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845B1 -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845B1
KR100767845B1 KR1020050104424A KR20050104424A KR100767845B1 KR 100767845 B1 KR100767845 B1 KR 100767845B1 KR 1020050104424 A KR1020050104424 A KR 1020050104424A KR 20050104424 A KR20050104424 A KR 20050104424A KR 100767845 B1 KR100767845 B1 KR 10076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guide
guide rail
image displa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845B1/ko
Priority to US11/483,544 priority patent/US7690620B2/en
Priority to CNA2006101086679A priority patent/CN1959852A/zh
Priority to EP06254439A priority patent/EP1783419B1/en
Priority to DE602006009456T priority patent/DE602006009456D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7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Angular and linear video display screen suppor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부품 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한 장점을 갖는다.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스탠드, 슬라이딩,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이용한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높낮이 조절 구조의 슬라이딩부 및 지지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측면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구조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구조의 슬라이딩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에서 I-I′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Ⅱ-Ⅱ′의 사시도이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10: 슬라이딩부
20: 가이드레일 30: 판스프링
40: 가이드부 42:가이드몸체
50: 지지부 60: 베이스부
70: 힌지부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는 일반적으로 스탠드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 때,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하나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를 상하로 움직이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높낮이 조절 구조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 조립체와 상기 힌지 조립체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립체 및 상기 슬라이드 조립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지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높이 조절부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 구조는 메탈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구조가 스크류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상대적으로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약하고, 조립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 구조는 메탈 재료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조립체와 높이 조절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높낮이 조절 구조를 둘러싸는 외관 부품을 별도로 구성하였는 바, 부품수가 많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 구조는 부품수가 많고 메탈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므로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 구조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스탠드의 베이스부에 세워진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의 무게 중심이 지지부의 중심부로부터 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의 무게로 인하여 스탠드가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품 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가 스크류로 체결되지 않음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강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구조가 형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의 무게 중심이 지지부와 가깝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안정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승강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며, 가이드 레일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제공되는 베이스부;및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가 포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의 부품 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 구조가 형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의 무게 중심이 지지부와 가깝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안정하게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구조를 이용한 스탠드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 조절 구조가 채용된 스탠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구조의 슬라이딩부와 지지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는 슬라이딩부(10)와 상기 슬라이딩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50) 및 상기 지지부(50)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60)로 구성된다.
이 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10)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 레일(20), 상기 가이드 레일(20) 내측 에 위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부(40) 및 가이드 레일(20)과 가이드부(4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움직임에 따라 신축되는 판스프링(30)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0)의 외측은 지지부(50)의 상측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20) 및 가이드부(4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 구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상하로 움직이고자 하는 경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 본체를 상하로 움직인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지지부(50)에 고정된 가이드부(40)가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40)가 움직이면 상기 가이드부(40) 상측에 위치된 판스프링(30)이 가이드부(40)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된다.
이 때,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상하이동을 멈추면 가이드부(40)가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신축되던 판스프링(30)도 멈추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30)이 멈춘 위치에서 판스프링(30)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력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30)이 정지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슬라이딩부(10)가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10)의 가이드 레일(20)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40)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부(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 본체의 무게 중심은 지지부(5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높낮이 조절 구조 자체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관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별도로 높낮이 조절 구조를 둘러싸는 부품이 사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 조절 구조와 비교할 때, 적은 부품으로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 슬라이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조를 도면을 달리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50)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60)에 고정된 지지대(51)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51)의 일 측면 상단부에는 슬라이딩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판스프링(30)의 상부가 위치되는 스프링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홈(54)의 하측에는 가이드부(4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58)가 가이드부(40)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홈(49)에 결합됨으로써 지지대(51)가 가이드부(4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드부와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형성된 슬라이딩부(10)의 가이드부(40)와 고정되도록 형성됨으로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상하로 움직일 때 가이드부(40)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지지부에는 지지부 상측에 힌지부가 마련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50)의 상측에는 힌지부(70)가 마련된다. 상기 힌지부는 회동체(71, 72)와 회동중심부(75)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40)의 외측면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회동체(71, 7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체(71, 72)의 일측은 가이드부(40)에 고정되고, 타측은 힌지축(73) 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체(71, 72)는 지지대(51)의 상측에 형성된 회동 중심부(75)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체(71, 72)의 일측에 고정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다.
지지부(50) 상측에 상기와 같은 힌지부(7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높낮이 조절 기능과 상하 회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하회동되는 힌지부를 갖춘 지지부를 예로 설명하였으며, 상기 지지부에 상하 회동 뿐 아니라 좌우 회동하는 힌지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구조의 슬라이딩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슬라이딩부(10)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슬라이딩부(10)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구조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0)과 상기 가이드 레일 내측에서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한 가이드 몸체(42)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는 배 면 고정부(11)에 결합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배면 고정부(11) 내측에는 탄성 부재(30)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로서 판스프링(30)이 사용된다.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몸체(42)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놓이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부(21)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2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의 상측으로의 가이드 한계를 규정하는 상측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하측단은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상측이 막히고 하측이 뚫린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측이 뚫린 것은 하측부에 가이드부가 위치되도록 하여 가이드부가 위치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부(21)의 내측에는 각각 가이드부(40)의 측면과 접하는 안내면(22)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안내면(22)은 가이드부의 측면부와 접하여 가이드부가 이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면으로써, 가이드 레일(20)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나란한 면으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면(22)의 배면측 하단부는 상기 배면 고정부(11)에 접하지 않고 상기 배면 고정부(1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22)의 하단부와 배면 고정부(11) 사이에는 가이드 몸체(42) 측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면(48)이 위치되어, 가이드 몸체(42)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돕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내부에는 가이드 레일 지지부(24)가 안내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 지지부(24)는 가이드 레일부(21)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때 가이드 레일부(21)를 지지하는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부(21)의 폭은 배면에 접하는 면이 상측부보다 넓도록 도 7에서 볼 때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가이드 레일부(21)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상기 가이드 레일부(21)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부(21)의 내측에는 가이드 레일(2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6)는 배면 고정부(11)의 가이드 레일 체결홈(29)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20)이 배면 고정부(1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배면 고정부(11)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배면 고정부(11)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21)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체결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 고정부(11)의 내측 하부에 판스프링(30)의 일측이 스프링 고정부(3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32)는 상기 판스프링(30)의 일측을 배면 고정부(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와 같은 스프링 고정부(32)는 본드와 같은 본딩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프링 고정부(32)는 판 스프링의 일측을 배면에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배면 고정부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판스프링, 가이드 몸체 및 가이드 레일을 직접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면 고정부가 별도로 형성되면, 슬라이드부 자체를 하나의 작동 요소로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다양한 형태의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인 판스프링(30)은 태옆과 같이 감기워져 있는 스프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 인장 스프링과 달리 항상 동일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판스프링(30)의 일측을 가이드 레일(20) 내측에 고정시키고 판 스프링(30)의 타측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연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장된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중을 지지도록 하면, 판스프링의 연장 길이와 상관없이 판스프링이 동일한 탄성력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스토핑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판스프링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또다른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판스프링(30)을 인장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20) 내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40)가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 레일(20) 사이에 놓이는 가이드 몸체(42)와 상기 가이드 몸체(42)의 상측 양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스프링 안내부(46), 및 상기 가이드 몸체(42)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20)의 내측에 놓이는 가이드면(48)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가이드부(40)의 하측에 놓이는 판스프링(30)을 밀어 연장시키는 푸셔(pusher)의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 몸체의 상단부에는, 도 6을 참조하면, 판스프링(30)의 하측에 접하여 판스프링의 하측을 밀어올리는 원호형의 스프링 푸싱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푸싱부(44)는 판스프링(30)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푸싱부(44)의 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몸체(42)의 상측 양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스프링 안내부(46)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안내부(46) 내측에 판스프링(30)이 위치된다. 상기 스 프링 안내부(46)의 돌출 길이는 판스프링(30)의 지름과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안내부(46)는 판스프링(30)이 인장되고 수축되는 동안 판스프링(30)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몸체(42)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면(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면(48)은 측면부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42)의 측면부(43)는 가이드 레일의 안내면(22)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측면부(43) 하측의 가이드면(48)은 가이드 레일(20)의 안내면(22)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2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가이드 몸체(42)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때 가이드 몸체(42)가 가이드 레일(20)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된다.
한편, 가이드 몸체(42)가 가이드 레일(20)의 하단부에 위치된 경우 가이드면(48)의 하단부는 가이드 레일(20)의 하단부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몸체(42)가 가이드 레일부(21)에 설치될 때 가이드 레일부(2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 몸체(42)의 외측 상부면에는 지지부(50)의 결합돌기(58)가 결합되는 지지부 결합홈(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홈(49)에 지지부(50)의 결합 돌기(58)를 끼움 결합함으로서 가이드 몸체(42)가 지지부(50)에 결합된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부 및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부 사이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매우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진다.
또한 가이드 레일부와 가이드부의 조립은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간의 돌기와 홈 사이의 결합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스크류가 느슨해질 염려가 없어 흔들림에 강한 높낮이 조절 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부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구조에서는 가이드 몸체(42)가 가이드 레일부(21)의 하단부에 위치할 때,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가 제일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사용자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 본체를 하측으로 밀어 내린다.
이와 같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본체가 하측으로 내려가면,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50)의 상측에 고정된 가이드 몸체(42)가 상대적으로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몸체(42)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올라가면, 상기 가이드 몸체(42)가 판스프링(30)을 밀어 올리게 된다. 판스프링(30)이 밀어 올려지면서 가이드 몸체(42)가 상승하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 본체가 하측으로 내려가 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사용자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 본체를 밀어 내리는 동작을 멈추면, 동작이 멈추어진 위치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는 위치 고정된다.
이는 상기 위치에서 판스프링(30)의 탄성력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과 동일하여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균형을 이룸으로써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길이 만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형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부품 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스크류로 체결되지 않음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강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의 무게 중심이 지지부와 가깝도록 형성됨으로써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보다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승강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며, 가이드 레일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제공되는 베이스부;및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부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가이드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의 전면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스프링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104424A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KR10076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424A KR100767845B1 (ko)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US11/483,544 US7690620B2 (en) 2005-11-02 2006-07-11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nd stand for display device
CNA2006101086679A CN1959852A (zh) 2005-11-02 2006-07-28 显示装置的高度调整装置和显示装置的支座
EP06254439A EP1783419B1 (en) 2005-11-02 2006-08-24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and stand for display device
DE602006009456T DE602006009456D1 (de) 2005-11-02 2006-08-24 Höhenverstellvorrichtung einer Anzeigevorrichtung und Ständer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424A KR100767845B1 (ko)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845B1 true KR100767845B1 (ko) 2007-10-17

Family

ID=3769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424A KR100767845B1 (ko)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90620B2 (ko)
EP (1) EP1783419B1 (ko)
KR (1) KR100767845B1 (ko)
CN (1) CN1959852A (ko)
DE (1) DE602006009456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2380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monitor mou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314B1 (ko) * 2006-06-01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CN101660650B (zh) * 2008-08-26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机构及采用该支撑机构的电子装置
JP4923121B2 (ja) * 2010-02-25 2012-04-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システム
US9103490B2 (en) * 2010-04-21 2015-08-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hassis, base, and negator spring
US9605792B2 (en) 2011-09-09 2017-03-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able display monitor stand
US10132442B2 (en) 2015-07-17 2018-11-20 Crestron Electronics, Inc. Constant friction rotating monitor stand
CN109345971B (zh) * 2018-12-21 2021-04-2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高度调整机构
CN110469757A (zh) * 2019-09-11 2019-11-19 韩勇 一种可视化交互式临床随访的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27Y1 (ko) 2002-03-12 2002-06-24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액정 모니터의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S285202A0 (en) 2002-06-07 2002-06-27 Claiteal Pty Ltd Stand for flat panel display
TW532735U (en) * 2002-06-25 2003-05-11 Benq Corp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flat monitor
US6702238B1 (en) * 2003-03-28 2004-03-09 Top Victory Electronics Co., Ltd.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US6712321B1 (en) * 2003-05-21 2004-03-30 Compal Electronics, Inc.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TWI273877B (en) * 2003-10-30 2007-02-11 Quanta Comp Inc Rail structure
TWI228372B (en) * 2003-10-30 2005-02-21 Quanta Comp Inc Plastic adjustable pedestal
JP4402448B2 (ja) * 2003-12-24 2010-01-20 株式会社新鋭産業 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用スタンド
US20050184215A1 (en) * 2004-02-19 2005-08-25 Lin Yu-Sen Spiral spring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stand
KR100531314B1 (ko) 2004-03-16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D504426S1 (en) * 2004-06-08 2005-04-26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Desktop computer
US7036787B1 (en) * 2005-02-04 2006-05-02 Taiwan Thick-Film Ind. Corp. Display strut adjusting structure
KR100682670B1 (ko) * 2005-11-0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KR100846898B1 (ko) * 2005-12-30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27Y1 (ko) 2002-03-12 2002-06-24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액정 모니터의 승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2380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monitor mount
US11822381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US11822379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3419B1 (en) 2009-09-30
EP1783419A2 (en) 2007-05-09
EP1783419A3 (en) 2008-01-02
DE602006009456D1 (de) 2009-11-12
US20070096001A1 (en) 2007-05-03
US7690620B2 (en) 2010-04-06
CN1959852A (zh)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84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
US7293747B2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KR100846898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845863B1 (ko) 모니터 스탠드
RU26204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и закрывания скользящей двери
KR10256555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155116B (zh) 显示器支架
KR20050044996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495158B2 (en)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a keyboard instrument cover
US6834919B1 (en) Drive bay cover and eject bracket
KR2006003435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EP1783983A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EP1403579B1 (en) Display apparatus
JP6914363B2 (ja) 折り畳みドア用の金具
KR101300990B1 (ko) 디스플레이 기기
US7681845B1 (en) Supporting stand having lifting and positioning means
US740927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height adjusting mechanism
JP2003177838A (ja) 窓口装置
JP4951287B2 (ja) 昇降吊戸棚
US20180283093A1 (en) Accessory of venetian blind
KR100578428B1 (ko) 이동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US20080067297A1 (en) Slid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04016720A (ja) 昇降式収納装置
US20070006379A1 (en) Safety bar for a batht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