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00Y1 - 급수전용 절환밸브 - Google Patents

급수전용 절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800Y1
KR200474800Y1 KR2020140005712U KR20140005712U KR200474800Y1 KR 200474800 Y1 KR200474800 Y1 KR 200474800Y1 KR 2020140005712 U KR2020140005712 U KR 2020140005712U KR 20140005712 U KR20140005712 U KR 20140005712U KR 200474800 Y1 KR200474800 Y1 KR 200474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ter supply
flow
bloc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다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는, 급수전 중 공급유로와 직수유로와 샤워유로가 연통되는 통합유로에 장착되어 통수방향을 직수유로 또는 샤워유로로 절환시키는 밸브로서, 통합유로 중 공급유로 및 직수유로와 연통되는 부위에 위치되며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급수홀과 직수유로와 연통되는 직수공급홀이 측벽에 형성되는 제1 유로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1 유로관에 일렬로 연결되어 통합유로 중 샤워유로 측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측에 샤워기가 연결되는 제2 유로관; 상기 제1 유로관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제2 유로관이 연결된 반대측에 결합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 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 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공급유로와 직수유로 사이 또는 공급유로와 샤워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이송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급수전용 절환밸브{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valve for faucet}
본 고안은 급수전으로 공급된 물의 배출방향을 수도꼭지나 샤워기로 보내기 위한 절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물의 흐름 방향을 원터치 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절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직수 또는 샤워수로 선택 공급되게 하기 위해 급수전 선단에 통수방향 절환밸브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이들 절환밸브는 상단이 외부손잡이와 연결되고 하단에는 밀폐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밸브본체 내에서 승하강 작동되도록 외면에 나선돌기를 형성한 작동구가 단일체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그 승하강 작동도 작동구를 회전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구로 하여금 본체내면에 형성된 나선홈을 타고 그대로 승하강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절환밸브는, 하단에 밀폐구를 부착한 단일체로 되는 작동구의 승하강 동작이 외부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 본체 내면의 나선홈을 타고 승하강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작동구 외면에 형성된 나선부가 결합되는 본체내면의 나선홈이 본체의 구성 특성상 피치가 짧게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작동구에 대한 목적한 만큼의 승하강 작동을 위해서는 그만큼 외부손잡이를 많이 회전시켜야만 작동구가 정해진 거리만큼 승하강 이동 되면서 밸브 본체내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절환밸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급수전으로 공급된 물을 직수 또는 샤워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외부손잡이를 매우 많이 회전시켜야 하므로, 노동의 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급수전에 대한 통수방향의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그만큼 급수전 사용에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위로 잡아당기거나 아래로 내려 통수방향을 전환시키는 절환밸브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절환밸브는 수도사용을 중단하였을 때 손잡이가 저절로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KR 10-0812120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통수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고, 통수방향이 전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급수전용 절환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는, 급수전 중 공급유로와 직수유로와 샤워유로가 연통되는 통합유로에 장착되어 통수방향을 직수유로 또는 샤워유로로 절환시키는 밸브로서, 상기 통합유로 중 상기 공급유로 및 직수유로와 연통되는 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급수홀과 상기 직수유로와 연통되는 직수공급홀이 측벽에 형성되는 제1 유로관; 상기 제1 유로관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급수홀이 형성된 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통합유로 중 샤워유로 측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측에 샤워기가 연결되는 제2 유로관; 상기 제1 유로관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제2 유로관이 연결된 반대측에 결합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 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 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로관 내부유로 중 상기 급수홀과 상기 직수공급홀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블록과, 상기 제1 유로관 내부유로 중 상기 급수홀이 형성된 측 끝단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유로와 직수유로 사이 또는 상기 공급유로와 샤워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이송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내측면에는 하트 형상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에는 끝단이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대이동하는 탄성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블록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관 중 상기 제1 유로관이 연결된 반대측에 장착되어 상기 급수전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관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록과 일체로 연결되는 푸시레버를 더 포함한다.
길이방향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르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 유로관의 길이방향 타측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외측끝단을 상기 제2 유로관의 내벽에 연결하는 연결바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밸브는 상기 가이드관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바가 내측에 인입되고,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2 개폐블록과 상기 연결바에 안착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1 유로관의 내경 중 상기 급수홀과 상기 직수공급홀 사이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1 패킹과, 상기 제1 유로관 내경 중 상기 급수홀이 형성된 측 끝단측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2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밸브는,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 개폐블록은 상기 제1 패킹에 밀착되고 상기 제2 개폐블록은 상기 제2 패킹과 이격되며, 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 개폐블록은 상기 제1 패킹과 이격되고 상기 제2 개폐블록은 상기 제2 패킹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는, 원터치 방식으로 통수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어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통수방향이 전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가 급수전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유로관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유로관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슬라이드블록의 슬라이드홈에 고정블록의 탄성핀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다.
도 10은 급수전으로 공급된 물이 직수유로로 배출되도록 작동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급수전으로 공급된 물이 샤워유로로 배출되도록 작동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가 급수전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급수전용 절환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로(4)를 통해 공급된 물이 통합유로(3)를 통해 직수유로(5)나 샤워유로(6)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10)는 상기 통합유로(3)에 장착되어 공급유로(4)를 통해 공급된 물의 공급방향 즉, 통수방향을 직수유로(5)와 샤워유로(6) 중 어느 하나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 수행을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10)는, 일렬로 연결되어 상기 통합유로(3) 내에 장착되는 제1 유로관(100), 제2 유로관(200), 고정관(300)과, 상기 고정관(300)의 상측에 장착되어 급수전(1) 외부로 돌출되는 푸시레버(6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갖는다.
상기 제1 유로관(100)은 상기 통합유로(3) 중 상기 공급유로(4) 및 직수유로(5)와 연통되는 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유로(4)와 연통되는 급수홀(110)과 상기 직수유로(5)와 연통되는 직수공급홀(120)이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홀(11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직수공급홀(120)을 통해 직수유로(5)로 전달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로관(100)의 외주면 중 급수홀(110)이 형성된 지점과 직수공급홀(120)이 형성된 지점 사이에는 오링(130)이 구비되어, 급수전(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곧바로 직수공급홀(120)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유로관(200)은 급수홀(11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샤워유로(6)로 전달되도록 유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유로관(1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급수홀(110)이 형성된 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연결되어 상기 통합유로(3) 중 샤워유로(6) 측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측에는 샤워기가 연결된다. 상기 제1 유로관(100)은 하측 외주면이 제2 유로관(200)의 상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유로관(200)의 외주면 상측과 하측에는 급수전(1)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급수전 체결나사산(210)과 샤워기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샤워기 체결나사산(220)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급수홀(110)을 통해 제1 유로관(100) 내측으로 공급된 물은 제1 유로관(100)의 하측을 통해 제2 유로관(200)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2 유로관(20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샤워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300)은 제1 유로관(1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제2 유로관(200)이 연결된 반대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결합되어 급수전(1)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푸시레버(60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관(300) 중 상기 제1 유로관(100)이 연결된 반대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급수전(1)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제1 유로관(100) 내부에는 급수홀(110)을 통해 공급된 물의 통수방향을 직수공급홀(120)과 제2 유로관(200) 내측 중 어느 한 쪽으로 선택하기 위한 이송밸브(7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밸브(700)는 상기 고정관(300) 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400)과, 상기 고정블록(40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500)을 통해 상기 푸시레버(60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은 상기 제1 유로관(100) 및 제2 유로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400) 내에 결합되되, 상측은 상기 푸시레버(600)와 일체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이송밸브(700)와 연결되는바,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아래로 누름에 따라 상기 이송밸브(700)를 아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송밸브(700)는, 슬라이드블록(500)의 돌출단(본 실시예에서는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로관(100) 및 제2 유로관(200) 내에 위치되며, 제1 유로관(100) 내부유로 중 급수홀(110)과 직수공급홀(120)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블록(710)과, 제1 유로관(100) 내부유로 중 급수홀(110)이 형성된 측 끝단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블록(720)을 구비하여, 공급유로(4)와 직수유로(5) 사이 또는 공급유로(4)와 샤워유로(6) 사이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은 하향 가압력을 한 번 받았을 때 고정블록(400) 외부로 인출된 상태 즉, 아래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되고, 하향 가압력을 한 번 더 받았을 때 고정블록(400)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내측면에는 하트 형상의 슬라이드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400)에는 끝단이 상기 슬라이드홈(510)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510)을 따라 상대이동하는 탄성핀(410)이 구비되는바,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몇 번 누르는지에 따라 슬라이드블록(500) 및 이에 결합된 이송밸브(700)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블록(500)이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제1 유로관(100)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 유로관(200)의 절단 사시도이며, 도 7은 제1 유로관(100)과 제2 유로관(2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유로관(100)과 이송밸브(700)가 모두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이송밸브(700)의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의 외주면과 제1 유로관(100)의 내경 사이의 간극을 통해 물이 유출될 우려가 있다. 물론,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의 외주면이 제1 유로관(100)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면 이러한 유출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이송밸브(700)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한다는 결정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10)는,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의 외경이 제1 유로관(100)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제작되더라도 제1 유로관(100)의 내부유로가 밀실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로관(100)의 내경 중 급수홀(110)과 직수공급홀(120) 사이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1 패킹(140)과, 상기 제1 유로관(100) 내경 중 급수홀(110)이 형성된 측 끝단측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2 패킹(150)이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패킹(140) 및 제2 패킹(150)은, 내경이 제1 개폐블록(710)이나 제2 개폐블록(720)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제작되는바 제1 개폐블록(710)과 제2 개폐블록(720)이 각각 밀착됨에 따라 제1 유로관(100)의 내부유로를 구간별로 차단시킬 수 있으면서, 연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므로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이 상하로 왕복 이송되는데 큰 간섭을 야기하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밸브(700)가 단순히 슬라이드블록(500)의 하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장착되면,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측방으로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이 측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이 제1 패킹(140) 및 제2 패킹(150)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되지 아니하므로,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과 제1 패킹(140) 및 제2 패킹(15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10)는 상기 이송밸브(700)가 상하로 이송될 때 측방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이송밸브(70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10)는, 길이방향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이동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을 따르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 유로관(100)의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관(230)과, 상기 가이드관(230)의 외측끝단(본 실시예에서는 하측단)을 상기 제2 유로관(200)의 내벽에 연결하는 연결바(240)와, 상기 제1 개폐블록(710)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관(230)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바(7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관(230)과 연결바(240)와 가이드바(73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이송밸브(700)는 가이드바(730)의 길이방향으로만 왕복 이송될 수 있으므로, 제1 개폐블록(710) 및 제2 개폐블록(720)과 제1 패킹(140) 및 제2 패킹(15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유로관(200) 내측에 가이드관(230)과 연결바(24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탄성스프링(800) 내측에 가이드바(730)가 삽입되고 탄성스프링(800)의 길이방향 양단이 제2 개폐블록(720) 저면과 상기 연결바(240) 상면에 안착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800)이 측방으로 휘어지지 아니하고 상하방향으로의 압축 및 복원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스프링(800)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이송방향이 수직으로 한정되므로, 슬라이드블록(500)과 고정블록(400) 간의 불필요한 마찰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블록(500)의 왕복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슬라이드블록(500)의 슬라이드홈(510)에 고정블록(400)의 탄성핀(410)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슬라이드블록(500)과 고정블록(400) 간의 결합구조는,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만 정확히 왕복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내측면에 하트 형상의 슬라이드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400)에는 끝단이 슬라이드홈(510)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핀(4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홈(510) 및 탄성핀(410)이 마련되면, 슬라이드블록(500)이 상하로 왕복 이동될 때 슬라이드홈(510)의 상하방향 길이만큼만 정확하게 왕복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드블록(500)이 고정블록(400) 내측으로 최대한 인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핀(410)의 끝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510)의 최하단에 위치되므로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은 탄성스프링(800)에 의해 상향 외력을 받더라도 더 이상 고정블록(400) 내측으로 인입되지 아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하향으로 가압하면, 슬라이드블록(500)은 상기 푸시레버(600)와 함께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상기 탄성핀(4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510)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핀(410)의 끝단이 하트 형상의 슬라이드홈(510) 상측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은 탄성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외력을 받더라도 상기 탄성핀(410)이 슬라이드홈(510)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한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은 더 이상 위로 상승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한 번 더 하향 가압하면, 슬라이드블록(500)은 탄성스프링(80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되는바, 탄성핀(410)의 끝단은 도 8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홈(510) 하측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반복적으로 누름에 따라 탄성핀(410)의 끝단이 슬라이드홈(510)의 상측 및 하측에 교번으로 위치되는 구성은, 종래에 볼펜 등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구조 및 동작원리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급수전(1)으로 공급된 물이 직수유로(5)로 배출되도록 작동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10)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급수전(1)으로 공급된 물이 샤워유로(6)로 배출되도록 작동된 본 고안에 의한 절환밸브(10)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는 슬라이드블록(500)이 고정블록(400) 내측으로 최대한 인입된 상태로서, 탄성핀(410)의 끝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510)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1 개폐블록(710)은 제1 패킹(140)과 이격되고 제2 개폐블록(720)은 제2 패킹(150)과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1 유로관(100)의 내측유로와 제2 유로관(200)의 내측유로는 상호 격리되되 급수홀(110)과 직수공급홀(120)은 상호 연통된 상태이므로, 급수홀(110)을 통해 제1 유로관(100) 내측으로 공급된 물은 도 10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위로 올라가 직수공급홀(120)을 통해 인출되는바, 급수전(1)의 직수유로(5)를 통해 물이 배출된다.
이때, 제2 패킹(150)의 내측단은 제2 개폐블록(720)의 상면에 단순히 안착되므로 제2 패킹(150)과 제2 개폐블록(720) 사이로 물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수 있지만, 상기 제2 패킹(150)의 내측단은 급수홀(110)을 통해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제2 개폐블록(720)의 상면에 강하게 밀착되는바, 제2 패킹(150)과 제2 개폐블록(720)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한 번 하향 가압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레버(600)와 일체로 연결된 슬라이드블록(500) 및 이송밸브(700) 역시 푸시레버(600)와 함께 아래로 이송되며, 제1 개폐블록(710)은 제1 패킹(140)과 밀착되고 제2 개폐블록(720)은 제2 패킹(150)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1 유로관(100)의 내측유로 중 급수홀(110)이 형성된 부위와 제2 유로관(200)의 내측유로는 상호 연통되지만, 제1 유로관(100)의 내측유로 중 급수홀(110)이 형성된 부위와 직수공급홀(120)이 형성된 부위 사이는 폐쇄된다.
따라서 급수홀(110)을 통해 제1 유로관(100) 내측으로 공급된 물은 도 1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아래로 내려가 제2 유로관(200) 내측으로 전달되는바, 급수전(1)으로 공급된 물은 이에 결합된 샤워기를 통해 물이 배출된다. 물은 도 10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위로 올라가 직수공급홀(120)을 통해 인출되는바, 급수전(1)의 직수유로(5)를 통해 물이 배출된다. 급수홀(110)과 직수공급홀(120)은 상호 연통된 상태이므로, 급수홀(110)을 통해 제1 유로관(100) 내측으로 공급된 물은 도 10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위로 올라가 직수공급홀(120)을 통해 인출되는바, 급수전(1)의 직수유로(5)를 통해 물이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제1 패킹(140)의 내측단은 제1 개폐블록(710)의 저면에 단순히 안착되므로 제1 패킹(140)과 제1 개폐블록(710) 사이로 물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수 있지만, 상기 제1 패킹(140)의 내측단은 급수홀(110)을 통해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제1 개폐블록(710)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되는바, 제1 패킹(140)과 제1 개폐블록(710)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한 번 하향 가압하였다가 가압한 힘을 해제시키면, 슬라이드블록(500)은 탄성스프링(800)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올라가 고정블록(40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 즉,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환스위치는,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누르는 조작에 따라 급수전(1)으로 공급된 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직수로 배출되거나 샤워기를 통해 분산되어 배출되도록 통수방향이 전환되는바, 조작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푸시레버(600)를 또 다시 누르지 아니하는 한, 물이 배출되는 경로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물이 배출되는 경로가 변경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급수전 2 : 메인레버
3 : 통합유로 4 : 공급유로
5 : 직수유로 6 : 샤워유로
10 : 절환밸브 100 : 제1 유로관
110 : 급수홀 120 : 직수공급홀
130 : 오링 140 : 제1 패킹
150 : 제2 패킹 200 : 제2 유로관
210 : 급수전 체결나사산 220 : 샤워기 체결나사산
230 : 가이드관 240 : 연결바
300 : 고정관 400 : 고정블록
410 : 탄성핀 500 : 슬라이드블록
510 : 슬라이드홈 600 : 푸시레버
700 : 이송밸브 710 : 제1 개폐블록
720 : 제2 개폐블록 730 : 가이드바
800 : 탄성스프링

Claims (4)

  1. 삭제
  2. 급수전(1) 중 공급유로(4)와 직수유로(5)와 샤워유로(6)가 연통되는 통합유로(3)에 장착되어 통수방향을 직수유로(5) 또는 샤워유로(6)로 절환시키는 밸브로서,
    상기 통합유로(3) 중 상기 공급유로(4) 및 직수유로(5)와 연통되는 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유로(4)와 연통되는 급수홀(110)과 상기 직수유로(5)와 연통되는 직수공급홀(120)이 측벽에 형성되는 제1 유로관(100);
    상기 제1 유로관(1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급수홀(110)이 형성된 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통합유로(3) 중 샤워유로(6) 측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측에 샤워기가 연결되는 제2 유로관(200);
    상기 제1 유로관(1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제2 유로관(200)이 연결된 반대측에 결합되는 고정관(300);
    상기 고정관(300) 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400);
    상기 제1 유로관(100) 및 제2 유로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400) 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500);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로관(100) 및 제2 유로관(200)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로관(100) 내부유로 중 상기 급수홀(110)과 상기 직수공급홀(120)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블록(710)과, 상기 제1 유로관(100) 내부유로 중 상기 급수홀(110)이 형성된 측 끝단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블록(720)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유로(4)와 직수유로(5) 사이 또는 상기 공급유로(4)와 샤워유로(6) 사이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이송밸브(700);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내측면에는 하트 형상의 슬라이드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400)에는, 끝단이 상기 슬라이드홈(510)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510)을 따라 상대이동하는 탄성핀(41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블록(400)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80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관(300) 중 상기 제1 유로관(100)이 연결된 반대측에 장착되어 상기 급수전(1)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관(300)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록(500)과 일체로 연결되는 푸시레버(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밸브(10).
  3. 제2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상기 슬라이드블록(500)의 이동방향을 따르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 유로관(100)의 길이방향 타측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관(230)과, 상기 가이드관(230)의 외측끝단을 상기 제2 유로관(200)의 내벽에 연결하는 연결바(240)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밸브(700)는 상기 가이드관(230)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바(730)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스프링(800)은, 상기 가이드바(730)가 내측에 인입되고,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2 개폐블록(720)과 상기 연결바(240)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밸브(1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관(100)의 내경 중 상기 급수홀(110)과 상기 직수공급홀(120) 사이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1 패킹(140)과, 상기 제1 유로관(100) 내경 중 상기 급수홀(110)이 형성된 측 끝단측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제2 패킹(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밸브(700)가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 개폐블록(710)은 상기 제1 패킹(140)에 밀착되고 상기 제2 개폐블록(720)은 상기 제2 패킹(150)과 이격되며, 상기 이송밸브(700)가 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 개폐블록(710)은 상기 제1 패킹(140)과 이격되고 상기 제2 개폐블록(720)은 상기 제2 패킹(150)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밸브(10).
KR2020140005712U 2014-07-30 2014-07-30 급수전용 절환밸브 KR200474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12U KR200474800Y1 (ko) 2014-07-30 2014-07-30 급수전용 절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12U KR200474800Y1 (ko) 2014-07-30 2014-07-30 급수전용 절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800Y1 true KR200474800Y1 (ko) 2014-10-16

Family

ID=5200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12U KR200474800Y1 (ko) 2014-07-30 2014-07-30 급수전용 절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8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598A (ko) 2019-05-03 2020-11-11 권영탁 급수전 장치
KR102228622B1 (ko) * 2020-09-02 2021-03-16 하우드 주식회사 유량 조절 기능을 가지는 버튼형 토수 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 공급 시스템
KR20210050770A (ko)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20230017042A (ko) * 2021-07-27 2023-02-03 신현오 두방향 가로꼭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506A (ja) * 1996-07-31 1998-02-20 Toto Ltd 温度応動切替え機構を備えた切替え弁
JP2005155797A (ja) 2003-11-26 2005-06-16 Toto Ltd 水栓装置
KR100812120B1 (ko) 2006-12-04 2008-03-12 이재춘 조립이 용이한 수도전의 통수방향 전환밸브 및 그의조립방법
WO2011081295A2 (ko) 2009-12-28 2011-07-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삼방밸브와 배관바디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506A (ja) * 1996-07-31 1998-02-20 Toto Ltd 温度応動切替え機構を備えた切替え弁
JP2005155797A (ja) 2003-11-26 2005-06-16 Toto Ltd 水栓装置
KR100812120B1 (ko) 2006-12-04 2008-03-12 이재춘 조립이 용이한 수도전의 통수방향 전환밸브 및 그의조립방법
WO2011081295A2 (ko) 2009-12-28 2011-07-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삼방밸브와 배관바디의 결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598A (ko) 2019-05-03 2020-11-11 권영탁 급수전 장치
KR20210050770A (ko)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2371303B1 (ko) * 2019-10-29 2022-03-04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2228622B1 (ko) * 2020-09-02 2021-03-16 하우드 주식회사 유량 조절 기능을 가지는 버튼형 토수 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 공급 시스템
KR20230017042A (ko) * 2021-07-27 2023-02-03 신현오 두방향 가로꼭지
KR102603326B1 (ko) * 2021-07-27 2023-11-15 신현오 두방향 가로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800Y1 (ko) 급수전용 절환밸브
US9790669B2 (en) Water-saving device for a fauc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4224962A (en) Change valve
EP3926220A1 (en) Arbitrary directional touch switch
MXPA06009455A (es) Ensamble de cierre para drenaje de bano.
DE202012103845U1 (de) Lotionsausgiesskopf oder Dispenservorrichtung
US20100252133A1 (en) Faucet Having A Pressure Release Function
CN106029239B (zh) 分配泵
US20180127959A1 (en) Faucets providing mixed water and air flow
SK280023B6 (sk) Narážacie zariadenie na stáčací ventil keg
KR101786770B1 (ko) 음료 공급 장치의 전자 밸브
US10344746B2 (en) Hydraulic double-acting hand pump
CA2926927C (en) Push-activated tub spout
US2261468A (en) Friction actuated sleeve valve
KR101751821B1 (ko) 샤워 헤드
US2536921A (en) Valve assembly
US3216445A (en) Beverage dispensing valve structure
US20220170566A1 (en) Valve
CN109208700B (zh) 浴缸供水设备及其浴缸水龙头
CN111197661A (zh) 一种闸阀
KR101761748B1 (ko) 슬라이드형 수동밸브를 적용한 전자밸브
US10883612B2 (en) Control valve having hollow piston for controlling flow of fluid
KR20160115365A (ko) 공기압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장치
US11326714B2 (en) Multi-directional touch valve
CN212429835U (zh) 一种轻便式往返分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