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706B1 -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 Google Patents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706B1
KR102211706B1 KR1020190010996A KR20190010996A KR102211706B1 KR 102211706 B1 KR102211706 B1 KR 102211706B1 KR 1020190010996 A KR1020190010996 A KR 1020190010996A KR 20190010996 A KR20190010996 A KR 20190010996A KR 102211706 B1 KR102211706 B1 KR 10221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rts
weight
elbow
pip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812A (ko
Inventor
유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우
Priority to KR102019001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7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본관이 끼움체결 되는 제 1관부; 상기 제 1관부와 내주연이 연통하면서 절곡되고 상기 제 1관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 1본관보다 직경이 작은 제 2본관이 끼움체결 되는 제 2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Elbow-type pipe fittings connecting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본 발명은 엘보형으로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시공에 사용하는 PVC관 등은 그 성형성이 양호하므로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통상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런 관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관을 순차적으로 매설해가면서, 각각의 관 하나 하나를 편수관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배관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관(편수관)은 다수 존재하며, 그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24489호에서는 일측 단부에 다른 편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에 패킹 장착을 위한 편수관용 패킹 장착부가 더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내주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 관단이 형성된 편수관; 원통 형태의 내주면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그 직경이 감소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외주면과, 후단에 상기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는 관단 접촉면이 형성된 전방삽입용 몸체와 상기 전방삽입용 몸체의 후단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편수관의 직각 관단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후방삽입용 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용 관단 장착부재가 장착된 편수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용이하게 관 간을 연결시공토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여건하에서 현장에서는 관 직경이 다른 관 간에 이음시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여건하에서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24489호
본 발명은 직경이 다른 관 간에 엘보형으로 연결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음부에서 침하, 파괴, 누수 등이 방지되어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엘보형 편수관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이하 "본 발명의 편수관"이라함)은, 제 1본관이 끼움체결 되는 제 1관부; 상기 제 1관부와 내주연이 연통하면서 절곡되고 상기 제 1관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 1본관보다 직경이 작은 제 2본관이 끼움체결 되는 제 2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2관부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1링부와 상기 제 2본관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2링부와 상기 제 1링부와 상기 제 2링부에서 돌출되며 절곡된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보정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2관부 및 상기 제 2본관을 축으로 회전하는 상기 보정구의 회전반경은 상기 제 1관부의 반경과 같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1관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제 1관부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상기 제 1관부의 내주연보다 더 큰 곡률을 형성하는 곡면이 상기 제 2관부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패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충격완화패드는, 친수성용액, 수지, 탄산수소칼륨, 대전방지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나노 비스무트 바나데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경을 달리하는 2개의 관들을 엘보형태로 연결할 때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면서 직경이 다른 관들이 연결에 의해서도 유체흐름저항을 최소화하고 이음부의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예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편수관(1)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본관(a)이 끼움체결 되는 제 1관부(11); 상기 제 1관부(11)와 내주연이 연통하면서 절곡되고 상기 제 1관부(11)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 1본관(a)보다 직경이 작은 제 2본관(b)이 끼움체결 되는 제 2관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편수관(1)은 직경이 다른 제 1본관(a)과 제 2본관(b)을 엘보형태로 연결토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관부(11)는 대구경의 제 1본관(a)이 체결되는 구성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관부(11)에는 상기 제 1본관(a)의 끝단부가 끼움체결 되는 체결턱(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턱(111)에는 그 내주연에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수밀링이 게재되도록 하여 상기 제 1관부(11)에 상기 제 1본관(a)이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수밀링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관부(12)는 상기 제 1관부(11)와 내주연이 연통하면서 상기 제 1본관(a)보다 직경이 작은 제 2본관(b)이 끼움체결 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 2관부(12)의 경우도 체결턱(121)이 형성되어 상기 제 2본관(b)이 체결턱(121)에 끼움체결이 되도록 하는 것이며, 여기서도 상기 체결턱(121)에는 그 내주연에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수밀링이 게재되도록 하여 상기 제 2관부(12)에 상기 제 2본관(b)이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편수관(1)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관부(11)와 제 2관부(12)가 직경이 달라 단차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차의 형성에 의해 단차부분에 메워진 토사는 다짐이 용이하지 않아 특히 제 2본관(b)에 작용하는 상재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지기가 용이하며 이 경우 제 2본관(b)의 처짐, 편수관(1)으로 누수, 편수관(1)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정구(13)가 더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상기 보정구(13)는 상기 제 2관부(12)의 외주연에 회전가능 하도록 체결되는 제 1링부(131)와 상기 제 2본관(b)의 외주연에 회전가능 하도록 체결되는 제 2링부(132)와 상기 제 1링부(131)와 상기 제 2링부(132)에서 돌출되며 절곡된 형상의 지지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링부(131)와 상기 제 2링부(132)는 각각 상기 제 2관부(12)의 외주연 및 상기 제 2본관(b)의 외주연에 회전가능 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대(133)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각 단이 상기 제 1링부(131) 및 상기 제 2링부(132)에 고정되어 상기 제 1링부(131)와 상기 제 2링부(132)와 일체로 회전연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지지대(133)가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유는 시공여건 등에 따라 제 1본관(a)에서 제 2본관(b)이 연결되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 1본관(a)에서 제 2본관(b)이 연결되는 각도에 구애됨 없이 지지대(133)가 제 2본관(b)의 하방향에 위치하면서 제 2본관(b) 및 제 2관부(12)를 지지하여 단차로 인한 상재하중에 대한 저항성의 저하를 제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관부(12) 및 상기 제 2본관(b)을 축으로 회전하는 상기 보정구(13)의 회전반경(d2)은 상기 제 1관부(11)의 반경(d1)과 같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본관(a)과 제 2본관(b)이 본 발명의 편수관(1)에 의한 이음시공시 우선 지반을 굴착하여 시공될 위치에 토사면(g1)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 1본관(a)과 제 2본관(b)이 본 발명의 편수관(1)에 의한 이음시공후에 제 1본관(a), 제 2본관(b) 및 본 발명의 편수관(1)이 매립되도록 상부에 토사면(g2)이 형성되도록 매립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33)는 토사면(g1)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사후적으로 제 2본관(b)의 하부로서 상기 토사면(g1)상부에 충진되는 토사가 헐거워져 상재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지더라도 제 2본관(b) 및 제 2관부(12)가 지지대(133)에 의한 지지력이 유지되어 제 2본관(b) 및 제 2관부(12)에 작용하는 상재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후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구조적 건전성의 저하포인트를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정구(13)는 상기 제 1링부(131) 및 상기 제 2링부(132)에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 2본관(b) 및 제 2관부(12)에 탄성에 의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편수관(1)은 내부에서 직경이 다르며 엘보형으로 연결된 본관(a,b) 간에 유체의 유동이 형성되어 특히 제 1관부(11) 내주연이 곡면으로 형성되더라도 제 2관부(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곡률이 작아 유체의 충돌에 의한 편수관(1)에 진동유발은 불가피하며, 이러한 편수관(1)에 부가된 진동은 피로균열, 누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토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관부(11)의 내주연에는 상기 제 1관부(11)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상기 제 1관부(11)의 내주연보다 더 큰 곡률을 형성하는 곡면(141)이 상기 제 2관부(12)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패드(14)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완화패드(14)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관부(11)의 내주연보다 더 큰 곡률을 형성하는 곡면(141)에 의해 유체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완화시키도록 하여 편수관(1)에 진동의 발생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충격완화패드(113)는 제 1관(11) 및 제 2관(12)을 구성하는 기본 재질보다 연질의 재질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완화패드(14)에는 그 내주연에 친수성용액, 수지, 탄산수소칼륨, 대전방지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나노 비스무트 바나데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친수성용액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에탄올, 질산, 물, 티타늄 알콕사이드를 혼합하여 교반하여 제조토록 할 수 있다. 배합은 에탄올 100중량부에 대해 물 10 내지 50중량부, 질산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100 내지 200℃로 3 내지 8시간 정도 교반하여 친수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친수성용액에 기반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충격완화패드(14)에 이물질침적, 결로발생 등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수지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친수성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정전기의 발생에 의한 표면에 이물질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다양한 공지의 재질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산수소칼륨이 첨가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조성들에 의해 페이스트가 경화하는 과정에서 급격히 경화가 이루어지면 페이스트에 온도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칼륨은 열을 흡수하여 경화가 더디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도균열을 제어토록 하고 경화가 더디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평활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탄산수소칼륨만을 첨가하는 경우는 경화지연에 의해 공기가 지연될 수 있고 특히 재료분리 등에 의한 평활도저하, 물성저하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탄산수소칼륨에 더하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가 첨가되도록 하는데,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로닉산의 결합으로 얻은 천연의 뮤코폴리사카라이드로서 끈적거리는 점액질의 유동성 물질로 상기 탄산수소칼륨에 의해 경화를 지연시키면서도 조성들간을 가교함으로써 재료분리를 방지토록 하여 평활도를 향상시키도, 균일한 물성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유기물을 분해토록 함으로써 항균작용이 발현되도록 하는 무기물로서 나노 비스무트 바나데이트가 포함되도록 하는데 나노 비스무트 바나데이트는 광촉매작용과 유사하게 유기물을 분해토록 하여 항균작용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항균기능이 발현되면서 자외선차단기능도 발현토록 하여 보관과정에서 자외선에 의해 물성이 변질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층은 친수성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수지 50 내지 80중량부, 탄산수소칼륨 1 내지 10중량부, 대전방지제 1 내지 3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 내지 3중량부, 나노 비스무트 바나데이트 1 내지 3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본 발명의 편수관 11 : 제 1관부
12 : 제 2관부 13 : 보정구
14 : 충격완화패드

Claims (5)

  1. 제 1본관이 끼움체결 되는 제 1관부; 및
    상기 제 1관부와 내주연이 연통하면서 절곡되고 상기 제 1관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 1본관보다 직경이 작은 제 2본관이 끼움체결 되는 제 2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관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제 1관부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상기 제 1관부의 내주연보다 더 큰 곡률을 형성하는 곡면이 상기 제 2관부의 내주연과 연하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패드가 더 구성되되,
    상기 충격완화패드는,
    친수성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수지 50 내지 80중량부, 탄산수소칼륨 1 내지 10중량부, 대전방지제 1 내지 3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 내지 3중량부, 나노 비스무트 바나데이트 1 내지 3중량부 포함하는 코팅층이 도포되어, 상기 탄산수소칼륨이 경화열을 흡수하여 페이스트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균열을 제어하면서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가 탄산수소칼륨의 첨가로 인한 경화지연 문제를 개선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부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1링부와 상기 제 2본관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2링부와 상기 제 1링부와 상기 제 2링부에서 돌출되며 절곡된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보정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부 및 상기 제 2본관을 축으로 회전하는 상기 보정구의 회전반경은 상기 제 1관부의 반경과 같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0996A 2019-01-29 2019-01-29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KR10221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996A KR102211706B1 (ko) 2019-01-29 2019-01-29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996A KR102211706B1 (ko) 2019-01-29 2019-01-29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812A KR20200093812A (ko) 2020-08-06
KR102211706B1 true KR102211706B1 (ko) 2021-02-04

Family

ID=7204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996A KR102211706B1 (ko) 2019-01-29 2019-01-29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7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6B2 (ja) * 1992-06-18 2001-02-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顕微全反射吸収スペクトル測定装置
JP2005106162A (ja) * 2003-09-30 2005-04-21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パイプの保持構造
KR200434236Y1 (ko) * 2006-09-14 2006-12-18 김석수 이경관 연결구
KR101195067B1 (ko) * 2010-07-16 2012-10-29 이종태 소음과 방염기능이 향상된 파이프 및 파이프이음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6U (ja) * 2007-08-18 2007-11-01 株式会社竹綱製作所 配管用支持固定金具
KR101224489B1 (ko) 2010-10-21 2013-01-22 (주)와이디아이 편수관, 및 편수관과 이음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6B2 (ja) * 1992-06-18 2001-02-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顕微全反射吸収スペクトル測定装置
JP2005106162A (ja) * 2003-09-30 2005-04-21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パイプの保持構造
KR200434236Y1 (ko) * 2006-09-14 2006-12-18 김석수 이경관 연결구
KR101195067B1 (ko) * 2010-07-16 2012-10-29 이종태 소음과 방염기능이 향상된 파이프 및 파이프이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812A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22272U (zh) 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
KR102211705B1 (ko)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편수관
KR102211706B1 (ko)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하는 엘보형 편수관
BR112012027801B1 (pt) conjunto de bucha de mancal, módulo para um sistema de direção, sistema de direção e emprego de um conjunto de bucha de mancal
KR102217481B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102250817B1 (ko) 배관 보호용 커버
CN205716047U (zh) 直埋供热管道的阀门井防水装置
US20160069491A1 (en) Self-adjusting piping system for allowing and absorbing seismic movements of pipelines
CN209163834U (zh) 一种隧道抗震阻尼钢管片及钢管节
CN211351590U (zh) 波纹管
CN211947893U (zh) 适用于跨河管桥铺设的桥座结构
CN107084249A (zh) 也阀
CA2981283A1 (en) Fatigue life extender
US20190040981A1 (en) Irrigation boot assembly
CN207959065U (zh) 一种采用再生橡胶制备的防撞旋转筒
CN210424021U (zh) 一种市政排污、排水用高模量聚丙烯双壁波纹管
CN207750604U (zh) 一种排水沟用埋地波纹管
CN213479494U (zh) 一种防扭转钢塑转换管件
CN210830805U (zh) 刚性防水穿墙套管安装结构
KR101086666B1 (ko) 이중벽관의 원터치 연결구조
CN213773382U (zh) 管道活动接头、碎石输送管道及沉管隧道整平系统
JP7426700B2 (ja) 配管分岐構造、配管揺動補助具、分水栓、分水栓セット
CN205388189U (zh) 一种新型灌排塑胶管
CN217899104U (zh) 一种定位防脱增强型承插连接结构
CN217559239U (zh) 复合管管节及包含其的管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