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379B1 -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379B1
KR102216379B1 KR1020187032528A KR20187032528A KR102216379B1 KR 102216379 B1 KR102216379 B1 KR 102216379B1 KR 1020187032528 A KR1020187032528 A KR 1020187032528A KR 20187032528 A KR20187032528 A KR 20187032528A KR 102216379 B1 KR102216379 B1 KR 10221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ive layer
layer
earth meta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062A (ko
Inventor
웨이웨이 리
차오 민
지종 루오
송 리우
웨이 아오
Original Assignee
쿤산 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센터 씨오., 엘티디.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센터 씨오., 엘티디.,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센터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12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01L2251/303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6Multilayers, e.g. opaque multi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적층 배치되는 제1 전도층(1), 제2 전도층(2)및 제3 전도층(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층(2)은 알칼리 토금속, 알칼리 토금속합금,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의 복합 구조이며, 제3 전도층(3)의 일함수는 3eV보다 작다. 전극 중의 각 전도층은 서로 필름층 중의 흠결을 보완할 수 있어, 전극 성능이 더욱 안정적이게 한다. 동시에, 제3 전도층(3)의 일함수는 3eV보다 작아, 유기/금속 인터페이스 전위 장벽을 효과적으로 줄여, 전자 주입을 유도하며,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전극은 비교적 우수한 광투과성을 가져 광투과성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영어 전칭: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약칭: OLED)는 액티브 발광 장치이다. 기존 평판 표시 기술 중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장치(영어 전칭: Liquid Crystal Display, 약칭: LCD), 프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영어 전칭: Plasma Display Panel, 약칭: PDP)에 비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높은 콘트라스트, 넓은 시야각, 저소모, 더 얇은 체적 등의 장점을 가져, 차세대 주류 평판 표시 기술이 될 수 있으며, 현재 평판 표시 기술 중 가장 각광 받는 하나의 기술이다.
OLED소자는 주로 적층 배치된 양극, 유기 발광층 및 음극을 포함한다. 전자의 주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OLED음극은 일함수가 가능한 낮은 금속소재를 선택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전자의 주입이 정공의 주입보다 난이고가 높아 금속 일함수의 크기가 OLED 소자의 발광 효율 및 사용 수명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금속 일함수가 낮을 수록 전자 주입이 더 용이하고, 발광 효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 외, 일함수가 낮을 수록 유기/금속 인터페이스 전위 장벽이 더 낮아, 작동 중에서 발생하는 줄열이 더 적고, 소자 수명이 비교적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저 일함수의 단층 금속 음극, 예를 들어 Mg, Ca 등은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소자가 불안정하게 되고, 사용 수명이 단축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및 내부식 금속의 합금을 음극으로 하여 이러한 문제를 피한다. 단일 금속 음극 박막을 증착할 경우, 대량의 형상 흠결 또는 구조 흠결이 형성될 수 있어, 내산화성이 떨어지게 되고, 합금 음극을 증착할 경우, 소량의 화학성 물질이 활발한 금속에 비해 먼저 흠결 중에 확산되어, 전체 음극층이 더욱 안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음극 구조를 개발하는 것은 OLED 산업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관건적인 하나의 기술이다.
이에, 성능이 우수한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기재된 전극에 있어서, 적층 배치되는 제1 전도층, 제2 전도층 및 제3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층은 알칼리 토금속, 알칼리 토금속 합금,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의 복합 구조이며, 상기 제1 전도층 및 상기 제2 전도층의 광투과율은 모두 40% 이상이고, 상기 제3 전도층의 일함수는 3eV보다 작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전도층은 희토류금속, 희토류금속 합금, 희토류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의 복합 구조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희토류금속은 란타나이드 금속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란타나이드 금속은 이테르븀 및/또는 사마륨이다.
삭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전도층은 은층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전도층의 두께는 5nm~20nm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2 전도층의 두께는 0.5nm~10nm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2 전도층의 두께는 0.5nm~2nm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전도층의 두께는 0.5nm~10nm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적층 배치된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술한 전극이며, 상기 제3 전도층은 상기 유기 발광층에 접근하여 배치된다.
기존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상술한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극에 있어서, 적층 배치되는 제1 전도층, 제2 전도층 및 제3 전도층을 포함하고, 제1 전도층과 제2 전도층의 광투과율은 모두 40% 이상이며, 제3 전도층의 일함수는 3eV보다 작다. 전극 중의 각 전도층은 서로 필름층 중의 흠결을 보완할 수 있어, 전극 성능이 더욱 안정적이게 한다. 동시에, 제3 전도층의 일함수는 3eV 보다 작아, 유기/금속 인터페이스 전위 장벽을 효과적으로 줄여, 전자 주입을 유도하며,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 전도층 및 제2 전도층의 광투과율 모두 40% 이상이기에, 상기 전극은 비교적 우수한 광투과성을 가져 광투과성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극에 있어서, 제3 전도층은 희토류금속층, 희토류금속 합금층, 희토류금속 화합물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이다. 여기서, 희토류금속은 비교적 낮은 일함수를 가질뿐만 아니라, 전자 주입 에너지 장벽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어, 나아가서 소자의 구동 전압을 낮추고, 또한 비교적 낮은 흡광율을 가져 소자에 대한 출광효율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낮다.
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극에 있어서, 제2 전도층은 제3 전도층 및 제1 전도층의 재료가 고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이를 응용한 소자의 안정선과 사용수명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다. 동시에, 제2 전도층의 두께는 0.5nm~10nm이고, 광투과성이 우수하여 상기 전극이 비교적 우수한 광투과성을 가지게 하여 광투과성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용이하고 더욱 명백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2의 광투과율의 비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2의 반사율 비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도록 하고, 또한 본 발명의 구상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충분히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특허 청구범위에만 의해 한정되고,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더욱 분명하게 하기 위해 층 및 구역의 치수 및 상대 치수를 과장되게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배치되는 제1 전도층(1) 및 제2 전도층(2)을 포함한다. 제1 전도층(1)은 Ag층이고, 두께는 16nm이며, 제2 전도층(2)은 Mg층이고, 두께는 1nm이며, 제3 전도층(3)은 Yb층이고, 두께는 1nm이다.
본 실시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Ag/ITO(20nm)/HATCN(20nm)/NPB(40nm)/mCBP:3wt%Ir(piq)3(30nm)/TPBi(50nm)/Yb(1nm)/Mg(1nm)/Ag(16nm)/ITO(20nm)이다.
여기서, 제1 전극은 적층 배치되는 Ag층 및 ITO층이고,
정공 주입층은 HATCN(1,4,5,8,9,12-Hexaaza-triphenylene-2,3,6,7,10,11-hexacarbonitrile)층이며,
정공 수송층은 NPB(4,4'-bis[N-(1-naphtyl)-N-phenylamino]-biphenyl)층이고,
발광층은 Ir(piq)3(Tris[1-phenylisoquinolinato-C2,N]iridium(III))과 CBP(4,4'-N,N'-dicarbazolylbiphenyl)의 도핑층이며,
정공 차단층은 TPBi(1,3,5-tris(N-phenylbenzimidazol-2,yl)benzene)층이고,
제2 전극은 상기 전극이며,
광결합층은 ITO(인듐 주석 산화물)층이다.
본 발명의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기재된 전극을 응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으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3 전도층은 Yb2O3층이고, 두께는 1nm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극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전극은 Ag/ITO(20nm)/HATCN(20nm)/NPB(40nm)/mCBP:3wt%Ir(piq)3(30nm)/TPBi(50nm)/Yb2O3(1nm)/Mg(1nm)/Ag(16nm)/ITO(20nm)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도층은 Mg, Ag합금층이고, 의 두께는 2nm이며, 제1 전도층의 두께는 5nm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다른 점은 제2 전극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3 전도층 Sm, Ca합금층이고, Sm의 질량 백분율은 50%이며, 두께는 0.5nm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다른 점은 제2 전극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3 전도층YbN층이며, 제2 전도층은 MgCO3층이고, 두께는 1nm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극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1 전도층의 두께는 20nm이고, 제2 전도층의 두께는 0.5nm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다른 점은 제2 전극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다른 점은 제2 전도층의 두께는 10nm이고, 제3 전도층의 두께는 10nm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극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다른 점은 제2 전도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비교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극은 본 비교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3 전도층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전도층은 Mg, Ag합금층이며, 두께는 2nm이다.
본 비교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극은 본 비교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3 전도층은 Ag층이다.
본 비교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극은 본 비교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비교예 4
본 비교예에서 전극을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다른 점은 제2 전도층의 두께는 20nm이다.
본 비교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더 제공하고,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며, 차이점은 제2 전극은 본 비교예에 기재된 전극이다.
테스트예 1
상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공한 전극에 대해 광투과율, 반사율을 측정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가시광 범위 내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공한 전극의 광투과율은 모두 30% 이상이고, 심지어 60%에 달하나, 비교예 2에서 제공한 전극의 광투과율은 모두 30%보다 작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2의 다른 음극 구조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비교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빛의 광투과율은 40%를 초과하고, 비교예 2의 광투과율에 비해 25% 높은바 OLED소자의 출광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빛의 반사율은 비교예 2에 비해 42% 높고, 광투과율 및 반사율의 향상은 출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켰다.
테스트예 2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장시간의 작동 조건 하에서, 유기 필름은 원래의 비결정성 필름에서 결정성 필름으로 변할 수 있고, 이러한 필름의 변화는 소자의 감퇴를 초래한다.
따라서, 다른 온도 하에서 소자에 대해 각각 1시간의 어닐링을 진행하여, 어닐링을 거치지 않은(25℃) 소자의 T97(밝기가 10000nit에서 97%의 수명으로 감퇴) 와 함께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서로 다른 소자의 T97 측정 결과표
어닐링 온도 20℃ 80℃ 100℃ 120℃ 140℃
T97(h) T97(h) T97(h) T97(h) T97(h)
실시예 1 765 749 721 690 573
실시예 2 733 705 645 620 527
실시예 3 755 726 694 618 564
실시예 4 621 605 573 526 473
실시예 5 681 629 566 504 441
실시예 6 756 732 713 677 545
실시예 7 741 725 705 681 531
비교예 1 421 378 301 193 56
비교예 2 350 295 150 97 33
비교예 3 211 156 123 91 29
비교예 4 599 456 323 191 79
표 1의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에 기재된 전극을 소자에 응용할 경우, 소자의 수명은 비교예에서 제공한 소자의 수명보다 훨씬 길며, 고온 조건 하에서 소자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다.
테스트예 3
동적 수명 시험(50% alternating checkerboard 평가), 즉 특정 작동 환경 하에서, 표시 스크린은 크로스 보드 격식으로 점등하고, 매 10초에 한번 변환되며, 밝기 감퇴를 측정함으로써 소자 수명을 평가하는 바, 밝기가 초기 밝기의 50%로 감퇴하였을 때, 시험을 정지하고, 밝기 테스트는 광도계 Spectrascan PR655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온(25℃) 및 고온(85℃)의 동적 수명 시험 두가지로 나뉜다.
상온(25℃) 조건 하에서 서로 다른 소자의 동적 수명 시험 결과표
그룹 별 밝기
(cd/m 2 )
구동 전압
(V)
효률
(cd/A)
수명
(h)
CIE
(x, y)
실시예 1 5000 4.94 55.09 765 (0.66, 0.33)
실시예 2 5000 4.95 54.94 733 (0.66, 0.33)
실시예 3 5000 4.99 56.77 755 (0.66, 0.33)
실시예 4 5000 5.02 54.68 621 (0.66, 0.34)
실시예 5 5000 5.10 55.66 681 (0.67, 0.33)
실시예 6 5000 4.95 55.06 756 (0.67, 0.33)
실시예 7 5000 4.96 55.13 741 (0.67, 0.33)
비교예 1 5000 5.26 47.13 421 (0.66, 0.33)
비교예 2 5000 5.22 49.42 350 (0.65, 0.33)
비교예 3 5000 5.46 50.36 211 (0.66, 0.32)
비교예 4 5000 5.12 50.86 599 (0.67, 0.34)
표 2의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에 기재된 전극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응용할 경우, 소자의 발광 효율과 수명을 현저하기 향상시킬 수 있고, 구동 전압을 낮추는 동시에, 색좌표(CIE)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상기 전극은 비교적 낮은 흡광율을 가져, 소자의 발광 컬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는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든 것이고,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설명의 기초상에 기타 다른 형태의 변화 또는 변경을 진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모든 실시예에 대해 일일이 나열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파생된 자명한 변화 또는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1: 제1 전도층
2: 제2 전도층
3: 제3 전도층

Claims (10)

  1.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는 제1 전도층, 제2 전도층 및 제3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층은 은층이고, 상기 제2 전도층은 알칼리 토금속, 알칼리 토금속 합금,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의 복합 구조이며, 상기 제3 전도층의 일함수는 3eV보다 작고,
    상기 제3 전도층은 YbN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층의 두께는 5nm~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층의 두께는 0.5nm~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층의 두께는 0.5nm~2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도층의 두께는 0.5nm~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0. 적층 배치된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이고, 상기 제3 전도층은 상기 유기 발광층에 접근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187032528A 2017-01-05 2018-01-05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216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07519.6A CN108281562B (zh) 2017-01-05 2017-01-05 一种电极及应用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CN201710007519.6 2017-01-05
PCT/CN2018/071554 WO2018127128A1 (zh) 2017-01-05 2018-01-05 一种电极及应用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062A KR20180128062A (ko) 2018-11-30
KR102216379B1 true KR102216379B1 (ko) 2021-02-18

Family

ID=6278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528A KR102216379B1 (ko) 2017-01-05 2018-01-05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57872B2 (ko)
EP (1) EP3447817B1 (ko)
JP (1) JP6775723B2 (ko)
KR (1) KR102216379B1 (ko)
CN (1) CN108281562B (ko)
TW (1) TWI664085B (ko)
WO (1) WO2018127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450A (zh) * 2019-01-11 2019-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发光器件的制备方法及量子点发光器件
WO2021202950A2 (en) * 2020-04-02 2021-10-07 Drexel University Mxene transparent conducting layers for digital display and method thereof
CN111740022A (zh) * 2020-06-30 2020-10-0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92914B1 (ko) * 2020-08-24 2022-04-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발광소자용 전극 및 그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471A (ja) * 2001-08-23 2003-03-07 Sony Corp 表示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5709B1 (en) * 1996-09-04 2003-08-13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cathode
GB9903251D0 (en) * 1999-02-12 1999-04-07 Cambridge Display Tech Ltd Opto-electric devices
EP1076368A2 (en) 1999-08-11 2001-02-14 Eastman Kodak Company A surface-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US6794061B2 (en) * 2002-01-31 2004-09-21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n adhesion-promoting layer for use with a magnesium cathode
US7015639B2 (en) 2002-10-22 2006-03-2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transparent cathodes
US7270894B2 (en) 2004-06-22 2007-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al compound-metal multilayer electrode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CN1825662A (zh) * 2006-02-09 2006-08-3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电激发光装置
WO2009084590A1 (ja) 2007-12-28 2009-07-0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高分子発光素子、製造方法及び高分子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245787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339976B (zh) 2008-08-07 2010-09-08 清华大学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156429B1 (ko) * 2009-06-01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608234B1 (ko) 2010-11-09 2016-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CN104124368A (zh) * 2013-04-24 2014-10-29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700922A (zh) * 2013-12-10 2015-06-1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与电致发光器件
KR102126382B1 (ko) * 2014-02-19 2020-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20092B1 (ko) * 2014-11-06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471A (ja) * 2001-08-23 2003-03-07 Sony Corp 表示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8666A1 (en) 2019-05-16
JP6775723B2 (ja) 2020-10-28
CN108281562B (zh) 2020-06-19
WO2018127128A1 (zh) 2018-07-12
CN108281562A (zh) 2018-07-13
TWI664085B (zh) 2019-07-01
JP2019525385A (ja) 2019-09-05
TW201825281A (zh) 2018-07-16
KR20180128062A (ko) 2018-11-30
EP3447817A4 (en) 2019-08-21
EP3447817A1 (en) 2019-02-27
EP3447817B1 (en) 2023-07-19
US10957872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4925B (zh) 有機發光裝置
KR102216379B1 (ko)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7183707B2 (en) OLED device with short reduction
EP3038178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105706262A (zh) 有机电致发光元件和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
JP200821839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844004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용 투명 도전막의 제조 방법
JP2016518729A (ja) 有機elデバイス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0310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763448B2 (en) OLED device with buffer layer adjacent light emitting layer
KR102276377B1 (ko) 전극 및 그 전극을 응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8281564B (zh) 一种电极及应用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CN108281561B (zh) 一种电极及应用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948751B1 (ko) 발광다이오드
JP2005104843A (ja) 有機金属錯体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US2005022711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CN103378311A (zh) 含有量子阱结构的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20100090045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KR20120042048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