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254B1 -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254B1
KR102208254B1 KR1020190043442A KR20190043442A KR102208254B1 KR 102208254 B1 KR102208254 B1 KR 102208254B1 KR 1020190043442 A KR1020190043442 A KR 1020190043442A KR 20190043442 A KR20190043442 A KR 20190043442A KR 102208254 B1 KR102208254 B1 KR 102208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flight
fligh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958A (ko
Inventor
김영준
이승엽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Priority to KR102019004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65Black boxes, devices automatically broadcasting distres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 및 지상 관제시스템과 송수신하고, 서버에 실시간 백업하여 무인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조사 관리가 가능한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센서부가 추출한 비행 데이터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비행 및 영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무인 항공기; 및 상기 무인 항공기로부터 전송되는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백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 및 지상 관제시스템과 송수신하고, 서버에 실시간 백업하여 무인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조사 관리가 가능하며,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무결성과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의 추락으로 블랙박스가 파손되어도 비행 데이터와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BLACK BOX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 및 지상 관제시스템과 송수신하고, 서버에 실시간 백업하여 무인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조사 관리가 가능한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는 조종사 없이 지상에서의 원격조종 되거나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행체가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스스로 비행하는 비행체다.
이러한 무인 항공기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고공 촬영, 배달 및 키덜트 제품으로 재탄생되어 민간용,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인 항공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무인 항공기(10)는 복수의 프로펠러(11)가 설치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촬영을 위한 카메라(12)가 설치될 수 있다.
최근에는 12kg 이상의 무인 항공기에 대하여 국가 기관에서 발급한 자격증을 소지한 사용자가 운용하도록 관련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무인 항공기를 사용하는 만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무인 항공기를 분실하는 경우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무인 항공기의 안전과 함께 추락할 경우 정확한 추락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블랙박스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블랙박스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는 일반적으로 FDR(Flight Data Recorder)과, CVR(Cockpit Voice Recorder) 등을 하나로 통합한 장치로 비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과 항공기 사고조사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현재의 무인 항공기는 블랙박스가 미설치된 항공기가 많고, 추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16653호(발명의 명칭: 드론 분실 추적 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 및 지상 관제시스템과 송수신하고, 서버에 실시간 백업하여 무인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조사 관리가 가능한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인 항공기의 안전 관리와 사고 조사 관리를 위한 비행데이터로서, 상기 무인 항공기가 비행하는 동안 기체의 자세, 기체의 가속도, 기체의 높이, 압력고도, 지시 대기 속도, 정상 가속도, 종방향 가속도, 횡방향 가속도, GPS 데이터,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을 포함한 비행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무인항공기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카메라와, 운용자의 조종 신호에 따라 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운용자가 조종하는 신호 값에 대한 로그 데이터와, 상기 센서부가 검출한 비행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주변의 영상 데이터를 블랙박스에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블랙박스에 저장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일정 포맷의 암호화 신호로 변환하여 실시간 텔레메트리 데이터로 관리 서버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한 비행 데이터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운용자의 조종 신호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시간 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된 저장 포맷에 따라 저장하는 블랙박스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무인 항공기가 임의의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에 저장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SSL(Secure Socket Layer)로 무인 항공기와 관리 서버 간에 인증서로 암호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비행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구분되어 상기 관리 서버로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구비한 무인 항공기; 및 상기 무인 항공기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백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무인 항공기로부터 전송되는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신호를 복조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무인 항공기에서 전송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되, 내부 또는 외부의 보안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수신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요건에 따라 시큐어 프록시(Secure Proxy)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필요 정보의 추가 검색과, 추가 검색된 정보를 반영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행중 무인 항공기에서 발생되는 비행 상황을 분석하는 비행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수신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비행 데이터 분석 시스템(Flight Data Analysis System, FDA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 항공기와 관리 서버는 RF(Radio Frequency) 데이터 통신 및 LTE(Long Term Evolution)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 및 지상 관제시스템과 송수신하고, 서버에 실시간 백업하여 무인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조사 관리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무결성과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의 블랙박스가 파손되어도 비행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로부터 전송받은 비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락 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인 항공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무인 항공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센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관리 서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무인 항공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센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관리 서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은 무인 항공기(100)의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관리 서버(200)에 실시간 백업하여 무인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조사 관리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무인 항공기(100)와,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인 항공기(100)는 비행 중에 센서부(110)가 추출한 비행 데이터와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비행 및 영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센서부(110)와, 카메라(120)와, 제어부(130)와, 블랙박스(140)와, 모터 구동부(150)와, 데이터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110)는 무인 항공기(100)의 비행하는 동안 작동하는 동작 정보와, 무인 항공기(100)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기체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와, 기체의 가속도 값을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기체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고도 센서와, 기체의 위치와 비행방향 등을 검출할 수 있는 GPS 센서와, 바람의 속도(풍량) 및 바람의 방항(풍향) 등을 검출할 수 있는 바람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센서부(110)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와, 고도 센서와, GPS 센서와, 바람 센서 등을 통해 압력고도(111), 기체자세(112), 지시 대기 속도(113), 정상 가속도(114), 종방향 가속도(115), 횡방향 가속도(116), GPS 데이터(117), 바람속도(118), 바람방향(119) 등의 비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카메라(120)는 무인 항공기(100)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 등을 이용한 카메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변환 장치면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무인 항공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되는 운용자의 조종 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부(1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무인 항공기(100)가 임의의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운용자가 조종하는 신호 값에 대한 로그를 내재된 메모리(미도시) 또는 블랙박스(140)에 기록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고도(111), 기체자세(112), 지시 대기 속도(113), 정상 가속도(114), 종방향 가속도(115), 횡방향 가속도(116), GPS 좌표 등의 GPS 데이터(117), 바람속도(118), 바람방향(119) 등의 비행 데이터를 메모리 또는 블랙박스(140)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블랙박스(140)에 실시간 저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데이터는 일정 포맷으로 압축하여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메모리 또는 블랙박스(140)에 저장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일정 포맷의 암호화 신호로 변환하여 실시간 텔레메트리 데이터로 지상의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과정에서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블랙박스(140)는 센서부(110)에서 추출한 비행 데이터와,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운용자의 조종 신호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시간 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된 저장 포맷에 따라 저장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150)는 제어부(1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무인 항공기(100)가 임의의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60)는 제어부(1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 또는 블랙박스(140)에 저장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일정 포맷의 암호화 신호로 변환하여 지상 관제시스템의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RF(Radio Frequency) 데이터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바람직하게는 LTE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다.
상기 암호화 신호는 SSL(Secure Socket Layer)로 무인 항공기(100)와 관리 서버(200) 간에 미리 인증된 인증서로 암호화된 통신 신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160)는 비행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구분되어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지상의 관리시스템으로서,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또는 비암호화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백업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비행 중에 전송되는 텔레메트리(Telemetry)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며, 데이터 통신부(210)와, 비행 데이터 관리부(220)와, 데이터 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는 무인 항공기(100)에서 전송되는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신호를 복조한다.
상기 비행 데이터 관리부(220)는 무인 항공기(100)에서 전송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230)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바람직하게는 데이터의 관리와 통합이 용이한 비행 데이터 분석 시스템(Flight Data Analysis System, FDAS)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행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내부 또는 외부의 보안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요건에 따라 시큐어 프록시(Secure Proxy)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비행 데이터 관리부(220)는 실시간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와 서로 연동하여 전송받은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230)에 실시간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행 데이터 관리부(220)는 데이터 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웹 사이트(포털 사이트, 임베디드 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다양한 비행 상황에 따른 비행 데이터 분석에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가 검색하고, 상기 추가 검색된 정보가 반영된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비행중 무인 항공기(100)에 발생되는 다양한 비행 상황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230)는 무인 항공기(100)에서 전송되는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무인 항공기(100)가 관리 서버(200) 또는 미리 설정된 비행 정보에 따라 비행을 시작하면, 센서부(110)를 통해 검출되는 비행 데이터를 추출(S100)하고, 상기 추출된 비행 데이터는 무인 항공기(100)에 내재된 메모리에 저장(S110)한다.
또한,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추출(S120)하여 상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한 다음 저장(S130)한다.
상기 S110 단계와 S130 단계에서 저장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는 무인 항공기(100)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화 신호로 변조한 다음, 관리 서버(200)로 실시간 전송(S140)한다.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는 암호화 신호를 복조한 다음, 내부 또는 외부의 보안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요건에 따라 시큐어 프록시(Secure Proxy)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S150)하여 백업되도록 한다.
따라서, 무인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 및 지상 관제시스템과 송수신하고, 서버에 실시간 백업하여 관리함으로써, 무인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조사 관리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비행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무결성과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의 블랙박스가 파손되어도 서버에 백업된 비행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고,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무인 항공기로부터 전송받은 GPS 데이터 및 마지막 비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락 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무인 항공기 110 : 센서부
111 : 압력 고도 112 : 기체 자세
113 : 지시대기속도 114 : 정상 가속도
115 : 종방향 가속도 116 : 횡방향 가속도
117 : GPS 데이터 118 : 바람속도
119 : 바람방향 120 : 카메라
130 : 제어부 140 : 블랙박스
150 : 모터 구동부 160 : 데이터 통신부
200 : 관리 서버 210 : 데이터 통신부
220 : 비행 데이터 관리부 2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3)

  1. 무인 항공기(100)의 안전 관리와 사고 조사 관리를 위한 비행데이터로서, 상기 무인 항공기(100)가 비행하는 동안 기체의 자세, 기체의 가속도, 기체의 높이, 압력고도, 지시 대기 속도, 정상 가속도, 종방향 가속도, 횡방향 가속도, GPS 데이터,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을 포함한 비행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부(110)와, 무인항공기(100)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카메라(120)와, 운용자의 조종 신호에 따라 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운용자가 조종하는 신호 값에 대한 로그 데이터와, 상기 센서부(110)가 검출한 비행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120)가 촬영한 주변의 영상 데이터를 블랙박스(140)에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블랙박스(140)에 저장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일정 포맷의 암호화 신호로 변환하여 실시간 텔레메트리 데이터로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센서부(110)에서 검출한 비행 데이터와,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운용자의 조종 신호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시간 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된 저장 포맷에 따라 저장하는 블랙박스(140)와,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무인 항공기(100)가 임의의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150)와,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140)에 저장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SSL(Secure Socket Layer)로 무인 항공기(100)와 관리 서버(200) 간에 인증서로 암호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비행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구분되어 상기 관리 서버(200)로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160)를 구비한 무인 항공기(100); 및
    상기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백업하는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신호를 복조하는 데이터 통신부(210)와, 무인 항공기(100)에서 전송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230)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되, 내부 또는 외부의 보안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수신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요건에 따라 시큐어 프록시(Secure Proxy)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필요 정보의 추가 검색과, 추가 검색된 정보를 반영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행중 무인 항공기(100)에서 발생되는 비행 상황을 분석하는 비행 데이터 관리부(220)와, 상기 수신된 비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30)를 포함하는 비행 데이터 분석 시스템(Flight Data Analysis System, FD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100)와 관리 서버(200)는 RF(Radio Frequency) 데이터 통신 및 LTE(Long Term Evolution)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비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 시스템.
  3. 삭제
KR1020190043442A 2019-04-15 2019-04-15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KR102208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42A KR102208254B1 (ko) 2019-04-15 2019-04-15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42A KR102208254B1 (ko) 2019-04-15 2019-04-15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37A Division KR20190024495A (ko) 2017-08-30 2017-09-22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58A KR20190040958A (ko) 2019-04-19
KR102208254B1 true KR102208254B1 (ko) 2021-01-27

Family

ID=6628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442A KR102208254B1 (ko) 2019-04-15 2019-04-15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60A (ko) * 2019-10-31 2021-05-10 탁승호 드론식별 및 등록 비행예약시스템
TW202242991A (zh) 2020-12-18 2022-11-01 日商東京威力科創股份有限公司 基板處理方法及基板處理裝置
KR102443071B1 (ko) * 2021-10-20 2022-09-13 주식회사 아고스 방송용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
KR102602346B1 (ko) 2021-12-30 2023-11-17 주식회사 지엠디소프트 시계열 데이터 학습 기반 드론 사고 원인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578453B1 (ko) * 2023-01-31 2023-09-14 주식회사 중앙디앤엠 헬기의 영상, 음성 정보 저장 및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105A (ja) * 2010-05-27 2011-12-08 Honeywell Internatl Inc 無人飛行機のための風況推定
KR101728641B1 (ko) * 2016-09-30 2017-04-20 주식회사 포드림 무인비행체 조종이력 검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85B1 (ko) * 2014-12-15 2016-12-21 주식회사 펀진 무인항공기 관제시스템
KR101827251B1 (ko) * 2016-02-01 2018-02-08 주식회사에스에이티 작업영역의 탐색과 탐색된 작업영역에서 연속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인비행체
KR101716653B1 (ko) 2016-06-21 2017-03-15 편도균 드론 분실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105A (ja) * 2010-05-27 2011-12-08 Honeywell Internatl Inc 無人飛行機のための風況推定
KR101728641B1 (ko) * 2016-09-30 2017-04-20 주식회사 포드림 무인비행체 조종이력 검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58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254B1 (ko)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KR20190024495A (ko)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US202003120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light
US8565943B2 (en) Fleet operations quality management system
US10059445B2 (en)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and data collection protection system (DCPS)
KR102299375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무인 항공기 비행 자료 기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210736A1 (ko) 비행체를 위한 비행 통제 및 이력 기록 장치, 이를 포함한 비행체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개인용 항공 이동 장치, 및 비행체를 위한 클라우드 비행 기록 관제관제 서버
CN112703727B (zh) 具有监视数据管理的栓系无人机系统
KR102029883B1 (ko) 드론을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시스템
JP6590937B2 (ja) 遠隔制御無人航空機(uav)の挙動を分析するための機器、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329168A (zh) 具有行车记录和驾驶辅助功能的抬头显示系统及方法
KR101882418B1 (ko)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KR102243810B1 (ko) 헬리캠의 실시간 촬영 영상에 위치 및 속성 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90254A1 (en) Autonomous Drone System and Method
US202102947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vable object tracking and analysis
CN107733975A (zh) 一种无人机数据删除系统及方法
US20230288923A1 (en) Long distance trans-continental remote drone piloting system
JP7041108B2 (ja) 管理装置
JP6715541B1 (ja) 飛行体の管理サーバ及び管理システム
WO2022209040A1 (ja) 移動体認証装置、移動体認証システム、移動体認証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umar et al. Insights to the Forensic Investigation of a Custom Built UAV
WO2023228387A1 (ja) 移動体、暗号鍵配送システム、暗号鍵配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6094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인항공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공유 시스템
KR101439780B1 (ko) 블랙박스의 영상 데이터에서 이슈 구간을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한 이슈 구간 자동 분류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16472A (ko) 블랙박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