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550B1 -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550B1
KR102212550B1 KR1020150120103A KR20150120103A KR102212550B1 KR 102212550 B1 KR102212550 B1 KR 102212550B1 KR 1020150120103 A KR1020150120103 A KR 1020150120103A KR 20150120103 A KR20150120103 A KR 20150120103A KR 102212550 B1 KR102212550 B1 KR 10221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chamber
partition wall
ai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732A (ko
Inventor
최원섭
정두석
서용교
최우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만앤휴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만앤휴멜코리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5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83Cylindrical, conical, oval, spherical or the like filter elements; wounded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는 엔진의 상면에 배치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키고, 흡기를 필터링하여 엔진흡기측에 공급하는 에어필터(300)를 장착할 수 있는 에어클리너 바디(200); 및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에어클리너 커버(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개수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 및 엔진 동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호스(4)를 제거하고, 돌출부(240)가 어댑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AIR-CLEANER INTEGRATED WITH ENGINE-COVER}
본 발명은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커버와 에어클리너를 일체화시키고 흡기계 전 부품을 일체로 성형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며, 미관 및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상품성 증대를 위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엔진 주위에서는 연료 분사 밸브, 캠축, 연료 펌프 등의 소음 발생원이 많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부품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엔진 커버가 이용된다. 한편, 최근의 차량은 상품성 증대를 위해 차량의 실내 공간을 넓게 확보하고, 따라서 엔진 룸 내부의 공간은 좁아지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엔진 룸 내부의 공간은 좁아짐에 따라 종래의 흡기계의 배관(EX 에어클리너, 레조네이터, 에어클리너 호스 등)은 3차원적으로 복잡하게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엔진 룸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고, 에어필터의 정비가 용이하지 않으며, 에어클리너 볼륨이 작아지게 되므로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테이크 호스(이하, 호스)로 인해 원가 및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1694호(2005.06.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커버와 에어클리너를 일체화시키고 흡기계 전 부품을 일체로 성형한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는 엔진의 상면에 배치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키고, 흡기를 필터링하여 엔진흡기측에 공급하는 에어필터(300)를 장착할 수 있는 에어클리너 바디(200); 및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에어클리너 커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측면에 수직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에 접촉되어 제 1 실(290)을 형성하는 제 1 격벽(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 및 상기 제 1 격벽(210)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에 접촉되어 제 2 실(270) 및 제 3 실(280)을 형성하는 제 2 격벽(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는 상기 제 1 격벽(2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실(270)과 상기 제 1 실(290)을 연통하는 제 1 격벽 관통공(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는 상기 제 2 실(270)의 일 측면 중 상기 제 1 격벽(210)의 맞은 편에 형성된 제 1 관통공(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는 상기 제 2 격벽(22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실(270)과 상기 제 3 실(280)을 연통하는 제 2 격벽 관통공(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 및 상기 제 1 격벽(210)으로부터 상기 제 2 격벽(22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 실(290)의 수직단면의 넓이의 차이을 형성하는 제 3 격벽(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상기 제 1 실(290)의 하면 중 상기 제 3 실(280) 측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돌출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는 상기 돌출부(24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 2 관통공(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필터(300)는 제 2 실(270)에 삽입되며, 측면이 방형인 실린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필터(30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에어필터 손잡이(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개수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 및 엔진 동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호스(4)를 제거하고, 돌출부(240)가 어댑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 에어필터를 삽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를 차량에 적용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서 단면비에 따른 소음 저감량을 설명하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 에어필터를 삽입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를 차량에 적용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 커버(100) 및 에어클리너 바디(200)를 포함한다.
에어클리너 커버(100)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와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각각 성형되어, 서로 융착됨으로서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는 후술할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제 2 실(270), 제 3 실(280) 및 제 1 실(290)의 상면이 된다.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엔진의 상면에 배치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킨다. 즉, 종래기술에서의 엔진 커버(1)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흡기를 필터링하여 엔진 흡기측에 공급하는 에어필터(300)가 장착되므로, 종래기술에서의 에어클리너(2)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후술할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제 3 실(280)은 흡기계의 공명음을 억제하는 소음장치로서, 종래기술에서의 레조네이터(resonater, 3)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제 1 격벽(210), 제 2 격벽(220), 제 3 격벽(230), 돌출부(240)를 포함한다.
제 1 격벽(210)은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측면에 수직하도록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 1 격벽(210)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에 접촉되어 제 1 실(29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격벽(210)은 일 측면에 형성된 제 1 격벽 관통공(21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격벽 관통공(211)은 제 2 실(270)과 상기 제 1 실(290)을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3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흡기는 제 1 격벽 관통공(211)을 통해 상기 제 2 실(270)에서 상기 제 1 실(290)로 전달된다.
제 2 격벽(220)은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 및 상기 제 1 격벽(210)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격벽(220)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에 접촉되어 제 2 실(270) 및 제 3 실(28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실(270)은 상기 에어필터(300)가 장착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 2 실(270)의 일 측면 중 상기 제 1 격벽(210)의 맞은편 측면에는 제 1 관통공(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공(250)은 상기 에어필터(300)를 상기 제 2 실(270)에 삽입하거나, 상기 에어필터(300)의 정비를 위해 상기 제 2 실(270)에서 분리할 때, 상기 에어필터(300)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도 4에서 덕트(5)를 통해 전달된 흡기는 상기 제 1 관통공(250)을 통해 상기 에어필터(300)의 외부로 전달되며, 이후 상기 에어필터(300) 내부로 필터링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 2 격벽 관통공(221)은 상기 제 2 격벽(220)의 일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격벽 관통공(221)은 상기 제 2 실(270)과 상기 제 3 실(280)을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덕트(5)를 통해 전달된 흡기는 상기 제 2 관통공(260)을 통해 상기 제 3 실(28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3 실(280)은 흡기계의 공명음을 억제하는 소음장치로서, 종래기술에서의 레조네이터(resonater, 3)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 3 격벽(230)은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 및 상기 제 1 격벽(210)으로부터 상기 제 2 격벽(22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격벽(230)은 상기 제 1 실(290)의 수직단면의 넓이의 차이을 형성하게 되고, 흡기계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돌출부(240)는 상기 제 1 실(29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40)는 상기 제 1 실(290)의 하면 중 상기 제 3 실(280) 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4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 2 관통공(2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관통공(260)이 형성된 상기 돌출부(240)는 엔진의 흡기 측에 압입되어 종래기술의 호스(4)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기술의 호스(4)를 제거하고, 돌출부(240)가 어댑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 에어필터를 삽입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필터(300)는 제 2 실(270)에 삽입되며, 측면이 방형인 실린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30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에어필터 손잡이(3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필터(300) 정비시 상기 제 1 관통공(250) 방향으로 상기 에어필터(300)를 슬라이딩하여 분리하고,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를 차량에 적용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덕트(5)를 통해 전달된 흡기는 상기 제 1 관통공(250)을 통해 상기 에어필터(300)의 외부로 전달되며, 이후 상기 에어필터(300) 내부로 필터링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동시에 덕트(5)를 통해 전달된 흡기는 상기 제 2 관통공(260)을 통해 상기 제 3 실(28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흡기계의 공명음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시킨다. 이후 상기 에어필터(3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흡기는 제 1 격벽 관통공(211)을 통해 상기 제 2 실(270)에서 상기 제 1 실(290)로 전달된다. 상기 제 1 실(290)로 전달된 흡기는 상기 제 3 격벽(2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 1 실(290)의 수직단면의 넓이의 차이에 의해 소음이 저감되어, 상기 돌출부(240)의 상기 제 2 관통공(260)을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엔진의 흡기측에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에서 단면비에 따른 소음 저감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TL은 단면비에 따른 소음 저감량을 의미하고, A1, A2는 유로 각각의 단면적을 의미하며, D는 유로의 지름을 의미하고, L은 유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를 적용한 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를 적용하지 않은 차량에 비해 차량 내 소음 저감량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엔진 커버
2 에어클리너
3 레조네이터
4 호스
5 덕트
6 쉴드
100 에어클리너 커버
200 에어클리너 바디
210 제 1 격벽
211 제 1 격벽 관통공
220 제 2 격벽
221 제 2 격벽 관통공
230 제 3 격벽
240 돌출부
250 제 1 관통공
260 제 2 관통공
270 제 2 실
280 제 3 실
290 제 1 실
300 에어필터
310 에어필터 손잡이

Claims (11)

  1. 엔진의 상면에 배치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키고, 흡기를 필터링하여 엔진 흡기측에 공급하는 실린더 형태의 에어필터(300)를 장착할 수 있는 에어클리너 바디(200); 및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에어클리너 커버(100);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격벽(210)을 매개로 상기 에어필터(300)가 장착되는 제2실(270)과, 상기 제 2 실(270)과 연통된 제 1 실(290)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 및 상기 제 1 격벽(210)으로부터 돌출된 제2격벽(220)을 매개로 상기 제 2 실(270)과, 상기 제 2 실(270)과 연통되어 흡기계의 공명음을 억제하는 제 3 실(28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실(290)에는 상기 에어필터(300)에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흡기를 흡기계로 배출하는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실(280) 측에 배치된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210)은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측면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실(290)과 제2실(270) 및 제3실(280)을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220)은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 및 상기 제 1 격벽(210)으로부터 각각 수직하게 돌출연장되고,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100)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실(270) 및 제 3 실(280)을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2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실(270)과 상기 제 1 실(290)을 연통하는 제 1 격벽 관통공(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270)의 측면 중 상기 제 1 격벽(210)의 맞은 편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필터(300)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제 1 관통공(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22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실(270)과 상기 제 3 실(280)을 연통하는 제 2 격벽 관통공(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200)의 하면 및 상기 제 1 격벽(210)으로부터 상기 제 2 격벽(22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 실(290)의 수직단면의 넓이의 차이을 형성하는 제 3 격벽(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0)는 상기 제 1 실(290)의 하면 중 상기 제 3 실(280) 측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0)는 자신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2 관통공(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30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에어필터 손잡이(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KR1020150120103A 2015-08-26 2015-08-26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KR10221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03A KR102212550B1 (ko) 2015-08-26 2015-08-26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03A KR102212550B1 (ko) 2015-08-26 2015-08-26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732A KR20170024732A (ko) 2017-03-08
KR102212550B1 true KR102212550B1 (ko) 2021-02-05

Family

ID=5840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103A KR102212550B1 (ko) 2015-08-26 2015-08-26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5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821A (ja) 2000-02-28 2001-08-3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ダクト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515U (ko) * 1997-01-16 1998-10-15 김정국 손잡이가 달린 필터 엘레멘트
JP3648365B2 (ja) * 1997-10-21 2005-05-18 株式会社 マーレ テネックス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20050061694A (ko) 2003-12-18 2005-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커버
KR20130013386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클리너와 레조네이터의 일체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821A (ja) 2000-02-28 2001-08-3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ダクト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732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3986A (zh) 用于内燃机的声音质量控制装置
US20120073539A1 (en) Integrated air intake system
EP1607616A3 (en) Filter box with resonator and reservoir
US9534570B2 (en) Air cleaner assembly with integrated acoustic resonator
US20040262076A1 (en) Fluid guideline, especially in the form of a tube for taking up untreated air in an air filter of a motor vehicle
CN105569775A (zh) 排气消声器及具有其的车辆
JP2012193691A (ja) 吸気ダクト
CN107781342A (zh) 具有两条通道的液压发动机架
KR102212550B1 (ko) 엔진커버 일체화 에어클리너
US20080072868A1 (en) Air cleaner for motorcycles
US9664149B2 (en) Insert type expansion pipe-integrated air cleaner and engine intake system therefor
KR200471422Y1 (ko)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JPH11336625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CN205190083U (zh) 空气滤清器总成
CN205654465U (zh) 一种进气引管结构、空气滤清器结构及汽车
KR101578826B1 (ko) 내연기관의 소음저감장치
JP2005048736A (ja) 内燃機関のサージタンク
JP6500747B2 (ja) 車両前部構造
DE102020127763A1 (de) Luftfiltervorrichtung in einem luftansaugsystem für einen motor und verfahren zur verwendung der vorrichtung
KR100758103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CN202370712U (zh) 空滤器和汽车
JP6289043B2 (ja) レゾネータ
KR20090123215A (ko) 공명기 일체형 에어크리너
JP6265060B2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KR101491264B1 (ko) 엔진오일의 역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