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117Y1 - 퍼즐완구 - Google Patents

퍼즐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117Y1
KR200405117Y1 KR2020050027864U KR20050027864U KR200405117Y1 KR 200405117 Y1 KR200405117 Y1 KR 200405117Y1 KR 2020050027864 U KR2020050027864 U KR 2020050027864U KR 20050027864 U KR20050027864 U KR 20050027864U KR 200405117 Y1 KR200405117 Y1 KR 200405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unit
toy
main body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규
Original Assignee
이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규 filed Critical 이순규
Priority to KR2020050027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bstract

본 고안은 퍼즐완구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퍼즐과,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퍼즐완구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드영역과, 상기 슬라이드영역의 일측 또는 본체 외주부 일측에 상기 퍼즐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착탈영역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단위퍼즐을 1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만큼 분리시킴으로써 퍼즐완구의 단위퍼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마련할 수 있어 사용자가 퍼즐완구를 이용하여 복잡한 그림, 사진, 숫자의 배열, 심벌 등을 손쉽게 완성할 수 있다.
퍼즐, 단위퍼즐, 착탈단위퍼즐, 완구, 그림, 사진, 숫자, 자석

Description

퍼즐완구{puzzle to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의 단위퍼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의 착탈단위퍼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착탈영역을 세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의 착탈영역에 캡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퍼즐완구 120 : 본체
140,140' : 안착부 142 : 슬라이드영역
144 : 가이드돌기 146 : 가이드홈
148,148' : 착탈영역 160 : 단위퍼즐
162 : 슬라이드돌기 164 : 슬라이드홈
170 : 착탈단위퍼즐 171 : 홈
172 : 요홈 173 : 캡
본 고안은 퍼즐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림이나 사진 또는 숫자 등이 각각 나누어져 표현된 다수개의 단위퍼즐을 사용자가 유동시켜 목적하는 그림, 사진을 완성하도록 하는 퍼즐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즐은 주로 유아, 어린이들의 지능개발의 목적에서부터 성인들의 유희도구로 이용되며, 이들은 전술된 그림, 사진, 숫자, 특정 목적의 로고 등이 각각 나누어져 표현된 다수개의 단위퍼즐이 본체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퍼즐완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퍼즐완구(10)는 상면에 후술할 다수의 단위퍼즐(16)이 안착되도록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태의 안착부(14)가 형성된 본체 (12)와, 본체(12)의 안착부(14) 내에 다수개가 안착 결합되며 각각의 단위 객체가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위퍼즐(16)을 구비한다.
여기서, 주지된 사항으로 안착부(14)와 다수개의 단위퍼즐(16)에는 각각의 객체가 상호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단위퍼즐(16)이 안착부(14)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단위퍼즐(16)은 안착부(14)의 내주에서 대응되는 개수로 등분된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객체가 이동가능하기 위해서는 주로 안착부(14)에 안착된 단위퍼즐(16)들 중 하나의 단위퍼즐(16)이 이탈된 이동공간(18)을 형성하는 상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공간(18)에 의해 안착부(14)에 안착된 다수의 단위퍼즐(16) 중 이동공간(18)에 인접한 단위퍼즐(16)을 이동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특정 단위퍼즐(16)을 이동시키고, 이동된 특정 단위퍼즐(16)에 의해 형성된 이동공간에 인접한 또 다른 단위퍼즐(16)을 이동시킴으로서 목적하는 그림, 사진, 숫자의 배열, 심벌 등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퍼즐완구(10)의 경우에는 안착부(14)에 안착된 단위퍼즐(16)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동공간(18)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이동공간(18)은 퍼즐완구(10)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림이 완성된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동공간에 인접한 단위퍼즐(16)들이 이동공간(18)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완성된 그림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퍼즐완구(10)의 경우 그 난이도상 일반적으로 3×3 또는 4×4 규격의 단위퍼즐(16) 이상으로는 구성되기 어렵고, 그 이상의 단위퍼즐(16)로 구성할 경우 퍼즐완구(10)를 즐기기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퍼즐완구(10)의 단위퍼즐(16)로 나타낼 수 있는 그림, 사진, 숫자의 배열, 심벌 등이 단조로워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공간을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완성된 퍼즐완구(10)의 완성된 미감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이동공간(18)으로 이물질이 삽입될 경우 단위퍼즐(16)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퍼즐완구보다 복잡한 무늬,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부담없이 퍼즐을 즐길 수 있도록 퍼즐본체의 일측부에 착탈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착탈영역에서 단위퍼즐이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한 퍼즐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는, 다수의 퍼즐과,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퍼즐완구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드영역과, 상기 슬라이드영역의 일측에 상기 퍼즐이 착탈 가능 하게 안착되는 착탈영역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착탈영역은 슬라이드영역의 일측이 아닌 본체의 외주부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상기 착탈영역은 적어도 단위퍼즐의 크기보다 더 큰 영역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퍼즐은, 상기 슬라이드영역에 안착되어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단위퍼즐과, 상기 착탈영역에 안착되어 이탈시 상기 단위퍼즐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착탈단위퍼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탈영역이 본체의 외주부 일측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착탈단위퍼즐은 별도로 구비될 필요없고, 위 단위퍼즐이 위 착탈영역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영역은 상기 착탈영역에 인접하는 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일면의 대향되는 타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퍼즐은 일면 및 일면에 인접한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타면 및 타면에 인접한 타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단위퍼즐은 적어도 1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고안에 따른 퍼즐완구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숫자, 도형, 그림 등의 식별자가 각인되는 단위퍼즐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 며 분리시 단위퍼즐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착탈단위퍼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부분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자석 등 착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표면은 자석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물질에 감응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퍼즐과,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퍼즐완구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드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 외주부 일측에는 상기 퍼즐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착탈영역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는 퍼즐완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영역의 크기는 상기 퍼즐 각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영역은 그 테두리부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퍼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즐은 그 테두리부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퍼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즐완구는 그 착탈영역에 캡이 더 구비되도록 하여 착탈영역을 활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위 착탈영역을 캡으로 마감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부분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자석 등 착탈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표면은 자석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물질에 감응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즐은 그 표면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에 형광물질 또는 야광물질이 도포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즐은 그 재질이 형광성 또는 야광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100)는 본체(120)와, 본체(12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숫자, 도형, 그림 등의 식별자가 각인되는 단위퍼즐(160)과, 본체(120)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분리시 단위퍼즐(160)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착탈단위퍼즐(17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20)는 다수의 단위퍼즐(160)과 착탈단위퍼즐(170)이 안착되도록 본체(120)의 상면에 대하여 함입되는 형상으로 안착부(1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부(140)는 다수의 단위퍼즐(160)이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슬라이드영역(142)과, 다수의 착탈단위퍼즐(170)이 이탈 가능하도록 안착되고 착탈단위퍼즐(170)이 이탈됨에 따라 슬라이드영역(142)에 안착된 단위퍼즐(160)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착탈영역(148)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착탈영역(148)은 안착부(140)를 형성하는 4면 중 일측방향에 각 착탈단위퍼즐(170)이 직선 형태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착탈영역(148)을 제외한 슬라이드영역(142)을 형성하는 3면 중 착탈영역(148)에 인접하는 일면에는 가이드돌기(144)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144)가 형성되는 일면의 대향되는 타면 및 착탈영역(148)에 대향하는 면에는 가이드홈(146)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44) 및 가이드홈(146)은 후술할 단위퍼즐(170)의 슬라이드홈(164) 및 슬라이드돌기(162)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가이드돌기(144) 및 가이드홈(146)의 형성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술한 슬라이드영역(142) 및 착탈영역(148)으로 구성되는 안착부(140)는 슬라이드영역(142)에 안착되는 단위퍼즐(160) 및 착탈영역(148)에 안착되는 착탈단위퍼즐(170)의 배열 및 개수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감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100)의 단위퍼즐(160) 및 착탈단위퍼즐(170) 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의 단위퍼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의 착탈단위퍼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단위퍼즐(16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외곽면을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부 일면과 일면에 인접한 일측면에 안착부(140)의 슬라이드영역(14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44)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64)이 형성되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과 타면에 인접한 타측면에 안착부(140)의 슬라이드영역(142)에 형성된 가이드홈(146)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16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단위퍼즐(160)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퍼즐(160‘)의 외주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162’) 및 슬라이드홈(164‘)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퍼즐(160, 160’)의 상면에는 숫자, 도형, 그림, 사진 등의 식별자가 각인되어 사용자가 이들의 배열 및 순서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퍼즐상의 일정 규칙을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착탈단위퍼즐(17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단위퍼즐(160, 160, 160‘)과 대동소이하며, 단위퍼즐(160, 160‘)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162, 162’) 및 슬라이드홈(164, 164‘)을 제거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착탈단위퍼즐(170’)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100)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 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사용자는 퍼즐완구(100)를 사용함에 앞서 퍼즐완구(100) 본체(120)의 안착부(140) 착탈영역(148)에 안착된 착탈단위퍼즐(170)을 분리하여 슬라이드영역(142)에 안착된 단위퍼즐(160)의 이동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착탈영역(148)에서 분리되는 착탈단위퍼즐(17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1개 이상의 복수개가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슬라이드영역(142)에 안착된 단위퍼즐(160)을 착탈단위퍼즐(170)이 분리되면서 형성된 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되는 단위퍼즐(160)에 의해 형성되는 다른 이동공간으로 이동공간에 인접한 단위퍼즐(160)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단위퍼즐(160)에 각인된 숫자, 도형, 그림, 사진 등의 배열 및 순서를 정렬한다.
그리고 단위퍼즐(160)에 의해 각인된 숫자, 도형, 그림, 사진 등의 배열 및 순서의 정렬이 완료되면, 분리된 착탈단위퍼즐(170)을 착탈영역(148)에 형성된 이동공간에 다시 안착시켜 이동공간을 폐쇄한다.
이와 같이 퍼즐완구(100)의 단위퍼즐(16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공간을 1개 이상의 착탈단위퍼즐(170)을 분리시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이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퍼즐완구(10)를 이용하여 복잡한 숫자, 도형, 그림, 사진 등의 배열 및 순서를 손쉽게 완성할 수 있으며, 단위퍼즐(160)이 이동하기 위한 이동공간에 착탈단위퍼즐(170)을 다시 장착시킴으로써 완성된 퍼즐완구(1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완성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착탈영역을 세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퍼즐과,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퍼즐완구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드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 외주부 일측에는 상기 퍼즐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착탈영역(148')을 1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착탈영역(148)을 구성하는 착탈단위퍼즐(170)은 이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들을 모두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단위퍼즐로 대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영역(148')의 크기는 상기 퍼즐 각각의 크기와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퍼즐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착탈영역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홈(171)이 형성되어야 손가락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손가락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퍼즐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도 요홈(172)을 형성하여 위 단위퍼즐의 착탈시 손가락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의 착탈영역에 캡(173)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 퍼즐완구의 착탈영역을 활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착탈영역으로 또 다른 퍼즐이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캡(173)을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위 캡은 예를 들어 위 단위퍼즐의 형상으로 하여 그 저면에 자석을 구비하도록 한 후 착탈영역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캡의 형상이 위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8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즐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각기 색깔이 다른 퍼즐을 이용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정 행 또는 열의 숫자를 순서대로 배열하거나, 또는 특정 행 또는 열의 숫자가 그 순서에 상관없이 모두 서로 다르도록 배열할 수 있다. 즉, 무늬형성과 숫자배열을 동시에 게임으로 즐길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숫자, 도형, 그림 등의 식별자가 각인되는 단위퍼즐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분리시 단위퍼즐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착탈단위퍼즐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미도시). 즉, 단위퍼즐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아닌 착탈 가능하도록 독립 개체로 형성되었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여기서, 위 퍼즐들은 그 실시례에 관계 없이, 상기 단위퍼즐의 본체와 접하는 저면에 예를 들어 자석 등 착탈가능한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부분은 상기 자석이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부분에 자석물질을 형성하고, 단위퍼즐의 저면을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럼 으로써, 본체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단위퍼즐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퍼즐은 그 표면 중 적어도 1면 이상에 형광물질 또는 야광물질을 도포하거나, 형광성, 야광성 물질의 스티커를 붙이거나, 또는 그 퍼즐 자체를 야광성 또는 형광성 재질의 것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야간 중 옥외에서나 어두운 실내 환경하에서도 퍼즐놀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에 따르면, 퍼즐완구의 단위퍼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공간을 착탈단위퍼즐을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마련할 수 있어 사용자가 퍼즐완구를 이용하여 복잡한 숫자, 도형, 그림, 사진 등의 배열 및 순서를 손쉽게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고안에 따른 퍼즐완구는 그 안착부 외주부에 착탈영역을 별도로 구 비하여 위 안착부 외주부에 인접하는 단위퍼즐을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단위퍼즐을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게임 방법에 따라 소망하는 갯수의 단위퍼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즉, 모든 퍼즐의 착탈을 위 착탈영역만으로도 가능하게 하여 게임의 다양성을 더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즐완구의 그숫자, 도형, 그림, 사진 등의 배열 및 순서를 완성한 후 단위퍼즐이 이동하기 위한 이동공간에 장착되는 별도의 착탈단위퍼즐을 마련함으로써 완성된 퍼즐완구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다수의 퍼즐과,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퍼즐완구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드영역과, 상기 슬라이드영역의 일측에 상기 퍼즐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착탈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은,
    상기 슬라이드영역에 안착되어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단위퍼즐과,
    상기 착탈영역에 안착되어 이탈시 상기 단위퍼즐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착탈단위퍼즐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영역은 상기 착탈영역에 인접하는 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일면의 대향되는 타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퍼즐은 일면 및 일면에 인접한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타면 및 타면에 인접한 타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 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단위퍼즐은 적어도 1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5. 본체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숫자, 도형, 그림 등의 식별자가 각인되는 단위퍼즐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분리시 단위퍼즐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착탈단위퍼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부분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자석 등 착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표면은 자석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물질에 감응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8. 다수의 퍼즐과,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퍼즐완구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퍼즐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드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 외주부 일측에는 상기 퍼즐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착탈영역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영역의 크기는 상기 퍼즐 각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영역은 그 테두리부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퍼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은 그 테두리부 일측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퍼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완구는 그 착탈영역에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부분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자석 등 착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퍼즐과 접하는 본체의 표면은 자석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단위퍼즐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물질에 감응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15.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은 그 표면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에 형광물질 또는 야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16.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은 그 재질이 형광성 또는 야광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퍼즐완구.
KR2020050027864U 2005-08-09 2005-09-28 퍼즐완구 KR200405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64U KR200405117Y1 (ko) 2005-08-09 2005-09-28 퍼즐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32 2005-08-09
KR2020050027864U KR200405117Y1 (ko) 2005-08-09 2005-09-28 퍼즐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117Y1 true KR200405117Y1 (ko) 2006-01-11

Family

ID=4175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864U KR200405117Y1 (ko) 2005-08-09 2005-09-28 퍼즐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11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246B1 (ko) * 2018-08-29 2019-01-10 허소정 퍼즐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완구
KR102208246B1 (ko) * 2019-09-10 2021-01-28 주식회사 플랫폼레인 유아용 퍼즐 완구
WO2021150007A1 (ko) * 2020-01-22 2021-07-29 방정태 히든 정보가 포함된 퍼즐
KR20230149164A (ko) * 2022-04-19 2023-10-26 최효진 수 연산용 교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246B1 (ko) * 2018-08-29 2019-01-10 허소정 퍼즐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완구
KR102208246B1 (ko) * 2019-09-10 2021-01-28 주식회사 플랫폼레인 유아용 퍼즐 완구
WO2021150007A1 (ko) * 2020-01-22 2021-07-29 방정태 히든 정보가 포함된 퍼즐
KR20230149164A (ko) * 2022-04-19 2023-10-26 최효진 수 연산용 교구
KR102649090B1 (ko) 2022-04-19 2024-03-18 최효진 수 연산용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019B2 (en) Three-dimensional DIY assembly intelligence structure
US8042812B2 (en) Ball-shaped puzzle
KR200405117Y1 (ko) 퍼즐완구
KR102172853B1 (ko)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AU767243B1 (en) 3D jigsaw puzzle
US10105590B2 (en) Board logic game assembly and method
US7063322B2 (en) Puzzle game comprising a plurality of chambers and stacked, slidable tiles within a rigid holding base presenting a challenging puzzle to solve
KR200450701Y1 (ko) 퍼즐조립체
KR102114436B1 (ko) 블럭완구
JP5916158B2 (ja) 迷路玩具
CN201815100U (zh) 弹珠拼图
JP4309861B2 (ja) ゲーム器具
US7523938B2 (en) 3D jigsaw puzzle
EP1524014B1 (en) Bladder-free spherical jigsaw puzzle
JP2005177052A (ja) 積層3次元ジグソーパズル
JP2007160063A (ja) ピンポン玉を回すカーソルを利用して相手の陣地を攻略するゲーム
KR101557751B1 (ko) 원통형 퍼즐 조립체
KR200348301Y1 (ko) 입체상의 투명 바둑돌
KR20080086961A (ko) 양면퍼즐판
JP3045245U (ja) パズル式知育玩具
JP3220124U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キーホルダ
JP3123010U (ja) 移動方向特定駒ゲ−ムパズル
JP3930882B2 (ja) 遊技盤
US5615882A (en) Maze game with multiple pieces
KR200244337Y1 (ko) 입체퍼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