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005B1 -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005B1
KR102209005B1 KR1020180134641A KR20180134641A KR102209005B1 KR 102209005 B1 KR102209005 B1 KR 102209005B1 KR 1020180134641 A KR1020180134641 A KR 1020180134641A KR 20180134641 A KR20180134641 A KR 20180134641A KR 102209005 B1 KR102209005 B1 KR 102209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honeycomb
fabric
parts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929A (ko
Inventor
이연숙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케이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케이닥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5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이 탈취성, 항균성, 원적외선 방출효과, 방염효과, 방음효과, 단열효과 및 난연효과가 우수하도록 제조하는,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닥나무백피를 절단하여 얻어진 닥나무섬유에, 천연섬유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를 적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혼방섬유를 만드는 혼합단계; 세절날이 배열형성된 세절드럼이 구비된 세절기에, 혼합단계에서 얻은 혼방섬유를 투입하여 혼방솜을 형성하는, 세절단계; 상기 세절단계를 통해 얻은 혼방솜을 알칼리성 용액에 넣어 20-30분 삶아 물에 수세한 후 건조하는, 선별단계; 선별단계 후의 혼방 솜을 액체의 노 포르말린 바인더에 함침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여 건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단계 후 부직포 위에,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1.5 L에 물 5 L와 게르마늄 분말 0.5 kg을 첨가한 혼합물을 분사하여 도포하거나 상기 혼합물에 함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Preparing method of fabric for honeycomb blind using non-woven fabric of mulberry fibers }
본 발명은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닥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 낙엽활엽 관목으로 학명은 Broussonetia kazinoki Sie.이며, 딱나무, 꾸지닥나무, 저목 등으로 불린다. 영어명은 Korean paper tree, 또는 paper mulberry이며, 주로 한국(중남부), 일본, 동남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약명으로는 구피마(構皮麻)로 불리며, 사포닌(saponin), 유지방(fatty oil), 세로틴 등이 들어 있어 어린 가지와 잎이 타박상에 효과가 있으며, 자양강장제로 사용되고 있다.
닥나무는 보온성, 통기성 탈취성 등 다양한 효과가 알려지면서 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 닥나무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에 닥나무 부직포를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닥나무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325342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325386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3192호에 기재되어 있다. 닥나무 부직포는 경량성, 흡수 및 건조성, 항균성 및 자외선 차단성이 있다.
하니컴 블라인드는 블라인드의 길이방향의 단면이, 하니콤(육각형 세포 모양의 구조 또는 벌집 구조) 형상이 반복되어 배치되도록 이루어진 블라인드로, 그 구조가 갖는 특성에 의해 일반 블라인드보다 단열성, 차음성이 좋다.
하니컴 블라인드는 공정과정에 열처리를 하는 공정을 갖는데, 부직포는 열에 취약하므로, 하니컴 블라인드에 닥나무 부직포를 적용할 경우, 열에 견딜 수 있는 부직포가 요망된다.
본 발명자들은 국내 특허출원 제10-2018-0133326호의 닥나무 솜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관련 특허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 발명은 닥솜과 에틸비닐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필터 프레스로 탈수하여 성형제품을 제조한다. 도 1은 국내 특허출원 제10-2018-0133326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닥 섬유 함유 천정 마감재의 주파수에 따른 흡음계수의 시험결과이며, 도 2는 국내 특허출원 제10-2018-0133326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닥 섬유 함유 천정 마감재의 주파수에 따른 음향투과 손실의 시험결과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닥 솜을 포함한 제품에서 방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닥나무 방적사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에서도 유사한 방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탈취성, 항균성, 원적외선 방출효과, 방음효과가 우수하며, 방염효과와 난연효과를 가지는 하니컴 블라인드용의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하니컴 블라인드용의 원단으로 제조된 하니컴 블라인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닥나무백피를 절단하여 얻어진 닥나무섬유에, 천연섬유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를 적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혼방섬유를 만드는 혼합단계; 세절날이 배열형성된 세절드럼이 구비된 세절기에, 혼합단계에서 얻은 혼방섬유를 투입하여 혼방솜을 형성하는, 세절단계; 상기 세절단계를 통해 얻은 혼방솜을 알칼리성 용액에 넣어 20-30분 삶아 물에 수세한 후 건조하는, 선별단계; 선별단계 후의 혼방 솜을 액체의 노 포르말린 바인더에 함침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여 건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섬유는, 화이버(fiber)형태의, 견사(레이온), 면, 텐셀(Tencel), 모달(Modal) 중 하나 이상이다.
선별단계에서, 혼방섬유 100중량부에 대해서, 닥나무 섬유 20 중량부와, 천연섬유 60중량부와, 저융점 섬유사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성형단계 후,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 위에,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1.5 L에 물 5 L와 게르마늄 분말 0.5 kg을 첨가한 혼합물을 분사하여 도포하는,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도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 후,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1.5 L에 물 5 L와 게르마늄 분말 0.5 kg을 첨가한 혼합물을에 함침하고 함침된 부직포를 짜 주는,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함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도포단계 후 또는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함침단계 후, 부직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부직포에 난연액을 도포하거나 함침하고, 건조하는 난연액 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액은 아크릴계수지 고착제 100중량부에 세라믹분말 70±20중량부, 게르마늄분말 1.0±0.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는, 성형단계 후에, 물 40~60중량부에 분산제 8~15중량부 및 닥나무섬유 4~6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및 닥나무섬유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Poly Ethylene-Ethylene Vinyl Acetate Emersion) 또는 폴리우레탄-아크릴 에멀션(Poly Urethane-Acryl Emersion) 중의 하나의 합성 수지 5~10중량부를, 제1단계에서 제조된, 물, 분산제 및 닥나무섬유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2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및 합성 수지류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세라믹분말 10~50중량부 및 게르마늄분말 1.0~2.0 중량부를, 제2단계에서 제조된,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및 합성 수지류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3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합성 수지류, 세라믹분말 및 게르마늄분말의 혼합물인 코팅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거나, 상기 코팅액에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함침하고,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닥나무백피를 절단하여 얻어진 닥나무섬유에, 천연섬유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를 적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혼방섬유를 만드는 혼합단계; 세절날이 배열형성된 세절드럼이 구비된 세절기에, 혼합단계에서 얻은 혼방섬유를 투입하여 혼방솜을 형성하는, 세절단계; 상기 세절단계를 통해 얻은 혼방솜을 알칼리성 용액에 넣어 20-30분 삶아 물에 수세한 후 건조하는, 선별단계; 선별단계 후의 혼방 솜을 액체의 노 포르말린 바인더에 함침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여 건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을 포함하는 하니컴 블라인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니컴 블라인드의 제조방법은, 닥나무섬유와, 천연섬유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를 혼합하여 형성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일정 폭을 가진 띠형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다수개 만드는, 기본단위 제작단계;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3 등분하고, 3등분 중 좌단과 우단을 아래로 접고, 접혀진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열 로울러를 통과하게 하여,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에 열처리를 행하는, 접기와 열처리 단계; 열처리 단계 후의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상부의 중앙에 접착제를 칠한 후, 접착제가 칠하여 지지 않은, 열처리 단계 후의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를 적층하여 접착하고, 적층된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상부의 중앙에 접착제를 칠한 후, 접착제가 칠하여 지지 않은, 열처리 단계 후의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를 적층하여 접착하는 것을 반복하여, 허니컴 블라인더의 몸체 제작단계; 허니컴 블라인더의 몸체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하니컴 블라인드의 몸체의 양단을 집게로 집고 지지대와 함께 묶어서, 열을 150도 내지 200도의 열풍실에서 넣어 열풍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취성, 항균성, 단열성, 원적외선 방출효과, 방음효과가 우수하며, 방염효과와 난연효과를 가지는 하니컴 블라인드용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하니컴 블라인드의 경우 자주 세탁이 불가능한 데, 자주 세탁을 못하더라도, 하니컴 블라인드 원단이 항균성이 높음에 의해 오염이 덜되며, 가내에서 창문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과, 가외로부터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소음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닥나무 방적사도 미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게다가 게르마늄을 더 추가하므로, 본 발명의 하니컴 블라인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원적외선을 많이 방출할 수 있으며, 난연처리를 하여, 방염 및 난연효과를 높였다.
또한, 하니컴 블라인드은 그 구조상 단열성이 높으므로, 본 발명의 하니컴 블라인드도 단열성이 높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열성, 방염효과, 방음효과, 단열효과 및 난연효과가 우수한 닥나무 부직포를 제조하여,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닥 섬유 함유 천정 마감재의 주파수에 따른 흡음계수의 시험결과이다.
도 2은 닥 섬유 함유 천정 마감재의 주파수에 따른 음향투과 손실의 시험결과이다.
도 3은 허니컴 브라인더 제작시의 원단의 측단면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암모니아의 탈취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트리메틸아민의 탈취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황화수소의 탈취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메틸머캅탄의 탈취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대장균의 항균성 시험결과의 예이다.
도 9는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녹농균의 항균성 시험결과의 예이다.
도 10은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황색포도상구균의 항균성 시험결과의 예이다.
도 11은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시험한 결과이다.
도 12는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시험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직포 제조 1
닥나무백피 준비단계로, 흑피와 백피로 이루어진 닥나무 껍질을 알칼리로 처리하여 흑피를 제거하고, 준비된 백피를 표백제로 표백한 후, 수차례의 습식과정을 통해 수분을 함유한 부드러운 백피로 가공한다. 닥나무백피 준비단계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325342호와 국내 등록특허 제10-1325386호의 닥나무백피 준비단계와 동일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혼합단계로, 상기 닥나무백피를 절단하여 얻어진 닥나무섬유에 천연섬유(천연솜)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 LM사)를 적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혼방섬유를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혼방섬유 100중량부에 대해서, 닥나무 섬유 20 중량부와, 천연섬유 60중량부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 LM사)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즉, 혼합단계에서는, 우선 준비된 백피의 분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전에 준비된 절단기로 백피를 7 ~10cm 길이로 절단 가공한 닥나무섬유로 가공한다. 이후에는 닥나무섬유와 천연섬유를 적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혼방섬유를 만든다. 이때에는 닥나무섬유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천연섬유는 화이버(fiber)형태의 견사(레이온), 면, 텐셀(Tencel), 모달(Modal) 중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으며, 닥나무섬유에 상기 천연섬유를 1종 이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세절단계로, 세절날이 배열형성된 세절드럼이 구비된 세절기에 상기 혼방섬유를 투입하여 섬유체를 가공한다. 상기 세절단계는 제1세절단계 내지 제3 세절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차 세절단계로, 제1세절날이 배열형성된 제1세절드럼이 구비된 제1세절기에 혼방섬유를 투입하여 1차섬유체를 형성한다.
2차 세절단계로, 제2세절날이 배열형성된 제2세절드럼이 구비된 제2세절기에 상기 1차섬유체를 투입하여 1차섬유체 보다 미세한 2차섬유체를 가공한다.
3차 세절단계로, 세절칼날이 배열형성된 다수의 세절롤러가 구비된 제3세절기에 상기 2차섬유체를 투입하여 상기 2차 섬유체를 혼방솜으로 가공한다.
선별단계로, 상기 3차 세절단계를 통해 얻은 혼방솜을 알칼리성 용액에 넣어 20-30분 삶아 물에 수세한 후 건조한다.
1차 세절단계 내지 선별단계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325342호와 국내 등록특허 제10-1325386호의 닥나무백피 준비단계와 동일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성형단계로, 선별단계 후의 혼방 솜을 액체의 노 포르말린 바인더에 함침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여 건조한다.
노 포르말린 바인더는 포르말린(즉, 포름알데히드(HCHO))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로,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시판되는 노 포르말린 바인더(예를 들어, 마트민조르(일본, MATSUI SHIKISO CHEMICAL Co., Ltd.) 등)가 있다.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도포단계로,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 위에,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1.5 L에 물 5 L와 게르마늄 분말 0.5 kg을 첨가한 혼합물을 분사하여 도포한다.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도포단계 대신에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함침단계를 거칠수 있다.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함침단계는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1.5 L에 물 5 L와 게르마늄 분말 0.5 kg을 첨가한 혼합물을에 함침하고 함침된 부직포를 짜 준다,
1차 건조단계로,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도포단계 또는 게르마늄분말 혼합물 함침단계를 거친 부직포를 건조한다. 열풍건조의 경우 대략 30℃~50℃에서 1시간~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열 건조의 경우 50℃~70℃에서 2시간~4시간 동안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건조시키며, 자연건조의 경우 6시간~1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액 처리단계로, 건조단계 후의 부직포에 난연액을 도포하거나 난연액에 상기 부직포를 함침하고, 건조하는 난연처리과정을 행한다. 난연액을 도포량 50g/m2 이 되도록 도포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난연액은 공지된 소방법에 따른 일반적인 난연액(즉, 시판되는 난연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난연액은 아크릴계수지 고착제 100중량부에 세라믹분말 70±20중량부, 게르마늄분말 1.0±0.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2차 건조단계로, 난연액 처리단계를 거친 부직포를 건조한다. 여기서, 열풍건조의 경우 대략 30℃~50℃에서 1시간~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열 건조의 경우 50℃~70℃에서 2시간~4시간 동안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건조시키며, 자연건조의 경우 6시간~1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부직포 제조 2
실시예 1과 혼합단계에서 성형단계까지는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성형단계 다음부터 설명한다.
물, 분산제 및 닥나무섬유의 혼합물 제조단계(즉, 제1단계)로, 물 40~60중량부에 분산제 8~15중량부 및 닥나무섬유 4~6중량부를 첨가하여 대략 3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및 닥나무섬유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분산제는 큰 입자와 응집한 입자를 분쇄하여 보다 작은 입자와 콜로이드 입자로 만들 때 생성된 미소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가하는 물질로, 예를들어 계면 활성제, 고분자 물질 등의 흡착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및 합성 수지류의 혼합물 제조단계(즉, 제2단계)로,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Poly Ethylene-Ethylene Vinyl Acetate Emersion) 또는 폴리우레탄-아크릴 에멀션(Poly Urethane-Acryl Emersion) 중의 하나의 합성 수지 5~10중량부를, 상기 물, 분산제 및 닥나무섬유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2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및 합성 수지류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코팅액 제조단계(즉, 제3단계)로, 세라믹분말 10~50중량부, 게르마늄분말 1.0~2.0 중량부를 상기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및 합성 수지류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3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합성 수지류, 세라믹분말 및 게르마늄분말의 혼합물인 코팅액을 제조한다.
코팅액 처리단계(즉, 제4단계)로,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에 코팅액을 도포하거나 코팅액에 상기 부직포를 함침하고 건조하는 난연처리과정을 행한다. 난연액을 도포량 50g/m2 이 되도록 도포시킬 수 있다.
코팅액 처리단계(제4단계)에서, 코팅액이 도포되거나 코팅액에 함침된 부직포를 건조(열풍 건조 또는 열 건조 또는 자연건조)한다. 이때, 열풍건조의 경우 대략 30℃~50℃에서 1시간~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열 건조의 경우 50℃~70℃에서 2시간~4시간 동안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건조시키며, 자연건조의 경우 6시간~1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허니컴 블라이드 제작
도 3은 허니컴 브라인더 제작시의 부직포(원단)의 측단면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기본단위 제작단계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일정 폭을 가진 띠형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다수개 만든다.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의 가로길이는 허니컴 블라인더의 가로길이와 같고,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의 세로길이, 즉, 폭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들어 7~10cm로 할 수 있다.
접는 단계로, 도 3의 (b) 내지 (d)에서와 같이,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3 등분하고, 3등분 중 좌단과 우단을 아래로 접는다.
열처리 단계로, 접는 단계에서 접혀진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열 로울러를 통과하게 하여,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에 열처리(즉, 다림질)를 행한다.
하니컴 블라인더의 몸체 제작단계로, 도 3의 (e)에서와 같이, 열처리 단계에서 열처리 된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상부(즉, 접혀진 좌단과 우단이 있는 부분의 반대부분)의 중앙에 접착제(도 3의 (e)의 빨강색 부분)를 칠하고, 도 3의 (f)에서와 같이, 접착제 칠하는 단계에서 접착제가 칠해진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위에, 열처리 단계에서 열처리 된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를 적층하되, 접착제가 칠해진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접착제 칠해진 부분에, 열처리 단계에서 열처리 된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하부의 좌단과 우단의 맞닫는 부분이 위치되도록 적층하여 접착하며, 이와 같이, 반복하여 접착제가 칠해진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위에, 열처리 단계에서 열처리 된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를 적층하여 접착한다.
상기 접착제는 글루건으로 칠하여 지며, 접착제의 폭은 0.5~1cm의 폭을 갖을 수 있으며, 접착제는 실리콘일 수 있다.
하니컴 블라인더의 몸체 제작단계에서 만들어진 하니컴 블라인드의 몸체를 양단으로 늘리면, 도 3의 (g)와 같은 허니컴 구조를 갖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하니컴 블라인드를 양단을 집게로 집고 이를 지지대와 함께 묶어서, 열을 가하는 150도 내지 200도의 숙성실(열풍실)에 넣어 열풍건조한다.
시험 1: 실시예 1의 부직포의 탈취성 시험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한국건설생활 환경시험연구원에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의 탈취시험을 행하였다.
암모니아(NH3)의 탈취 시험결과는 표 1과 같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Figure 112018109593662-pat00001
표 1 및 도 4와 같이, 아모니아 가스를 탈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리메틸아민((CH3)3N)의 탈취 시험결과는 표 2와 같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5와 같다.
Figure 112018109593662-pat00002
표 2 및 도 5와 같이, 트리메틸아민 가스를 탈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황화수소(H2S)의 탈취 시험결과는 표 3과 같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6과 같다.
Figure 112018109593662-pat00003
표 3 및 도 6과 같이, 미약하지만, 황화수소 가스를 탈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틸머캅탄(CH3SH)의 탈취 시험결과는 표 4와 같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7과 같다.
Figure 112018109593662-pat00004
표 4 및 도 7과 같이, 미약하기는 하지만, 메틸머캅탄 가스를 탈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2: 실시예 1의 부직포의 항균성 시험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한국건설생활 환경시험연구원에서, KCL-FIR-1003:2011 의 시험방법에 의해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성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성 시험결과는 표 5와 같다.
Figure 112018109593662-pat00005
도 8은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대장균의 항균성 시험결과의 예이고, 도 9은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녹농균의 항균성 시험결과의 예이고, 도 10는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황색포도상구균의 항균성 시험결과의 예이다.
도 8의 (a)는 상기 부직포가 없는 상태(BLANK)에서의 대장균을 24시간 배양한 결과이고, 도 8의 (b)는 상기 부직포에서 대장균을 24시간 배양한 결과이다.
도 9의 (a)는 상기 부직포가 없는 상태(BLANK)에서의 녹농균을 24시간 배양한 결과이고, 도 9의 (b)는 상기 부직포에서 녹농균을 24시간 배양한 결과이다.
도 10의 (a)는 상기 부직포가 없는 상태(BLANK)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을 24시간 배양한 결과이고, 도 10의 (b)는 상기 부직포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을 24시간 배양한 결과이다.
표 5 및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뛰어난 항균성을 나타냈다.
시험 3: 실시예 1의 부직포의 원적외선 시험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한국건설생활 환경시험연구원에서, KCL-FIR-1005:2016 의 시험방법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율 및 원적외선 방사에너지을 시험하였다.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원적외선 방사에너지에 대한 시험결과는 표 6과 같다.
Figure 112018109593662-pat00006
도 11은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시험한 결과이고, 도 12는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시험한 결과이다.
표 6 및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실시예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미세하지만,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13)

  1. 닥나무백피를 절단하여 얻어진 닥나무섬유에, 천연섬유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를 적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혼방섬유를 만드는 혼합단계;
    세절날이 배열형성된 세절드럼이 구비된 세절기에, 혼합단계에서 얻은 혼방섬유를 투입하여 혼방솜을 형성하는, 세절단계;
    상기 세절단계를 통해 얻은 혼방솜을 알칼리성 용액에 넣어 20-30분 삶아 물에 수세한 후 건조하는, 선별단계;
    선별단계 후의 혼방 솜을 액체의 노 포르말린 바인더에 함침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여 건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물 40~60중량부에 분산제 8~15중량부 및 닥나무섬유 4~6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및 닥나무섬유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Poly Ethylene-Ethylene Vinyl Acetate Emersion) 또는 폴리우레탄-아크릴 에멀션(Poly Urethane-Acryl Emersion) 중의 하나의 합성 수지 5~10중량부를, 제1단계에서 제조된, 물, 분산제 및 닥나무섬유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2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및 합성 수지류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세라믹분말 10~50중량부 및 게르마늄분말 1.0~2.0 중량부를, 제2단계에서 제조된,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및 합성 수지류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30분 동안 혼합 및 교반하여, 물, 분산제, 닥나무섬유, 합성 수지류, 세라믹분말 및 게르마늄분말의 혼합물인 코팅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거나, 상기 코팅액에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함침하고 건조하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화이버(fiber)형태의, 견사(레이온), 면, 텐셀(Tencel), 모달(Modal)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선별단계에서, 혼방섬유 100중량부에 대해서, 닥나무 섬유 20 중량부와, 천연섬유 60중량부와, 저융점 섬유사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상기 코팅액이 도포되거나, 상기 코팅액에 함침된 부직포를, 30℃~50℃에서 1시간~3시간 동안 열풍건조하거나, 50℃~70℃에서 2시간~4시간 동안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열 건조하거나, 6시간~18시간 동안 자연에 방치하여 자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12. 제1항의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을 포함하는 하니컴 블라인드.
  13. 닥나무섬유와, 천연섬유와, 저융점 섬유사(Low melting Fiber)를 혼합하여 형성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일정 폭을 가진 띠형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다수개 만드는, 기본단위 제작단계;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3 등분하고, 3등분 중 좌단과 우단을 아래로 접고, 접혀진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를 열 로울러를 통과하게 하여, 허니컴 블라인더 기본단위에 열처리를 행하는, 접기와 열처리 단계;
    열처리 단계 후의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상부의 중앙에 접착제를 칠한 후, 접착제가 칠하여 지지 않은, 열처리 단계 후의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를 적층하여 접착하고, 적층된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의 상부의 중앙에 접착제를 칠한 후, 접착제가 칠하여 지지 않은, 열처리 단계 후의 허니컴 블라인드 기본단위를 적층하여 접착하는 것을 반복하여, 허니컴 블라인더의 몸체 제작단계;
    허니컴 블라인더의 몸체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하니컴 블라인드의 몸체의 양단을 집게로 집고 지지대와 함께 묶어서, 열을 150도 내지 200도의 열풍실에서 넣어 열풍건조하는, 열풍건조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블라인드의 제조방법.
KR1020180134641A 2017-11-04 2018-11-05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209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354 2017-11-04
KR20170146354 2017-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929A KR20190050929A (ko) 2019-05-14
KR102209005B1 true KR102209005B1 (ko) 2021-01-29

Family

ID=6658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641A KR102209005B1 (ko) 2017-11-04 2018-11-05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0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98B1 (ko) 2012-07-05 2013-10-10 차화신 모시나 삼베 중에서 선택되는 바탕지에 한지가 배접되어 제공되는 한지커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5386B1 (ko) 2013-05-16 2013-11-08 민승기 닥나무섬유와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
KR101454595B1 (ko) 2013-05-14 2014-11-17 만고산업 (주) 순기트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98B1 (ko) 2012-07-05 2013-10-10 차화신 모시나 삼베 중에서 선택되는 바탕지에 한지가 배접되어 제공되는 한지커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4595B1 (ko) 2013-05-14 2014-11-17 만고산업 (주) 순기트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5386B1 (ko) 2013-05-16 2013-11-08 민승기 닥나무섬유와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929A (ko)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108B1 (ko) 활성화 인조솜의 제조방법
WO2014147459A1 (en) Composition of artificial hai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5297551A (zh) 一种阻燃壁纸及其制备方法
KR102209005B1 (ko) 닥나무 부직포를 이용한 하니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CN107366195A (zh) 一种轻质柔软隔音高粘附性壁纸及其制造方法
KR101301648B1 (ko) 헴프 섬유를 이용한 고기능성 원단 및 건축 자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시트
CN106592055B (zh) 一种防紫外线面料的加工方法
CN109972385B (zh) 一种竹木纤维的表面处理方法
KR102337547B1 (ko) 대마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KR100942829B1 (ko)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1306381B1 (ko) 방충원단 제조방법
KR102208946B1 (ko) 닥나무 방적사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208991B1 (ko) 닥나무 방적사를 포함하는 콤비 롤 스크린용 원단의 제조방법
JP3559509B2 (ja) 藺草を含む紙及びそれを使用した撚り糸
KR101517875B1 (ko) 다용도 기능성 위생 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249922A (ja) 炭素粉を繊維内部に含有する単繊維及びこの単繊維からなる加工体並びに綿体及び炭素粉を繊維表面又は繊維間に含有する加工体並びに綿体及びこの製造方法
CN108914706B (zh) 一种吸附甲醛的环保壁纸
CN104831412A (zh) 一种抗菌自清洁型羽绒复合纤维及其制作方法
KR100631413B1 (ko) 대마 및 실크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JPH06136696A (ja) 脱臭抗菌性を備えた多孔質シート状体
CN213675859U (zh) 一种阻燃抗菌喷胶棉
CN102764179A (zh) 医用纱布块及其生产方法
CN108951299B (zh) 一种棕黑色的环保墙纸及其制备方法
CN106758142A (zh) 一种无卤环保阻燃无纺布的制备方法
KR102045207B1 (ko) 인피 파이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