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150B1 -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150B1
KR102213150B1 KR1020200029676A KR20200029676A KR102213150B1 KR 102213150 B1 KR102213150 B1 KR 102213150B1 KR 1020200029676 A KR1020200029676 A KR 1020200029676A KR 20200029676 A KR20200029676 A KR 20200029676A KR 102213150 B1 KR102213150 B1 KR 10221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mixture
composition
pres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레베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베코코 filed Critical (주)레베코코
Priority to KR102020002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며의 제공으로 두피의 피지 생성을 감소시켜 유수분 밸런스를 유지하고 두피의 표층을 구성하는 콜라겐 성분을 높게 유지하여 두피 건강에 기여하고 부작용 없이 탈모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and oats, and MSM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피지선은 안드로겐을 생성하고 대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겐은 지질합성 관여하는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 지질합성 경로를 촉진시키는데, 해당하는 효소로는 지방산 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fas)),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acetyl-CoA carboxylase (ACC)), 말산효소(malic enzyme), ATP-시트르산 분해효소(ATP-citrate lyase), 스테롤 조절인자(sterol-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REBP)) 등이 있다. 이런 지질대사 관련 효소들은 공통적으로 SRE라는 전사조절부위를 가지며, 안드로겐은 SRE에 결합하는 SREBP를 조절함으로써 위의 효소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두피의 모공은 피부 모공보다 약 3배정도 크고 피지를 분비하여 두피에 적절한 유수분 균형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피지 분비가 급격하게 늘어나면 지성 두피가 될 수 있으며, 모공 밖으로 흘러나온 피지는 두피에 퍼져서 얇은 막을 형성하고 각종 오염물질이 두피에 쌓여 세균 번식이 쉬운 환경이 된다. 이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모공 안에 염증이 발생하고 지루성두피염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두피 청결을 위한 세척은 분비된 피지를 제거하여 지루성두피염을 예방할 수 있으나, 지나친 세척은 오히려 두피 피지선을 자극할 수도 있다. 이에, 원천적으로 피지가 적절한 양의 지질을 생성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두피는 노출된 피부로서 지속적인 빛 노출, 스트레스 등과 같은 환경에 의한 노화와 콜라겐 분해 활성 및 콜라겐 재생성 약화 등과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한 노화를 동시에 겪는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외적 요인에 의한 노화와 내적 요인에 의한 노화 모두 콜라겐 분해효소(MMPs)의 발현 촉진, 프로콜라겐의 합성 감소, 결합조직의 손상과 같은 신호전달 경로를 포함한 중요한 분자적 특징을 공유한다고 보고된다. 또한, 노화에 의한 두피에 콜라겐 감소는 노인성 탈모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비타민 C를 두피의 표층에 전달하여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는 탈모방지 시도가 있으나, 메트릭스를 구성하는 콜라겐의 양은 그 합성 작용과 분해 작용의 조화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콜라겐 합성 유도와 함께 MMPs의 발현 저해 등을 통한 콜라겐 분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일반적으로 두릅나무과에 속하며 한국의 해남 완도와 같은 남부 해안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의 상록 활엽 교목이다. 겨울에도 낙엽이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노란 액체가 흘러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黃漆)이라고 한다. 황칠나무의 항염증 효과와 심혈관질환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으며 관련연구가 활발하나,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시키기 위한 용도를 뒷받침하는 연구는 알려진바 없다.
또한, 귀리(Avena Sativa L.)는 한해살이 풀로 줄기는 2~4개의 마디가 있고 잎은 줄모양이다. 씨에는 농마, 기름,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물질, 스테린(스티그마스테리, β -시로스테린, 콜레스테린)이 있고 이 밖에 (싱아산, 말론산, 에르코산), 쿠마린과 비타민 E가 있다. 지방 친화성이 있어, 동맥경화예방, 위장병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탈모 예방 등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바 없다.
또한, 식이유황(Methyl Sulfonyl Methane: MSM)은 34%의 황을 함유하는 dimethyl-sulfoxide(DMSO)의 산화대사 산물로서, 자연적 유기 형태의 생체이용이 가능한 황이다. 최근 식이유황의 염증 억제 효과가 알려지면서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황칠나무, 귀리, 및 식이유황의 두피 건강 유지와 개선의 효과 및 이를 두피에 적용하여 근본적인 탈모 예방의 효과는 알려진 바가 없다.
KR 10-2011-01305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피 건강을 유지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를 1:1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혼합물은 식이유황 1 중량부 기준으로 황칠나무 추출물 3~4 중량부 및 귀리 추출물 3~4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의 모공에서 피지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광노화를 예방함으로써 두피 건강을 유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두피 손상을 예방함으로써 두피 건강을 유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피의 광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피의 탄력 유지 및/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거나 적고, 모공의 피지 생성을 감소시켜 유수분 밸런스를 조화롭게 유지하며, 두피의 표층을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콜라겐 성분을 높게 유지하여 두피 건강에 기여하고 탈모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HaCaT 세포에서 각 혼합물의 독성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자외선을 조사한 HaCaT 세포의 생존률이 각 혼합물의 처리에 따라 개선되는 것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각 혼합물의 콜라게네이즈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자외선 조사에 따른 HaCaT 세포 내의 콜라겐 함량 변화를 sircol collagen assay ki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혼합물이 세포 내 지질 합성을 저해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두피의 유수분 밸런스를 유지하고 그 표층 매트릭스에 콜라겐 함량을 높게 유지하기 위한 천연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황칠나무, 귀리, 및 식이유황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혼합 비율 내의 혼합물에서 콜라게네이즈 활성 억제 효과,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 예방 효과, 자외선으로부터 세포 파괴 방지 효과, 및 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이유황 1 중량부 기준으로 황칠나무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 및 귀리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의 표층에서 콜라게네이즈 활성을 억제하고,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며 세포 외 기질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때, 혼합물의 바람직한 혼합 비율은 식이유황 1 중량부 기준으로 황칠나무 추출물 3 내지 4 중량부 및 귀리 추출물 3 내지 4 중량부이다.
본 명세서에서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이란 모공의 피지 분비 억제를 통한 유수분 밸런스 조절과, 자외선으로 인한 광노화 방지, 및/또는 두피 탄력 유지와 개선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의 탄력 유지 효과를 통해 탈모를 예방할 수 있으며,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통해 모낭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 및/또는 모낭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함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용제로는 헥산디올,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형이 토너제인 경우,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80, 에탄올, 방주제, 항료,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로션제인 경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트, 쉐어버터, 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린산, 카르복실비닐폴리머, 아르기닌, 방부제, 향료,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크림제인 경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피토스쿠알란, 호호바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트, 알로에버터, 밀납,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스테아린산, 카르복실비닐폴리머, 아르기닌, 디메치콘, 방부제, 향료,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줄기와 잎을 1:1로 혼합한 황칠나무의 건조물 100g을 70% 에탄올 1L에 침적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귀리분말 100g을 70% 에탄올 1L에 침적하여 48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50℃에서 여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귀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각 식물의 추출물과 식이유황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식이유황
혼합물 1 1 1 1
혼합물 2 1 2 3
혼합물 3 2 3 1
혼합물 4 3 2 1
혼합물 5 3 1 2
혼합물 6 4 3 1
혼합물 7 3 4 1
혼합물 8 4 2 1
혼합물 9 2 4 1
실시예 3. 혼합물의 세포 독성 평가
세포에 대한 혼합물의 독성을 알아 보고자 MTT assay를 진행하였다. 사람유래의 피부각질세포 (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을 이용하였으며, 배양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 (fetal bovine serum)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세포를 배양한 후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 시약을 각 well에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SO와 반응을 시켜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포의 생존률이 80% 이하면 독성이 존재한다고 판단이 되는데 식이유황 1 중량부 기준으로 황칠나무 1~4 중량부 및 귀리 1~4 중량부 혼합된 혼합물 모두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4.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생존률 확인
자외선은 특히 여름에 두피 손상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으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면 두피세포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가 일어난다. 이에 HaCaT 세포에 30 mJ/cm2 의 UV-B를 조사하여 세포노화를 유도하고, HaCaT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함으로써 각 혼합물의 상기 노화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UV-B는 UV lamp (BIO-LINK-CROSSLINKER) 제품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에서 세포의 생존률은 자외선 비조사군과 비교하여 약 76%로 감소하였지만, 혼합물의 처리에 의해 세포 생존률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실시예 5. 혼합물의 콜라게네이즈 억제 효과 평가
콜라겐은 결합조직에 존재하고, 고무와 같은 탄력성과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섬유 단백질로서 조직의 유연성 및 신축성에 관여하고 있다. 또한, 콜라겐은 두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물이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collagenase를 두피 건강 유지 및 탈모 예방 효과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Collagenase Inhition Assay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에 각 혼합물 2μL를 넣고 0.78 mM 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 100μL, 0.04 U/mL collagenase 100μL를 첨가하여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05 nm 파장에서 1분 간격으로 25번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합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ollagenase 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식이유황 1 중량부 기준으로 황칠나무 3~4 중량부 및 귀리 3~4 중량부 혼합된 혼합물에서 높은 collagenase 억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HaCaT 세포 내 콜라겐 양의 비교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세포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가 일어날 뿐만 아니라, 두피 탄력에 관여하는 콜라겐의 분해에 의한 노화도 함께 일어난다. 따라서 두피노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세포 내 콜라겐 양을 확인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 3.4에서는 HaCaT 세포에 각각 140 mJ/cm2 과 210 mJ/cm2 의 자외선 조사하고, Sircol collagen assay kit (Biocolor life science)을 이용하여 HaCaT 세포 내의 콜라겐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감소되었던 콜라겐의 함량이 혼합물에 의해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실시예 7. 세포 내 지질 합성 저해 효과 확인
피지선 세포(Human immortalized sebocyte, SZ95)를 6 well plate에 분주하고 배양한 후, 각 웰에 유리지방산 송치 혈청 알부민(fatty acid free bovine serum albumin), 소뇌하수체 추출물, 인간 상피 성장인자(human epidermal growth factor(hEGF)), 글루타맥스(glutamax), 젠타마이신(gentamicin)을 첨가한 배지와 분화유도를 위해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및 리놀레인산 (linoleic acid)를 첨가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분화를 유도시킨 후, 24시간 후 덱사메타손과 상기 혼합물 10μg/ml을 첨가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후 PBS로 세척하고 10% 포르말린(formalin)으로 1시간 동안 세포를 고정시킨 후, 60% 이소프로판올로 5분간 세척하고 ORO(Oil red O)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1시간 염색 후 곧바로 PBS로 3회 세척한 후 헤마토자일린(hematoxylin)으로 2분간 세포를 염색하고 바로 PBS로 4회 세척하고 슬라이드를 건조시켰다. 건조 후 마운팅 솔루션(mounting solution)을 떨어뜨려 고정시키고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 내 염색된 지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덱사메타손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TLA)와 덱사메타손을 첨가한 경우(Dexa), 덱사메타손을 처리할 경우 지질의 양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덱사메타손 및 혼합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Dex + Wintergreen 10), 덱사메타손에 의해 증가된 지질의 양이 혼합물 10μg/ml에 의해 확연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황칠나무 70% 에탄올 추출물, 귀리 70% 에탄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를 1:1로 혼합하여 추출된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식이유황 1 중량부 기준으로 황칠나무 추출물 3~4 중량부 및 귀리 추출물 3~4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공에서 피지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를 예방함으로써 두피 건강을 유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00029676A 2020-03-10 2020-03-10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76A KR102213150B1 (ko) 2020-03-10 2020-03-10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76A KR102213150B1 (ko) 2020-03-10 2020-03-10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150B1 true KR102213150B1 (ko) 2021-02-17

Family

ID=7473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76A KR102213150B1 (ko) 2020-03-10 2020-03-10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055A (ko) 2009-07-31 2011-02-09 김진만 피복을 벗기지 않은 전선과 전기단자의 압착체결방법, 장치, 단자.
KR20110078527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B1 (ko) * 2019-05-02 2019-08-29 주식회사 아이엘바이오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055A (ko) 2009-07-31 2011-02-09 김진만 피복을 벗기지 않은 전선과 전기단자의 압착체결방법, 장치, 단자.
KR20110078527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B1 (ko) * 2019-05-02 2019-08-29 주식회사 아이엘바이오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58B1 (ko)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KR101740097B1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7801B1 (ko)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4897B1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0006708A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老化剤および抗酸化剤
KR20110110052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2251854B1 (ko)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2254B1 (ko)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19120A (ko) 작약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2286679B1 (ko) 효소 처리된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3717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1371A (ko) 수선화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3150B1 (ko) 황칠나무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0453A (ko) 부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45955B1 (ko) 쥐손이풀 추출물, 윈터그린 추출물, 및 캐너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4677B1 (ko) 밤송이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16993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9114A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8084A (ko) 두충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126050A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8716B1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