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639B1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Google Patents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5639B1 KR100805639B1 KR1020060053680A KR20060053680A KR100805639B1 KR 100805639 B1 KR100805639 B1 KR 100805639B1 KR 1020060053680 A KR1020060053680 A KR 1020060053680A KR 20060053680 A KR20060053680 A KR 20060053680A KR 100805639 B1 KR100805639 B1 KR 100805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mensional
- board
- grating
- checkerboard
- inter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2—Chess; Similar board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14—Three-dimensional game boards
- A63F2003/0022—Three-dimensional game boards played in three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16—Connectable or stackable playing pieces or parts thereof
- A63F2003/00719—Connectable or stackable playing pieces or parts thereof with connections amongst the playing pieces or parts thereof
- A63F2003/00725—Peg and socket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의 목적은 입체 게임을 할 수 있는 입체 바둑판과 바둑알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며,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체 바둑판은 2개 이상의 격자판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각각의 격자판은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n개의 봉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m개의 봉이 m*n개의 교차점에서 수직하게 만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바둑알은 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격자판은 자석에 붙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서 바둑알을 격자판의 교차점에 붙일 수 있고, 바둑알에는 볼록부를, 격자판의 교차점에는 그 오목부에 대응하는 모양의 오목부를 형성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
입체, 바둑, 자석
Description
도1은 기존의 입체 바둑판의 모습
도2는 하나의 격자판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
도3은 하나의 격자판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
도4는 2개의 격자판을 포함한 입체바둑판의 모습
도5는 3개의 격자판을 포함한 입체바둑판의 모습
도6은 바둑알의 단면도
도7은 2층의 입체바둑판에 바둑알이 놓여진 모습을 옆에서 바라본 모습
도8은 3층의 입체바둑판에 바둑알이 놓여진 모습을 옆에서 바라본 모습
도9는 격자판의 교차점에 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한 모습
도10은 바둑알이 격자판 위에 놓여질 때의 단면도
도11은 격자판의 교차점에 원뿔형의 볼록부가 형성된 격자판과 바둑알의 단면도
도12는 격자판의 교차점에 반구형의 볼록부가 형성된 격자판과 바둑알의 단면도
도13은 격자판의 교차점에 원뿔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격자판과 바둑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바둑알
110 : 자석
120 : 덮개
200 : 입체바둑판
210 : 튜브
220 : 기둥
230 : 격자판
현재 바둑은 매우 인기있는 게임이고, 두뇌 훈련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학부모들은 자녀들에게 교육적 목적으로 가르치기도 한다. 또 바둑판 위에서는 바둑 이외에 오목 등의 다양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바둑판은 3차원 공간이 아니라 2차원 공간에만 바둑알(바둑돌)을 놓을 수 있다.
만일 3차원 공간 상에 바둑알을 놓을 수 있는 바둑판이 있다면, 3차원 상의 바둑 게임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기존의 2차원 바둑보다 더 재미가 있을 것이고, 두뇌 개발의 측면에서도 2차원 공간 감각이 아니라 3차원 공간 감각 발달에 도움이 되므로 더욱 더 유익할 것이다.(2차원 바둑에서는 동, 서, 남, 북 4방향이 막혀 있어야 돌이 죽게 되나 3차원 바둑에서는 동, 서, 남, 북, 상, 하 6방향이 막혀 있어야 돌이 죽게 된다)
3차원 바둑판이 만들어진다면, 3차원 오목과 같은 게임도 가능해질 것이다.
기존에 제안된 3차원 바둑판의 중 하나의 예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0-30912에 제안된 바둑판이다. 여기에 기재된 바둑판은 도1에서와 같이 4개의 투명판을 4층으로 쌓아두고 각각의 투명판에 가로, 세로 각각 4줄을 그어서 각 층마다 16개의 교차점을 만들어서 그 교차점 위에 바둑알을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기존의 바둑판이 가로, 세로 19× 19의 2차원 바둑판이라면 도1의 바둑판은 가로, 세로, 높이 4× 4× 4의 3차원 바둑판이다.
즉 이와 같은 3차원 바둑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만일 가로, 세로, 높이 11× 11× 2의 3차원 바둑판 만들었고 가로, 세로의 한 칸의 크기가 2cm라면 투명판 하나의 크기는 약 가로, 세로 20cm × 20cm 정도가 된다. 이 때 아래쪽 투명판 위에 바둑돌을 놓기 위해서는 위쪽 투명판과 아래쪽 투명판이 10cm 이상 떨어질 필요가 있다. 그래야 위쪽 투명판과 아래쪽 투명판 사이에 손을 넣어서 아래쪽 투명판 위에 돌을 놓을 수 있다. 만일 위쪽 투명판과 아래쪽 투명판의 거리가 2cm라면 그 사이로 손을 집어 넣어서 아래 투명판 위에 돌을 놓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런데 바둑이라는 게임을 하려면 어떤 돌이 다른 돌의 옆에 있는지 아닌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지만 돌이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다른 돌에 막혀 있는 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면 바둑에서는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으로 좁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어떤 돌이 다른 돌의 바로 옆에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도1의 입체 바둑판에서는 높이 방향의 위치 파악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가로, 세로, 높이)좌표를 (x,y,z)좌표로 표현할 때, 한 돌이 (a,b,1)이라는 좌표에 있으면 다른 돌이 (a,b,2)좌표에 있는지 아니면 (a+1,b,2) 좌표에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바로 옆의 돌과의 간격은 2cm이고 위 방향의 돌과의 간격은 10cm 이상이라면 (a,b,1)좌표의 돌 상측에 있는 돌의 좌표가 (a,b,2)좌표에 있는지 아니면 (a+1,b,2) 좌표에 있는지를 순간적으로 정확히 알기가 어렵다. 그렇다고 위 투명판과 아래 투명판과의 간격을 2cm정도로 줄이면 높이 방향의 위치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아래 투명판과 아래 투명판 사이로 손을 넣을 수가 없어 아래 투명판의 위로 돌을 놓을 수가 없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투명판을 아래 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서, 보통 때는 판 사이의 간격을 2cm 정도로 좁게 유지하다가 바둑돌을 놓을 때는 판을 위로 움직여 판 사이의 간격을 늘여서 바둑돌을 놓고 다시 판을 움직여 판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투명판 위에 바둑돌을 놓은 채로 투명판을 위 아래로 움직이면 투명판이 흔들려서 바둑돌의 위치가 바뀌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평면적인 좌표가 아니라 입체적인 좌표에 바둑알을 놓을 수 있는 입체적인 바둑판과 바둑알에 관한 것으로서, 각 바둑알의 공간적 위치가 쉽게 파악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바둑판 위에 바둑알을 쉽게 놓을 수 있도록 하고 한 번 놓은 바둑돌은 바둑판이 흔들려도 쉽게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원발명에 의한 바둑판은, 도2와 같이 가로 방향의 여러 개의 봉들과 세로방향의 여러 개의 봉들이 수직으로 만나 하나의 격자판을 형성하고, 도4나 도5와 같이 그 판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그리고 바둑돌은 봉과 봉이 만나는 교차점("꼭지점"이라고 할 수도 있다)에 놓이게 된다.
본원발명에 의한 바둑알(100)은 도6에서와 같이 자석(110)과 덮개(120)로 되어 있다. 덮개는 바둑알 색깔인 흰색 또는 검은색이 착색되는 부분으로, 덮개(120)의 재료는 플라스틱, 고무, 도료 등 색깔이 착색될 수 있는 있는 어떠한 재료라도 가능하다. 바둑돌의 모양은 원통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자판의 성분은 자석이 끌어당길 수 있는 쇠와 같은 금속 성분이다.
바둑돌(100)을 격자판 위에 놓으면, 자석의 자력 때문에 교차점 위에 고정되게 된다.
도3은 도2의 격자판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4는 도3의 격자판을 2층으로 만들어 평행으로 배치한 모습이다. 도7(2층의 격자판에 바둑돌을 놓은 모습을 옆에서 바라본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쪽 격자판에 바둑돌을 놓을 때는 위에서 바둑돌을 붙이고, 아래쪽 격자판에 바둑돌을 놓을 때는 아래쪽에서 붙일 수 있다.
도5는 도3의 격자판을 3층으로 만들어 평행하게 배치한 모습이다. 이 때 맨 위의 격자판에 바둑돌을 놓을 때는 위에서 바둑돌을 붙이고, 맨 아래의 격자판에 바둑돌을 놓을 때는 아래쪽에서 붙인다고 할 때, 가운데 격자판에는 바둑돌을 붙이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3개층 이상의 격자판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5에서와 같이 격자판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격자판은 4개의 튜브(210)에 고정되어 있고, 입체바둑판(200)은 4개의 기둥(220)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4개의 튜브가 4개의 기둥에 끼워져서 위아래도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맨 위의 격자판 위에 바둑알을 부착할 때는 바로 바둑알을 부착하면 되지만, 위에서 두 번째 격자판에 바둑알을 부착할 때는 맨 위의 격자판이 방해가 되므로 맨 위의 격자판을 4개의 기둥(220)을 따라 위쪽으로 올린 뒤 두 번째 격자판에 바둑알을 부착한 뒤 맨 위의 격자판을 원래 위치로 내린다.
위에서 세 번째 격자판에 바둑알을 부착할 때에는 위의 두 개의 격자판을 4개의 기둥을 따라 위쪽으로 올린 뒤 세 번째 판에 바둑알을 부착하고 두 개의 격자판을 원래 위치로 내린다.
따라서 바둑알을 바둑판에 부착한 상태에서 바둑판의 측면도는 도8와 같다.
또 교차점이 바둑알의 자석부분과 닿는 면적이 적으면, 자석의 붙는 힘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도9와 같이 교차점에 원모양의 평면을 만들어 접촉면의 면적을 늘릴 수도 있다.
그런데 도10에서와 같이, 바둑알(100)이 격자판(230)의 교차점에 붙는 면이 평면이면,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 바둑돌을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도11에서와 같이 바둑알에는 원뿔형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격자판의 교차부에는 원뿔형의 볼록부를 두면, 바둑알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고, 조그만 충격이 가해져도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결합력도 오목부,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강해진다.
이때, 오목부와 볼록부의 모양은 도11에서와 같이 원뿔형일 수도 있지만, 그 외의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12에서와 같이 반구형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둘 수도 있다.
또 도13에서와 같이, 바둑알에 볼록부를 두고, 격자판의 교차점에 오목부를 둘 수도 있다.
그리고 입체 바둑판을 만들면 바둑판의 봉과 교차점(봉과 봉이 만나는 지점)의 위치가 다른 봉과 교차점의 위치와 겹쳐져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봉과 교차점의 위치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봉의 크기나 색깔을 위치 별로 달리 하면 위치의 혼동을 줄일 수 있다. 또는 특정한 교차점에 특정한 색깔을 띠게 하거나 특이한 모양을 부착할 수도 있다. (기존의 바둑판에서는 화점이라고 하는 몇 개의 교차점을 굵게 표시함으로써 위치의 혼동을 줄이고 있다.)
본원발명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발명에 의한 첫 번째 실시 태양은 다음과 같다.
입체 게임을 할 수 있는 입체 바둑판과 바둑알들로써,
입체 바둑판은 2개 이상의 격자판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각각의 격자판은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n개의 봉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m개의 봉이 m*n개의 교차점에서 수직하게 만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바둑알은 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격자판은 자석에 붙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서 바둑알을 격자판의 교차점에 붙일 수 있고,
바둑알에는 오목부를, 격자판의 교차점에는 그 오목부에 대응하는 모양의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바둑판과 바둑알들.
본원발명에 의한 두 번째 실시 태양은 다음과 같다.
입체 게임을 할 수 있는 입체 바둑판과 바둑알들로써,
입체 바둑판은 2개 이상의 격자판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각각의 격자판은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n개의 봉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m개의 봉이 m*n개의 교차점에서 수직하게 만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바둑알은 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격자판은 자석에 붙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서 바둑알을 격자판의 교차점에 붙일 수 있고,
바둑알에는 볼록부를, 격자판의 교차점에는 그 오목부에 대응하는 모양의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바둑판과 바둑알들.
기존의 바둑판은 평면 게임만 가능했는데, 본원발명에 의한 바둑판은 입체 게임이 가능하다. 그리고 바둑판이 흔들리거나 바둑돌을 놓을 때 다른 바둑돌을 건드려도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는다.
이상의 기재사항은 오로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된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 입체 게임을 할 수 있는 입체 바둑판과 바둑알들로써,입체 바둑판은 2개의 격자판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각각의 격자판은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n개의 봉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m개의 봉이 m*n개의 교차점에서 수직하게 만나는 구조로 되어 있고,바둑알은 자석을 내부에 포함하고 격자판은 자석에 붙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서 바둑알을 격자판의 교차점에 붙일 수 있고,바둑알에는 오목부를, 격자판의 교차점에는 그 오목부에 대응하는 모양의 볼록부를 형성하고위쪽 격자판에는 바둑알을 바둑판 위쪽에서 붙일 수 있고, 아래쪽 격자판에는 바둑알을 아래쪽 방향에서 붙일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입체바둑판과 바둑알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680A KR100805639B1 (ko) | 2006-06-14 | 2006-06-14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680A KR100805639B1 (ko) | 2006-06-14 | 2006-06-14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0990A Division KR20070119583A (ko) | 2007-08-13 | 2007-08-13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275A KR20070119275A (ko) | 2007-12-20 |
KR100805639B1 true KR100805639B1 (ko) | 2008-02-20 |
Family
ID=3913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3680A KR100805639B1 (ko) | 2006-06-14 | 2006-06-14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563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4143B1 (ko) * | 2012-08-28 | 2014-04-15 | 오윤석 | 보드 게임 세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70282U (ja) | 1981-11-04 | 1983-05-12 | 鎌須賀 孝之 | 立体駒並べゲ−ム盤 |
KR20000030912A (ko) * | 1998-09-07 | 2000-06-05 | 김재곤 | 3차원놀이 |
-
2006
- 2006-06-14 KR KR1020060053680A patent/KR1008056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70282U (ja) | 1981-11-04 | 1983-05-12 | 鎌須賀 孝之 | 立体駒並べゲ−ム盤 |
KR20000030912A (ko) * | 1998-09-07 | 2000-06-05 | 김재곤 | 3차원놀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275A (ko) | 2007-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9693B1 (ko) |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 | |
KR101321326B1 (ko) | 3차원 퍼즐 또는 퍼즐 또는 디스플레이 플랫폼 | |
KR102081680B1 (ko) |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 |
RU2612656C2 (ru) | Фигуры игровые и комплект из таких игровых фигур | |
US4526372A (en) | Puzzle toy | |
GB633951A (en) | Educational toy and game | |
US8387984B2 (en) | Manipulative three-dimensional puzzle | |
KR20090066338A (ko)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
KR100805639B1 (ko)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
US5794932A (en) | Device for a table game with multiple chess-boards superimposed one upon the other, and spatial movements | |
US20190275417A1 (en) | Multifaced 3-D Puzzle Building Blocks | |
KR20070119583A (ko)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
JPS61284282A (ja) | 組立おもちや | |
KR200469235Y1 (ko) | 지능형 유아용 자석 블록 | |
US4430824A (en) | Composite-picture forming play kit | |
KR100712742B1 (ko)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
KR20130003446U (ko) | 유아용 학습 교구 | |
KR20070041691A (ko) |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 |
KR101356978B1 (ko) | 문자 블록 | |
KR101274142B1 (ko) | 규칙성을 가지는 보드게임도구 | |
KR20200129685A (ko) | 문제해결을 입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학습교구 | |
KR20130012939A (ko) | 도형 학습용 교구 | |
JPH0146154B2 (ko) | ||
KR101706738B1 (ko) | 신체 활동과 지적 활동을 동시에 수행하기 적합한 퍼즐 교구 | |
JP3217482U (ja) | ボードゲー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