automotive seat
US6098000A (en) 1994-06-24 2000-08-01 Mccord Winn Textron Inc. Interactive, individually controlled, multiple bladder seating comfor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DE19548339C2 (de) * 1995-12-22 1998-05-28 Daimler Benz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9938698A1 (de) 1999-08-14 2001-02-15 Volkswagen Ag Fahrzeugsitz
US6203105B1 (en) 1999-08-20 2001-03-20 Mccord Winn Textron Inc. Vehicle impact responsive multiple bladder seating and headrest system and method
DE10127633C1 (de) * 2001-06-07 2002-09-12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raftfahrzeugsitz
US7048337B2 (en) 2003-02-14 2006-05-23 Designworks/Usa, Inc. Retractable headrest
DE10318928B4 (de) 2003-04-26 2005-06-09 Daimlerchrysler Ag Faltbalg-Kopfstütze
DE10339000B4 (de) * 2003-07-15 2007-12-13 Schukra Gerätebau AG Verstell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r Kopfstütze
US7185950B2 (en) * 2004-12-28 2007-03-06 Fisher Dynamics Corporation Head restraint system
JP4463700B2 (ja) * 2005-01-25 2010-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8632126B2 (en) * 2009-01-21 2014-01-21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8061777B2 (en) * 2009-10-30 2011-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seat-actuated head rest extension and retraction
US8456745B2 (en) * 2010-05-12 2013-06-04 Jill Weissman Compact eyepiece using an imersed field lens
DE102010060076A1 (de) * 2010-10-20 2012-04-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11112809A1 (de) 2011-09-07 2013-03-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orrichtungen zur Sitztiefenv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1694B2 (en) 2017-11-21
CN108909559B (zh) 2021-04-23
KR20210018544A (ko) 2021-02-17
CN104118343B (zh) 2018-07-03
US20150321588A1 (en) 2015-11-12
US20140265506A1 (en) 2014-09-18
WO2014138865A1 (en) 2014-09-18
US9090185B2 (en) 2015-07-28
KR102321165B1 (ko) 2021-11-02
KR20150130418A (ko) 2015-11-23
CN108909559A (zh) 2018-11-30
CN104118343A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530B1 (ko) 공압 헤드레스트 및 대퇴부 조절 장치를 갖춘 시트
JP5892138B2 (ja) ショルダサポートアジャスタ及び車両用シート
US10160358B2 (en) Seatback with collapsible internal support unit
US10045623B2 (en) Variable-sized occupant support
US9211824B2 (en) Adjustable firmness vehicle seat
CA2859919C (en) Adjustable headrest for an aircraft seat
US9102252B2 (en) Vehicle seat devices
US20160236594A1 (en) Air-suspended seat surfaces for folding vehicle seats
CN111391732B (zh) 用于车辆座椅头枕的颈托模块
US20070102983A1 (en) Foldable vehicle seat
JP5414263B2 (ja) シート装置
US10279720B2 (en) Leg support options for sleeper seats
JP6037834B2 (ja) 自動車座席の座部
WO2008072728A1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7331577B2 (ja) オットマン装置
US20240051665A1 (en) Adjustable width passenger seat
JP2020104716A (ja) 乗物用シート
JP2018140751A (ja) 乗物用シート
JP5422823B2 (ja) 椅子の背凭れ
JP2005306253A (ja) 車両用シート
JP2020059303A (ja) 車両用シート
JP2018140754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乗物用シート
JP2015067145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