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917B1 -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917B1
KR102211917B1 KR1020200075778A KR20200075778A KR102211917B1 KR 102211917 B1 KR102211917 B1 KR 102211917B1 KR 1020200075778 A KR1020200075778 A KR 1020200075778A KR 20200075778 A KR20200075778 A KR 20200075778A KR 102211917 B1 KR102211917 B1 KR 10221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roller
rice
nurungji
b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창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다해미곡처리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다해미곡처리장(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다해미곡처리장(주)
Priority to KR102020007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의 연료로 사용되는 현미를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부드러워지게 함에 따라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가 보다 쉽게 물에 풀려 식감을 좋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현미를 물에 불린 후, 반 건조 상태에서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으깨어지게 함에 의해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가 보다 쉽게 물에 풀리게 한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for unpolished rice}
본 발명은 현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누룽지의 연료로 사용되는 현미를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부드러워지게 함에 따라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가 보다 쉽게 물에 풀려 식감을 좋게 할 수 있는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미를 물에 불린 후, 반 건조 상태에서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으깨어지게 함에 의해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가 보다 쉽게 물에 풀리게 한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미는 벼를 건조 및 탈곡한 후 왕겨를 벗긴 쌀로, 바깥쪽부터 과피(果皮)ㅇ종피(種皮)ㅇ호분층(糊粉層) 등의 쌀겨층과 쌀알의 기부(基部)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배(胚)와, 나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젖으로 이루어졌다.
현미의 표준적 화학조성은 수분 15.5%, 단백질 7.4%, 지질(脂質) 3.0%, 당질 71.8%, 섬유 1.0%, 회분 1.3%, 비타민 B1은 100g 중 0.54mg으로 당질(녹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단백질이나 지방은 적으며, 백미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고, 충해나 미생물의 해가 적으며, 영양분의 손실이 없다.
이에 근래에는 현미를 이용한 음식이 많이 공급되고 있으나, 현미는 맛이 백미보다 못하고 영양분이 충분히 소화ㅇ흡수되지 않으며, 밥짓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현미를 이용한 음식의 일예로 현미 누룽지가 있으며, 현미의 단점을 개성하기 우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이물질이 제거되고 깨끗이 세척된 보리와 현미를 12시간 미지근한 물에 넣어 불려준 후, 불려진 보리와 현미를 280℃의 강한 가스불로 보리는 30분간 푹 삶아주고 현미는 20분간 삶아준 다음, 삶아진 보리와 현미를 5℃의 차가운 물에 넣어 헹구어내고, 헹구어진 보리와 현미를 혼합시켜 찜솥에 넣고 25분간 가스불로 보리ㅇ현미밥을 지어낸 후, 지어낸 보리·현미 밥을 신속히 꺼내 소쿠리에 담고 밥의 끈적임을 없애기 위한 강한 수압으로 세척 작업에 들어가며, 세척된 보리ㅇ현미 밥을 150개의 누룽지 성형틀에 50g분량씩 떨어뜨려 1차 고르기로 누룽지 성형을 하고, 이어 2차 고르기로 다시한번 성형을 하여 누룽지 모양으로 완성을 시킨 다음 150개의 누룽지 성형틀에서 성형된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가 담긴 오븐을 220℃의 가스불에 서서히 돌려가면서 15분간 굽고, 온도조절을 하면서 약한 불로 서서히 가열시켜 누룽지를 익히며, 오븐에서 떼어낸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를 0℃의
냉각기 콘베어에 올려놓고 20m길이의 냉각기 콘베어를 통과시켜 1차 냉각키고, 1차 냉각시킨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를 에어컨 바람을 쐬여 2차 냉각을 시킨 후에 이물질 통과기를 통과시켜 이물질 제거 확인을 한 다음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를 50g 3개씩 포장지에 담아 밀봉포장을 시켜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를 제조하는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의 제조방법이고,
특허문헌 2는 현미를 처음 7시간동안 발아온도 23~26℃에서 침수하여 발아하고, 발아시간 8시간부터 32시간까지 발아온도 34~38℃에서 침수하여 발아현미를 제조한 후, 발아현미를 누룽지(10)로 굽되, 한면만 180~194℃에서 구워 갈변층(11)과 밥알층(12)의 이중층을 이루도록 누룽지를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가바성분이 증진된 기능성 발아현미누룽지의 제조방법이고,
특허문헌 3은 현미 누룽지에 있어서, 현미멥쌀과 현미찹쌀을 40~60중량% : 40~6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지은 현미밥과, 산양유를 85℃에서 10분 동안 중탕한 후, 이를 다시 35~40℃로 냉각하고 중탕한 산양유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38~42℃의 발효온도에서 8시간 동안 발효시켜 산양유 그릭요거트를 제조하고, 현미밥 100중량부에 산양유 그릭요거트를 20~30중량부로 혼합한 후 38~42℃의 온도에서 24~48시간 동안 발효시켜 유산균 발효 현미밥을 제조하며, 유산균 발효 현미밥을 누룽지 틀에 넣어 열 압착하여 제조하는 산양유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현미 누룽지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현미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미는 수분흡수율이 떨어져 만들어진 누룽지를 누룽지밥으로 만들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누룽지밥의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현미의 수분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4가 있다.
특허문헌 4는 과피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과, 내부의 전분층 및 쌀눈인 배아부로 이루어진 현미에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쌀겨층인 강층과 전분층 및 배아부를 갖는 현미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다수개의 가공요부를 갖고 가공요부에 결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현미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며 가공요부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고 현미의 폭보다 작은 가공장홈을 갖는 현미투입가공판; 현미투입가공판의 다수개 가공장홈 상부에 축결합되어 가공요부의 가공장홈에 위치된 현미를 가공요부에 밀착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갖는 밀착지지로울러; 및 현미투입가공판의 다수개 가공장홈 하부에 축결합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가공장홈을 통해서 현미 하부에 쌀겨층인 강층을 거쳐 전분층에 이르도록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하나 이상 형성시키는 스크래치날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갖는 스크래칭로울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현미 가공장치는 단순하게 현미의 표면에 홈을 형성한 것으로 수분이 흡수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혀 수분흡수율이 높아질 수는 있으나 현미의 내부까지 수분이 잘 흡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2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28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60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50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누룽지의 연료로 사용되는 현미를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부드러워지게(현미 내부에 균열이 생기게) 함에 따라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가 보다 쉽게 물에 풀려 식감을 좋게 할 수 있는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는 도정된 현미를 가압하여 으깨어진 현미를 제조하는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에 있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도정된 현미를 이동시키는 현미공급슈트; 상기 현미공급슈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현미를 가압하여 으깨는 것으로,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현미의 폭방향 높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되,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비틀림구동수단에 의해 다른 롤러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압착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미공급슈트에는 현미의 폭과 같은 폭으로 다수의 현미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롤러들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현미 처리방법은 상기한 현미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현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도정된 현미를 물이 침잠하여 불리는 불린 후, 반 건조한 상태에서 현미처리장치에 투입하여 현미의 표면이 으깨진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처리장치 및 현미 방법은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의 수분흡수율을 높여 보다 빠른 시간에 누룽지밥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현미를 물에 불린 후, 반 건조 상태에서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으깨어지게 함에 의해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가 보다 쉽게 물에 풀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의 일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롤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롤러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에 의해 으깨어진 현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에 의해 으깨어진 현미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현미를 물에 불린 후, 반 건조 상태에서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으깨어지게 함에 의해 현미로 만들어진 누룽지가 보다 쉽게 물에 풀리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정된 현미를 가압하여 으깨어진 현미를 제조하는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도정된 현미를 이동시키는 현미공급슈트(10); 상기 현미공급슈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현미를 가압하여 으깨는 것으로, 제1롤러(21)와 제2롤러(22)를 현미의 폭방향 높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되,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비틀림구동수단(23)에 의해 다른 롤러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압착롤러조립체(20)를 포함한다.
상기 현미공급슈트(10)는 이미 도정된 현미를 상기 압착롤러조립체(20)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압착롤러조립체(20)를 구성하는 두 롤러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롤러쌍들 사이에 현미공급슈트의 하단이 인접 설치되어 공급되는 현미가 롤러들 사이로 공급된다.
상기 현미공급슈트(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롤러조립체(20)를 구성하는 두 롤러들 사이에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현미가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현미이동홈(1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현미이동홈(11)은 현미의 폭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착롤러조립체(20)로 공급되는 현미가 길이 방향으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기 현미공급슈트(10)에는 미세한 홀이 형성되어 현미에 잔류하는 미분이 현미공급슈트를 통과하면이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미공급슈트(10)는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함에 따라 이에 의해 이동되는 현미가 모다 쉽게 아래쪽으로 이동되게 함은 물론 현미 중의 미분이 쉽게 아래쪽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압착롤러조립체(20)는 현미를 비비며 가압하여 현미가 으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롤러(21, 22)를 인접 배치하여 구성된다.
즉, 제1롤러(21)와 제2롤러(22)들이 서로 가까이 접한 상태로 배치하되 둘 사이의 틈이 현미의 굵기보다 작게 배치하여 공급된 현미를 가압하여 으깨어지게 함에 의해 현미 중에 균일이 생기게 하여 현미의 수분흡수율이 높아지게 한다.
상기 제1롤러(21)와 제2롤러(22)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비틀림구동수단(23)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양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회동되게 하여 다른 롤러와의 사이에 공급된 현미를 비비는 효과를 내게 하였다.
이하 제2롤러(22)를 회전과 동시에 회동되게 한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비틀림구동수단(23)은 제2롤러(22)를 자전과 동시에 비틀림 구동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그 일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롤러(22)의 일측단부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설치된 편심축(23s)를 구동모터(23m)로 회전시킴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자전하는 제1롤러(21)에 대하여 제2롤러(22)가 비비는 효과를 낼수 있다.
상기 제2롤러(22)의 타측 단부는 롤러중심에 구형으로 회전구를 설치하고 이 회전구를 축받이에 회전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편심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회전구를 중심으로 편심축이 설치된 단부가 회동되게 할 수 있다.
다른 비틀림구동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롤러(22)의 양단에 모두에 편심축(23s)을 설치하고, 이 편심축을 구동모터로 구동시켜 제2롤러가 제2롤러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롤러(22)는 자전하되, 제1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롤러와의 사이에 공급된 현미를 가압함과 동시에 비벼주는 효과를 낼수 있다.
물론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축(23s)과 모터축에는 풀리(23p)를 설치하여 구동모터(23m)의 동력을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미 처리장치는 상기 제1, 제2롤러들(21, 22)의 외주면에는 요철(21r, 22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을 형성함에 따라 현미와의 마찰력을 높여 현미를 비벼 으깨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현미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미 처리 방법은 도정된 현미를 물이 침잠하여 불리는 불린 후, 반 건조한 상태에서 현미처리장치에 투입하여 현미의 표면이 으깨진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미는 수분흡수율이 낮음에 따라 물에 침잠하되 물의 온도를 25도 이상에서 침잠하되 물이 끓어 현미가 익지 않도록 최고 온도를 50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침잠시간은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손으로 눌렀을 때 표면이 변형되는 정도가 될 정도가 되는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손으로 눌렀을 때 표면이 변형될 수 있는 상태에서 가압하여 으깰 경우 현미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가루가 될 수 있음에 따라 반건조 시킨 후 현미 처리 장치에 공급한다.
반건조 단계에서 건조되는 현미의 수분함량은 25 ~ 40%가 바람직하다.
반건조 현미의 수분함량이 상기 범위 이하가 될 경우 현미처리장치에 의해 가압 및 비벼지는 과정에서 현미가 깨져 분말화될 수 있고, 범위 이상이 될 경우에는 현미의 찰기에 의해 현미가 현미치리장치에 늘어 붙어 장치로부터 배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미의 연성에 수축된 후 다시 복원됨에 의해 으깨지는 효과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10: 현미공급슈트
11: 현미이동홈
20: 압착롤러조립체
21: 제1롤러 21m: 구동수단
22: 제2롤러
23: 비틀림구동수단 23s: 편심축
23m: 구동모터 23p: 풀리

Claims (4)

  1. 경사지게 설치되어 도정된 현미를 이동시키는 현미공급슈트(10); 상기 현미공급슈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현미를 가압하여 으깨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요철(21r, 22r)이 형성되고, 현미의 폭방향 높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롤러(21)와 제2롤러(22)를 포함하는 압착롤러조립체(20);로 구성되어, 도정된 현미를 가압하여 으깨어진 현미를 제조하는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21)와 제2롤러(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비틀림구동수단(23)이 설치되어 다른 롤러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현미공급슈트(10)에는 현미의 폭과 같은 폭으로 다수의 현미이동홈(11)이 형성되며,
    상기 비틀림구동수단(23)은 적어도 제2롤러(22)의 일측단부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설치된 편심축(23s)과, 상기 편심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m)로 구성되어 일정한 회전 중심에서 회전하는 제1롤러에 대하여 제2롤러의 양단이 제1롤러의 중심축과 어긋나도록 회동되면서회전하여 비비는 효과를 낼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현미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현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정된 현미를 물에 침잠하여 불린 후, 반 건조한 상태에서 현미처리장치에 투입하여 현미의 표면이 으깨진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방법.
KR1020200075778A 2020-06-22 2020-06-22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21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778A KR102211917B1 (ko) 2020-06-22 2020-06-22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778A KR102211917B1 (ko) 2020-06-22 2020-06-22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917B1 true KR102211917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778A KR102211917B1 (ko) 2020-06-22 2020-06-22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91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119A (ko) * 1983-10-21 1985-06-13 미쓰아끼 야마모도 즉석 취반용(炊飯用) 가공현미의 제법
KR100884036B1 (ko) * 2007-08-31 2009-02-18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20100018948A (ko) * 2008-08-08 2010-02-18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1285480B1 (ko) * 2012-06-01 2013-07-12 염지훈 가정용 현미 가공기
KR101290281B1 (ko) 2013-06-20 2013-08-07 박종복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60052817A (ko) 2014-09-30 2016-05-13 박병찬 가바성분이 증진된 기능성 발아현미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70066013A (ko) 2015-12-04 2017-06-14 엄재숙 산양유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현미 누룽지
KR20180005053A (ko) 2016-07-05 2018-01-15 김재석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119A (ko) * 1983-10-21 1985-06-13 미쓰아끼 야마모도 즉석 취반용(炊飯用) 가공현미의 제법
KR100884036B1 (ko) * 2007-08-31 2009-02-18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20100018948A (ko) * 2008-08-08 2010-02-18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1285480B1 (ko) * 2012-06-01 2013-07-12 염지훈 가정용 현미 가공기
KR101290281B1 (ko) 2013-06-20 2013-08-07 박종복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60052817A (ko) 2014-09-30 2016-05-13 박병찬 가바성분이 증진된 기능성 발아현미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70066013A (ko) 2015-12-04 2017-06-14 엄재숙 산양유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현미 누룽지
KR20180005053A (ko) 2016-07-05 2018-01-15 김재석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i et al. Pearl millet processing: a review
WO1993020715A1 (en) Methods for making tortilla chips and tortilla chips produced thereby
CN1319469C (zh) 生产米粉的方法及其应用
JP3623446B2 (ja) 軟化玄米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81062A1 (en) Process for Neutralizing Enzymes in Corn
US5447742A (en) High temperature/short tim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ime cooked corn derivatives
US10136665B2 (en) Method for producing quick-cooking rice and quick-cooking rice produced by the method
JPH03500250A (ja) 米をパーボイルする方法
KR102211917B1 (ko) 누룽지제조용 현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S6170949A (ja) 蒸煮炊飯装置
CN107333834A (zh) 一种以膨化玉米‑糙米为原料制备无麸质面包的方法
KR100788496B1 (ko) 현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ES2781250T3 (es) Sistema para convertir rápidamente granos de maíz crudos en una masa y productos terminados
JP6008256B2 (ja) 大麦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13762A (ko) 터널형 복합 오븐을 이용한 그래놀라 제조방법
JP4658836B2 (ja) 穀類コーティング用の糖化液及び該糖化液のコーティング方法
KR102558511B1 (ko) 견과류용 당액 코팅장치
KR101555346B1 (ko) 현미가공식품의 제조방법
CN209268624U (zh) 免浸渍蒸谷米加工设备
KR100333839B1 (ko) 저장성 및 식감을 증진시킨 유과 제조방법
KR102560381B1 (ko) 카카오 조청 및 그 제조 방법
JP5999564B2 (ja) パンの保湿及び老化抑制用組成物の製造方法
CN109452551A (zh) 免浸渍蒸谷米加工方法及其设备
KR20230076148A (ko) 곶감 한과 및 그 제조 방법
Singh et al.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millet dehusking and polishing process; an insight into pretreatment methods, machineries and impact on nutritional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