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368B1 - 증압장치 - Google Patents
증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9368B1 KR102209368B1 KR1020197032978A KR20197032978A KR102209368B1 KR 102209368 B1 KR102209368 B1 KR 102209368B1 KR 1020197032978 A KR1020197032978 A KR 1020197032978A KR 20197032978 A KR20197032978 A KR 20197032978A KR 102209368 B1 KR102209368 B1 KR 102209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pair
- chambers
- valve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9/00—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 F15B9/02—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 F15B9/08—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controlled by valves affecting the fluid feed or the fluid outlet of the servo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30565—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a single output member, e.g. for creating higher valve function by use of multiple valves like two 2/2-valves replacing a 5/3-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5—Control during speci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증압장치(10)는, 센터 유닛(20)의 양쪽에 제공되는 한 쌍의 실린더(12a, 12b)와, 한 쌍의 실린더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피스톤(14a, 14b)과, 피스톤을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26)를 구비하며, 각각의 실린더(12a, 12b)는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구동 챔버(34a, 34b)와 증압 챔버(36a, 36b)를 가지며, 증압장치는, 각각의 피스톤과 맞닿음으로써 전환되는 전환 밸브(18)와, 공급 포트(45)를 한 쌍의 구동 챔버 중 하나에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는 리셋 밸브(98)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스톤의 왕복 동작에 의해 압력유체를 증압하여 출력하는 증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센터 유닛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으로 제공된 실린더와, 이러한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일체로 왕복운동시키는 로드를 구비한 증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증압장치에서는, 실린더가 피스톤에 의해 내측의 증압 챔버와 외측의 구동 챔버로 구획되어 있다. 전환 밸브로부터 일측의 구동 챔버에 압축공기가 공급됨으로써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일측의 실린더의 증압 챔버 내의 압축공기는 증압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피스톤이 스트로크 종단 가까이 가면 전환 밸브가 전환되어, 이번에는, 타측의 실린더의 구동 챔버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이 타측의 실린더의 증압 챔버 내의 압축공기가 증압되어 출력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압력유체를 증압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증압장치의 전환 밸브의 분야에 있어서, 파일럿 챔버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함으로써 작동하여 구동용의 압축공기를 한 쌍의 구동 챔버에 전환하여 출력하는 메인 밸브와, 피스톤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작동하여 파일럿 챔버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파일럿 밸브로 이루어지는 전환 밸브를 제안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 평10-267002호 공보 참조).
본 발명은, 전술한 제안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급되는 유체 압력의 저하 등에 의해 전환 밸브가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더라도 용이하게 재기동할 수 있는 증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장치는, 센터 유닛과, 상기 센터 유닛의 양쪽에 제공되는 한 쌍의 실린더와, 한 쌍의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피스톤과, 한 쌍의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와,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와, 증압된 압력유체가 출력되는 출력 포트와, 압력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구동 챔버와 증압 챔버를 각각 가지며, 상기 증압장치는, 각각의 상기 피스톤과 맞닿음으로써 전환되어 한 쌍의 상기 구동 챔버의 일측 또는 타측을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고 한 쌍의 상기 구동 챔버의 타측 또는 일측을 상기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전환 밸브와, 상기 공급 포트와 한 쌍의 상기 구동 챔버 중 하나를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는 리셋 밸브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증압장치에 의하면, 공급되는 유체 압력의 저하 등에 의해 전환 밸브가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더라도 용이하게 재기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증압장치에 있어서, 전환 밸브는, 센터 유닛 내에 조립되며, 피스톤과 각각 맞닿음 가능한 한 쌍의 푸시 로드와, 이들 한 쌍의 푸시 로드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스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전환 밸브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간단한 것으로 될 수 있다.
또, 리셋 밸브는, 상기 공급 포트와 한 쌍의 구동 챔버 중 하나와의 사이에서 연통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수동으로 연통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상폐 밸브(nomally closed vavle)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전환 밸브가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더라도 증압장치를 수동으로 확실하게 재기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리셋 밸브는, 구동 챔버 중 하나의 유체 압력을 파일럿압으로서 받아 연통 위치로 전환되도록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전환 밸브가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더라도, 구동 챔버 중 하나의 유체 압력이 소정값보다 클 때에는 전환 밸브가 작동하여 증압장치가 재기동한다.
또한, 리셋 밸브는 센터 유닛 내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리셋 밸브의 배치를 위한 유로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장치는, 공급 포트를 한 쌍의 구동 챔버 중 하나에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는 리셋 밸브를 구비하여, 공급되는 유체 압력의 저하 등에 의해 전환 밸브가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더라도 용이하게 재기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증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회로도를 이용한 도 1의 증압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7은, 회로도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증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회로도를 이용한 도 1의 증압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7은, 회로도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증압장치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부호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증압장치(10)는, 압력유체(압축공기(pressurized air, compressed air))의 공급원인 압축기(도시생략)와 증압된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증압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실린더 튜브(실린더)(12a, 12b) 및 한 쌍의 피스톤(14a, 14b)을 포함하는 실린더 기구와, 한 쌍의 실린더 튜브(12a, 12b)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정 밸브(16) 및 전환 밸브(18)가 조립되는 센터 유닛(20)을 갖는다.
각각의 실린더 튜브(12a, 12b)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엔드 플레이트(22a, 22b)에 의해 폐쇄된다. 각각의 피스톤(14a, 14b)은 실린더 튜브(12a, 12b)의 내부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피스톤(14a, 14b)의 외주면에는 환형상 홈을 통하여 피스톤 패킹(24)이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피스톤(14a, 14b)은 피스톤 로드(26)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센터 유닛(20)은, 그 중앙부에 로드 구멍(28)을 갖는다. 로드 구멍(28)은, 축선방향(화살표 A-B 방향)으로 센터 유닛(20)을 관통하며, 이 로드 구멍(28)에는 피스톤 로드(26)가 변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 튜브(12a, 12b)의 내부에는, 피스톤(14a, 14b)이 각각 삽입되는 실린더 챔버(30a, 30b)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통로(32a, 32b)는 실린더 챔버(30a, 30b)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유체 통로(32a, 32b)는, 실린더 챔버(30a, 30b)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고, 엔드 플레이트(22a, 22b)가 장착되는 실린더 튜브(12a, 12b)의 단부 측에서 실린더 챔버(30a, 30b)와 연통하고 있다.
각각의 실린더 챔버(30a, 30b)는, 구동 챔버(34a, 34b)와 증압 챔버(36a, 36b)로 각각 구획된다. 각각의 구동 챔버(34A, 34B)는 피스톤(14a, 14b)과 엔드 플레이트(22a, 22b) 사이에 설치되고, 압력유체는 각각의 구동 챔버(34a, 34b)에 공급 또는 배출된다. 각각의 증압 챔버(36a, 36b)는 피스톤(14A, 14B)과 센터 유닛(20)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유체를 증압시키도록 작동한다. 각각의 유체 통로(32a, 32b)는, 제1 통로(38a, 38b)를 통하여 실린더 챔버(30a, 30b)의 구동 챔버(34a, 34b)와 각각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 튜브(12a, 12b)의 외측에는, 복수의 타이 로드(tie rods)(40)가 일측 엔드 플레이트(22a)로부터 타측 엔드 플레이트(22b)까지 삽입되어 있고, 엔드 플레이트(22b)로부터 돌출하는 타이 로드(40)의 단부는 너트(42)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센터 유닛(20)은, 실린더 튜브(12a)와 실린더 튜브(12b) 사이에 유지된다. 센터 유닛(20)은, 센터 몸체(44)와, 이 센터 몸체(44)의 축선방향(화살표 A-B 방향) 양단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46)를 포함한다.
센터 몸체(44)는, 압축기로부터의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45)와, 증압된 압력유체가 액추에이터(도시생략)를 향해 출력되는 출력 포트(47)와, 압력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48)를 갖는다. 공급 포트(45)는, 한 쌍의 증압 챔버(36a, 36b)와 연통하는 센터 몸체(44) 내의 도입 통로(lead-in passage)(50)에 연결되며(도 4 참조), 전환 밸브(18)를 통하여 한 쌍의 유체 통로(32a, 32b)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는 센터 몸체(44) 내의 공급 통로(52)에 또한 연결된다(도 3 참조). 공급 통로(52)에는, 출력 포트(47)의 압력이 피드백되는 조정 밸브(16)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센터 몸체(44)의 상부에 설치된 핸들(54)을 회전시키면, 압력유체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통로(50)와 각각의 증압 챔버(36a, 36b)와의 사이에는, 도입 통로(50)로부터 증압 챔버(36a, 36b)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되, 증압 챔버(36a, 36b)로부터 도입 통로(50)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제1 체크 밸브(56a, 56b)가 설치된다. 출력 포트(47)는, 한 쌍의 증압 챔버(36a, 36b)와 연통하는 센터 몸체(44) 내의 도출 통로(lead-out passage)(58)에 연결된다. 도출 통로(58)와 각각의 증압 챔버(36a, 36b)와의 사이에는, 증압 챔버(36a, 36b)로부터 도출 통로(58)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되, 도출 통로(58)로부터 증압 챔버(36a, 36b)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제2 체크 밸브(60a, 60b)가 설치된다. 제1 체크 밸브(56a, 56b) 및 제2 체크 밸브(60a, 60b)는, 사이드 플레이트(46)에 의해 센터 몸체(44) 내에 조립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밸브(18)는, 사이드 플레이트(46)에 의해 센터 몸체(44) 내에 조립되는 밸브 몸체 어셈블리(62)와, 이 밸브 몸체 어셈블리(62)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스풀(64)과, 각각의 증압 챔버(36a, 36b) 내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푸시 로드(66a, 66b)를 구비한다. 밸브 몸체 어셈블리(62)는, 통형상의 슬리브(68)와, 이 슬리브(68)의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밸브 몸체(70)를 포함한다.
슬리브(68)에는, 입구 포트(72)가 축선방향(화살표 A-B 방향) 중앙에 설치되고, 입구 포트(72)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입구 포트(72)의 양측에 출구 포트(76a, 76b)가 설치된다. 입구 포트(72)는 공급 통로(52)에 연결되고, 각각의 출구 포트(76a, 76b)는 각각 제2 통로(74a, 74b)를 통하여 유체 통로(32a, 32b)에 연결된다. 또, 사이드 밸브 몸체(70) 내에는, 배출 포트(48)에 연결되는 한 쌍의 배기 통로(78)가 설치된다. 센터 몸체(44)와 밸브 몸체 어셈블리(62)와의 사이에는, 이들 입구 포트(72), 출구 포트(76a, 76b), 및 배기 통로(78) 사이를 기밀적으로 유지하는 밀봉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64)은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풀(64)의 외주에는, 슬리브(68)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1 랜드부(land portion)(82) 및 제2 랜드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64)이 밸브 몸체 어셈블리(62) 내에서 우측(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제1 랜드부(82)는 좌측의 출구 포트(76b)와 입구 포트(72)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제2 랜드부(84)는 우측의 출구 포트(76a)와 우측의 배기 통로(78)와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하, 이 상태를 스풀(64) 또는 전환 밸브(18)가 "제1 위치"에 있다고 한다(도 6 참조). 스풀(64)이 밸브 몸체 어셈블리(62) 내에서 좌측(화살표 B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제1 랜드부(82)는 좌측의 배기 통로(78)와 좌측의 출구 포트(76b)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제2 랜드부(84)는 입구 포트(72)와 우측의 출구 포트(76a)와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하, 이 상태를 스풀(64) 또는 전환 밸브(18)가 "제2 위치"에 있다고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쌍의 출구 포트(76a, 76b)에 대해서 공급 통로(52)와 배기 통로(78)를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푸시 로드(66a, 66b)는, 축선방향(화살표 A-B 방향)으로 사이드 밸브 몸체(70)의 중앙을 관통하는 삽입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푸시 로드(66a, 66b)와 사이드 밸브 몸체(70)와의 사이에는 밀봉 부재(86)가 설치된다. 각각의 푸시 로드(66a, 66b)는, 증압 챔버(36a, 36b) 쪽으로 돌출하는 단부에 있어서, 피스톤(14a, 14b)과 맞닿음 가능하다.
스풀(64)의 내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소직경부(88)가 설치된다. 따라서 스풀(64)의 내부면에는 한 쌍의 단차부(90)가 설치된다. 한 쌍의 푸시 로드(66a, 66b)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는 스풀(64) 내에 삽입되어 있고, 각각의 푸시 로드(66a, 66b)는 이 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부(92)에서 스풀(64)의 단차부(90)와 맞물림 가능하다. 각각의 푸시 로드(66a, 66b)에는 축선방향 중앙에 가까운 부분에 제2 플랜지부(94)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플랜지부(94)가 각각 사이드 밸브 몸체(70)에 맞닿는 것에 의해, 푸시 로드(66a, 66b)의 증압 챔버(36a, 36b)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한 쌍의 푸시 로드(66a, 66b)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96)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몸체(44)에는 밸브 몸체(100) 및 리셋 버튼(102)을 포함하는 리셋 밸브(98)가 부착되어 있다. 리셋 밸브(98)는, 공급 통로(52)에 연결되는 제3 통로(106)와 유체 통로(32a)에 연결되는 제2 통로(74a)와의 사이에서 연통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폐 밸브(normally closed valve)로서 구성되어 있다. 밸브 몸체(100)는 스프링(104)의 가압력을 받아, 통상, 리셋 밸브(98)는 차단 위치에 머무른다. 작업자가 리셋 버튼(102)을 누르면, 밸브 몸체(100)는 리셋 버튼(102)에 의해 밀려, 스프링(10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제3 통로(106)는 제2 통로(74a)와 연통하고, 그에 따라 압축기로부터의 압력유체가 구동 챔버(34a)에 직접 도입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다음에, 그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밸브(18)가 제1 위치에 있고 피스톤(14a)이 엔드 플레이트(22a) 측(화살표 A 방향)으로 변위한 상태를 초기 위치로 한다.
이 초기 위치에서는, 스풀(64)의 제2 랜드부(84)가 우측의 출구 포트(76a)와 우측의 배기 통로(78)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우측의 출구 포트(76a)는 입구 포트(72)와 연통하고 있다. 즉, 유체 통로(32a)는 제2 통로(74a)를 통하여 공급 통로(52)에 연결되어 있다. 또, 스풀(64)의 제1 랜드부(82)는 좌측의 출구 포트(76b)와 입구 포트(72)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좌측의 출구 포트(76b)는 좌측의 배기 통로(78)와 연통하고 있다. 즉, 타측의 유체 통로(32b)는 제2 통로(74b)를 통하여 배기 통로(78)에 연결되어 있다.
이 초기 위치에 있어서, 압력유체를 압축기(도시생략)로부터 공급 포트(45)로 공급함으로써, 압력유체는 도입 통로(50)에 유입되고, 제1 체크 밸브(56a, 56b)를 각각 통하여 증압 챔버(36a, 36b)에 도입된다.
공급 포트(45)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의 일부는, 조정 밸브(16)에 의해 유량이 조정되어, 공급 통로(52)를 통해 전환 밸브(18)로 유동한다. 그 다음, 압력유체는, 제1 위치에 있는 전환 밸브(18)를 통해서 유체 통로(32a)에 공급되고, 계속해서 구동 챔버(34a)로 공급된다.
구동 챔버(34a)에 도입된 압력유체는 피스톤(14a)을 센터 유닛(20) 측(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증압 챔버(36a) 내의 압력유체는 피스톤(14a)에 의해 증압된다. 이와 같이 증압된 압력유체는, 제2 체크 밸브(60a)를 통해 인도되고 도출 통로(58)로부터 출력 포트(47)로 인도되어 출력된다.
한편, 피스톤(14a)과 일체로 이동하는 피스톤(14b)의 슬라이딩은 구동 챔버(34b)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구동 챔버(34b) 내의 압력유체는 유체 통로(32b)와 제1 위치에 있는 전환 밸브(18)를 통해서 배기 통로(78)로 인도되어, 배출 포트(48)로부터 배출된다.
그 다음, 피스톤(14a)이 센터 유닛(20) 측(화살표 B 방향)으로 종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피스톤(14a)은 전환 밸브(18)의 푸시 로드(66a)에 맞닿아, 이 푸시 로드(66a)를 가압한다. 결과적으로, 푸시 로드(66a)는 제1 플랜지부(92)에 있어서 스풀(64)과 맞물리고 스풀(64)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전환 밸브(18)는 제2 위치로 전환된다.
이번에는, 공급 통로(52)에 공급된 압력유체가 제2 위치에 있는 전환 밸브(18)를 통해서 유체 통로(32b) 및 구동 챔버(34b)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피스톤(14b)은 센터 유닛(20) 측(화살표 A 방향)을 향해 변위한다. 따라서, 증압 챔버(36b)의 압력유체가 증압되고, 그에 따라 증압된 압력유체는 제2 체크 밸브(60b)를 통해 출력 포트(47)로부터 출력된다. 피스톤(14b)이 센터 유닛(20) 측(화살표 A 방향)으로 종단 위치까지 변위하면, 피스톤(14b)은 푸시 로드(66b)를 가압한다. 이는 전환 밸브(18)를 다시 제1 위치로 전환시키고, 그에 따라 구동 챔버(34a)에 압력유체가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피스톤(14a) 및 피스톤(14b)은 일체로 왕복 운동을 반복하고, 그에 따라 증압된 압력유체는 출력 포트(47)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압력이 낮거나, 증압 챔버(36a, 36b)와 구동 챔버(34a, 34b)의 압력차이가 작거나, 배출 포트(48)에 배압이 걸리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피스톤(14a, 14b)의 추력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피스톤(14a, 14b) 또는 전환 밸브(18)의 슬라이딩 저항이 커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풀(64)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랜드부(82)는 좌측의 출구 포트(76b)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고, 입구 포트(72)와 좌측의 출구 포트(76b)와의 사이, 및 좌측의 출구 포트(76b)와 좌측의 배기 통로(78)와의 사이는, 모두 불완전한 차단 상태가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제2 랜드부(84)는 우측의 출구 포트(76a)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고, 입구 포트(72)와 우측의 출구 포트(76a)와의 사이, 및 우측의 출구 포트(76a)와 우측의 배기 통로(78)와의 사이는, 모두 불완전한 차단 상태가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 상태에서 작업자가 리셋 버튼(102)을 누르면, 압축기로부터의 압력유체가 구동 챔버(34a)에 직접 도입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14a)은 센터 유닛(20) 측으로 가압되고, 그에 따라 증압장치(10)는 재기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에 의하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리셋 밸브(98)가 공급 포트(45)와 구동 챔버(34a)를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유체 압력의 저하 등에 의해 전환 밸브(18)가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더라도 재기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10)를 설명한다. 증압장치(110)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셋 밸브(98)와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리셋 밸브(112)를 갖는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리셋 밸브(112)는, 공급 통로(52)와 유체 통로(32a)와의 사이에서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폐 밸브로서 구성되며, 유체 통로(32a) 내의 유체 압력이 파일럿압으로서 작용한다. 즉, 리셋 밸브(112)는, 유체 통로(32a) 내의 유체 압력이 소정값보다 크면, 연통 위치로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작업자가 리셋 버튼(102)을 누르는 것으로, 공급 통로(52)가 유체 통로(32a)와 연통하도록 할 수 있어, 압축기로부터의 압력유체를 구동 챔버(34a)에 직접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10)에 의하면, 리셋 밸브(112)는, 구동 챔버(34a)의 유체 압력을 파일럿압으로서 받아 연통 위치로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그러므로, 전환 밸브(18)가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더라도, 구동 챔버(34a)의 유체 압력이 소정값보다 크면, 전환 밸브(18)가 작동하여 증압장치(110)가 재기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장치는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 증압장치(10, 110)로서,
센터 유닛(20)과;
상기 센터 유닛(20)의 양쪽에 제공되는 한 쌍의 실린더(12a, 12b)와;
한 쌍의 상기 실린더(12a, 12b)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피스톤(14a, 14b)과;
한 쌍의 상기 피스톤(14a, 14b)을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26)와;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45)와;
증압된 압력유체가 출력되는 출력 포트(47)와;
압력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48); 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2a, 12b)는 상기 피스톤(14a, 14b)에 의해 구획되는 구동 챔버(34a, 34b)와 증압 챔버(36a, 36b)를 각각 가지며;
상기 증압장치(10, 110)는:
각각의 상기 피스톤(14a, 14b)과 맞닿음으로써 전환되어 한 쌍의 상기 구동 챔버(34a, 34b)의 일측 또는 타측을 상기 공급 포트(45)에 연통시키고 한 쌍의 상기 구동 챔버(34a, 34b)의 타측 또는 일측을 상기 배출 포트(48)에 연통시키는 전환 밸브(18)와;
상기 공급 포트(45)와 한 쌍의 상기 구동 챔버(34a, 34b) 중 하나를 연결하는 유로에 배치되는 리셋 밸브(98, 112);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셋 밸브(98, 112)는, 상기 공급 포트(45)와 한 쌍의 상기 구동 챔버(34a, 34b) 중 하나와의 사이에서 연통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수동으로 연통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상폐 밸브(nomally closed vavle)로서 구성되는, 증압장치(10, 1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18)는 상기 센터 유닛(20) 내에 조립되며,
상기 전환 밸브는:
상기 피스톤(14a, 14b)에 각각 맞닿음 가능한 한 쌍의 푸시 로드(66a, 66b)와;
한 쌍의 상기 푸시 로드(66a, 66b)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스풀(64);
을 포함하는, 증압장치(10, 110).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셋 밸브(112)는, 상기 구동 챔버(34a)의 유체 압력을 파일럿압으로서 받아 연통 위치로 전환되도록 동작하는, 증압장치(1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셋 밸브(98)는 상기 센터 유닛(20) 내에 조립되는, 증압장치(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76416A JP6665985B2 (ja) | 2017-04-07 | 2017-04-07 | 増圧装置 |
JPJP-P-2017-076416 | 2017-04-07 | ||
PCT/JP2018/006850 WO2018186048A1 (en) | 2017-04-07 | 2018-02-26 | Pressure boos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3257A KR20190133257A (ko) | 2019-12-02 |
KR102209368B1 true KR102209368B1 (ko) | 2021-01-29 |
Family
ID=6162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2978A KR102209368B1 (ko) | 2017-04-07 | 2018-02-26 | 증압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876550B2 (ko) |
JP (1) | JP6665985B2 (ko) |
KR (1) | KR102209368B1 (ko) |
CN (1) | CN110520633B (ko) |
BR (1) | BR112019020814A2 (ko) |
DE (1) | DE112018001885T5 (ko) |
MX (1) | MX2019011829A (ko) |
RU (1) | RU2736237C9 (ko) |
TW (1) | TWI681132B (ko) |
WO (1) | WO20181860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63434B2 (ja) * | 2019-05-17 | 2022-05-09 | Smc株式会社 | 増圧装置 |
KR102078514B1 (ko) * | 2019-12-09 | 2020-02-17 | 정종범 | 수도직결형 무전원 구강세정기 |
JP7484312B2 (ja) * | 2020-03-27 | 2024-05-16 | Smc株式会社 | 増圧出力安定化装置 |
CN114060329A (zh) * | 2020-08-04 | 2022-02-18 | 费斯托(中国)自动化制造有限公司 | 气动增压器 |
IT202100014633A1 (it) * | 2021-06-04 | 2022-12-04 | Camozzi Automation S P A | Moltiplicatore di pressio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23206A1 (en) * | 2007-03-12 | 2008-09-18 | Smc Kabushiki Kaisha | Pressure Booster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25269C (de) * | 1919-08-19 | 1920-09-11 | Wilhelm Vaupel | Schuettelrutschenmotor |
US2925782A (en) * | 1953-02-17 | 1960-02-23 | Sperry Gyroscope Co Ltd | Liquid pump |
US3354912A (en) * | 1965-01-11 | 1967-11-28 | Carroll G Gordon | Sectional hydraulic valve structure |
US4634350A (en) * | 1981-11-12 | 1987-01-06 | The Coca-Cola Company | Double acting diaphragm pump and reversing mechanism therefor |
DE3428136A1 (de) * | 1984-07-31 | 1986-02-13 |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 Bremsdruckgeber fuer eine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
GB2162591B (en) | 1984-08-02 | 1988-05-25 | Shoketsu Kinzoku Kogyo Kk | Fluid pressure booster |
US4827831A (en) * | 1987-12-30 | 1989-05-09 | Pro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 Reciprocating device and switching mechanism therefor |
US5554011A (en) * | 1994-10-27 | 1996-09-10 | Symbiosis Corporation | Medical fluid pump powered by a constant source of vacuum |
JPH08270601A (ja) * | 1995-03-29 | 1996-10-15 | Nisshinbo Ind Inc | エアタンクユニット及びエアタンク付き作業車 |
DE19516977C2 (de) * | 1995-05-09 | 1997-03-27 | Szabo Zsolt | Pneumatische Antriebsvorrichtung |
JPH10267002A (ja) * | 1997-03-25 | 1998-10-06 | Smc Corp | 増圧装置 |
SE9704160L (sv) * | 1997-11-13 | 1999-05-14 | Svante Bahrton | Ventilanordning |
JP3515070B2 (ja) * | 2000-12-18 | 2004-04-05 | 株式会社ヤマダコーポレーション | ポンプの再始動装置 |
JP3595985B2 (ja) * | 2001-01-22 | 2004-12-02 | 株式会社フクハラ | 圧力の高い窒素ガ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JP3416656B2 (ja) * | 2001-01-23 | 2003-06-16 | 株式会社ワイ・テイ・エス | ポンプ切り換え弁の再始動装置 |
RU21303U1 (ru) * | 2001-06-29 | 2002-01-10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 Станция повышения давления |
US7175395B1 (en) * | 2002-06-04 | 2007-02-13 | Forest Daniel L | Pressure enhancer value system |
RU31154U1 (ru) * | 2003-03-31 | 2003-07-20 |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 Станция повышения давления |
RU2258840C1 (ru) * | 2003-12-16 | 2005-08-20 | Республиканск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инский тракторный завод" |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мультипликатор |
US7980270B2 (en) * | 2005-05-12 | 2011-07-19 | Shurflo, Llc | Spool valve apparatus and method |
US7603854B2 (en) * | 2007-04-10 | 2009-10-20 | Illinois Tool Works Inc. | Pneumatically self-regulating valve |
US9127657B2 (en) * | 2010-03-29 | 2015-09-08 | Wilden Pump And Engineering Llc | Air-driven pump system |
TWM446237U (zh) * | 2012-07-27 | 2013-02-01 | Kinyao Entpr Co Ltd | 增壓缸結構 |
KR20140094229A (ko) * | 2013-01-21 | 2014-07-30 |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 압력 부스터 회로 |
TWM514372U (zh) * | 2015-07-13 | 2015-12-21 | bo-rong Chen | 一種加工中心清洗裝置增壓系統 |
CN205225899U (zh) * | 2015-11-29 | 2016-05-11 | 深圳市米高科技有限公司 | 双向液压增压器装置 |
TWM524398U (zh) * | 2015-12-04 | 2016-06-21 | Ding-Wen Lai | 氣動式液壓增壓裝置 |
CN106402055A (zh) | 2016-08-26 | 2017-02-15 | 广西柳州银海铝业股份有限公司 | 卸卷小车液压系统 |
-
2017
- 2017-04-07 JP JP2017076416A patent/JP6665985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2-26 BR BR112019020814A patent/BR112019020814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02-26 KR KR1020197032978A patent/KR102209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2-26 US US16/603,059 patent/US10876550B2/en active Active
- 2018-02-26 WO PCT/JP2018/006850 patent/WO201818604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2-26 DE DE112018001885.7T patent/DE112018001885T5/de active Pending
- 2018-02-26 CN CN201880022961.9A patent/CN110520633B/zh active Active
- 2018-02-26 MX MX2019011829A patent/MX2019011829A/es unknown
- 2018-02-26 RU RU2019135611A patent/RU2736237C9/ru active
- 2018-03-13 TW TW107108446A patent/TWI681132B/zh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23206A1 (en) * | 2007-03-12 | 2008-09-18 | Smc Kabushiki Kaisha | Pressure Boos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12019020814A2 (pt) | 2020-04-28 |
TWI681132B (zh) | 2020-01-01 |
US10876550B2 (en) | 2020-12-29 |
RU2736237C9 (ru) | 2021-05-31 |
TW201839274A (zh) | 2018-11-01 |
JP2018179074A (ja) | 2018-11-15 |
MX2019011829A (es) | 2019-11-07 |
RU2736237C1 (ru) | 2020-11-12 |
CN110520633B (zh) | 2021-07-16 |
KR20190133257A (ko) | 2019-12-02 |
DE112018001885T5 (de) | 2019-12-19 |
CN110520633A (zh) | 2019-11-29 |
JP6665985B2 (ja) | 2020-03-13 |
WO2018186048A1 (en) | 2018-10-11 |
US20200072249A1 (en) | 2020-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9368B1 (ko) | 증압장치 | |
JP6572872B2 (ja) | 増圧装置 | |
US11060532B2 (en) | Pressure amplifier | |
WO2020036046A1 (ja) | 増圧装置 | |
US11143175B2 (en) | Pressure booster and cylinder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 |
RU2746074C9 (ru) | Устройство повышения давления | |
JP2008133858A (ja) | 増圧器付油圧シリンダ | |
JP2004340149A (ja) | ダイアフラムポンプシステム | |
US20210301839A1 (en) | Pressure-booster output stabilizer | |
KR20140094325A (ko) | 압력 부스터의 메인에어 급기용 바이패스 장치 | |
JP2023002350A (ja) | 増圧装置 | |
JP2010203500A (ja) | エアシリンダ | |
JP3792000B2 (ja) | 窒素ガスの増圧装置 | |
CN116104725A (zh) | 流体流向切换阀及自动控制切换直行程往复动力装置 | |
TH2001001118A (th) | บูสเตอร์แรงดั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