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534B1 - 슬라이딩 창문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534B1
KR102213534B1 KR1020180152403A KR20180152403A KR102213534B1 KR 102213534 B1 KR102213534 B1 KR 102213534B1 KR 1020180152403 A KR1020180152403 A KR 1020180152403A KR 20180152403 A KR20180152403 A KR 20180152403A KR 102213534 B1 KR102213534 B1 KR 10221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rame
window
weight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698A (ko
Inventor
신동율
Original Assignee
신동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율 filed Critical 신동율
Priority to KR102018015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5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with rectilinearly-moving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Deflector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틀프레임에 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딩 창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경우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며 닫히도록 상기 창문프레임을 타측방향으로 당기는 구동부; 및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창문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이 결착될 수 있는 결착부;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창문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 및 상기 창문프레임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으로 개방된 경우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며 닫히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창문{sliding window}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창문이 열린 경우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동부를 구비하되, 창틀프레임에 결착돌기를 구비하고, 창문프레임에는 결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결착부재를 구비하여 구동부에 의해 창문이 설정된 위치에 개폐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슬라이딩 창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슬라이딩 창문이란 창문프레임에 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되는 창문을 일컫는데, 자동 슬라이딩 창문의 경우 상기 창문의 개폐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냉장고 쇼케이스 등과 같이 상기 창문의 개방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의 닫힘은 무게추의 중량 등을 이용하는 타입도 존재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상기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상기 창문이 자동으로 닫힐 때 상기 창문의 관성력에 의해 상기 창문이 측부 창문프레임에 상당한 속도로 부딪혀 심한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의 경우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6-0092539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79978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인 슬라이딩 창문은 창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해 무게추의 중량을 이용하는데, 무게추, 와이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통해 상기 창문을 외력에 의해 개방 시킨 때에는 상기 무게추가 상승하고, 그 상승된 무게추가 그 중량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창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창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창문이 상기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자동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착부를 구비하여 환기를 위해 개방된 창문을 설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프레임에 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딩 창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경우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며 닫히도록 상기 창문프레임을 타측방향으로 당기는 구동부; 및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창문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이 결착될 수 있는 결착부;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창문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 및 상기 창문프레임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으로 개방된 경우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며 닫히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문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무게추의 이동 위치를 제어 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무게추가 상하 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이동 거리 및 위지가 조절되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문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착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상기 창문이 복귀하는 타측방향으로 홈이 생성될 수 있는 복수의 결착돌기; 상기 결착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창문프레임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구비되되, 창문프레임이 복귀하는 타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상승되게 경사진 돌기를 포함하는 결착부재;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착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로 함입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결착부재는 상기 결착돌기에 맞닿아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결착돌기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창문프레임이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문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은 창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해 무게추의 중량을 이용하는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창문을 외력에 의해 개방 시킬 때에는 상기 무게추가 상승하고, 그 상승된 무게추가 그 중량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창문이 닫히도록 구성되어 창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창문이 상기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자동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착부를 구비하여 환기를 위해 개방된 창문을 설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자동으로 상기 창문이 닫히도록 구성되어 창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의 결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1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10)은 창틀프레임(100), 창문프레임(200)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10), 수평프레임(120), 구동부(130), 및 결착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창문(10)은 창틀프레임(100) 및 창틀프레임(100)에 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딩 창문(10)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프레임(100)은 구동부(130)를 포함하는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창문프레임(2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결착돌기(171)를 포함하는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내부에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창문프레임(200)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경우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며 닫히도록 상기 창문프레임(200)을 타측방향으로 당기는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창문프레임(200)이 자동으로 상기 타측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 무게추(131), 및 상기 도르래와 무게추(131)를 연결하는 와이어(135)를 포함하여, 수직운동 및 수평운동을 상호 방향전환함으로써 상기 창문프레임(200)을 구동 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르래는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되, 상기 수평프레임(12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 구비되는 고정 도르래인 제1도르래(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르래는 상기 제1도르래(132)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도르래(132)과 상기 창문프레임(200)을 연동시킬 수 있는 제2도르래(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도르래(133)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고정되지 않은 움직도르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130)는 무게추(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131)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도르래(132) 및/또는 제2도르래(133)와 상기 와이어(1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1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게추(131)에 의한 중력(F=mg) 좌우 수평방향으로 전환하여 무게추(131)의 무게에 의한 창문프레임(200)의 복원력(F=Ma)으로 이용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르래의 원리상 고정 도르래인 상기 제1도르래(132)의 경우 힘의 방향(ex. 수직방향을 수평방향으로)을 바꿀 수 있으며, 움직도르래인 제2도르래(133)의 경우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낼 수 있으므로, 창문(유리를 포함한 창문프레임(200))의 무게(M)보다 작은 무게(m)를 갖는 무게추(131)에서 발생하는 중력(F=mg)으로 일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한 창문을 타측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복원력 F=Ma; M>m)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30)는 와이어(1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35)는 상기 무게추(131)와 도르래 및 창문프레임(200)을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와이어(135)는 창문프레임(2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 및 무게추(131)를 연결하는 줄로서, 상기 도르래의 원리에 의하여 무게추(131)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을 상측으로 전환시키는 전달체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와이어(135)는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창문프레임(200)의 일단부에 포함된 결속고리(210)로 고정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구비된 관통구(111)를 통해 상기 제2도르래(133)의 일측에 걸쳐서 방향을 전환한 후 1도르래를 감아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하단방향으로 연결되어 무게추(13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도르래(132)에 직접 연결되는 등 다양한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결속고리(210)는 상기 창문프레임(200)의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창문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135)가 관통될 수 있는 다른 관통구(22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창틀프레임(100)은 상기 무게추(131)의 이동 위치를 제어 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추(131)는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맞닿아 이동하여, 상기 무게추(1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벽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게추(131)의 이동 위치를 제어 할 수 있는 랙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131)는 무게추(131)는 상기 랙을 따라 맞닿아 이동하며, 상기 무게추(1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랙 앤 피니언 구동에 의해 즉, 상기 무게추(131)에 구비된 피니언이 상기 랙에 맞물려 구동됨으로써, 상기 무게추(131)의 좌우 흔들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추(131)의 상하 이동 간격을 상기 랙의 설정된 길이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무게추(131)가 삽입(일 예로 수용홈 형성)될 수 있는 스토퍼일 수 있으며, 하단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상하 이동되는 무게추(131)의 좌우 흔들림을 제한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높이만큼만 수직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무게추(13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를 포함할 경우 복원력에 의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어 창문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문(10)의 결착부(17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착부(170)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구비된 결착돌기(171), 창문프레임(200)에 구비된 결착부재(172) 및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창문프레임(200)이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결착부재(172)는 상기 결착돌기(171)에 맞닿아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결착돌기(171)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창문이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착돌기(171)는 창문프레임(200)이 복귀하는 타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하강 되게 경사진 돌기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상부측 및/또는 하부측에 복수개의 결착돌기(171)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되, 이격된 공간에 복수개의 홈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부재(172)는 상기 결착돌기(171)에 대응되는 상기 창문프레임(20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구비되되, 창문프레임(200)이 복귀하는 타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상승되게 경사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부재(172)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에서 창문프레임(200)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경사진 돌기는 탄성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창문프레임(200)을 용이하게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창문프레임(200)을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결착부재(172)의 경사진 돌기는 상기 복수의 결착돌기(171)가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으므로 상기 무게추(131)의 하강으로 상기 창문프레임(200)이 타측방향(ⓐ) 복귀하려는 힘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창문프레임(200)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된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상기 창문프레임(200)을 놓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착부(170)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착돌기(171)를 가압하여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부로 함입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착돌기(171)는 상기 결착돌기(171)의 일단부가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고정되되, 타단부는 회동 가능하게 상기 창틀프레임(100)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결착돌기(171)의 타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여 상기 결착부재(172)가 구비된 창문프레임(200)을 타측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복수의 결착돌기(171)의 타단부를 ⓒ에서 ⓓ방향으로 회동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결착돌기(171)의 타단부를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는 버튼의 일 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착부재(172)의 경사진 돌기는 상기 복수의 결착돌기(171)의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맞물려져 고정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착돌기(171)의 타단부를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에서 ⓓ방향으로 회동 시킬 경우, 상기 결착돌기(171)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부로 함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결착돌기(171)에 맞물려져 있던 결착부재(172)를 고정시키는 힘이 없어지므로 상기 창문프레임(200)은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의 사용자는 가압부재를 통해 상기 결착부재(172)를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함입 시킴으로써 상기 창문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ex. 걸쇠)은 상기 가압부재를 통해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상기 결착돌기(171)를 함입된 경우 이를 유지시키는 수단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상기 창문의 개폐상태를 센싱 할 수 있는 센서(15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게추(131)의 수직이동에 따라 타측으로 자동 복귀되는 창문프레임(200)이 완전히 복귀되지 않는 경우 리를 센싱하여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센서(150)는 상기 무게추(131)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무게추(131)와 접촉 및 비접촉 여부로 창문프레임(200)의 복귀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131)가 금속재료인 경우 금속이 일정거리내에 감지되나 접촉되지 않는 경우 창문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잠금상태에서 상기 무게추(131)가 비접촉된 경우 창문이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센싱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슬라이딩 창문
100: 창틀프레임
110: 수직프레임
111: 관통구
120: 수평프레임
130: 구동부
131: 무게추
132: 제1도르래
133: 제2도르래
135: 와이어
140: 가이드부재
150: 센서
170: 결착부
171: 결착돌기
172: 결착부재
200: 창문프레임
210: 결속고리

Claims (3)

  1.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프레임에 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딩 창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경우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며 닫히도록 상기 창문프레임을 타측방향으로 당기는 구동부; 및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창문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이 결착될 수 있는 결착부;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창문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래; 상기 창문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 및 상기 창문프레임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무게추의 이동 위치를 제어 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무게추가 상하 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이동 거리 및 위지가 조절되 수 있되,
    상기 수직프레임은,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를 내부에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 및
    하단에는 탄성력을 가진,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창문의 개폐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무게추의 좌우 흔들림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상기 창문이 복귀하는 타측방향으로 홈이 생성될 수 있는 복수의 결착돌기;
    상기 결착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창문프레임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구비되되, 창문프레임이 복귀하는 타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상승되게 경사진 돌기를 포함하는 결착부재;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착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로 함입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결착부재는 상기 결착돌기에 맞닿아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결착돌기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창문프레임이 자동으로 타측방향으로 복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문.

KR1020180152403A 2018-11-30 2018-11-30 슬라이딩 창문 KR10221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403A KR102213534B1 (ko) 2018-11-30 2018-11-30 슬라이딩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403A KR102213534B1 (ko) 2018-11-30 2018-11-30 슬라이딩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698A KR20200065698A (ko) 2020-06-09
KR102213534B1 true KR102213534B1 (ko) 2021-02-09

Family

ID=7108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403A KR102213534B1 (ko) 2018-11-30 2018-11-30 슬라이딩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2405A (zh) * 2022-09-26 2023-03-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滑门铰链结构、滑门系统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06B1 (ko) * 2011-04-07 2012-09-21 위점복 개방각 조절이 가능한 도어 개폐장치
JP2014101656A (ja) 2012-11-19 2014-06-05 Senyo Shokai:Kk 引戸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539A (ko) 2005-02-18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유전막-금속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1686727B1 (ko) * 2015-01-26 2016-12-15 박영근 도어 개폐장치
KR101848086B1 (ko) * 2016-07-28 2018-04-11 정영호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장치
KR101799784B1 (ko) 2016-12-16 2017-11-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조절 호차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06B1 (ko) * 2011-04-07 2012-09-21 위점복 개방각 조절이 가능한 도어 개폐장치
JP2014101656A (ja) 2012-11-19 2014-06-05 Senyo Shokai:Kk 引戸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698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3115B (zh) 用于车辆中心地板控制台中储存仓的滑动门
JP3887615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JP2017099852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KR102213534B1 (ko) 슬라이딩 창문
EP3440979A1 (en) Robot cleaner
KR10076784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US20060199714A1 (en) Support apparatus with height adjustment
WO2014114698A1 (en) Retractable screen device with autonomous, controlled speed lid opening
JP2011099270A (ja)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
JP4951287B2 (ja) 昇降吊戸棚
KR102422099B1 (ko) 냉장고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EP0210431B1 (en) Door-type closure device for wall-mounted furniture units
US835157A (en) Combined cupboard and dumb-waiter.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101714859B1 (ko) 개폐비닐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KR102157040B1 (ko) 휠 승강식 립스틱
JP51490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8191730A (ja) 多段抽斗キャビネットの防倒装置
JP2005336992A (ja) 閉止装置
US784554A (en) Window.
ITPN940033U1 (it) Apparecchio frigorifero verticale con chiusura perfezionata delle porte
KR102568255B1 (ko) 가구용 손잡이
JP6978374B2 (ja) フック棒の掛止具
JP2006207282A (ja) 電動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