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239B1 - 재난방재모 - Google Patents
재난방재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3239B1 KR102213239B1 KR1020190141415A KR20190141415A KR102213239B1 KR 102213239 B1 KR102213239 B1 KR 102213239B1 KR 1020190141415 A KR1020190141415 A KR 1020190141415A KR 20190141415 A KR20190141415 A KR 20190141415A KR 102213239 B1 KR102213239 B1 KR 102213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panels
- overlapping
- disaster prevention
- fold lin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8—Hats; Caps; Hoods made from a flat sheet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7/00—Fastening means for head coverings; Elastic cords; Ladies' hat fastener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한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재난방재모에 있어서, 상면패널(50), 상기 상면패널(50)의 전방측 변에 형성된 전방 절첩선(10a)을 통해 연접한 전면패널(10)과, 상기 상면패널의 후방측 변에 형성된 후방 절첩선(30a)을 통해 연접한 후면패널(30), 상기 전면패널(10)의 좌우측 변에 형성된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패널(11, 12)과, 상기 후면패널(30)의 후면좌우측 변에 형성된 좌우측 절첩선(30b, 30d)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패널(31, 32), 상기 전면패널(10)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면말단 절첩선(10c)을 통해 연접한 전면중첩패널(20)과, 상기 후면패널(30)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면말단 절첩선(30c)을 통해 연접한 후면중첩패널(40), 상기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측면말단 절첩선(11b, 12b)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중첩패널(21, 22)과, 상기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측면말단 절첩선(31b, 32b)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중첩패널(41, 42), 상기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 절첩선(11a, 12a)을 통해 연접한 측면패널(13, 14)과, 상기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절첩선(31a, 32a)을 통해 연접하여 상기 측면패널(13, 14)과 중첩 결합되는 측면중첩패널(33, 34), 및 상기 전측면중첩패널(21, 2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을 통해 연접한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과, 상기 후측면중첩패널(31, 3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후측면내측말단절첩선(41a, 42a)을 통해 연접한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을 포함하는 재난방재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한 부재, 대표적으로 종이재를 절첩하여 낙하하거나 비산하는 파편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재난재해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재난방재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작업시에나 재난재해시 장애물이나 낙하물로부터 중요 신체 부위인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략 반구형의 강화 플라스틱제의 방재모 또는 안전모(이하, "방재모"로 통칭하기로 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방재모는 부피가 크고 단단하기 때문에 휴대는 물론, 보관이나 수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96-0007231호 "다목적 걸이구를 구비한 안전모 보관대"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방재모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방재모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많은 학교 등에서는 이를 보관하기 위한 많은 공간을 요구하는 문제가 여전히 상주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재모를 운반하거나 유통시킬 때 큰 부피로 인하여 사용자들에게 나누어주거나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판지나 플라스틱 판 등을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하여 방재모를 조립하는 조립식 방재모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패널이 홑겹으로 이루어져 있어 낙하하는 파편에 대한 완충성이 낮아,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위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절첩 가능한 부재를 이용하여 방재모를 조립한 이후 방재모를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각자가 사물함이나 책상서랍 등에 작은 부피로 보관, 수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제시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판지나 플라스틱 판 등을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하여 방재모를 조립 가능하되, 두 겹 이상의 패널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낙하하는 파편에 대한 완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난방재모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한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재난방재모에 있어서, 상면패널(50), 상기 상면패널(50)의 전방측 변에 형성된 전방 절첩선(10a)을 통해 연접한 전면패널(10)과, 상기 상면패널의 후방측 변에 형성된 후방 절첩선(30a)을 통해 연접한 후면패널(30), 상기 전면패널(10)의 좌우측 변에 형성된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패널(11, 12)과, 상기 후면패널(30)의 후면좌우측 변에 형성된 좌우측 절첩선(30b, 30d)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패널(31, 32), 상기 전면패널(10)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면말단 절첩선(10c)을 통해 연접한 전면중첩패널(20)과, 상기 후면패널(30)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면말단 절첩선(30c)을 통해 연접한 후면중첩패널(40), 상기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측면말단 절첩선(11b, 12b)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중첩패널(21, 22)과, 상기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측면말단 절첩선(31b, 32b)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중첩패널(41, 42), 상기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 절첩선(11a, 12a)을 통해 연접한 측면패널(13, 14)과, 상기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절첩선(31a, 32a)을 통해 연접하여 상기 측면패널(13, 14)과 중첩 결합되는 측면중첩패널(33, 34), 및 상기 전측면중첩패널(21, 2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을 통해 연접한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과, 상기 후측면중첩패널(31, 3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후측면내측말단절첩선(41a, 42a)을 통해 연접한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을 포함하는 재난방재모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10)은, 하측에 연장 형성된 전면연장편(103)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면연장편(103)은 상기 전면말단 절첩선(10c)을 통해 상기 전면중첩패널(20)과 연접하고, 상기 전면패널(10)에서 연장된 상기 전면연장편(103)의 좌우측변은 경사져, 상기 전면말단 절첩선(10c)의 좌우측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중첩패널(20)의 좌우측 변은 상기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의 내측말단 변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난방재모(1)는 상기 측면패널(13, 14) 각각의 외측말단 변의 일부에 형성된 제2 외측말단절첩선(13a, 14a)을 통해 연접한 끼움날개편(17, 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중첩패널(33, 34) 각각은, 상기 끼움날개편(17, 18)이 삽입 가능하도록 끼움체결공(331, 34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난방재모(1)는 상기 상면패널(50)의 좌우측 변에 형성된 상면좌우측 절첩선(50a, 50b)을 통해 연접한 상면메움패널(51, 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난방재모(1)는, 조립된 상기 재난방재모의 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착용되는 내피(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10) 및 상기 후면패널(30) 각각은, 상기 내피(7)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1 내피체결공(101, 102, 301, 30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상기 전면중첩패널(20) 및 상기 후면중첩패널(40) 각각은, 상기 전면패널(10) 및 상기 후면패널(30)과 중첩시 상기 제1 내피체결공(101, 102, 301, 30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내피체결공(201, 202, 401, 40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및 상기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 각각은, 상기 재난방재모 조립시 상기 제1 및 제2 체결공과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31, 241, 431, 4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난방재모(1)는, 상기 측면패널(13, 14) 각각의 하측말단 변에 형성된 측면말단 절첩선(13b, 14b)을 통해 연접한 측면보강편(15, 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난방재모(1)는, 조립된 상기 재난방재모에 결속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턱에 걸쳐지는 턱끈(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패널(13, 14) 각각은, 상기 턱끈(61)과 결속하기 위한 제1 턱끈관통공(131, 141)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중첩패널(33, 34) 각각은, 상기 측면패널(13, 14)과 중첩시 상기 제1 턱끈관통공(131, 141)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턱끈관통공(332, 342)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보강편(15, 16) 각각은, 상기 측면패널(13, 14) 및 상기 측면중첩패널(33, 34)과 중첩시 상기 제1 및 제2 턱끈관통공(131, 141, 332, 34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턱끈관통공(151, 16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난방재모의 전개평면도에서, 상기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과 상기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 사이의 각도는 130 ~ 14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재모는, 판지나 플라스틱 판 등을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하여 방재모를 조립 가능하며, 방재모의 패널 대부분이 두 겹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낙하하는 파편에 대한 완충성이 높아,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절첩 가능한 부재를 이용하여 방재모를 조립한 이후에도 조립된 상태에서 압착 가능하여, 사용자 각자가 사물함이나 책상서랍 등에 작은 부피로 보관,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를 조립하기 위해 일부 패널을 접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상태의 재난방재모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의 내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된 상태의 재난방재모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를 조립하기 위해 일부 패널을 접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상태의 재난방재모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의 내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된 상태의 재난방재모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를 조립하기 위해 일부 패널을 접은 상태의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상태의 재난방재모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는, 소정 두께를 가진 절첩 가능한 부재를, 도 1 내지 3에 도시한 순서대로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하여 조립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첩 가능한 부재는, 두께가 약 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mm로 얇은 판지, 골판지 등 평판의 판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재에 얇은 금속박(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은, 동, 주석 또는 각종 합금 소재의 박지)이 외면에 적층되어 상기 판재가 화재에 대한 내화성을 갖거나, 물이 침투하여 젖지 않도록 내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패널(50)은 방형이되,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긴 장변(長邊)과 길이가 짧은 단변(短邊)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의 길이비율이 크고 약 4 ~ 5cm의 좁은 폭을 가진 장방형일 수 있다. 왜냐하면,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재난방재모(1)를 압착하였을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면패널(50)은 조립이 완성된 재난방재모(1)를 사용자가 착용할 때, 사용자의 정수리 부근에 위치하게되며, 상면패널(50)을 중심으로 전면패널(10), 전측면패널(11, 12), 측면패널(13, 14), 후측면패널(31, 32) 및 후면패널(30)이 둘러싸이도록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됨으로써, 재난방재모(1)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는, 상면패널(50)과, 상면패널(50)의 전방측 변에 형성된 전방 절첩선(10a)을 통해 연접한 전면패널(10)과, 상면패널(50)의 후방측 변에 형성된 후방 절첩선(30a)을 통해 연접한 후면패널(30)과, 전면패널(10)의 좌우측 변에 형성된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패널(11, 12)과, 후면패널(30)의 후면좌우측 변에 형성된 좌우측 절첩선(30b, 30d)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패널(31, 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방향에 관한 것, 일 예로 전면, 후면, 상측, 하측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었을 때,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후면, 상측, 하측 등을 정할 수 있다.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3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좌우측에 연접한 전측면패널(11, 12)과 후측면패널(31, 32)은 내각이 모두 예각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30)은, 바람직하게 전방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면패널(10) 또는 후면패널(30)의 하측 말단부에 연장 형성된 전면연장편(103) 또는 후면 연장편(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연장편(103) 또는 후면 연장편(303)은 상기 전면말단 절첩선(10c) 또는 상기 후면말단 절첩선(30c)을 통해 전면중첩패널(20) 또는 후면중첩패널(40)과 연접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전면말단 절첩선(10c) 또는 상기 후면말단 절첩선(30c)은 상기 전면연장편(103) 또는 후면 연장편(303)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이나 후면패널(30)은 상기 전면연장편(103) 또는 후면 연장편(303)만큼 면적이 넓어져 사용자의 얼굴이나 후두부의 보호면적을 넓힐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연장편(103) 또는 후면 연장편(303)의 좌우측변은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을 가져, 전면말단 절첩선(10c) 또는 후면말단 절첩선(30c)의 좌우측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중첩패널(20)은 좌우측 변에 인접한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과 간극을 갖고, 후면중첩패널(40) 역시 좌우측 변에 인접한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과 간극을 가짐으로써, 조립이 완성되었을 때, 전면중첩패널(20) 또는 후면중첩패널(40)이 그 좌우측에 인접한 전측면중첩패널(21, 22) 또는 후측면중첩패널(41, 42)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중첩패널(20) 또는 후면중첩패널(40)의 좌우측 변은 두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또는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 사이 또는 두 후면좌우측 절첩선(30b, 30d)(또는 후측면내측말단절첩선(41a, 42a)) 사이에 내재될 수 있다.
만약에 전면말단 절첩선(10c) 또는 후면말단 절첩선(30c)의 좌우측이 오목한 형상을 갖지 않아, 전면중첩패널(20)의 좌우측변이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의 연장선상에 놓이거나 후면중첩패널(40)의 좌우측변이 후면좌우측 절첩선(30b, 30d)의 연장선상에 놓이면, 전측면패널(11, 12) 또는 후측면패널(31, 32)을 두 겹으로 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측면중첩패널(21, 22) 또는 후측면중첩패널(41, 42)의 측변과 간섭이 발생하여, 조립이 완성된 상태의 재난방재모(1)가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을 따라 또는 후면좌우측 절첩선(30b, 30d)을 따라 접혀지기 어려워 형태가 용이하게 바뀌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면중첩패널(20) 또는 후면중첩패널(40)의 좌우측 변은 전개시 인접한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또는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의 내측말단 변 중 적어도 일부와 평행할 수 있다.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또는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은 조립 완성시 전면패널(10) 또는 후면패널(30)과 함께 삼중겹을 이루게 되며, 이때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또는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의 내측말단 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면중첩패널(20) 또는 후면중첩패널(40)의 좌우측 변과 평행하게 하면, 두 개의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또는 두 개의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이 절첩되었을 때 서로 대향하는 변이 간극 없이 마주할 수 있게 되어, 전면패널(10) 또는 후면패널(30)이 공백없이 낙하하는 파편에 대하여 삼중겹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면말단 절첩선(10c)을 통해 연접한 전면중첩패널(20)과, 후면패널(30)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면말단 절첩선(30c)을 통해 연접한 후면중첩패널(40), 그리고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측면말단 절첩선(11b, 12b)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중첩패널(21, 22)과, 상기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측면말단 절첩선(31b, 32b)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중첩패널(41, 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립이 완성된 재난방재모(1)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패널, 즉 전면중첩패널(20), 전측면중첩패널(21, 22), 후면중첩패널(40) 및 후측면중첩패널(41, 42)이 절첩되면, 전면, 전면의 좌우측면, 후면 그리고 후면의 좌우측면이 두 개의 패널로 중첩됨으로써 낙하하는 파편에 대하여 완충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은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과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에 의해 삼중겹을 이뤄,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전측면중첩패널(21, 2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을 통해 연접한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과, 후측면중첩패널(31, 3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후측면내측말단절첩선(41a, 42a)을 통해 연접한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또는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사다리꼴 형태의 전후면패널(10, 30)과 각각의 좌우측에 연접한 삼각형 형태의 전후측면패널(11, 12, 31, 32)에 의해 형성되는 재난방재모(1)의 형태와, 조립 완성시 각 면이 두 겹이상을 이루며, 완성 이후에도 전후방향으로 길쭉하게 또는 좌우방향으로 길쭉하게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과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 간의 사잇각(θ)는 130 ~ 14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3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는,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 절첩선(11a, 12a)을 통해 연접한 측면패널(13, 14)과,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절첩선(31a, 32a)을 통해 연접하여 상기 측면패널(13, 14)과 중첩 결합되는 측면중첩패널(33, 34)을 포함하여, 좌우측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면과 후면을 결합할 수 있다.
결국, 조립 완성된 재난방재모(1)의 좌우측면도 두 겹을 이뤄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면패널(50)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전면과 후면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측면패널(13, 14) 각각의 외측말단 변의 일부에 형성된 제2 외측말단절첩선(13a, 14a)을 통해 연접한 끼움날개편(17, 18)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끼움날개편(17, 18)에 상응하여, 측면중첩패널(33, 34) 각각은 상기 끼움날개편(17, 18)이 삽입 가능하도록 끼움체결공(331, 34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체결공(331, 341)은 박형의 절첩 가능한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길쭉한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끼움날개편(17, 18)을 상기 끼움체결공(331, 341)에 용이한 삽입을 위해, 끼워지는 방향의 전방폭이 좁은 대략 삼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면패널(13, 14)이 측면중첩패널(33, 34)과 중첩할 때, 하측변을 마감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턱끈(61)에 의해 작용하는 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갖기 위해, 측면패널(13, 14) 각각의 하측말단 변에 형성된 측면말단 절첩선(13b, 14b)을 통해 연접한 측면보강편(15, 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면패널(50)은 전방에 전면패널(10)이 연접하고, 후방에 후면패널(30)이 연접하기 때문에, 조립 형식의 재난방재모(1)는 상면패널(50)의 좌우측에 간극이 생길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면패널(50)은 좌우측 변의 상면좌우측 절첩선(50a, 50b)을 통해 연접한 상면메움패널(51, 52)을 더 포함하고, 조립시 상기 상면메움패널(51, 52)이 측면패널(13, 14)이나 측면중첩패널(33, 34)의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간극을 메워 간극 형성에 의해 외부 물질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의 내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는 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착용될 수 있는 내피(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피(7)는 조립이 완성된 재난방재모(1)의 내측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피(7)는 가요성을 가진 방형의 부재가 굽어진 형태이되, 굽어진 상태에서 내피전면(71)과 내피후면(72) 각각의 하측 말단부의 좌우양측에는 좌우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내피날개편(72, 73, 76, 7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ㅗ'자 형상의 내피전면(71)과 내피후면(72)이 중첩되도록 굽어 절첩된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내피전면(71)과 내피후면(72) 사이의 간극이 조정될 수 있도록 내피전면의 날개편(72, 73)과 이에 대향하는 내피후면의 날개편(76, 77)은 서로 탄성력을 가진 탄성수단(81, 82)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탄성수단(81, 82)은 내피전면의 날개편(72, 73)과 이에 대향하는 내피후면의 날개편(76, 77)에 걸쳐 결합되도록 상기 내피전면의 날개편(72, 73)과 이에 대향하는 내피후면의 날개편(76, 77)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탄성수단(81, 82)의 양단에는 내피날개편(72, 73, 76, 77) 각각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걸림구(81a, 81b, 82a, 82b)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피(7)를 조립된 재난방재모(1)의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30) 각각에는 내피(7)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1 내피체결공(101, 102, 301, 30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고, 전면중첩패널(20) 및 후면중첩패널(40) 각각 역시, 상기 전면패널(10) 및 상기 후면패널(30)과 중첩시 상기 제1 내피체결공(101, 102, 301, 30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내피체결공(201, 202, 401, 40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내피전면(71)과 내피후면(72)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 내피체결공(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3 내피체결공(711, 712, 722)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이 상기 제1 내지 제3 내피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조립된 재난방재모(1)와 내피(7)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및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에도 내피(7) 체결을 위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체결수단에 의해 내피(7)가 상기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및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과 고정되면, 재난방재모(1)의 형태 변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및 상기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 각각은, 재난방재모(1) 조립시 상기 제1 및 제2 체결공과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31, 241, 431, 4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면패널(10, 30)은 전후면중첩패널(20, 40) 및 전후면추가중첩패널(23, 24, 43, 44)과 함께 삼중겹을 이루되, 자유로운 재난방재모(1)의 형태 변형을 위해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및 상기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 각각의 내측말단변의 일부에는 요홈부 또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는, 조립된 상태의 재난방재모(1)에 결속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턱에 걸쳐지는 턱끈(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난방재모(1)에 턱끈(61)을 결속하기 위해, 측면패널(13, 14) 각각은 상기 턱끈(61)과 체결하기 위한 제1 턱끈관통공(131, 141)을 포함할 수 있고, 측면중첩패널(33, 34) 각각은 측면패널(13, 14)과 중첩시 제1 턱끈관통공(131, 141)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턱끈관통공(332, 3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보강편(15, 16) 역시 각각은 측면패널(13, 14) 및 측면중첩패널(33, 34)과 중첩시 상기 제1 및 제2 턱끈관통공(131, 141, 332, 34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턱끈관통공(151, 161)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턱끈(61)의 양단은 제1 내지 제3 턱끈관통공(131, 141, 151, 161, 332, 342)을 관통하여 결속되고, 상기 턱끈(61)이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선단부에는 선단마감구(63, 64)가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턱끈(61)의 양측선단 사이, 중간 부근에는 턱끈(61)이 사용자의 턱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임홀더(6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조임홀더(62)의 조작에 의해 조임홀더(62)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측선단까지의 길이와 타측선단까지의 길이가 조절되어 고정됨으로써, 사용자는 조임홀더(62)를 조작하여 재난방재모(1)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임홀더(62)의 윗부분, 즉 재난방재모(1)에 착용시 사용자의 턱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턱받침구(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턱받침구는 좌우 양측 각각에 형성된 구멍을 갖되, 턱끈(61)이 턱받침구의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턱받침구가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턱에 끈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재난방재모(1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임홀더(62)의 아랫부분, 일 예로 턱끈(61)의 가운데 부분에 확장모듈용고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모듈용고리는 재난방재모(1)가 사용자의 머리 보호 이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확장 모듈, 일 예로, 재난 발생시 그 사실을 널리 전파할 수 있는 호루라기나 피리 또는 어둠속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전방을 밝힐 수 있는 형광물질 또는 발광수단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고리일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된 상태의 재난방재모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재모(1)는 도 3과 같이 조립이 완성된 이후에도 조립된 상태에서 상면패널(50)의 폭만큼 전후방 간 압착이 가능하여, 사용자 각자가 사물함이나 책상서랍 등에 작은 부피로 보관, 수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재난방재모 10: 전면패널
101, 102, 301, 302: 제1 내피체결공 103: 전면연장편
11, 12: 전측면패널 13, 14: 측면패널
131, 141: 제1 턱끈관통공 15, 16: 측면보강편
151, 161: 제3 턱끈관통공 17, 18: 끼움날개편
20: 전면중첩패널 201, 202, 401, 402: 제2 내피체결공
21, 22: 전측면중첩패널 23, 24: 전면추가중첩패널
231, 241, 431, 441: 개구부 30: 후면패널
31, 32: 후측면패널 33, 34: 측면중첩패널
331, 341: 끼움체결공 332, 342: 제2 턱끈관통공
40: 후면중첩패널 41, 42: 후측면중첩패널
43, 44: 후면추가중첩패널 50: 상면패널
51, 52: 상면메움패널 61: 턱끈
62: 조임홀더 63, 64: 선단마감구
7: 내피 71: 내피전면
72: 내피후면 72, 73, 76, 77: 내피날개편
81, 82: 탄성수단 81a, 81b, 82a, 82b: 이탈방지걸림구
101, 102, 301, 302: 제1 내피체결공 103: 전면연장편
11, 12: 전측면패널 13, 14: 측면패널
131, 141: 제1 턱끈관통공 15, 16: 측면보강편
151, 161: 제3 턱끈관통공 17, 18: 끼움날개편
20: 전면중첩패널 201, 202, 401, 402: 제2 내피체결공
21, 22: 전측면중첩패널 23, 24: 전면추가중첩패널
231, 241, 431, 441: 개구부 30: 후면패널
31, 32: 후측면패널 33, 34: 측면중첩패널
331, 341: 끼움체결공 332, 342: 제2 턱끈관통공
40: 후면중첩패널 41, 42: 후측면중첩패널
43, 44: 후면추가중첩패널 50: 상면패널
51, 52: 상면메움패널 61: 턱끈
62: 조임홀더 63, 64: 선단마감구
7: 내피 71: 내피전면
72: 내피후면 72, 73, 76, 77: 내피날개편
81, 82: 탄성수단 81a, 81b, 82a, 82b: 이탈방지걸림구
Claims (9)
- 절첩 가능한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재난방재모에 있어서,
상면패널(50);
상기 상면패널(50)의 전방측 변에 형성된 전방 절첩선(10a)을 통해 연접한 전면패널(10)과, 상기 상면패널의 후방측 변에 형성된 후방 절첩선(30a)을 통해 연접한 후면패널(30);
상기 전면패널(10)의 좌우측 변에 형성된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패널(11, 12)과, 상기 후면패널(30)의 후면좌우측 변에 형성된 좌우측 절첩선(30b, 30d)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패널(31, 32);
상기 전면패널(10)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면말단 절첩선(10c)을 통해 연접한 전면중첩패널(20)과, 상기 후면패널(30)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면말단 절첩선(30c)을 통해 연접한 후면중첩패널(40);
상기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전측면말단 절첩선(11b, 12b)을 통해 연접한 전측면중첩패널(21, 22)과, 상기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하측 변에 형성된 후측면말단 절첩선(31b, 32b)을 통해 연접한 후측면중첩패널(41, 42);
상기 전측면패널(11, 1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 절첩선(11a, 12a)을 통해 연접한 측면패널(13, 14)과, 상기 후측면패널(31, 32) 각각의 외측말단 변에 형성된 제1 외측말단절첩선(31a, 32a)을 통해 연접하여 상기 측면패널(13, 14)과 중첩 결합되는 측면중첩패널(33, 34); 및
상기 전측면중첩패널(21, 2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을 통해 연접한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과, 상기 후측면중첩패널(41, 42) 각각의 내측말단 변에 형성된 후측면내측말단절첩선(41a, 42a)을 통해 연접한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
을 포함하는 재난방재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은, 하측에 연장 형성된 전면연장편(103)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면연장편(103)은 상기 전면말단 절첩선(10c)을 통해 상기 전면중첩패널(20)과 연접하고,
상기 전면패널(10)에서 연장된 상기 전면연장편(103)의 좌우측변은 경사져, 상기 전면말단 절첩선(10c)의 좌우측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중첩패널(20)의 좌우측 변은 상기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의 내측말단 변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13, 14) 각각의 외측말단 변의 일부에 형성된 제2 외측말단절첩선(13a, 14a)을 통해 연접한 끼움날개편(17, 18);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중첩패널(33, 34) 각각은, 상기 끼움날개편(17, 18)이 삽입 가능하도록 끼움체결공(331, 3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패널(50)의 좌우측 변에 형성된 상면좌우측 절첩선(50a, 50b)을 통해 연접한 상면메움패널(51, 5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재모는, 조립된 상기 재난방재모의 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착용되는 내피(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10) 및 상기 후면패널(30) 각각은, 상기 내피(7)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제1 내피체결공(101, 102, 301, 30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상기 전면중첩패널(20) 및 상기 후면중첩패널(40) 각각은, 상기 전면패널(10) 및 상기 후면패널(30)과 중첩시 상기 제1 내피체결공(101, 102, 301, 30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내피체결공(201, 202, 401, 40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추가중첩패널(23, 24) 및 상기 후면추가중첩패널(43, 44) 각각은, 상기 재난방재모 조립시 상기 제1 및 제2 체결공과 중첩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31, 241, 431, 4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13, 14) 각각의 하측말단 변에 형성된 측면말단 절첩선(13b, 14b)을 통해 연접한 측면보강편(15, 1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재모는, 조립된 상기 재난방재모에 결속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턱에 걸쳐지는 턱끈(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패널(13, 14) 각각은, 상기 턱끈(61)과 결속하기 위한 제1 턱끈관통공(131, 141)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중첩패널(33, 34) 각각은, 상기 측면패널(13, 14)과 중첩시 상기 제1 턱끈관통공(131, 141)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턱끈관통공(332, 342)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보강편(15, 16) 각각은, 상기 측면패널(13, 14) 및 상기 측면중첩패널(33, 34)과 중첩시 상기 제1 및 제2 턱끈관통공(131, 141, 332, 34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턱끈관통공(151, 1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재모의 전개평면도에서, 상기 전면좌우측 절첩선(10b, 10d)과 상기 전측면내측말단절첩선(21a, 22a) 사이의 각도는 130 ~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재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415A KR102213239B1 (ko) | 2019-11-07 | 2019-11-07 | 재난방재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415A KR102213239B1 (ko) | 2019-11-07 | 2019-11-07 | 재난방재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3239B1 true KR102213239B1 (ko) | 2021-02-08 |
Family
ID=7456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1415A KR102213239B1 (ko) | 2019-11-07 | 2019-11-07 | 재난방재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323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4460B1 (ko) * | 2006-10-18 | 2007-08-01 | 주식회사 제너시스 | 포장박스 |
JP3196406U (ja) * | 2014-12-25 | 2015-03-05 | 株式会社満点商会 | 簡易保護帽 |
JP2015061956A (ja) | 2013-08-19 | 2015-04-02 | 東洋物産工業株式会社 | 折り畳みヘルメット |
JP2017075415A (ja) | 2015-10-13 | 2017-04-20 |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 折り畳み式ヘッドプロテクタ |
JP2017089021A (ja) * | 2015-11-04 | 2017-05-25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折りたたみ式保護帽 |
JP2019073823A (ja) | 2017-10-16 | 2019-05-16 |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 ヘルメット |
-
2019
- 2019-11-07 KR KR1020190141415A patent/KR1022132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4460B1 (ko) * | 2006-10-18 | 2007-08-01 | 주식회사 제너시스 | 포장박스 |
JP2015061956A (ja) | 2013-08-19 | 2015-04-02 | 東洋物産工業株式会社 | 折り畳みヘルメット |
JP3196406U (ja) * | 2014-12-25 | 2015-03-05 | 株式会社満点商会 | 簡易保護帽 |
JP2017075415A (ja) | 2015-10-13 | 2017-04-20 |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 折り畳み式ヘッドプロテクタ |
JP2017089021A (ja) * | 2015-11-04 | 2017-05-25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折りたたみ式保護帽 |
JP2019073823A (ja) | 2017-10-16 | 2019-05-16 |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 ヘルメット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196406 U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89626C2 (ru) | Складной шлем | |
USD741594S1 (en) | Armband | |
WO2009040975A1 (ja) | スクリーン | |
US20110244438A1 (en) | Children's Musical Book | |
KR200493281Y1 (ko) | 접이식 투명 가림막 | |
KR102213239B1 (ko) | 재난방재모 | |
USD545030S1 (en) | Visor cap | |
ITMI20081356A1 (it) | Struttura di casco di protezione rinforzato. | |
JP4901205B2 (ja) | 折畳み式帽子 | |
TWM581354U (zh) | Electronic device | |
CN204203836U (zh) | 多尺寸通用平板电脑保护套 | |
JP3207645U (ja) | 簡易保護帽 | |
USD577156S1 (en) | Batting helmet | |
JP3224106U (ja) | 電子装置 | |
JP3181161U (ja) | 組み立て式簡易ヘルメット | |
JP7273648B2 (ja) | 防災頭巾 | |
KR200492760Y1 (ko) | 노트북 가방 | |
KR200460704Y1 (ko) | 네일아트용 스티커 포장체 | |
JP2017075415A (ja) | 折り畳み式ヘッドプロテクタ | |
JP5801758B2 (ja) | 簡易組立式の帽子 | |
KR102640577B1 (ko) |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를 위한 접이식 휴대형 헬멧 | |
JP7208638B2 (ja) | 簡易ヘルメット | |
JP6893229B2 (ja) | 折り畳み式ヘルメット | |
JP3140395U (ja) | 防災頭巾 | |
USD522563S1 (en) | Eyeglasses visor and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