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593B1 -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593B1
KR102213593B1 KR1020190089035A KR20190089035A KR102213593B1 KR 102213593 B1 KR102213593 B1 KR 102213593B1 KR 1020190089035 A KR1020190089035 A KR 1020190089035A KR 20190089035 A KR20190089035 A KR 20190089035A KR 102213593 B1 KR102213593 B1 KR 10221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extract
atopic dermatitis
cinnamon
inji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380A (ko
Inventor
송석진
강선희
차미란
오별님
손주아
이윤성
Original Assignee
(주)유스케어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스케어팜 filed Critical (주)유스케어팜
Priority to KR102019008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5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의 혼합추출물이 우수한 항염, 항알레르기, 항산화 및 손상된 피부를 복구하는 콜라겐 생성 증가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 바,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Cinnamomum cassia, Scutellaria baicalensis and Coptis japonica}
본 발명은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는 그리스어로 '이상한' 혹은 '부적절한'이란 의미로, 음식 또는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이다.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세균,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유소아기에 높은 발병을 나타내는 아토피 피부염은 최근 국내에서도 그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아토피 치료에 의한 경제적 손실도 높아지고 있다.
아토피 유발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음식물, 꽃가루, 곰팡이 등과 같이 외부환경에서 자주 접하는 단백물질에 대한 피부반응검사에서 흔히 두드러기 반응을 나타내며, 특정한 음식을 먹거나 흡입하게 되면 가려움증, 두드러기, 혈관부종, 재채기, 콧물, 코막힘, 결막충혈,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아토피 유발인자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토피성 두드러기 등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T 림프구의 활성화, 사이토카인 체계의 이상, 세포매개성 면역의 감소, IgE의 증가와 같은 면역학적 기전과 비만세포와 호염구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에 의해 즉시형 과민반응과 소양감을 유발하는 혈관 작용성 매개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어린이는 물론 성인 아토피 피부염의 증가도 심각해지고 있으며, 심한 경우 취업, 결혼 등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여 이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심하면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대인기피 및 우울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이 심각한 사회적, 의학적 문제로 부각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효율적인 치료제가 부재한 실정이다.
국내 많은 연구진들이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및 제품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개발되는 제품의 대부분이 시장 진입 초기에 사라지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되고 악화되는 병리학적 기전에 대응되는 제품의 개발보다는 막연히 피부의 보습 효과를 강화하거나 저자극성 화장품류들이 아토피 개선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장 진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키는 병리적 기전을 바탕으로 연구하여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기능성 천연물 소재를 탐색하여 유용한 기능성을 갖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4163호 (2019.06.2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1~10):(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용액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첨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감압 농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의 혼합추출물이 우수한 항염, 항알레르기, 항산화 및 손상된 피부를 복구하는 콜라겐 생성 증가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 바,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이용하여 제조된 혼합추출물의 TNF-α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이용하여 제조된 혼합추출물의 IgE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다.
도 3은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이용하여 제조된 혼합추출물의 Type I 콜라겐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기능성 천연물 소재 탐색을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유용한 기능성을 갖는 인진, 계피, 황련 및 황금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혼합추출물이 항염, 항알레르기, 항산화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바, 아토피 피부염 예방, 개선 내지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진(Artemisia capillaris)”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형 낙엽관목으로, 그 특유의 향기와 약효로 인하여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식용, 약용, 단방약으로 애용되어 왔다. 맛이 쓰고 찬 성질의 생약으로, 주요 성분으로는 스코파론(scoparone), 카필린(cappillin), 카필라리신(capillarisin) 및 쿠마린(coumar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간 손상 억제 작용, 항암 효과, 항산화 작용, 혈중 지질 감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 항돌연변이 효과, 항균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계피(Cinnamomum cassia)”는 녹나무과의 사철푸른 교목의 껍질로 중국의 남부나 월남 등지에서 자생한다. 계피에는 정유(계피 알데히드 75~90%, 신나밀 알데히드 등) 1~3.4%, 탄닌질 2~3%, 점액, 탄수화물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5~6년 자란 나무에서 정유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는 예로부터 발한제, 해열제, 진통제뿐만 아니라 식료품의 향료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장 연동 운동을 촉진하고 장내의 이상 발효를 억제하는 방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황금을 의미하며, 특히 황금의 뿌리를 거피하여 건조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황금의 뿌리, 줄기, 입, 꽃 또는 종자 등 부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황금에는 바이칼린(baicalin), 바이칼레인(baicalein) 및 우고닌(wogon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 작용으로는 제습열, 지혈 등의 효능이 있어 고혈압, 유행성 뇌척수막염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황련(Coptis japonica)”은 깽깽이풀이라고도 불리우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황련은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줄기와 땅속 줄기의 단면이 노란색인 것에서 황련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주용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매그노플로린(magnoflorine), 콥티신(coptisine), 워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야테오리진(jateorrhizine) 등이 알려져 있다. 황련은 예로부터 강장, 동맥경화, 병후쇠약 또는 중풍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항암 작용 및 항미생물 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혼합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혼합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혼합추출물은 상기한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의 혼합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혼합추출물은 주정(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환류냉각추출법으로 추출하고, 이를 감압 농축 건조하여 수득한 것이나, 본 발명의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의 혼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 및 추출방법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은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1~10):(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된 혼합추출물은 항염, 항알레르기, 항산화 및 피부 콜라겐 생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고, TNF-α 및 IgE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타입 I 콜라겐 생성능을 증가시키는 바, 아토피 피부염 예방, 개선 내지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 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바,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 mg/kg 내지 5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스킨, 토너, 로션, 에센스, 선 스크린,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팩, 젤, 연고, 패치, 스틱, 샴푸, 린스, 스프레이,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건강식품 조성물인 경우,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 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 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 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1~10):(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용액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첨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감압 농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단계는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2:1:1: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된 혼합추출물은 항염, 항알레르기, 항산화 및 피부 콜라겐 생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고, TNF-α 및 IgE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타입 I 콜라겐 생성능을 증가시키는 바, 아토피 피부염 예방, 개선 내지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는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제 3단계의 감압 농축은 25 내지 65℃의 수욕 및 1 내지 300 mbar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혼합추출물은 항염, 항알레르기, 항산화 및 피부 콜라겐 생성에 있어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며, TNF-α 및 IgE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타입 I 콜라겐 생성능을 증가시키는 바, 아토피 피부염 예방, 개선 내지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이용한 혼합추출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약재를 중량별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의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간략하게, 각 조건에 따라 각 약재를 중량 비율별로 혼합한 후, 70% 주정을 10 배수 첨가하고, 이후,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60℃로 유지하며 4시간 동안 추출을 수행하였다. 수득한 혼합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EYELA)를 이용하여 45℃의 수욕 및 200 mbar 이하의 압력에서 감압 농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각 조건의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9075656463-pat00001
실험예 2: 항염증 유효성 분석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염증 유발 물질인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유도하고, 혼합추출물에 따른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였다.
간략하게, Raw264.7 세포(한국세포주은행)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4.3 X 104 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후 내독소로 작용하여 NO synthesis mitogen으로 사용되는 LPS(lipopolysaccharide)를 0.5 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37℃,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배양한 후, 각 시료를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항염증 효능을 평가를 위해 NO assay를 수행하였다. 1M의 NaNO2를 표준곡선으로 0, 1.56 μM, 3.12 μM, 6.25 μM, 12.5 μM, 25 μM, 50 μM, 100 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1% 설파닐아마이드(sulfanilamide)와 0.1% N-1-나프틸에틸렌디아민[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시약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혼합 시약과 상기 Raw264.7 세포의 NO 생성 유도 실험에서 시료 처리 후 24시간 배양된 배지 상등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고(각 50 μL),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 대비 NO 생성 억제능을 분석하였다.
실험예 3: 항알레르기 유효성 분석
항알레르기 유효성은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 생성량의 억제는 면역세포의 탈과립화 방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간략하게, 마우스 유래 염기성 비만세포주인 RBL-2H3 세포주(한국세포주은행)를 15% 우태아혈청(FBS), 100 unit/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2 X 105 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고 25 ng/mL의 anti-DNP IgE가 포함된 MEM 배지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PIPES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고, 4 mM MgCl2, 5.6 mM 글루코스, 0.1% BSA가 포함된 PIPES 완충액으로 10분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시료를 100 μg/mL의 농도로 20분 동안 처리한 후 50 ng/mL의 DNP-BSA를 넣고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ice에서 10분 방치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상등액을 96 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1 mM P-니트로페닐-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드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정지액(stop solution; 0.1 M NaHCO3, 0.1 M Na2CO3)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케토티펜(ketotifen, 100 μg/mL)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4: 항산화 유효성 분석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실험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간략하게, 각각의 희석한 시료 2 mL을 0.2 mM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2 mL과 혼합한 후 약 37℃에서 30분간 방치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내지 4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의 2종 또는 3종의 혼합추출물(실시예 1 내지 10)에 비해 4종의 혼합추출물에서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항산화 효능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2에서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산화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8, 실시예 10, 내지 15를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19075656463-pat00002
실험예 5: 항염증 사이토카인(TNF-α)의 발현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8, 실시예 10 내지 15의 각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추출물이 TNF-α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Raw264.7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6 웰 플레이트에 4 X 105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고, 각 혼합추출물을 50, 100 및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1시간 후에 LPS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LPS 처리 후 12시간 후에 배지를 수거하였으며, 수거된 배지는 측정 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TNF-α의 발현량은 ELISA Kit(Pierce endogen, Rockford, IL,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 μg/mL 농도에서 비교하였을 때, 2종의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의 경우 25~28%, 3종의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의 경우 27~31% TNF-α의 발현량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4종의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에서 TNF-α의 발현량이 39~43%로 가장 크게 억제되었으며, 그 중 실시예 12의 혼합추출물(인진:계피:황금:황련=2:1:1:1)이 43%로 가장 우수한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6: IgE 발현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8, 실시예 10 내지 15의 각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추출물이 IgE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IgE를 생산하는 인간 B 세포주인 U266B1 세포(림프모구종 세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를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RPMI-1640 배지(15% FBS, 2 mM L-글루타민, 10 mM HEPES, 1 mM 소듐 피루베이트, 50 μg 스트렙토마이신, 100 U/mL 페니실린 첨가)를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2 X 105 세포/웰의 농도로 조정한 후, LPS를 2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각 혼합추출물을 각각 50, 100 및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수거된 배지에서의 IgE 발현량은 ELISA Kit(PharMingen; San Diego, C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실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gE 발현량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2의 혼합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IgE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콜라겐 생성능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8, 실시예 10 내지 15의 각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추출물이 type I 콜라겐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주(CCD-986SK 세포)를 48 웰 플레이트에 5 X 104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고,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각 혼합추출물을 50, 100 및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지 상등액을 수거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5 ng/mL의 TGF-β를 사용하였다. 수거된 배지에서의 콜라겐의 양은 ELISA Kit(Procollagen type I-peptide EIA kit, TAKARA, Lot No. AK35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실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생성능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2의 혼합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콜라겐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상기 일련의 결과들을 통하여,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혼합추출물이 NO 생성을 억제하고, TNF-α 발현 감소와 같은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알레르기 반응에서 발생하는 베타-헥소사미니다제(탈과립의 지표) 및 IgE의 발현을 감소시켜 항알레르기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능 및 피부 콜라겐 생성에 영향을 주어 손상된 피부의 재생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능은 2종 또는 3종의 혼합추출물에서 보다 4종의 혼합추출물에서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실시예 12의 혼합추출물(인진:계피:황금:황련=2:1:1:1)에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혼합추출물은 상기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2: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 용액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항염, 항알레르기, 항산화 및 콜라겐 생성 증가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TNF-α 및 IgE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타입 I 콜라겐 생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혼합추출물은 상기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2: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 용액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인진(Artemisia capillaris), 계피(Cinnamomum cassi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황련(Coptis japonica)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혼합추출물은 상기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을 2: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 용액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9035A 2019-07-23 2019-07-23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35A KR102213593B1 (ko) 2019-07-23 2019-07-23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35A KR102213593B1 (ko) 2019-07-23 2019-07-23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380A KR20210013380A (ko) 2021-02-04
KR102213593B1 true KR102213593B1 (ko) 2021-02-15

Family

ID=7455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035A KR102213593B1 (ko) 2019-07-23 2019-07-23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5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038B1 (ko) * 2008-06-09 2010-09-10 최양원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7361A (ko) * 2011-12-29 2013-07-09 김태권 피부질환개선용 약초조성물 추출방법
KR101996315B1 (ko) * 2016-03-18 2019-07-04 (주)셀아이콘랩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1925B1 (ko) * 2017-05-15 2018-01-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8108A (ko) * 2017-08-11 2019-02-21 (주)에스디생명공학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4163A (ko)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팩토리얼홀딩스 모링가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nnamomum cassia bark produced by solid-state fermentation with Phellinus baumii has the potential to alleviate atopic dermatitis-related symptom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35,2015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llergic Dermatitis, Journal of Life Science 2012 Vol. 22. No. 7. 958~963
Inhibitory effects of Cinnamomum cassia extract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duced by mite antigen in NC/Nga mice, J Ethnopharmacol, 133(2), pp.621-8(2010.10.28.)
아토피(atopy) 관련 특허(생명연구자원 활용) 분석,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KTR-201811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380A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Review on research of the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elosia argentea
JP6929954B2 (ja)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2647B1 (ko) 어성초 및 화산송이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94567B1 (ko) 곰보배추 특정 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정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ukim et al. Rivea hypocrateriformis (desr.) choisy: an overview of its ethnomedicinal uses, phyto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ies and prospective research directions
KR20120118188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944014B1 (ko) 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20210113640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xtract of aster ageratoides
KR10219785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213593B1 (ko) 인진, 계피,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5470B1 (ko) 금앵자를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95572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535396B1 (ko) 귤속 식물 과피를 이용한 미세먼지 자극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007728B1 (ko) 조릿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시약 조성물
KR100749675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1337525B1 (ko)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72637B1 (ko)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10141271A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101890220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인삼열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6204B1 (ko) 참배암차즈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KR10229739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기관지 염증 질환의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
KR102184867B1 (ko) 산돌배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