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395B1 - 급수전 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395B1
KR102215395B1 KR1020190052037A KR20190052037A KR102215395B1 KR 102215395 B1 KR102215395 B1 KR 102215395B1 KR 1020190052037 A KR1020190052037 A KR 1020190052037A KR 20190052037 A KR20190052037 A KR 20190052037A KR 102215395 B1 KR102215395 B1 KR 10221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weight
ball valve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598A (ko
Inventor
권영탁
Original Assignee
권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탁 filed Critical 권영탁
Priority to KR102019005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3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통수 방향 조절 및 물의 토출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이 한 번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급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일 회전레버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거나, 다시 중립 위치로 회전시키는 한 번의 조작만으로 물의 통수방향 조절 및 물의 개폐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급수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수전 장치{FAUCET FOR CONTROLLING WATER FLOW}
본 발명은 급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통수 방향 조절 및 물의 토출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이 한 번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급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전(수도꼭지 뭉치)은 일방향으로만 물을 토출시키는 타입과, 절환밸브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절환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상기 절환 타입의 급수전은 수도꼭지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물의 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와 연결되어 외부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개폐조작 레버와, 두 개의 방향(예를 들어, 직수 또는 샤워수)로 물을 선택 공급하기 위하여 수도꼭지 몸체부의 내부 소정 위치에 내설되는 통수방향 조절용 절환밸브와, 이 절환밸브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 조작레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 조작레버를 회전 조작하면 통수방향 조절용 절환밸브가 연동하여, 물의 통수방향이 직수 또는 샤워수 중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개폐조작 레버를 위로 젖히면, 직수 또는 샤워수 중 원하는 통수방향으로 조절된 통로를 통하여 물이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환 타입의 급수전을 사용할 때, 물의 통수방향 조절을 위한 회전 조작레버의 조작 과정과, 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개폐조작 레버의 조작 과정 등 2단계 이상의 조작 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주방이나 욕실에서 급수전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4800호(2014.1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단일 회전레버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거나, 다시 중립 위치로 회전시키는 한 번의 조작만으로 물의 통수방향 조절 및 물의 개폐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급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공급 파이프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과 제1격벽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제1물토출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공간과, 상기 제1공간과 제2격벽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제2물토출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제1격벽에 형성된 제1홀을 통하여 제2공간으로 안내하거나, 제2격벽에 형성된 제2홀을 통하여 제3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저면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직의 물 통과홀이 관통 형성된 볼 밸브; 상기 볼 밸브의 상부에 연결되며 수도쪽지 몸체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볼 밸브의 물 통과홀이 제2공간 또는 제3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볼 밸브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단일 회전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단일 회전레버의 위치를 물 토출을 차단하는 중립 위치인 제1위치와, 물이 제1물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2위치와, 물이 제2물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3위치로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도꼭지 몸체의 상면부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스프링 삽입홈에 스프링과 위치 한정용 볼이 차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단일 회전레버의 하부에는 상기 위치 한정용 볼이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위치 한정홈이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일 회전레버의 둘레부에는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수도꼭지 몸체의 상단 앞쪽에는 스토퍼가 걸리도록 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도꼭지 몸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볼 밸브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캡이 수밀 유지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가 단일 회전레버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한 번의 조작만으로 물의 토출 여부 및 물의 통수방향을 원하는 방향(예, 직수 또는 샤워수)으로 조절할 수 있고, 다시 단일 회전레버를 중립 위치로 복귀 회전 조작하면 물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한 번의 레버 조작만으로 물의 통수방향 조절 및 물의 개폐 조절을 쉽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급수전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단일 회전레버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조작할 때,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볼이 단일 회전레버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단일 회전레버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급수전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장치로서 중립 위치(물 토출 차단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장치로서, 물이 제1물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2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장치로서, 물이 제2물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3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a, 도 2a,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b 및 도 3b는 평단면도이며, 도 3c는 정단면도를 나타내며,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수도꼭지 몸체를 지시한다.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후단부에는 물 공급원(상수원)과 연결되는 물공급 파이프(130)가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샤워 헤드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제1물토출구(131)가 형성되며, 저부에는 물을 수직 낙하시키는 직수 토출용 제2물토출구(13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1격벽(110)과 제2격벽(120)이 형성되고, 제1격벽(110)과 제2격벽(120)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공간(101-103)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내부에는 물공급 파이프(13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공간(101)과, 상기 제1공간(101)과 제1격벽(110)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제1물토출구(13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공간(102)과, 상기 제1공간(101)과 제2격벽(120)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제2물토출구(132)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공간(10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일측부에는 볼 밸브(200)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캡(400)이 수밀 유지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에, 상기 캡(400)을 열어서 물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볼 밸브(200)를 수도꼭지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고, 수도꼭지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된 볼 밸브(200)는 상기 제1격벽(110)과 제2격벽(1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볼 밸브(200)는 저면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직의 물 통과홀(210)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101)으로 유입된 물을 제1격벽(110)에 형성된 제1홀(112)을 통하여 제2공간(102)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1공간(101)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격벽(120)에 형성된 제2홀(122)을 통하여 제3공간(103)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격벽(110) 및 제2격벽(120), 캡(400)의 내주면에는 볼 밸브(200)의 둘레부와 수밀 가능하게 밀착되는 테프론 씰(410)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볼 밸브(200)의 회전 작동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물이 새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밸브(200)의 상부에는 수도쪽지 몸체(10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22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2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한 단일 회전레버(300)가 연결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를 좌측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회전축(220)을 통해 볼 밸브(200)에 회전력이 인가되어 볼 밸브(200)가 좌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이 제2공간(102)을 향하도록 조절되고, 반면 사용자가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를 우측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회전축(220)을 통해 볼 밸브(200)에 회전력이 인가되어 볼 밸브(200)가 우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이 제3공간(103)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단일 회전레버(200)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때,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것을 한정하는 동시에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단일 회전레버(200)를 회전 조작할 때,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위치를 물 토출을 차단하는 중립 위치인 제1위치와, 물이 제1물토출구(131)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2위치와, 물이 제2물토출구(132)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3위치로 한정하는 동시에 제1위치 내지 제3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상면부에 스프링 삽입홈(104)이 형성되고, 스프링 삽입홈(104)에 스프링(105)과 위치 한정용 볼(106)이 차례로 삽입 장착된다.
또한,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하부에는 상기 위치 한정용 볼(106)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위치 한정홈(301,302,303)이 단일 회전레버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둘레부에는 단일 회전레버(30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되, 예를 들어 중립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로 한정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304,305)가 형성되고,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상단 앞쪽에는 스토퍼(304,305)가 걸리도록 한 걸림턱(10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급수전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장치로서 중립 위치(물 토출 차단 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지 않고, 그 중간 위치인 중립 위치에 놓이면, 물 토출이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에 중립 위치에 놓이면, 회전축(220)을 통해 연결된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의 입출구가 모두 제1공간(101)과 연통되는 상태가 되고, 제2공간(102) 및 제3공간(103)은 볼 밸브(200)에 의하여 밀폐되며 제1공간(101)과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물공급 파이프(130)에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더라도, 물공급 파이프(130)와 연통된 수도꼭지 몸체(100)의 제1공간(101)에 물이 머물게 되므로, 물 토출이 차단된다.
이때, 도 1b에서 보듯이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위치 한정홈(301,302,303) 중 중간의 제1위치 한정홈(301)에 상기 위치 한정용 볼(106)이 삽입됨으로써, 단일 회전레버(300)의 중립 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첨부한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장치로서, 물이 제1물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2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를 중립 위치에서 우측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물 토출이 수도꼭지 몸체(10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샤워 헤드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제1토출구(131)를 통하여 토출되는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를 중립 위치에서 우측으로 회전 조작시키는 동시에 회전축(220)을 통해 연결된 볼 밸브(200)가 좌측으로 90°회전되면,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의 입구가 제1공간(101)과 연통되는 동시에 물 통과홀(210)의 출구는 제2공간(102)과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물공급 파이프(130)에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물이 수도꼭지 몸체(100)의 제1공간(101)으로부터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을 통과한 후, 제2공간(102)을 경유한 다음, 제1토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도 2c에서 보듯이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위치 한정홈(301,302,303) 중 일측의 제2위치 한정홈(302)에 상기 위치 한정용 볼(106)이 삽입됨으로써, 단일 회전레버(300)의 우측 회전 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토퍼(304,305) 중 하나(304)가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상단 앞쪽에 형성된 걸림턱(107)이 걸림으로써, 단일 회전레버(300)의 우측 90°회전 각도를 한정하게 된다.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장치로서, 물이 제2물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3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물 토출이 수도꼭지 몸체(100)의 저부에 형성되어 물을 수직 낙하시키는 직수 토출용 제2물토출구(132)를 통하여 토출되는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으로 회전 조작시키는 동시에 회전축(220)을 통해 연결된 볼 밸브(200)가 좌측으로 90°회전되면,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의 입구가 제1공간(101)과 연통되는 동시에 물 통과홀(210)의 출구는 제3공간(103)과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물공급 파이프(130)에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물이 수도꼭지 몸체(100)의 제1공간(101)으로부터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을 통과한 후, 제3공간(103)을 경유한 다음, 제2토출구(133)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볼 밸브(200)의 장착 및 교체를 위하여 수도꼭지 몸체(100)의 일측부에 캡(400)이 체결되는 바, 이 캡(400)이 제3공간(102) 내로 들어가 제3공간(102)을 차지하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400)에 상하로 관통된 물 안내홀(401)을 관통 형성하여,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을 통과하여 제3공간(103)으로 들어온 물이 상기 캡(400)의 물 안내홀(401)을 통과한 후, 수도꼭지 몸체(100)의 저부에 형성된 제2물토출구(132)로 용이하게 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3d에서 보듯이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위치 한정홈(301,302,303) 중 타측의 제3위치 한정홈(303)에 상기 위치 한정용 볼(106)이 삽입됨으로써, 단일 회전레버(300)의 좌측 회전 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토퍼(304,305) 중 다른 하나(305)가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상단 앞쪽에 형성된 걸림턱(107)이 걸림으로써, 단일 회전레버(300)의 좌측 90°회전 각도를 한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일 회전레버(300)를 중립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한 번의 조작만으로 물의 토출 여부 및 물의 통수방향을 원하는 방향(예, 직수 또는 샤워수)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국 사용자가 한 번의 레버 조작만으로 물의 통수방향 조절 및 물의 개폐 조절을 쉽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급수전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일 회전레버(300)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재의 단일 회전레버(300)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식방지도포층은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20중량%, 옥시카르복시산엽 15중량%, 이미다졸린 티온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25중량%, 디글리시딜 아닐린 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7㎛로 형성할 수 있다.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옥시카르복시산엽, 이미다졸린 티온 및 디글리시딜 아닐린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볼 밸브(20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암포디글리시네이트와 솔비톨 에스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볼 밸브(200)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볼 밸브(200)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볼 밸브(200)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 밸브(200)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0.1 몰 및 솔비톨 에스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20)의 둘레에는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이 패킹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패킹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패킹의 수명이 증대된다.
100 : 수도꼭지 몸체 101 : 제1공간
102 : 제2공간 103 : 제3공간
104 : 스프링 삽입홈 105 : 스프링
106 : 위치 한정용 볼 107 : 걸림턱
110 : 제1격벽 112 : 제1홀
120 : 제2격벽 122 : 제2홀
130 : 물공급 파이프 131 : 제1물토출구
132 : 제2물토출구 200 : 볼 밸브
210 : 물 통과홀 220 : 회전축
300 : 단일 회전레버 301 : 제1위치 한정홈
302 : 제2위치 한정홈 303 : 제3위치 한정홈
304,305 : 스토퍼 400 : 캡
401 : 물 안내홀 410 : 테프론 씰

Claims (3)

  1. 물공급 파이프(13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공간(101)과, 상기 제1공간(101)과 제1격벽(110)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제1물토출구(13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공간(102)과, 상기 제1공간(101)과 제2격벽(120)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제2물토출구(132)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공간(103)이 내부에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100);
    상기 제1격벽(110)과 제2격벽(1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공간(101)으로 유입된 물을 제1격벽(110)에 형성된 제1홀(112)을 통하여 제2공간(102)으로 안내하거나, 제2격벽(120)에 형성된 제2홀(122)을 통하여 제3공간(103)으로 안내하도록 저면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직의 물 통과홀(210)이 관통 형성된 볼 밸브(200);
    상기 볼 밸브(200)의 상부에 연결되며 수도쪽지 몸체(10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220);
    상기 볼 밸브(200)의 물 통과홀(210)이 제2공간(102) 또는 제3공간(103)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22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볼 밸브(20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단일 회전레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위치를 물 토출을 차단하는 중립 위치인 제1위치와, 물이 제1물토출구(131)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2위치와, 물이 제2물토출구(132)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제3위치로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상면부에 스프링 삽입홈(104)이 형성되고, 스프링 삽입홈(104)에 스프링(105)과 위치 한정용 볼(106)이 차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하부에는 상기 위치 한정용 볼(106)이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위치 한정홈(301,302,303)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단일 회전레버(300)의 둘레부에는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한 쌍의 스토퍼(304,305)가 형성되고,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상단 앞쪽에는 스토퍼(304,305)가 걸리도록 한 걸림턱(107)이 형성되고;
    상기 수도꼭지 몸체(100)의 일측부에는 상기 볼 밸브(200)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캡(400)이 수밀 유지 가능하게 체결되며;
    볼 밸브(200)에는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으며;
    회전축(220)의 둘레에는 패킹이 결합되되, 상기 패킹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지고;
    금속재의 단일 회전레버(300)에는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은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20중량%, 옥시카르복시산엽 15중량%, 이미다졸린 티온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25중량%, 디글리시딜 아닐린 5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코팅두께는 7㎛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2037A 2019-05-03 2019-05-03 급수전 장치 KR10221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37A KR102215395B1 (ko) 2019-05-03 2019-05-03 급수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37A KR102215395B1 (ko) 2019-05-03 2019-05-03 급수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98A KR20200127598A (ko) 2020-11-11
KR102215395B1 true KR102215395B1 (ko) 2021-02-15

Family

ID=7345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37A KR102215395B1 (ko) 2019-05-03 2019-05-03 급수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3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347A (ja) 2004-03-31 2005-10-20 Yamatake Corp 三方ボール弁
JP2006300321A (ja) 2005-03-22 2006-11-02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回転弁
JP2012002355A (ja) 2010-05-20 2012-01-05 Kitz Corp 回転弁
KR101806959B1 (ko) * 2017-07-14 2017-12-08 (주)신화중공업 건설 현장용 안전 난간대 지지장치
KR101868376B1 (ko) * 2017-03-27 2018-06-18 권영탁 레버형 수도꼭지 조립체
KR101972791B1 (ko) 2019-03-25 2019-04-29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자동이송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323Y1 (ko) * 1997-04-04 1999-06-15 김약환 수도밸브
DE102012111468A1 (de) * 2011-11-30 2013-06-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Kugelventil mit interner Dicht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in Kraftfahrzeugkältemittelkreisläufen
KR200474800Y1 (ko) 2014-07-30 2014-10-16 다로스 주식회사 급수전용 절환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347A (ja) 2004-03-31 2005-10-20 Yamatake Corp 三方ボール弁
JP2006300321A (ja) 2005-03-22 2006-11-02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回転弁
JP2012002355A (ja) 2010-05-20 2012-01-05 Kitz Corp 回転弁
KR101868376B1 (ko) * 2017-03-27 2018-06-18 권영탁 레버형 수도꼭지 조립체
KR101806959B1 (ko) * 2017-07-14 2017-12-08 (주)신화중공업 건설 현장용 안전 난간대 지지장치
KR101972791B1 (ko) 2019-03-25 2019-04-29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자동이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98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305B2 (en) Valv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flow path
US5971007A (en) Piston valve
US20070181191A1 (en) Bypass valve with an integral flow sensor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CA2666533A1 (en) Double check back flow prevention device
US9962567B2 (en) Connecting device
KR102215395B1 (ko) 급수전 장치
US20100259042A1 (en) Rotatable fire sprinkler fitting with elongated gasket
KR20010074690A (ko) 볼형 체크밸브
US10895065B2 (en) Single cavity diverter valve
KR20120008000U (ko) 작동이 용이한 관붙이 앵글밸브
FI69348C (fi) Blandare
US3840046A (en) Three outlet mixing and diverter valve
CN210800122U (zh) 一种防腐蚀球阀
CN206496034U (zh) 不锈钢恒温阀芯
KR101950854B1 (ko) 급수개폐기
JP7173536B2 (ja) ボール型逆止弁
CN209041627U (zh) 一种用于智能水表壳体的防抱死球阀
KR101784628B1 (ko)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US66044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itting passage of conduits through hull of boat
KR102342418B1 (ko) 선박용 압축공기 차단밸브
CN215334558U (zh) 一种密封效果好的闸阀
KR200440452Y1 (ko) 수도미터기 배관용 엘보우
CN210135250U (zh) 一种便于维护的船用阀门
US59939A (en) Chakles e
CN219327825U (zh) 一种防锈型电镀工艺回流管道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