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246B1 - 유아용 퍼즐 완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퍼즐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246B1
KR102208246B1 KR1020190112223A KR20190112223A KR102208246B1 KR 102208246 B1 KR102208246 B1 KR 102208246B1 KR 1020190112223 A KR1020190112223 A KR 1020190112223A KR 20190112223 A KR20190112223 A KR 20190112223A KR 102208246 B1 KR102208246 B1 KR 102208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uide
shape
protrusion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랫폼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랫폼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랫폼레인
Priority to KR102019011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2009/1016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the pieces having additional connections, i.e.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by the jig-saw shapes
    • A63F2009/1022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the pieces having additional connections, i.e.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by the jig-saw shapes to the display board
    • A63F2009/1033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the pieces having additional connections, i.e.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by the jig-saw shapes to the display board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2009/1061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with electric features, e.g. light,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퍼즐 완구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판, 그리고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블록의 하면에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된 블록 돌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 간의 결합 수단이 마련되지 않고도 블록들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고 가이드부에 의해 블록들의 가지런한 배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퍼즐 완구{Puzzle toy for children}
본 발명은 유아용 퍼즐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가이드 판과,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유아용 퍼즐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기 및 아동기는 왕성한 호기심을 가지는 시기로, 최근에는 유아 및 아동들이 놀이를 통해 논리적인 사고력과 가이드 판단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완구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퍼즐(puzzle) 완구는 논리적인 사고력과 가이드 판단력 향상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완성 시 성취감을 줄 수 있어 유아 또는 아동용 완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퍼즐은 사용 연령에 따라 다양한 난이도의 퍼즐이 제작되는데, 그 중 소근육의 발달 정도가 부족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퍼즐은 유아들이 블록 간의 결합을 어려워 하기 때문에 별도의 블록 간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지 않고 다수개의 블록들을 배치하거나 쌓아서 목표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퍼즐 완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퍼즐 완구는 블록 간에 결합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쉽게 흐트러진다는 문제가 있고 유아의 성장 발달 정도에 따라 블록을 가지런히 배치하기 어려워하거나 제시된 목표 형태를 보고 그에 따라 블록을 배치하는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1639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블록 간의 결합 수단이 마련되지 않고도 블록들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고 가지런한 배치가 용이한 유아용 퍼즐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유아가 제시된 목표 형태를 보고 그에 따라 블록을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배치를 유도해 주는 유아용 퍼즐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는 퍼즐 완구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판, 그리고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블록의 하면에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된 블록 돌출부가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부는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 돌출부가 이격 배치되어 서로 행과 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블록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는 마름모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는 높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돌출부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 사이 공간은 블록 돌출부를 이동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는데, 가이드 돌출부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가이드 판의 상면은 자석과 부착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은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LED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판은 블록의 배치 위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 공급 단자를 더 포함하고, 블록은 전원 공급 단자와 접촉하여 LED 모듈로 전원을 공급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블록 돌출부의 하면 중심부에 배치되는 접촉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판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모양을 설정하는 모양 설정부, 그리고 배치 위치 중 모양 설정부에서 설정한 모양에 해당하는 목표 위치를 판단하고 전원 공급 단자 중 목표 위치에 형성되는 목표 전원 공급 단자를 판단하며, 목표 전원 공급 단자로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목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블록의 LED 모듈을 발광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 간의 결합 수단이 마련되지 않고도 블록들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고 가이드부에 의해 블록들의 가지런한 배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이 목표 위치에 배치되면 LED 모듈에서 빛이 출력되어 블록을 목표 위치에 배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유아가 쉽게 블록을 목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아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가이드 판에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가이드 판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의 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의 가이드 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에서 블록을 목표 위치에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가이드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이 가이드 판(300)에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이 가이드 판(30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는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부(330)를 구비하는 가이드 판(300)과 가이드부(330)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블록(100)을 포함하고, 이때, 블록(100)의 하면에는 가이드부(330)를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된 블록 돌출부(13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블록(100)은 몸체를 이루는 블록 몸체부(110)와 블록 몸체부(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돌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몸체부(110)는 상단부(111)와 하단부(113)가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 몸체부(110)는 측면 둘레를 따라 자성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블록 몸체부(110) 간에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판(300)은 몸체를 이루는 가이드 판 몸체부(310)와 블록 돌출부(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3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30)는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 돌출부(331)가 이격 배치되어 서로 행과 열을 이룸으로써 가이드 돌출부(331) 사이 공간에 블록 돌출부(130)를 이동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로(GR)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가이드 돌출부(331) 간의 상호 간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돌출부(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블록 돌출부(130)의 돌출 거리는 가이드 돌출부의 돌출 거리(L)와 같거나 또는 가이드 돌출부의 돌출 거리(L)보다 미세하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돌출부(13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판의 가이드 돌출부(331)는 마름모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블록(100)이 가이드 판(300) 상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걸림을 방지하며 이동 방향이 상하좌우로 가이드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의 블록(100′)의 상측 모습과 하측 모습이 보이도록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의 가이드 판(300′)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5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에서 블록(100′)을 목표 위치에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8b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의 블록 돌출부(130′)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판 몸체부(310′)의 전체 영역 또는 가이드 판 몸체부(310′) 중 가이드 경로(GR′)를 형성하는 영역은 자석에 부착되는 성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은 가이드 판(300′) 또는 가이드 경로(GR′)를 형성하는 영역에 부착된 상태로 가이드 경로(GR′)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록(100′)은 자성에 의해 가이드 경로(GR′)를 형성하는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판(300′)은 가이드 판 몸체부(310′) 상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350′)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 돌출부(331′)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100′)은 블록 돌출부(130′)가 가이드 돌출부(331) 사이 공간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350′) 및 가이드 돌출부(331′)에 의해 상대적으로 침강된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경로(GR′)에 블록 돌출부(130′)가 삽입 배치된 형태로 블록(10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블록(100′)의 상하좌우 슬라이딩 이동 시 블록 돌출부(130′)가 가이드 돌출부(331′)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모서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판의 가이드 돌출부(331′)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퍼즐 완구는 유아가 다수개의 블록(100′)을 가이드 판(300′)에 자유롭게 배치하여 원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유아가 제시된 목표 형태를 보고 다수개의 블록(100′)이 목표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가이드 판(300′)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형태는 다수개의 블록이 다양하게 배치되어 동물 또는 사물과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한 형상이며 그림, 사진, 단말의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성장 발달 정도에 따라 블록(100′)을 제시된 목표 형태에 따라 가이드 판(300′)에 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퍼즐 완구는 유아가 쉽게 블록(100′)을 제시된 목표 형태에 따라 가이드 판(300′)에 배치할 수 있도록 유도 가능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은 LED 모듈(150′)과 접촉 단자(170′)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 판(300′)은 전원 공급 단자(370′)와 모양 설정부(미도시) 및 제어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ED 모듈(150′)은 전원이 공급되면 빛이 출력되도록 형성되고 블록 몸체부(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단자(170′)는 전원 공급 단자(370′)와 접촉하여 LED 모듈(150′)로 전원을 공급 가능하도록, LED 모듈(1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블록 몸체부(110′)의 하면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단자(370′)는 블록(100′)이 배치되는 배치 위치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100′)이 배치되는 배치 위치는 가로 방향을 따라 길이가 형성되는 가이드 경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길이가 형성되는 가이드 경로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들을 의미한다.
모양 설정부(미도시)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목표 모양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판(300′)에는 다수의 목표 모양 선택 버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수의 목표 모양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목표 모양 선택 버튼을 가압하면, 모양 설정부(미도시)는 가압된 목표 모양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목표 모양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듈(미도시)는 배치 위치 중 모양 설정부(미도시)에서 설정한 모양에 해당하는 목표 위치를 판단하고, 전원 공급 단자(370′) 중 목표 위치에 형성되는 목표 전원 공급 단자를 판단하며, 판단된 목표 전원 공급 단자로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목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블록의 LED 모듈(150′)을 발광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위치란 배치 위치 중 블록(100′)이 배치되면 제시된 목표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블록 배치 위치를 의미한다.
정리하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미도시)은 모양 설정부(미도시)에서 설정한 모양에 해당하는 목표 위치를 판단하고, 목표 위치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 단자(370-1′)에서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되 그 외의 전원 공급 단자(370-2′)에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때문에, 목표 위치에 배치되어 접촉 단자(170′)가 목표 위치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 단자(370-1′)와 접촉한 블록의 LED 모듈(150-1′)은 발광하지만,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접촉 단자(170′)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 단자(370-2′)와 접촉한 블록의 LED 모듈(150-2′)에서는 발광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퍼즐 완구는 유아가 블록(100′)을 제시된 목표 형태에 따라 가이드 판(300′)에 배치할 수 있도록 유도 가능하며, 이는 유아가 블록(100′)을 쉽게 목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출력되는 빛을 통해 유아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블록
110: 블록 몸체부
111: 상단부
113: 하단부
130: 블록 돌출부
150: LED 모듈
170: 접촉 단자
300: 가이드 판
310: 가이드 판 몸체부
330: 가이드부
331: 가이드 돌출부
350: 이탈 방지부
370: 전원 공급 단자
GR: 가이드 경로

Claims (8)

  1. 퍼즐 완구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면에 돌출 형성된 블록 돌출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 돌출부가 이격 배치되어 서로 행과 열을 이루고,
    상기 블록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높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 돌출부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 사이 공간은 상기 블록 돌출부를 이동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 돌출부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판의 상면은 자석과 부착되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판은
    서로 다른 형상의 목표 모양을 갖는 다수개의 목표 모양 선택 버튼;
    상기 목표 모양 선택 버튼의 입력에 따라 다수의 상기 블록으로 이루어진 모양을 설정하는 모양 설정부;
    상기 블록이 배치되는 각각의 배치 위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각각의 상기 배치 위치 중 상기 모양 설정부에서 설정한 모양에 해당하는 목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위치에 위치한 전원 공급 단자에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머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면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 모듈; 및
    상기 블록 돌출부의 하면 중심부에 배치되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접촉하면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은 측면 둘레를 따라 자성이 형성되어 다른 상기 블록과 서로 간에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 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12223A 2019-09-10 2019-09-10 유아용 퍼즐 완구 KR102208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23A KR102208246B1 (ko) 2019-09-10 2019-09-10 유아용 퍼즐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23A KR102208246B1 (ko) 2019-09-10 2019-09-10 유아용 퍼즐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246B1 true KR102208246B1 (ko) 2021-01-28

Family

ID=7423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223A KR102208246B1 (ko) 2019-09-10 2019-09-10 유아용 퍼즐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631A (ko) 2021-07-19 2023-01-26 (주)아이엔피 팝업 입체 퍼즐 완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243A (en) * 1980-10-20 1982-04-06 Marvin Glass & Associates Electrical board game device
KR20020021639A (ko) 1999-08-24 2002-03-21 오사무 후에다 재조합식 퍼즐게임
KR200405117Y1 (ko) * 2005-08-09 2006-01-11 이순규 퍼즐완구
KR100758027B1 (ko) * 2006-04-14 2007-09-11 양기웅 퍼즐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243A (en) * 1980-10-20 1982-04-06 Marvin Glass & Associates Electrical board game device
KR20020021639A (ko) 1999-08-24 2002-03-21 오사무 후에다 재조합식 퍼즐게임
KR200405117Y1 (ko) * 2005-08-09 2006-01-11 이순규 퍼즐완구
KR100758027B1 (ko) * 2006-04-14 2007-09-11 양기웅 퍼즐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631A (ko) 2021-07-19 2023-01-26 (주)아이엔피 팝업 입체 퍼즐 완구
KR20240026970A (ko) 2021-07-19 2024-02-29 (주)아이엔피 팝업 입체 퍼즐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246B1 (ko) 유아용 퍼즐 완구
JP6856776B2 (ja) モジュール式ボールトラックシステム
US3406971A (en) Three-dimensional labyrinth
US4991836A (en) Dynamic game apparatus and method using multiple magnets and a magnetic manipulator below them
US3481603A (en) Game piece with visually distinguishable playing symbols
CN110637336A (zh) 编程装置及记录介质、编程方法
US8387984B2 (en) Manipulative three-dimensional puzzle
KR200461752Y1 (ko) 휴대용 로봇 경기 장치
US5497997A (en) Captive-track game apparatus
US5794932A (en) Device for a table game with multiple chess-boards superimposed one upon the other, and spatial movements
US20190275417A1 (en) Multifaced 3-D Puzzle Building Blocks
JP4142076B2 (ja) ゲーム装置
JP3166291U (ja) 加減ゲーム器
US4793615A (en) Puzzle with movable pieces
US4412681A (en) Two dimensional logical toy
CN212166491U (zh) 一种智能立体四子棋
US20230338822A1 (en) Intelligent score four
KR101274142B1 (ko) 규칙성을 가지는 보드게임도구
KR20190045005A (ko) 놀이와 교육을 접목한 어린이용 스마트 토이
US20060012119A1 (en) Three dimensional maze game
KR20200030320A (ko)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KR102141540B1 (ko)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보드게임기
CN211016107U (zh) 用于逻辑思维训练的数学教具
KR100805639B1 (ko)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KR102656112B1 (ko) 게임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