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045B1 - 다운링크 동기화 - Google Patents

다운링크 동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045B1
KR102207045B1 KR1020207025268A KR20207025268A KR102207045B1 KR 102207045 B1 KR102207045 B1 KR 102207045B1 KR 1020207025268 A KR1020207025268 A KR 1020207025268A KR 20207025268 A KR20207025268 A KR 20207025268A KR 102207045 B1 KR102207045 B1 KR 10220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ynchronization
beam sweeping
sweeping block
pb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220A (ko
Inventor
앨런 와이. 차이
락시미 알. 이어
구동 장
조셉 엠. 머레이
칭 리
웨이 첸
파스칼 엠. 어드잭플
티아니 수
Original Assignee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0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적어도 5G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5G 네트워크에서 초기 액세스 신호의 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그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고,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를 운반하는 빔 스위핑 블록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스위핑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모니터링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동기화 신호를 운반하는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를 검출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와 연관된 빔 스위핑 블록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5G 네트워크에서 셀의 다운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운링크 동기화{DOWNLINK SYNCHRONIZATION}
관련 출원들에 대한 우선권
본 출원은 2016년 4월 2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Downlink Synchronization for 5G Networks"인 미국 가출원 제62/325,323호, 2016년 8월 11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Beamforming Sweeping and Training in a Flexible Frame Structure for New Radio"인 미국 가출원 제62/373,662호, 2016년 9월 28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Methods for Dynamic Transmission Mode Switching and Initial Access in New Radio"인 미국 가출원 제62/401,055호, 및 2016년 11월 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Beam Based Mobility and Beam Management in NR"인 미국 가출원 제62/417,162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 출원들 전부는 참고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다운링크 동기화(downlink synchronization)를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다운링크 동기화(DL 동기(DL Sync))는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매시브 머신 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mMTC) 및 초고신뢰/저 레이턴시(ultra-reliable/low latency)(UR/LL)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5G 응용분야들에 중요하다. 특히, DL 동기는 모든 5G 응용분야들에 대한 심벌, 슬롯 및 서브프레임/프레임 타이밍을 위한 프로비저닝 메커니즘이다.
전파 지연은 배치 시나리오(deployment scenario)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실외 배치 시나리오들에 대한 최대 전파 지연은 4.0 μs이다. 한편, 실내 배치 시나리오들에 대한 최대 전파 지연은 약 0.4 μs이다. 그렇지만, 3GPP LTE/LTE-A 셀들과 같은, 기존의 시스템들은 배치 시나리오와 상관없이 동일한 순환 프리픽스 지속기간(cyclic prefix duration)을 이용한다. 기존의 시스템들은 따라서 다양한 응용분야들을 핸들링하는 데 바람직하지 않다.
5G 시스템이 전송 시간 간격들(TTI들)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과 같은 다양한 뉴머롤로지들(numerologies)을 지원하지만, 셀 탐색 스테이지에서 DL 심벌들, 프레임 타이밍 및 셀 ID(cell identification)를 취득하기 위해 5G 사용자 장비(UE)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이 이용가능하지 않다. 현재의 DL 동기 설계들에 기초하여, 5G UE는 지원되는 뉴머롤로지들을 블라인드 방식으로(blindly) 검출할 수 없다.
이와 별도로, UE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RRC-idle) 또는 RRC 접속(RRC-connected) 상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인접 셀(neighboring cell) 측정들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재선택은 이웃 셀 DL 동기 신호들의 뉴머롤로지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만, 5G 시스템들에서는, 상이한 셀들에서 상이한 DL 동기 신호 뉴머롤로지가 사용될 수 있다. 5G 시스템들에서 인접 셀 측정을 개선시키는 방법들이 요망된다.
eMBB, mMTC, 및 UR/LL과 같은 응용분야들은 상이한 레이턴시 및 전력 절감 요구사항들을 나타낸다. DL 동기 신호 설계 및 셀 탐색 절차들은 5G 시스템들에서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지원하는 데 필요하다.
뉴 라디오(New radio)(NR) 액세스 기술은 최대 100 GHz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시스템들에 필요한 기술 컴포넌트들을 식별하고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3GPP TR 38.913, Study on Scenarios and Requirements for Next Generation Access Technologies; (Release 14), V0.3.0은 물론 RP-161214, Revision of SI: Study on NR Access Technology, NTT DOCOMO를 참조한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 NR(High Frequency NR)(HF-NR) 시스템들에서 증가된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빔포밍이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만, 전방향성(omnidirectional) 또는 섹터 기반 전송에 기초하는 DL 동기화, 기준 신호 및 PBCH 설계와 같은 기존의 초기 액세스 신호 설계는 빔포밍 기반 액세스에 필요한 기능들(예컨대, 빔 스위핑(beam sweeping), 빔 페어링(beam pairing),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 등)을 지원하지 않는다.
현재의 네트워크 액세스 절차들은 전방향성 전송 또는 섹터 기반 전송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셀 탐색 절차들 및 후속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취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빔포밍 기반 액세스를 위한 일부 기능들은 기존의 전방향성 또는 섹터 기반 전송 액세스 절차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들 중 하나는 유휴 상태에서의 빔포밍 쌍 결정을 포함한다. 다른 기능은 빔포밍 트레이닝 피드백 및 빔포밍 트레이닝 기준 신호(BT-RS) 전송, 예컨대, RRC 접속 확립 이전에, 그 동안에 또는 그 이후에 수행할지를 포함한다. 또 다른 기능은 시간 및 주파수의 면에서의 빔포밍(BF) 트레이닝 피드백을 위한 업링크(UL) 채널의 자원들을 포함한다. 추가 기능은 빔포밍 기반 PBCH 검출을 포함한다.
이 요약은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에 추가로 설명되는 선택된 개념들을 간략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요구들이 DL 동기를 위한 프로세스 및 장치에 관한 본 출원에 의해, 상당 부분(to a great extent), 충족된다.
본 출원의 일 양태에서, 5G 네트워크 상의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5G 네트워크에서 초기 액세스 신호의 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그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고,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를 운반하는 빔 스위핑 블록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스위핑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모니터링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동기화 신호를 운반하는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를 검출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와 연관된 빔 스위핑 블록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서, 5G 네트워크 내의 셀과 동기화된 노드에 주 뉴머롤로지(principal numerology)를 배정(assign)하기 위한 그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5G 네트워크 상의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또한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을 노드에게 전송하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네트워크 로드(network load), 노드 위치,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성,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된 기준들에 기초하여 주 뉴머롤로지를 노드에 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DL 동기화 채널(신호들), 빔 기준 신호 및 PBCH 채널을 포함하는 DL 초기 액세스 신호; DL 빔 스위핑 블록에 의해 운반되는 DL 초기 액세스 신호 - 각각의 빔 스위핑 블록은 단일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또는 다수의 OFDM 심벌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다수의 빔 스위핑 블록들을 포함하는 DL 빔 스위핑 서브프레임; 상이한 OFDM 심벌들에 배치될 수 있는 DL 동기화 채널들 PSS 및 SSS; 단 하나의 DL 동기화 채널을 포함하는 빔 스위핑 블록; 동일한 OFDM 심벌에 또는 상이한 OFDM 심벌들에 공존할 수 있는 빔 기준 신호 및 PBCH; 및 DL 동기화 채널 및 빔 기준 신호들과 상이한 전송 주기(transmission period)를 갖는 PBCH. DL 동기화 채널이 셀 및 빔 ID 둘 다를 운반하는 경우, UE는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과 DL 스위핑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DL 동기화 채널이 셀 ID만을 운반하는 경우, UE는 빔 기준 신호로부터 빔 ID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알 수 있고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과 DL 스위핑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도록 그리고 본 기술분야에 대한 본 기여물(contribution)이 보다 잘 인식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의 개요가, 다소 대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출원의 보다 확실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사한 요소들이 유사한 숫자들로 참조되고 있는, 첨부 도면들이 이제부터 언급된다. 이 도면들은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도 1은 협대역 IOT에 대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전송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는 5G에서 예시적인 확장가능 전송 시간 간격을 예시하고 있다.
도 2b는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에 멀티플렉싱된 다수의 뉴머롤로지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3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도 3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 3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예시하고 있다.
도 3d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예시하고 있다.
도 3e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예시하고 있다.
도 3f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 도 3c, 도 3d 및 도 3e에 이전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들에 대한 예시적인 다운링크 동기 시퀀스 주파수 할당들(downlink sync sequence frequency allocations)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2차 동기화 신호 검출 기능 다이어그램을 예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2차 동기화 신호 다운링크 동기 시퀀스 주파수 할당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7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동기화 신호에 임베딩된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subcarrier spacing factor)를 지원하는 5G에서의 예시적인 초기 동기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7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동기화 신호에 임베딩된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를 지원하는 5G에서의 예시적인 초기 동기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CAZAC 시퀀스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 라디오에서의 유연한 프레임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스위핑 기술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상이한 뉴머롤로지를 갖는 뉴 라디오에서의 2개의 빔포밍된 트레이닝 기준 신호(BT-RS)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상이한 뉴머롤로지를 갖는 뉴 라디오에서의 공유 BT-RS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포함형(self-contained) 서브프레임에서의 미리 정의된 BT-RS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3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포함형 서브프레임에서의 반정적으로 구성된 BT-RS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단일 빔(a) 및 다중 빔(b) 구현들을 위한 예시적인 초기 액세스를 예시하고 있다.
도 15는 DL 초기 액세스에 대한 예시적인 DL 스위핑 블록 및 서브프레임을 예시하고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하나의 OFDM 심벌 및 다수의 OFDM 심벌들을 갖는 예시적인 스위핑 블록을 예시하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스위핑 블록마다 인에이블된 다수의 빔들을 갖는 예시적인 스위핑 서브프레임을 예시하고 있다.
도 18은 예시적인 DL 자체 포함형 스위핑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9는 빔 ID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TSS를 예시하고 있다.
도 20은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으로부터 빔 스위핑 서브프레임까지의 예시적인 타이밍 오프셋을 예시하고 있다.
도 21a는 DL 초기 액세스에 대한 예시적인 DL 스위핑 블록 및 버스트를 예시하고 있다.
도 21ba 내지 도 21b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OFDM 심벌을 갖는 DL 스위핑 블록을 예시하고 있다.
도 21ca 내지 도 21c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OFDM 심벌들을 갖는 DL 스위핑 블록을 예시하고 있다.
도 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동기 뉴머롤로지를 갖는 다수의 셀들을 갖는 네트워크를 예시하고 있다.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뉴머롤로지를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2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셀과의 신호 흐름 동기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NR-PBCH와의 연관 없이) 다수의 OFDM 심벌들을 갖는 DL 스위핑 블록을 예시하고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NR-PBCH에 대한 예시적인 복조 기준 신호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ID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BT-RS를 예시하고 있다.
도 28은 본 출원의 자체 포함형 서브프레임에서 BT-RS 빔 ID(beam identification) 및 연관 빔 시퀀스(beam identification and association beam sequence)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29는 본 출원의 BT-RS 빔 ID(beam identification) 디코딩 및 동기화 검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30은 섹터 빔들 및 다수의 고 이득 좁은 빔들을 갖는 셀 커버리지를 예시하고 있다.
도 31은 본 출원에 따른 PBCH가 빔 전송과 페어링될 때 빔포밍 트레이닝을 위한 사용자 장비(UE) 초기 액세스 절차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3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에서의 BT-RS 및 PBCH의 배치(placement)를 예시하고 있다.
도 3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들에 의존하는 다운링크 동기 브로드캐스트 주기(downlink sync broadcast period)를 예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의 다양한 도면들, 실시예들 및 양태들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비록 이 설명이 가능한 구현들의 상세한 예들을 제공하지만, 상세들이 예들인 것으로 의도되어 있고 따라서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one embodiment)", "일 실시예(an embodiment)", "하나 이상의 실시예", "일 양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대한 언급은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여러 곳에서의 "실시예"라는 용어는 꼭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부 실시예들은 나타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들은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특징들이 기술된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은 적어도 5G 시스템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뉴머롤로지의 효율적인 DL 동기를 위한 메커니즘들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5G DL 동기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DL 동기 채널이 5G 셀들에 의해 지원되는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이용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들 Δf, 2Δf 및 4Δf를 제각기 지원하는 3개의 5G 응용분야가 있는 경우, DL 동기는 그 응용분야들에 대해 Δf = min{Δf, 2Δf, 4Δf} 중에서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사용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DL 동기가 그 자신의 디폴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갖는 셀들을 지원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배치 시나리오들, 예컨대, 실내 대 실외, 소형 셀 대 피코 셀 등에 의존할 수 있다. 그 결과, 5G UE는 y x Δf,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1
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하여 타이밍 동기화 및 취득을 블라인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파라미터 y는 1차 동기화 신호(PSS) 또는 2차 동기화 신호(SSS) 중 어느 하나 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5G UE가 DL 동기 채널에 대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예컨대, PSS 및/또는 SSS)에 상관없이 블라인드(blind) 타이밍 및 주파수 취득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확장가능 DL 동기 채널 설계가 예견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공통 분모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여 DL 동기 채널을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아키텍처가 제공된다. 즉, 네트워크 내의 모든 셀들에 걸쳐 공통 분모가 지원된다. 그 결과, 다른 뉴머롤로지들 전부가 공통 분모 뉴머롤로지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내의 다른 지원되는 시스템 뉴머롤로지들에 대한 정보, 예컨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들, 심벌 지속기간 및 TTI 길이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에서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DL 타이밍 및 주파수를 성공적으로 획득할 때, UE는 PBCH(MIB)를 디코딩함으로써 다른 지원되는 시스템 뉴머롤로지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5G 시스템이 인접 셀들의 DL 동기 신호들 뉴머롤로지에 대한 정보를 UE에 제공하기 위해 이웃 셀 리스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진화된 노드 기지국들이 상이한 주기성들을 갖는 DL 동기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방법들 및 아키텍처들이 예견된다. 주기성들은 타이밍 요구사항들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5G UE는 자신의 DL 타이밍 및 주파수를 취득하기 위해 상이한 주기성들을 갖는 eNB들로부터 수신된 DL 동기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적절한 검출 절차들을 수행할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양태에서, 5G 네트워크 내의 셀의 다운링크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그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5G 네트워크 상의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또한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5G 네트워크에서 셀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셀의 1차 동기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셀의 2차 동기화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셀과 동기화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는 동기 뉴머롤로지(sync numerology)를 사용하여 셀의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디코딩할 수 있다. 특히,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는 검출된 1차 동기화 신호 또는 검출된 2차 동기화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인접 셀과의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그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5G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또한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제1 셀에 접속된 장치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을 디코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인접 셀의 동기 뉴머롤로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인접 셀의 1차 및 2차 동기화 신호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는 인접 셀과 동기화할 수 있다.
정의들/약어들
본 출원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 및 어구들에 대한 정의들이 이하에서 표 1에 제공된다.
[표 1]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2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3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4
3GPP Release 14에서 보다 짧은 TTI(Shorter TTI)의 지원
현재의 3GPP 4G/4.5G 시스템에서, 해결책(resolution)은 보다 짧은 TTI들을 지원하는 것이다. 보다 짧은 TTI 길이는 OFDM 심벌의 지속기간의 배수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따라서, 3GPP Release 14에서의 보다 짧은 TTI의 일반식(generic formula)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5
여기서, 4G에서 x = 1,2,3,4,7,14이고, 정상 CP(normal CP) 경우에 대해 TCP(z = 1) = 4.7 μs이며 확장 CP(extended CP) 경우에 대해 TCP(z = 2) = 16.67 μs이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Δf = 15 KHz이다.
NB-IoT에 대한 셀 탐색
NB-IoT는 3GPP Release 13에서의 작업 항목(work item)이며, NB-IoT에 대한 DL 동기 설계의 상세들은 3GPP Release 14에서 여전히 논의 중이다. NB-IoT에서의 DL 동기 신호들에 대한 대책(path forward)은 LTE에서와 같이 협대역 PSS(NB-PSS)가 셀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NB-PSS는 시간 동기화를 제공한다. 이는 주파수 오프셋들(FO)을 추정하고 보상하는 데 사용된다. NB-PS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생성되고 시간에서 NPSS개의 OFDM 심벌에 걸쳐 확산된다. NB-PSS는 길이 NZC 및 루트(root) ui를 갖는 Zadoff-Chu(ZC) 시퀀스들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NB-PSS(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6
여기서 NZC는 시퀀스 길이이고 NZC = 11이다. 각각의 OFDM 심벌은 고유 루트 인덱스(unique root index)에 대응하는 시퀀스를 운반한다. NPSS(NZC=11)개의 심벌이 NB-PS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기 때문에, 각각의 i번째 심벌(i = 1,2, ..., NPSS)에 대해, 그의 루트 인덱스는 ui이다. NPSS개의 심벌에 대한 NB-PSS 시퀀스들은 시간에서 매 10 ms마다 반복된다. NB-PSS 및 NB-SSS 전송의 시간 도메인 위치는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NB-SS의 경우, 이는 R14에서 여전히 논의 중이며 NB-SSS 설계 방법 중 하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갖는 ZC 시퀀스 마스킹에 기초한다.
이웃 셀 탐색
셀 재선택 및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UE가 측정들을 수행할 때, UE는 이웃 셀들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시스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에서, SIB-4 및 SIB-5는 인트라-주파수 및 인터-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이웃 셀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SIB-4에 대한 추가 정보는 아래의 표 2, 표 3 및 표 4에서 제공된다.
IE SystemInformationBlockType4는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에만 관련된 인접 셀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IE는 특정 재선택 파라미터들을 갖는 셀들은 물론 블랙리스트화된(blacklisted) 셀들을 포함한다.
[표 2]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7
[표 3]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8
[표 4]
Figure 112020092465394-pat00009
SystemInformationBlockType5(SIB-5)
IE SystemInformationBlockType5는 인터-주파수 셀 재선택에만 관련된 정보, 즉 셀 재선택에 관련된 다른 EUTRA 주파수들 및 인터-주파수 인접 셀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IE는 셀 특정 재선택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주파수에 대해 공통인 셀 재선택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어져 있다.
[표 5]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0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1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2
5G TTI
5G 시스템은 일반화된 확장가능 뉴머롤로지 및 TTI, 상이한 사용 사례들에 대한 최적화된 다중 액세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5G에서의 일반화된 확장가능 TTI는 확장가능 심벌 시간 인자 x,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 및 가드 간격(guard interval) Tguard(z)(이것은 OFDM 심벌 파형에 대한 순환 프리픽스라고 명명될 수 있음)와 같은 3개의 확장가능 파라미터로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5G TTI 지속기간은 하기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3
여기서 x,y,z는 양의 정수일 수 있고 Δf는 5G에서 사용되는 최소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다. 일 예로서 최소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Δf = 7.5 kHz를 설정하는 경우, 심벌 간격은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4
이다. 5G에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다양한 배치들, 확산 대역폭 및 심벌 지속기간에 적응적일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Tguard(z) 는 다양한 배치들 또는 전파 지연을 적합화시키기 위해 현재의 LTE 시스템들에서보다 2개 초과의 개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사용 사례들/응용분야들에 대한 PHY 뉴머롤로지의 예시적인 세트가 아래의 표 6에 나타내어져 있다.
[표 6]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5
FFT 크기들,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들, CP 크기들(또는 가드 간격), 펄스 셰이핑 필터(pulse shaping filter) 및 TTI 길이와 같은 다양한 (확장가능) 뉴머롤로지들을 사용하는 5G 송신기(들)의 일 예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2B에 기초한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에 멀티플렉싱된 5G 뉴머롤로지들의 일 예가 도 2b에 예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뉴머롤로지가 주파수 자원에서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멀티플렉싱되는 것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이다. 그에 부가하여, 5G는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이 시간 도메인에서도 멀티플렉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반 아키텍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라디오 액세스, 코어 전송 네트워크, 및 서비스 능력들을 포함한 - 코덱들, 보안, 및 서비스 품질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 -,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기술들에 대한 기술 표준들을 개발한다. 최근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 표준들은 WCDMA(흔히 3G라고 지칭됨), LTE(흔히 4G라고 지칭됨), 및 LTE-Advanced 표준들을 포함한다. 3GPP는 "5G"라고도 지칭되는, 뉴 라디오(New Radio)(NR)라고 불리는, 차세대 셀룰러 기술의 표준화에 대한 작업을 시작하였다. 3GPP NR 표준들 개발은, 6 GHz 미만의 새로운 플렉서블 라디오 액세스의 제공 및 6 GHz 초과의 새로운 울트라-모바일 브로드밴드 라디오 액세스의 제공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세대 라디오 액세스 기술(뉴 RAT(new RAT))의 정의를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플렉서블 라디오 액세스는 6 GHz 미만의 새로운 스펙트럼에서의 새로운 역호환성이 없는 라디오 액세스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갖는 광범위한 3GPP NR 사용 사례들의 세트를 다루기 위해 동일한 스펙트럼에서 서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 상이한 동작 모드들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울트라-모바일 브로드밴드는, 예컨대, 실내 응용분야들 및 핫스폿들에 대한 울트라-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를 위한 기회를 제공할 cmWave 및 mmWave 스펙트럼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울트라-모바일 브로드밴드는, cmWave 및 mmWave 특정 설계 최적화들을 이용해, 6 GHz 미만의 플렉서블 라디오 액세스와 공통 설계 프레임워크를 공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3GPP는 NR이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사용 사례들을 식별하였으며, 그 결과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이동성에 대한 매우 다양한 사용자 경험 요구사항들이 생기게 되었다. 사용 사례들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카테고리들: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예컨대, 밀집 지역들에서의 브로드밴드 액세스, 실내 울트라-하이 브로드밴드 액세스, 군중에서의 브로드밴드 액세스, 어디서나 50+ Mbps, 초저가 브로드밴드 액세스, 차량들에서의 모바일 브로드밴드), 크리티컬 통신(critical communications), 매시브 머신 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운영(예컨대, 네트워크 슬라이싱, 라우팅, 마이그레이션 및 인터워킹, 에너지 절감), 및 eV2X(enhanced 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포함한다. 이러한 카테고리들에서의 특정 서비스 및 응용분야들은 몇 가지 예를 들면, 예컨대, 모니터링 및 센서 네트워크들, 디바이스 원격 제어, 양방향 원격 제어,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personal cloud computing), 비디오 스트리밍, 무선 클라우드 기반 사무실, 긴급 구조원 연결성, 자동차 비상호출(automotive ecall), 재난 경보, 실시간 게이밍, 다자간 화상 통화, 자율 주행, 증강 현실, 촉각 인터넷(tactile internet), 가상 현실을 포함한다. 이 사용 사례들 및 다른 것들 모두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도 3a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구체화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은 WTRU들(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102a, 102b, 102c, 및/또는 102d)(이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모두 합하여 WTRU(102)라고 지칭될 수 있음), RAN(radio access network)(103/104/105/103b/104b/105b),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08), 인터넷(110), 및 다른 네트워크들(112)을 포함할 수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이 임의의 수의 WTRU, 기지국,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요소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WTRU들(102a, 102b, 102c, 102d, 102e) 각각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고 그리고/또는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장치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각각의 WTRU(102a, 102b, 102c, 102d, 102e)가 도 3a 내지 도 3e에서 핸드헬드 무선 통신 장치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5G 무선 통신에 대해 생각되는 매우 다양한 사용 사례들에서, 각각의 WTRU가, 단지 예로서, 사용자 장비(UE), 이동국, 고정 또는 모바일 가입자 유닛, 페이저, 셀룰러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랩톱, 태블릿, 넷북,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무선 센서, 소비자 전자제품,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의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료 또는 e헬스 디바이스, 로봇, 산업 장비, 드론, 자동차, 트럭, 기차, 또는 비행기와 같은 차량,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그에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기지국(114a) 및 기지국(114b)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들(114a)은,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WTRU들(102a, 102b, 102c)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지국들(114b)은,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RRH들(Remote Radio Heads)(118a, 118b) 및/또는 TRP들(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119a, 119b)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으로 그리고/또는 무선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RRH들(118a, 118b)은,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WTRU(102c)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TRP들(119a, 119b)은,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WTRU(102d)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로서, 기지국들(114a, 114b)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 B, Home Node B, Home eNode B, 사이트 제어기(site controller), AP(access point), 무선 라우터(wireless router), 및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기지국들(114a, 114b)은 각각이 단일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들(114a, 114b)이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된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기지국(114a)은, 다른 기지국들 및/또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릴레이 노드들(relay node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도시되지 않음)도 포함할 수 있는, RAN(103/104/105)의 일부일 수 있다. 기지국(114b)은, 다른 기지국들 및/또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릴레이 노드들 등과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도시되지 않음)도 포함할 수 있는, RAN(103b/104b/105b)의 일부일 수 있다. 기지국(114a)은, 셀(도시되지 않음)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특정의 지리적 영역 내에서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114b)은, 셀(도시되지 않음)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특정의 지리적 영역 내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은 셀 섹터들(cell sectors)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4a)과 연관된 셀이 3개의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14a)은, 예컨대, 셀의 각각의 섹터마다 하나씩, 3개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14a)은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을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셀의 각각의 섹터에 대해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들(114a)은 임의의 적합한 무선 통신 링크(예컨대, RF(radio frequency), 마이크로파, IR(infrared), UV(ultraviolet), 가시광, cmWave, mmWave 등)일 수 있는,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115/116/117)를 통해 WTRU들(102a, 102b, 102c)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다. 에어 인터페이스(115/116/117)는 임의의 적합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기지국들(114b)은 임의의 적합한 유선 통신 링크(예컨대, 케이블, 광학 파이버 등) 또는 무선 통신 링크(예컨대, RF(radio frequency), 마이크로파, IR(infrared), UV(ultraviolet), 가시광, cmWave, mmWave 등)일 수 있는, 유선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115b/116b/117b)를 통해 RRH들(118a, 118b) 및/또는 TRP들(119a, 119b)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다. 에어 인터페이스(115b/116b/117b)는 임의의 적합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RRH들(118a, 118b) 및/또는 TRP들(119a, 119b)은 임의의 적합한 무선 통신 링크(예컨대, RF(radio frequency), 마이크로파, IR(infrared), UV(ultraviolet), 가시광, cmWave, mmWave 등)일 수 있는, 에어 인터페이스(115c/116c/117c)를 통해 WTRU들(102c, 102d)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다. 에어 인터페이스(115c/116c/117c)는 임의의 적합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고,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스킴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103/104/105) 내의 기지국(114a)과 WTRU들(102a, 102b, 102c), 또는 RAN(103b/104b/105b) 내의 RRH들(118a, 118b) 및 TRP들(119a, 119b)과 WTRU들(102c, 102d)은 WCDMA(wideband CDMA)를 사용하여 에어 인터페이스(제각기, 115/116/117 또는 115c/116c/117c)를 확립할 수 있는, UTRA(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와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WCDMA는 HSPA(High-Speed Packet Access) 및/또는 HSPA+(Evolved HSPA)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HSPA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또는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14a)과 WTRU들(102a, 102b, 102c), 또는 RAN(103b/104b/105b) 내의 RRH들(118a, 118b) 및 TRP들(119a, 119b)과 WTRU들(102c, 102d)은 LTE(Long Term Evolution) 및/또는 LTE-A(LTE-Advanced)를 사용하여 에어 인터페이스(제각기, 115/116/117 또는 115c/116c/117c)를 확립할 수 있는, E-UTRA(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와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장래에, 에어 인터페이스(115/116/117)는 3GPP NR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AN(103/104/105) 내의 기지국(114a)과 WTRU들(102a, 102b, 102c), 또는 RAN(103b/104b/105b) 내의 RRH들(118a, 118b) 및 TRP들(119a, 119b)과 WTRU들(102c, 102d)은 IEEE 802.16(예컨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2000, CDMA2000 1X, CDMA2000 EV-DO, IS-2000(Interim Standard 2000), IS-95(Interim Standard 95), IS-856(Interim Standard 856),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ERAN(GSM EDGE),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라디오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에서의 기지국(114c)은, 예를 들어, 무선 라우터, Home Node B, Home eNode B,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사업장, 가정, 차량, 캠퍼스,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로컬화된 영역에서의 무선 연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RAT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14c)과 WTRU들(102e)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확립하기 위해 IEEE 802.11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14c)과 WTRU들(102d)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확립하기 위해 IEEE 802.15와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지국(114c)과 WTRU들(102e)은 피코셀(picocell) 또는 펨토셀(femtocell)을 확립하기 위해 셀룰러 기반 RAT(cellular-based RAT)(예컨대, WCDMA, CDMA2000, GSM, LTE, LTE-A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4b)은 인터넷(110)에 대한 직접 접속(direct connection)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14c)은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를 통해 인터넷(110)에 액세스하도록 요구받지 않을 수 있다.
RAN(103/104/105) 및/또는 RAN(103b/104b/105b)은 음성,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들을 WTRU들(102a, 102b, 102c, 102d)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106/107/109)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호 제어(call control), 과금 서비스들(billing services), 모바일 위치 기반 서비스들, 선불 전화(pre-paid calling), 인터넷 연결성, 비디오 배포(video distribution) 등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사용자 인증과 같은, 하이 레벨 보안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도 3a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RAN(103/104/105) 및/또는 RAN(103b/104b/105b)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06/107/109)가 RAN(103/104/105) 및/또는 RAN(103b/104b/105b)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이용하는 다른 RAN들과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E-UTRA 라디오 기술을 이용하고 있을 수 있는 RAN(103/104/105) 및/또는 RAN(103b/104b/105b)에 접속되는 것에 부가하여,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또한 GSM 라디오 기술을 이용하는 다른 RAN(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또한 WTRU들(102a, 102b, 102c, 102d, 102e)이 PSTN(108),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에 액세스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서 역할할 수 있다. PSTN(108)은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제공하는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110)은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내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및 IP(internet protocol)와 같은, 공통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들 및 디바이스들의 글로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들(112)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들(112)은 RAN(103/104/105) 및/또는 RAN(103b/104b/105b)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RAN에 접속된 다른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 내의 WTRU들(102a, 102b, 102c, 102d)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다중-모드 능력들(multi-mode capabilitie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WTRU들(102a, 102b, 102c, 102d, 102e)은 상이한 무선 링크들을 통해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과 통신하기 위해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WTRU(102e)는 셀룰러 기반 라디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기지국(114a)과 통신하도록, 그리고 IEEE 802 라디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기지국(114c)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예를 들어, WTRU(102)와 같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WTRU(102)는 프로세서(118), 트랜시버(120), 송신/수신 요소(transmit/receive element)(122), 스피커/마이크로폰(124), 키패드(126), 디스플레이/터치패드/지시기들(128), 비이동식 메모리(130), 이동식 메모리(132), 전원(134),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136), 및 다른 주변기기들(138)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와 부합한 채로 있으면서 WTRU(102)가 전술한 요소들의 임의의 서브컴비네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실시예들은, 그 중에서도 특히, BTS(transceiver station), Node-B, 사이트 제어기, AP(access point), 홈 노드-B(home node-B), eNodeB(evolved home node-B), HeNB(home evolved node-B), HeNB(home evolved node-B) 게이트웨이, 및 프록시 노드들 -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과 같은, 기지국들(114a 및 114b), 및/또는 기지국들(114a 및 114b)이 나타낼 수 있는 노드들이 도 3b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프로세서(118)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들, 임의의 다른 타입의 IC(integrated circuit), 상태 머신(state machine), 및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WTRU(102)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전력 제어, 입력/출력 프로세싱, 및/또는 임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트랜시버(120)에 커플링될 수 있고, 트랜시버(120)는 송신/수신 요소(122)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3b가 프로세서(118)와 트랜시버(120)를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프로세서(118)와 트랜시버(120)가 전자 패키지 또는 칩에 함께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송신/수신 요소(122)는 에어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통해 기지국(예컨대, 기지국(114a))으로 신호들을 전송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송신/수신 요소(122)는 RF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일 수 있다. 비록 도 3a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RAN(103/104/105)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06/107/109)가 RAN(103/104/105)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이용하는 다른 RAN들과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E-UTRA 라디오 기술을 이용하고 있을 수 있는 RAN(103/104/105)에 접속되는 것에 부가하여,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또한 GSM 라디오 기술을 이용하는 다른 RAN(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6/107/109)는 또한 WTRU들(102a, 102b, 102c, 102d)이 PSTN(108),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에 액세스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서 역할할 수 있다. PSTN(108)은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제공하는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110)은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내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및 IP(internet protocol)와 같은, 공통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들 및 디바이스들의 글로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들(112)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들(112)은 RAN(103/104/105)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RAN에 접속된 다른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 내의 WTRU들(102a, 102b, 102c, 102d)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다중-모드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WTRU들(102a, 102b, 102c, 및 102d)은 상이한 무선 링크들을 통해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과 통신하기 위해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WTRU(102c)는 셀룰러 기반 라디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기지국(114a)과 통신하도록, 그리고 IEEE 802 라디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기지국(114b)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예를 들어, WTRU(102)와 같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WTRU(102)는 프로세서(118), 트랜시버(120), 송신/수신 요소(122), 스피커/마이크로폰(124), 키패드(126), 디스플레이/터치패드/지시기들(128), 비이동식 메모리(130), 이동식 메모리(132), 전원(134),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136), 및 다른 주변기기들(138)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와 부합한 채로 있으면서 WTRU(102)가 전술한 요소들의 임의의 서브컴비네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실시예들은, 그 중에서도 특히, BTS(transceiver station), Node-B, 사이트 제어기, AP(access point), 홈 노드-B(home node-B), eNodeB(evolved home node-B), HeNB(home evolved node-B), HeNB(home evolved node-B) 게이트웨이, 및 프록시 노드들 -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과 같은, 기지국들(114a 및 114b), 및/또는 기지국들(114a 및 114b)이 나타낼 수 있는 노드들이 도 3b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프로세서(118)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들, 임의의 다른 타입의 IC(integrated circuit), 상태 머신(state machine), 및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WTRU(102)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전력 제어, 입력/출력 프로세싱, 및/또는 임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트랜시버(120)에 커플링될 수 있고, 트랜시버(120)는 송신/수신 요소(122)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3b가 프로세서(118)와 트랜시버(120)를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프로세서(118)와 트랜시버(120)가 전자 패키지 또는 칩에 함께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송신/수신 요소(122)는 에어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통해 기지국(예컨대, 기지국(114a))으로 신호들을 전송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송신/수신 요소(122)는 RF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수신 요소(122)는, 예를 들어, IR, UV, 또는 가시 광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방출기/검출기(emitter/detector)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송신/수신 요소(122)는 RF 및 광 신호들 둘 다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수신 요소(122)가 무선 신호들의 임의의 조합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에 부가하여, 송신/수신 요소(122)가 도 3b에 단일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WTRU(102)는 임의의 수의 송신/수신 요소(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WTRU(102)는 MIMO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WTRU(102)는 에어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송신/수신 요소(122)(예컨대, 다수의 안테나들)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20)는 송신/수신 요소(122)에 의해 전송되어야 하는 신호들을 변조하도록 그리고 송신/수신 요소(122)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WTRU(102)는 다중-모드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트랜시버(120)는 WTRU(102)가, 예를 들어, UTRA 및 IEEE 802.11과 같은, 다수의 RAT들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WTRU(102)의 프로세서(118)는 스피커/마이크로폰(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지시기들(128)(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닛)에 커플링될 수 있고 그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스피커/마이크로폰(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지시기들(128)로 출력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프로세서(118)는, 비이동식 메모리(130) 및/또는 이동식 메모리(132)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적합한 메모리로부터의 정보에 액세스하고 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비이동식 메모리(130)는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메모리(132)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메모리 스틱,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8)는, 서버 또는 홈 컴퓨터(도시되지 않음) 상에와 같이, WTRU(102)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의 정보에 액세스하고 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전원(134)으로부터 전력을 받을 수 있고, WTRU(102)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력을 분배하고 그리고/또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134)은 WTRU(10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34)은 하나 이상의 건전지 배터리(dry cell battery), 태양 전지(solar cell), 연료 전지(fuel cell),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또한 WTRU(102)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예컨대, 경도 및 위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GPS 칩셋(136)에 커플링될 수 있다. GPS 칩셋(136)으로부터의 정보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WTRU(102)는 기지국(예컨대, 기지국들(114a, 114b))으로부터 에어 인터페이스(115/116/117)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근방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WTRU(102)가 일 실시예와 부합한 채로 있으면서 임의의 적합한 위치 결정 방법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프로세서(118)는, 부가의 특징들, 기능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주변기기들(138)에 추가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들(138)은 가속도계, 생체측정(예컨대, 지문) 센서들, e-나침반(e-compass)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위성 트랜시버, (사진 또는 비디오를 위한) 디지털 카메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다른 상호접속 인터페이스들, 진동 디바이스, 텔레비전 트랜시버, 핸즈프리 헤드셋, 블루투스® 모듈, FM(frequency modulated) 라디오 유닛,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WTRU(102)는, 센서, 소비자 전자제품,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의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료 또는 e헬스 디바이스, 로봇, 산업 장비, 드론, 자동차, 트럭, 기차, 또는 비행기와 같은 차량과 같은, 다른 장치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구체화될 수 있다. WTRU(102)는, 주변기기들(138)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상호접속 인터페이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상호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러한 장치들 또는 디바이스들의 다른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시스템들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RAN(103) 및 코어 네트워크(106)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RAN(103)은 에어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WTRU들(102a, 102b, 및 102c)과 통신하기 위해 UTRA 라디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RAN(103)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106)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N(103)은, 각각이 에어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WTRU들(102a, 102b, 102c)과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는, Node-B들(140a, 140b, 140c)을 포함할 수 있다. Node-B들(140a, 140b, 140c)은 각각이 RAN(103) 내의 특정의 셀(도시되지 않음)과 연관될 수 있다. RAN(103)은 또한 RNC들(142a, 142b)을 포함할 수 있다. RAN(103)이 일 실시예와 부합한 채로 있으면서 임의의 수의 Node-B 및 RNC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de-B들(140a, 140b)은 RNC(142a)와 통신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Node-B(140c)는 RNC(142b)와 통신할 수 있다. Node-B들(140a, 140b, 140c)은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자의 RNC들(142a, 142b)과 통신할 수 있다. RNC들(142a, 142b)은 Iur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RNC들(142a, 142b) 각각은 그에 접속되어 있는 각자의 Node-B들(140a, 140b, 140c)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RNC들(142a, 142b) 각각은 외부 루프 전력 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 로드 제어, 허가 제어(admission control), 패킷 스케줄링, 핸드오버 제어, 매크로다이버시티(macro-diversity), 보안 기능들, 데이터 암호화,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106)는 MGW(media gateway)(144), MSC(mobile switching center)(146),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8), 및/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요소들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106)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이 코어 네트워크 운영자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RAN(103) 내의 RNC(142a)는 IuCS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6) 내의 MSC(146)에 접속될 수 있다. MSC(146)는 MGW(144)에 접속될 수 있다. MSC(146) 및 MGW(144)는, WTRU들(102a, 102b, 102c)과 전통적인 지상선(land-line)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STN(108)과 같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RAN(103) 내의 RNC(142a)는 또한 IuPS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6) 내의 SGSN(148)에 접속될 수 있다. SGSN(148)은 GGSN(150)에 접속될 수 있다. SGSN(148) 및 GGSN(150)은, WTRU들(102a, 102b, 102c)와 IP 가능 디바이스들(IP-enabled devices)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넷(110)과 같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들(packet-switched networks)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6)는 또한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되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112)에 접속될 수 있다.
도 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RAN(104) 및 코어 네트워크(107)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RAN(104)은 에어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WTRU들(102a, 102b, 및102c)과 통신하기 위해 E-UTRA 라디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RAN(104)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107)와 통신할 수 있다.
RAN(104)은 eNode-B들(160a, 160b, 160c)을 포함할 수 있지만, RAN(104)이 일 실시예와 부합한 채로 있으면서 임의의 수의 eNode-B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eNode-B들(160a, 160b, 160c)은 각각이 에어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WTRU들(102a, 102b, 102c)과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Node-B들(160a, 160b, 160c)은 MIMO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eNode-B(160a)는 WTRU(102a)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그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할 수 있다.
eNode-B들(160a, 160b, 및 160c) 각각은 특정의 셀(도시되지 않음)과 연관될 수 있고, 라디오 자원 관리 결정들, 핸드오버 결정들,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에서의 사용자들의 스케줄링,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핸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ode-B들(160a, 160b, 160c)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107)는 MME(mobility management gateway)(162), 서빙 게이트웨이(164), 및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요소들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107)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이 코어 네트워크 운영자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MME(16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104) 내의 eNode-B들(160a, 160b, 및 160c) 각각에 접속될 수 있고, 제어 노드로서 역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162)는 WTRU들(102a, 102b, 102c)의 사용자들을 인증하는 것,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WTRU들(102a, 102b, 102c)의 초기 어태치(initial attach) 동안 특정의 서빙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책임지고 있을 수 있다. MME(162)는 또한 RAN(104)과, GSM 또는 WCDMA와 같은, 다른 라디오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RAN들(도시되지 않음) 간에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플레인 기능(control plane fun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104) 내의 eNode-B들(160a, 160b, 및 160c) 각각에 접속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일반적으로 WTRU들(102a, 102b, 102c)로/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고 포워딩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또한 인터-eNode B 핸드오버들(inter-eNode B handovers) 동안 사용자 플레인들을 앵커링(anchoring)하는 것, WTRU들(102a, 102b, 102c)에 대해 다운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 페이징(paging)을 트리거링하는 것, WTRU들(102a, 102b, 102c)의 컨텍스트들을 관리하고 저장하는 것,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64)는 또한, WTRU들(102a, 102b, 102c)과 IP 가능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넷(110)과 같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는 PDN 게이트웨이(166)에 접속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7)는 다른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7)는, WTRU들(102a, 102b, 102c)과 전통적인 지상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STN(108)과 같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7)는 코어 네트워크(107)와 PSTN(108)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역할하는 IP 게이트웨이(예컨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와 통신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코어 네트워크(107)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되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112)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e는 일 실시예에 따른 RAN(105) 및 코어 네트워크(109)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이다. RAN(105)은 에어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WTRU들(102a, 102b, 및 102c)과 통신하기 위해 IEEE 802.16 라디오 기술을 이용하는 ASN(access service network)일 수 있다.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될 것인 바와 같이, WTRU들(102a, 102b, 102c), RAN(105), 및 코어 네트워크(109)의 상이한 기능 엔티티들 간의 통신 링크들이 기준점들(reference points)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N(105)은 기지국들(180a, 180b, 180c) 및 ASN 게이트웨이(182)를 포함할 수 있지만, RAN(105)이 일 실시예와 부합한 채로 있으면서 임의의 수의 기지국 및 ASN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기지국들(180a, 180b, 180c)은 각각이 RAN(105) 내의 특정의 셀과 연관될 수 있고, 각각이 에어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WTRU들(102a, 102b, 102c)과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들(180a, 180b, 180c)은 MIMO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80a)은 WTRU(102a)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그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들(180a, 180b, 180c)은 또한, 핸드오프 트리거링(handoff triggering), 터널 확립(tunnel establishment), 라디오 자원 관리, 트래픽 분류, QoS(quality of service) 정책 시행,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이동성 관리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ASN 게이트웨이(182)는 트래픽 집성점(traffic aggregation point)으로서 역할할 수 있고 페이징, 가입자 프로파일들의 캐싱, 코어 네트워크(109)로의 라우팅,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책임지고 있을 수 있다.
WTRU들(102a, 102b, 102c)과 RAN(105)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117)는 IEEE 802.16 규격을 구현하는 R1 기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WTRU들(102a, 102b, 102c)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109)와 논리 인터페이스(logical interface)(도시되지 않음)를 확립할 수 있다. WTRU들(102a, 102b, 102c)과 코어 네트워크(109) 사이의 논리 인터페이스는 인증, 권한부여(authorization), IP 호스트 구성 관리, 및/또는 이동성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R2 기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들(180a, 180b, 및 180c) 각각 사이의 통신 링크는 기지국들 사이의 WTRU 핸드오버들 및 데이터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R8 기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들(180a, 180b, 180c)과 ASN 게이트웨이(182) 사이의 통신 링크는 R6 기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R6 기준점은 WTRU들(102a, 102b, 102c) 각각과 연관된 이동성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이동성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N(105)은 코어 네트워크(109)에 접속될 수 있다. RAN(105)과 코어 네트워크(109) 사이의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및 이동성 관리 능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R3 기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9)는 MIP-HA(mobile IP home agent)(184),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186), 및 게이트웨이(18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요소들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109)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이 코어 네트워크 운영자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MIP-HA는 IP 어드레스 관리를 책임지고 있을 수 있고, WTRU들(102a, 102b, 및 102c)이 상이한 ASN들 및/또는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로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MIP-HA(184)는, WTRU들(102a, 102b, 102c)과 IP 가능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넷(110)과 같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AAA 서버(186)는 사용자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것 및 사용자 인증을 책임지고 있을 수 있다. 게이트웨이(188)는 다른 네트워크들과의 인터워킹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188)는, WTRU들(102a, 102b, 102c)과 전통적인 지상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STN(108)과 같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게이트웨이(188)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소유되고 그리고/또는 운영되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112)에 대한 액세스를 WTRU들(102a, 102b, 102c)에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도 3e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RAN(105)이 다른 ASN들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과 코어 네트워크(109)가 다른 코어 네트워크들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RAN(105)과 다른 ASN들 사이의 통신 링크가 RAN(105)과 다른 ASN들 사이에서 WTRU들(102a, 102b, 102c)의 이동성을 조율(coordinate)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는 R4 기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9)와 다른 코어 네트워크들 사이의 통신 링크가 홈 코어 네트워크들(home core networks)과 방문 코어 네트워크들(visited core networks) 사이의 인터워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는 R5 기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 3a, 도 3c, 도 3d, 및 도 3e에 예시된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특정한 기존의 3GPP 규격들에서 그 엔티티들에 주어진 이름들에 의해 식별되지만, 장래에 그 엔티티들 및 기능들이 다른 이름들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는 것과, 장래의 3GPP NR 규격들을 포함하는, 3GPP에 의해 발표되는 장래의 규격들에서 특정한 엔티티들 또는 기능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에 예시되고 설명된 특정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및 기능들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청구된 주제가, 현재 정의되어 있든 장래에 정의되든 간에, 임의의 유사한 통신 시스템에서 구체화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3f는, RAN(103/104/105),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PSTN(108), 인터넷(110),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 내의 특정한 노드들 또는 기능 엔티티들과 같은, 도 3a, 도 3c, 도 3d 및 도 3e에 예시된 통신 네트워크들의 하나 이상의 장치가 구체화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9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컴퓨팅 시스템(90)은 컴퓨터 또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 -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어느 곳에든 또는 어떤 수단에 의해서든 저장되거나 액세스됨 - 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시스템(90)으로 하여금 일을 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91) 내에서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91)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들, 임의의 다른 타입의 IC(integrated circuit), 상태 머신, 및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91)는 컴퓨팅 시스템(90)이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전력 제어, 입력/출력 프로세싱, 및/또는 임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코프로세서(81)는 부가의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프로세서(91)를 보조할 수 있는, 메인 프로세서(91)와 구별되는, 임의적인 프로세서이다. 프로세서(91) 및/또는 코프로세서(81)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 생성,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동작을 설명하면, 프로세서(91)는 명령어들을 페치, 디코딩, 및 실행하고, 다른 자원들로의 그리고 그들로부터의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데이터 전송 경로인 시스템 버스(80)를 통해 전송한다. 그러한 시스템 버스는 컴퓨팅 시스템(90) 내의 컴포넌트들을 접속시키고, 데이터 교환을 위한 매체를 정의한다. 시스템 버스(80)는 전형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들, 어드레스들을 송신하기 위한 어드레스 라인들, 및 인터럽트들을 송신하고 시스템 버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라인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시스템 버스(80)의 일 예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이다.
시스템 버스(80)에 커플링된 메모리들은 RAM(random access memory)(82) 및 ROM(and read only memory)(93)을 포함한다. 그러한 메모리들은 정보가 저장 및 검색될 수 있게 해주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ROM들(93)은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수정될 수 없는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RAM(82)에 저장된 데이터는 프로세서(91) 또는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판독 또는 변경될 수 있다. RAM(82) 및/또는 ROM(93)에 대한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9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92)는, 명령어들이 실행될 때, 가상 어드레스들을 물리 어드레스들로 변환하는 어드레스 변환 기능(address translation fun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92)는 또한 시스템 내에서 프로세스들을 격리시키고 시스템 프로세스들을 사용자 프로세스들로부터 격리시키는 메모리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은 그 자신의 프로세스 가상 어드레스 공간에 의해 매핑되는 메모리에만 액세스할 수 있고; 프로세스들 간의 메모리 공유가 셋업되어 있지 않은 한, 다른 프로세스의 가상 어드레스 공간 내의 메모리에는 액세스할 수 없다.
그에 부가하여, 컴퓨팅 시스템(90)은 명령어들을 프로세서(91)로부터, 프린터(94), 키보드(84), 마우스(95), 및 디스크 드라이브(85)와 같은, 주변기기들에게 전달하는 일을 책임지고 있는 주변기기들 제어기(8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96)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86)는 컴퓨팅 시스템(90)에 의해 생성된 시각적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한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스, 애니메이티드 그래픽스(animated graphics), 및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는 CRT 기반 비디오 디스플레이, LCD 기반 평판 디스플레이, 가스 플라스마 기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96)는 디스플레이(86)에게 송신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데 요구된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컴퓨팅 시스템(90)은 컴퓨팅 시스템(90)이 그 네트워크들의 다른 노드들 또는 기능 엔티티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컴퓨팅 시스템(90)을, 도 3a, 도 4b, 도 3c, 도 3d, 및 도 3e의 RAN(103/104/105), 코어 네트워크(106/107/109), PSTN(108), 인터넷(110),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112)과 같은,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97)와 같은, 통신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부는,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서(91)와 결합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한 장치들, 노드들, 또는 기능 엔티티들의 전송 및 수신 단계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즉,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이 명령어들이, 프로세서들(118 또는 91)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을 수행 및/또는 구현하게 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계들, 동작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것이,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또는 컴퓨팅 시스템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그러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정보의 저장을 위해 임의의 비일시적(즉, 유형적 또는 물리적)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하지만,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신호들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s)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적 또는 물리적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NR-SS 신호 설계
본 출원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확장가능 DL 동기 채널 설계가 설명된다. 이 설계는,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5G UE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관계없이 블라인드 타이밍 및 주파수 취득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1차 및/또는 2차 동기화 채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DL 동기 설계 방법들이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그 결과, 5G UE는 y x Δf에 대한 특정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또는 공통 DL 동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모든 5G 뉴머롤로지들에 대한 타이밍 동기화 및 취득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지원하기 위해 DL 동기 프로토콜이 제공된다. 환언하면, 특정의 5G 응용분야가 다양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들, 예컨대, Δf, 2Δf ... MΔf를 지원하는 경우, DL 동기는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사용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DL 동기 설계는 확장가능 스페이싱 인자 y를 운반하기 위해 ZC 시퀀스들에 기초한다. 5G 응용분야에 대한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한 PSS 주파수 할당에 대한 예시적인 시퀀스가 도 4a에 예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L 동기 아키텍처는 배치, 예컨대, 실내/실외, 소형 셀/피코 셀 등에 기초하여 그 자신의 디폴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 y x Δf를 갖는 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6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7
이고, Δf는 5G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5G 시스템이 y x Δf를 갖는 특정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지원하고 M이 최대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인 경우, DL 동기 채널(PSS 및 SSS)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N x y x Δf에 걸쳐 있다. N은 DL 동기 채널 길이이다. 바람직하게, DL 동기 설계는 확장가능 스페이싱 인자 y를 운반하기 위해 ZC 시퀀스들에 기초한다. 5G 응용분야에 대한 2Δf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초한 PSS 주파수 할당에 대한 예시적인 시퀀스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는 PSS 신호 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 PSS 신호는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BPSK, QPSK 또는, 직교 진폭 변조(QAM)와 같은, 고차 변조(higher order modulation)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S 신호는 하기 식과 같이 생성될 수 있고: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8
여기서 d는 BPSK, QPSK 또는 QAM 심벌이다. 정보의 양은 변조 차수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Figure 112020092465394-pat00019
QPSK인 경우, d와 y 사이의 관계 매핑은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표 7]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는 SSS 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 SSS 시퀀스 구성의 예시적인 설계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1
에 의해 주어지고, 여기서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2
은 루트 u(p)를 갖는 ZC 시퀀스의 대안의 형태이고,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 및 길이 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3
홀수 길이 N 및 루트 u(p)를 갖는 ZC 시퀀스 au(p)(n)이 N과 서로소(co-prime)인 경우, au(p)(yn)로서 표시되는, au(p)(n)의 인자 y를 갖는 데시메이팅된(decimated) 시퀀스는 여전히 ZC 시퀀스이다. 대응하는 ZC 시퀀스 au(p)(yn)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가질 것이고: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4
또는 시퀀스의 루트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5
예를 들어, N = 31이고, u(0) = 23이며, 그리고 y = 2인 경우, 데시메이팅된 시퀀스 au(0)=23(2n)은 루트 v(0) = 30 = mod(23 x 22, N)을 갖는 ZC 시퀀스와 동등하게 되며, 즉,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6
시퀀스 by(n)은 기본 시퀀스(base sequence) b(n)의 순환 시프트들로 이루어진 길이 N을 갖는 스크램블링(또는 마스킹) 시퀀스이다. y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7
는 순환 시프트의 지시자이다. 프리미티브 시퀀스(primitive sequence) b(n)은 m-시퀀스 또는 골드 시퀀스(gold sequence)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UE가 SSS 검출을 수행할 때, 출력은 v(0) = u(0)y2 및 v(1) = u(1)y2의 추정을, 제각기, 가질 것이다. 그에 부가하여, y 값의 추정은 M개의 상관기의 출력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것은 y의 각각의 상이한 값에 대해 낮은 교차 상관을 갖는 제안된 SSS(p)(n)에 기인한다. 따라서, u(p)는 수학식 6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합성된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8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Figure 112020092465394-pat00029
여기서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0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1
에 대한 매핑 함수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SSS 검출 기능 아키텍처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SSS 자원 매핑은 블록 인터리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SSS 자원 매핑은 서브캐리어 인터리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SS 자원 매핑은 앞서 언급된 기술들을 따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는 심벌 인터리빙을 이용한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상에서의 2Δf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SSS DL 동기 시퀀스 주파수 할당을 예시하고 있다. 도 6b는 블록 인터리빙을 이용한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상에서의 2Δf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SSS DL 동기 시퀀스 주파수 할당을 예시하고 있다. 더욱이, 도 6c는 심벌 인터리빙을 이용한 2Δf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갖는 2Δf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SSS DL 동기 시퀀스 주파수 할당을 예시하고 있다. 도 6d는 블록 인터리빙을 이용한 2Δf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갖는 2Δf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SSS DL 동기 시퀀스 주파수 할당을 예시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를 갖는 UE 동기화 절차가 설명된다. 여기서,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는 PSS 또는 SSS 중 어느 하나에 임베딩된다. 제1 단계에서, UE는 1차 동기화 신호 검출을 수행한다. 제2 단계에서, UE는 2차 동기화 신호 검출을 수행한다. 이어서, UE는 셀 ID(cell identification) 검출을 수행한다. 이것은 확인이 뒤따른다. 마지막으로, UE는 PBCH 디코딩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는 PSS 상에서 운반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따른다. 단계들에 대해 아라비아 숫자들이 열거된다. 예를 들어, PSS 검출 스테이지(단계 1)에서, UE는 수신된 PSS를 Q개의 가능한 PSS 시퀀스와 교차 상관시킨다. 여기서, Q는 지원될 수 있는 상이한 PSS 시퀀스들의 최대 수이다. UE는 또한 대응하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2
및 그의 대응하는 루트 시퀀스 u를 획득하기 위해, 가장 큰 상관 결과와 연관된, 가장 강한 피크를 선택한다(단계 2). 다음에, UE는 심벌 d를 계속하여 획득하고 대응하는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를 도출한다(단계 2b). 그 후에, UE는 상관 피크의 시간 위치로부터 취득된 심벌 타이밍 경계를 획득한다. 이것은 SSS의 심벌 타이밍 경계이기도 하다.
다음에, SSS 검출 스테이지에서, UE는 수신된 신호를 P개의 가능한 SSS 시퀀스와 교차 상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단계 3). P는 지원될 수 있는 상이한 SSS 시퀀스들의 최대 수이다. 다음에, UE는 가장 강한 피크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3
을 획득한다(단계 4). UE가 신뢰성있는 상관 결과들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 UE는 다음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4
를 검출하기 위해 교차 상관 단계로 다시 되돌아간다(단계 4b). 그렇지 않은 경우, UE는 동기화를 위해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5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6
를 통해 셀 ID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7
를 계산한다(단계 5). 이어서, UE는 단계 6에서의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디코딩으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가 SSS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들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PSS 검출 스테이지에서, UE는 수신된 신호들을 Q개의 가능한 PSS 시퀀스와 교차 상관시킬 수 있다(단계 1). Q는 지원될 수 있는 PSS 시퀀스들의 최대 수이다. 다음에, UE는 가장 강한 피크를 선택하고 그의 루트 시퀀스 u를 갖는 대응하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8
를 획득한다(단계 2). 이어서 파형, 예컨대, OFDM, F-OFDM, 심벌이 획득된다. 파형 심벌은 상관 피크의 취득된 시간 위치로부터 시작된다. 이것은 또한 SSS의 타이밍 경계를 제공한다.
다음에, SSS 검출 스테이지에서, UE는 수신된 신호를 P개의 가능한 SSS 시퀀스와 교차 상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단계 3). P는 지원될 수 있는 상이한 SSS 시퀀스들의 최대 수이다. 다음에, UE는 가장 강한 피크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루트 시퀀스 v를 획득한다. 대응하는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가 또한 (단계 4 이전에) 도출된다. 루트 v 및 확장가능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 y를 획득한 후에, 대응하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39
값을 계산하기 위해 루트 u가 (수학식 6을 통해) 획득된다(단계 4). UE가 신뢰성있는 상관 결과들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 UE는 다음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0
를 검출하기 위해 이전에 설명된 교차 상관 단계로 다시 되돌아간다(단계 4b). 그렇지 않은 경우, UE는 동기화를 위해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1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2
를 통해 셀 ID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3
를 계산한다(단계 5). 이어서, UE는 단계 6에서의 PBCH 디코딩으로 이동한다.
DL 동기화 채널 프리앰블 ID(Preamble Identification) 확대
보다 많은 프리앰블 ID(preamble identification)를 운반할 목적으로 프리앰블 ID 설계를 확대하기 위해 DL 동기화 프리앰블 설계가 제안된다. DL 동기화 채널 신호는 CAZAC 또는 ZC 시퀀스들의 2개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2개의 CAZAC 시퀀스는 서브캐리어 인터리빙(subcarrier interleave) 또는 블록 인터리빙(block interleave)일 수 있다. 도 8은 FD에서의 서브캐리어 인터리빙으로서 2개의 CAZAC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본 출원의 일 양태에 따르면, NR 시스템들에 대한 빔포밍 기반 초기 액세스를 개선시키고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들이 설명된다. 다른 양태에서, RRC_Connected 상태들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이 설명되고, 또 다른 양태에서, NR 시스템들을 위해 설계된 유연한 프레임 구조들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을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또한 (i) 빔포밍된 트레이닝 기준 신호를,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ii) 빔포밍된 트레이닝 기준 신호 내의 빔들의 수를 결정하며; (iii) 그 수의 빔들 중에서 하나의 빔을 선택하고; (iv) 선택된 빔의 심벌 타이밍, 서브프레임 및 프레임 타이밍을 계산하며; 그리고 (v) 선택된 빔에 대한 빔 ID(beam identification)를 디코딩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서는 빔 ID(beam identification)와 연관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디코딩하는 명령어들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프로세서는 빔 ID(beam identification) 피드백을 업링크 전송 빔포밍을 이용하여 뉴 라디오 노드(new radio node)로 전송하는 명령어들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프로세서는 뉴 라디오 노드로부터 빔 취득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명령어들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프로세서는 빔 ID(beam identification)와 연관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디코딩하는 명령어들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BF 스위핑 및 BF 트레이닝이 NR-노드,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또는 RRH(Remote Radio Head)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그 결과, NR-노드, TRP 및 RRH는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DL 및/또는 UL 전송들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이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에 대해 유연하고, RAN 슬라이스들이 정적으로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시간 간격들은 서브프레임들이라고 지칭된다.
빔포밍 기반 초기 액세스
일 실시예에서, NR-노드는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주기적인 빔포밍된 트레이닝 기준 신호(BT-RS)를 UE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주기적인 BT-RS는 초기 액세스 스테이지 동안 UE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위해 서빙될 수 있다.
이 기능들 중 하나는 DL 타이밍-주파수 동기화 및 PBCH 복조를 포함한다. BT-RS는 각각의 주기적인 초기 액세스 DL 전송 간격으로 N개의 (넓은) 빔을 통한 스위핑을 통해 전송된다. 각각의 빔 초기 액세스 DL 전송 지속기간이 Q개의 OFDM 심벌로 설정되고 K개의 빔이 각각의 빔 전송 지속기간에서 동시에 DL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경우, N개의 빔 전부에 대한 총 전송 지속기간은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4
개의 OFDM 심벌과 동일하다. BT-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L개의 서브대역을 점유할 수 있다. 모든 뉴머롤로지들 또는 슬라이스 서브대역들은 동일한 BT-RS 서브대역들을 공유할 수 있거나,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슬라이스 서브대역은 그 자신의 BT-RS 서브대역들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초기 액세스에 대해 총 N = 6개의 빔의 일 예가 셋업된다. BR-RS가 각각의 빔 전송 지속기간에서 단일 빔 전송을 위해서만 구성되는 경우, 즉 K = 1인 경우, 각각의 빔 전송 지속기간은 Q = 2개의 심벌로 설정된다. 예시에서 일 예로서, BT-RS의 주기성 P는 5 시간 간격 x로 설정된다. 따라서, 총 BT-RS 전송 지속기간은 BT-RS를 운반하는 시간 간격당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5
개의 OFDM 심벌과 동일하다. 순차 빔 스위핑이 도 10a에 도시되어 있다. 병렬 스위핑은 도 10b에 도시되어 있고 총 BT-RS 전송 지속기간은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6
개의 심벌과 동일하다. 하이브리드 스위핑은 도 10c에 도시되어 있고 총 BT-RS 전송 지속기간은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7
개의 심벌과 동일하다.
BT-RS 전송의 주기성 P, 빔 전송 지속시간에 대한 심벌 지속시간의 수 Q, 동시 빔 전송 횟수 K는 각각이 NR 시스템에서 다수의 뉴머롤로지들 또는 RAN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뉴머롤로지 또는 RAN 슬라이스 서브대역이 주파수에서 개별적으로 그 자신의 BT-RS를 포함한다.
BT-RS 구성에 대한 두 가지 가능한 옵션이 있다. 하나의 옵션은 각각의 지원되는 뉴머롤로지 또는 RAN 슬라이스가 그 자신의 BT-RS 셋업/구성을 갖는 경우이다. 다른 옵션은 다수의 뉴머롤로지들 또는 RAN 슬라이스들이 동일한 BT-RS 셋업/구성을 공유하는 경우이다.
하기의 예들에서, 우리는 NR 시스템에서 2개의 상이한 뉴머롤로지가 지원된다고 가정한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우리는 하나의 뉴머롤로지(뉴머롤로지 1)가 다른 것(뉴머롤로지 2)보다 더 넓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뉴머롤로지 1은 뉴머롤로지 2보다 더 짧은 심벌 시간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이 예에서, 이 예는 뉴머롤로지 1에 대해 N1 = 5, K1 = 1 및 Q1 = 1이고 뉴머롤로지 2에 대해 N2 = 3, K2 = 1 및 Q2 = 2인 브로드캐스트를 가정한다. 이 예에서 뉴머롤로지 1 BT-RS의 주기성은 2개의 서브프레임(즉, P = 2)으로 설정되고 뉴머롤로지 2 BT-RS의 주기성은 5개의 서브프레임(즉, P = 5)으로 설정된다. 상이한 뉴머롤로지가 또한 초기 액세스에 대한 동일한 BT-RS 셋업을 공유할 수 있으며, 즉, UE는 지원되는 뉴머롤로지들 전부에 대해 공유 BT-RS 셋업을 검출하기만 하면 된다.
도 11에, 2개의 지원되는 뉴머롤로지를 갖는 공유 BT-RS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NR-노드/TRP는 2개의 뉴머롤로지 및 UE가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BT-RS 셋업만을 지원한다. BT-RS는 레이턴시, 디바이스 능력 등과 같은 BF 스위핑 요구사항들에 따라 어느 한 뉴머롤로지 서브대역에서 할당될 수 있다.
게다가, BT-RS가 자체 포함형 서브프레임에서 지원될 수 있다. 자체 포함형 서브프레임에서, BT-RS는 간격 x를 갖는 기지의 주파수-시간 DL 자원들 i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서, NR BT-RS는 시작 DL 심벌들에 배치되고 그의 주기성은 P = 5개의 간격으로 설정된다. BT-RS 셋업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구성으로 미리 정의되거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이 상이한 뉴머롤로지로 재구성될 때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NR-노드 또는 TRP에 의한 재구성은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 또는 RRC 또는 MAC 메시지와 같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UE들에게 지시될 수 있다.
셀(또는 섹터 또는 RAN 슬라이스) 동기화 및 타이밍 취득
일 실시예에서, UE가 초기 액세스 스테이지에 있고 셀/섹터/RAN 슬라이스 타이밍 정보에 대해 모를 때, UE는 심벌 타이밍, 서브프레임 및 프레임 타이밍을 취득하기 위해 주기적인 전송 BT-RS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UE는 RX 빔포밍을 사용하거나 사용함이 없이 N개의 빔(또는 N개의 가설(hypothesis))을 상관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타이밍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UE가 BT-RS에 몇 개의 빔이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BT-RS가 카운터와 연관될 수 있기 때문에 N이 UE에 알려질 수 있다.
DL 동기화 채널(신호들), 빔 기준 신호 및 PBCH 채널을 포함하는 DL 초기 액세스 신호; DL 빔 스위핑 블록에 의해 운반되는 DL 초기 액세스 신호 - 각각의 빔 스위핑 블록은 단일 OFDM 또는 다수의 OFDM 심벌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다중 빔 스위핑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는 DL 빔 스위핑 서브프레임; 상이한 OFDM 심벌들에 배치될 수 있는 DL 동기화 채널들 PSS 및 SSS; 단 하나의 DL 동기화 채널을 포함하는 빔 스위핑 블록; 동일한 OFDM 심벌에 또는 상이한 OFDM 심벌들에 공존할 수 있는 빔 기준 신호 및 PBCH; 및 DL 동기화 채널 및 빔 기준 신호들과 상이한 전송 주기를 가질 수 있는 PBCH.
DL 동기화 채널이 셀 및 빔 ID 둘 다를 운반하는 경우, UE는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알 수 있고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과 DL 스위핑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DL 동기화 채널이 셀 ID만을 운반하는 경우, UE는 빔 기준 신호로부터 빔 ID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알 수 있고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과 DL 스위핑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NR에서, 초기 액세스 절차는 4개의 서브-절차 및 신호로 이루어져 있다:
1. 초기 동기화 및 셀 탐색
DL 동기화 채널들: PSS 및 SSS
2. 빔 트레이닝 및 트래킹
빔 기준 신호들
3. MIB 시스템 정보 전달
PBCH 채널
4. 랜덤 액세스
UL PRACH 채널
NR은 LF-NR(즉, 6 GHz 미만) 및 HF-NR(즉, 6 GHz 초과) 배치 둘 다를 지원한다. LF-NR에서는, 커버리지를 위해 단일의 보다 넓은 빔으로 충분할 수 있다. 그렇지만, HF-NR에서는, 커버리지를 위해 단일의 보다 넓은 빔으로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좁은 빔들이 HF-NR에서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솔루션이다. 따라서, NR은 초기 액세스 신호 전송을 위한 단일 빔 기반(또는 단일 섹터) 및 다중 빔 기반(다중 섹터) 접근법들 둘 다를 지원할 수 있다. 초기 액세스 신호는 DL 동기화 채널들(예컨대, PSS/SSS, 빔포밍 기준 신호들 및 PBCH 채널들)을 포함한다. 초기 액세스 신호 전송을 위한 단일 빔 및 다중 빔 구현들이 도 14에 예시되어 있다. 도 14a에서, DL 초기 액세스 신호들은 단일의 보다 넓은 빔을 이용해 전송된다. 도 14b에서, DL 초기 액세스 신호들은 각각의 좁은 빔을 이용해 전송되고, 각각의 좁은 빔은 2D 빔 인스턴스의 경우 상이한 수평 각도들로 지향하고 있다.
NR-노드에서 많은 양의 다중 빔을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DL 초기 액세스 신호들에 대한 다중 빔들을 빔 스위핑 방법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하나의 가능한 솔루션이다. 우리는 스위핑 블록을 빔을 스위핑하기 위한 시간 단위, 예컨대, 하나의 OFDM 심벌 또는 다수의 OFDM 심벌들로서 정의한다. 스위핑 블록(시간)에서 단일 빔 또는 다중 빔 중 어느 하나를 스위핑한다. 그에 부가하여, 빔 스위핑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스위핑 블록들로 이루질 수 있다. 도 15은 DL 스위핑 서브프레임 및 블록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DL 빔 스위핑 서브프레임은 시간 T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주기적 시간 T는 URLLC, mMTC 또는 eMBB 서비스들과 같은 상이한 응용분야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NR 시스템들에서 단일의 또는 다수의 스위핑 서브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빔 스위핑 블록은 DL 동기화 채널들(PSS/SSS), 빔 트래킹 기준 신호들 및 PBCH 채널과 같은 DL 초기 액세스 신호들을 운반할 수 있다. 빔 스위핑 블록마다 하나의 OFDM 심벌이 사용되는 경우, DL 동기화 채널들, 빔 기준 신호 및 PBCH가 OFDM 심벌 내에 공존해야 한다. 이 경우에, DL 동기화 채널, 빔 기준 채널 및 PBCH는 OFDM 심벌에서 FDM된다. 빔 스위핑 블록마다 다수의 OFDM 심벌들이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빔 스위핑 블록은 다음과 같은 옵션들을 가질 수 있다:
(i) DL 동기화 채널들(PSS/SSS)이 상이한 OFDM 심벌들에 배치될 수 있다;
(ⅱ) 하나의 DL 동기화 채널만이 빔 스위핑 블록에 있고, PSS는 빔 스위핑 블록에서 마지막 OFDM 심벌 또는 첫 번째 심벌 중 어느 하나에 있다.
(ⅲ) 빔 기준 신호 및 PBCH는 동일한 OFDM 심벌에 또는 상이한 OFDM 심벌들에 공존할 수 있다; 또는
(iv) PBCH는 DL 동기화 채널 및 빔 기준 신호들과 상이한 전송 주기를 가질 수 있다.
단일 OFDM 심벌을 갖는 예시적인 빔 스위핑 블록이 도 16a에 제시된다. 이 예에서, DL 동기화 및 PBCH가 공존한다. 다수의 OFDM 심벌들을 갖는 빔 스위핑 블록의 일 예가 도 16b에 제시된다. 이 예시적인 도면에서, DL 동기화, PBCH 및 빔 기준 신호들이 상이한 OFDM 심벌들에 배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빔 스위핑 블록에 단지 하나의 DL 동기화가 존재한다.
빔 스위핑을 수행하기 위해, NR-노드는 각각의 스위핑 블록 동안 빔들의 서브세트를 인에이블시킨다. 단일 빔 또는 다중 빔 중 어느 하나가 빔 스위핑 블록과 연관될 수 있다. 도 17a는 스위핑 블록당 4 개의 빔으로 이루어진 1 섹터가 인에이블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12개의 빔의 전체 세트가 3개의 스위핑 블록 단위로 스위핑된다. 도 17b는 각각의 섹터에서의 하나의 빔이 스위핑 블록마다 인에이블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12개의 빔의 전체 세트가 4개의 스위핑 블록 단위로 스위핑된다.
자체 포함형 서브프레임에 대해 스위핑 블록이 채택될 수 있다. 도 18은 Rx/Tx 스위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드 기간에 의해 분리된 DL 스위핑 블록들을 갖는 자체 포함형 스위핑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빔 스위핑 블록의 DL 동기 채널 설계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빔 스위핑 블록에 대해 단일 DL 동기화 채널(신호)만이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DL 스위핑 서브프레임이 몇 개의 스위핑 블록을 포함하기 때문에, UE는 D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 동안 다수의 DL 동기화 채널들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검출된 다수의 DL 동기화 채널들은 OFDM 심벌 또는 서브프레임 타이밍 모호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DL 동기화 채널들(신호들)의 다중 빔 전송으로 인한 이러한 타이밍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타이밍 오프셋이 보상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DL 동기화 채널이 셀 ID 및 빔 ID 둘 다를 운반하는 경우, UE는 DL 동기화 채널로부터 셀 ID 및 빔 ID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알 수 있고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으로부터 DL 스위핑 서브프레임까지의 타이밍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DL 동기화 채널이 셀 ID만을 운반하는 경우, UE는 빔 기준 신호로부터 빔 ID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알 수 있고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으로부터 DL 스위핑 서브프레임까지의 타이밍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기준 신호는 셀 ID에 연계될 수 있지만, 그의 주파수 및/또는 시간 자원들은 셀 내의 상이한 빔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 이것은 UE가 빔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한 방법이다.
고유 빔 ID가 셀 내의 각각의 빔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주어진 TRP의 빔들이 동일한 TRP 내에서 서로 구별될 수 있게 해준다. 빔들이 명확하게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한 지리적 영역 내의 다수의 TRP들로부터의 빔들은 그들 각각에 대한 고유 빔 ID를 포함해야 한다. 고유 빔 ID의 설계는 빔들 및 인트라-빔 핸드오프들의 측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데 필요하다. 특히 6GHz 초과의 배치들에서, 셀이 TRP들을 통해 수백 개의 빔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빔 ID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에서 가설 탐색의 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 개략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빔이 2-단계 프로세스에서 식별될 수 있는 빔 식별 절차가 제안된다.
단계 1: 셀 ID를 결정한다 - 우리는 빔 ID에 대한 탐색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단계에서 셀 ID가 식별될 것을 제안한다. 셀 ID가 일단 결정되면, UE가 블랙리스트화되어 있는 경우 UE가 그 셀에서 빔을 탐색하는 것을 그만둘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중요한 단계이다. 예를 들어, 셀 ID는 LTE에서와 유사하게 PSS 및 SSS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만, PSS 및 SSS가 서브프레임/프레임 내의 상이한 시간들에 발생하는 빔들 상에 있기 때문에 이 단계가 프레임 타이밍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2: 빔 ID를 결정한다 - 빔 ID는 셀 ID에 대한 지식이 획득된 후에 획득된다. 이것을 달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프레임 내의 고정된 위치에 3차 동기화 신호(tertiary synchronization signal)(TSS)를 프로비저닝하는 것이다. TSS 시퀀스는 빔 ID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들(또는 빔의 기준 신호들의 자원들) 및 셀 ID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UE가 셀 ID를 일단 획득하면, UE는 빔들에 대한 가능한 가설들을 분석(resolve)하고 빔 ID를 검출한다. 이어서, TSS의 위치와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을 사용하여, UE는 프레임 타이밍을 획득한다.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의 상대 위치가 그의 빔 ID를 나타낸다.
3개의 빔 - 이들 빔의 PSS 및 SSS가 빔 스위프(beam sweep)의 형태로 상이한 심벌들에서 전송됨 - 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TSS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0 심벌에 할당된다. 각각의 빔 상의 TSS는 예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다. 상이한 빔들에 대한 TSS가 동일한 자원들을 공유할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으며, 빔들이 공간적으로 오버랩하지 않을 때 특히 그렇다. UE가 (최상의 SINR 또는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제공하는 빔에 기초하여) 최상의 PSS/SSS를 일단 검출하면, UE는 셀 ID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 UE가 TSS의 시간-위치에 대한 3 가지 가설을 일단 가지면, UE는 TSS를 계속하여 디코딩하고 SINR을 최대화하는 것을 선택한다.
게다가, 우리는 상기 스킴에 대해, 빔 기준 신호가 셀 ID 및 빔 ID에 연계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유사하게, 빔 상에서의 모든 전송들이 셀 ID와 빔 ID 둘 다에 연계될 것이다. 예를 들어, PBCH, DCI 및 PDSCH 등과 같은 PHY 채널들을 스크램블링하는 데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들은 셀 ID 및 빔 ID 둘 다를 함께(jointly) 사용하여 생성된다.
도 20은 DL 빔 스위핑 블록이 빔 스위핑 서브프레임에서 4개의 스위핑 빔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나리오를 예시하고 있다. 스위핑 빔들이 빔 ID와 연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빔 ID는 빔 ID를 운반하기 위해 빔 기준 신호를 사용함이 없이 PSS/SSS와 같은 DL 동기화 채널 시퀀스에 결합될 수 있다. DL 동기화 채널이 셀 ID 및 빔 ID 둘 다를 운반하는 경우, UE는 DL 동기화 신호로부터 최상의 빔을 검출한다. 이것은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UE가 아는 것과 동등하다. 따라서, UE는 검출된 스위핑 블록으로부터 DL 스위핑 서브프레임까지의 타이밍 오프셋을 알 수 있다.
빔포밍 기반 초기 액세스에 대한 양태들이 이제부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NR 시스템들에서의 초기 신호 설계에 대한 DL 동기화 채널들이 다루어진다. NR은 LF-NR, 즉, 6 GHz 미만 및 HF-NR, 즉, 6 GHz 초과 배치 둘 다를 지원한다. LF-NR에서는, 커버리지를 위해 단일의 보다 넓은 빔으로 충분할 수 있다. 그렇지만, HF-NR에서는, 커버리지를 위해 단일의 보다 넓은 빔으로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좁은 빔들이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솔루션이다. 따라서, NR 시스템은 초기 액세스 신호 전송을 위한 단일 빔 기반(또는 단일 섹터) 및 다중 빔 기반(다중 섹터) 접근법들 둘 다를 지원할 수 있다. 초기 액세스 신호는 DL 동기화 채널들, 즉 PSS/SSS 및 PBCH 채널을 포함한다. 게다가, 우리는 초기 액세스를 위해 DL 동기화 채널들 및 NR-PBCH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빔 스위핑 시간 유닛의 단위로서 취급될 수 있는 DL 초기 액세스 빔 스위핑 블록을 정의한다. 각각의 스위핑 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CP-OFDM 심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블록들이 빔 스위핑 버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핑 버스트의 길이는 버스트 내의 빔 스위핑 블록들의 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빔 스위핑 버스트 길이가 M과 동일한 경우, 버스트에 N개의 스위핑 블록이 있다. 도 21a에, DL 동기화 채널들 및 NR-PBCH에 대한 DL 스위핑 버스트 및 블록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DL 빔 스위핑 버스트는 주기적 시간 T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주기 T는 URLLC, mMTC 또는 eMBB 서비스들과 같은 상이한 응용분야들에 따라 또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 뉴머롤로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NR-PSS는 심벌 타이밍 및/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검출을 위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NR-SSS가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도출하고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벌 인덱스(symbol to subframe index)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NR-SSS ID(identification)는 부분 셀 ID NID(2) 및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벌 카운터/인덱스(symbol to the subframe counter/index) Nloc 둘 다를 운반한다. DL 스위핑 서브프레임이 몇 개의 스위핑 블록을 포함하기 때문에, UE는 DL 스위핑 버스트 동안 다수의 DL 동기화 채널들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검출된 다수의 DL 동기화 채널들은 CP-OFDM 심벌과 서브프레임 간 타이밍 모호성(CP-OFDM symbol to subframe timing ambiguity)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DL 동기화 채널들(신호들)의 다중 빔 전송으로 인한 이러한 타이밍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타이밍 오프셋이 보상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인식된다. 일 실시예에서, DL 동기화 채널들이 셀 ID 및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벌 인덱스/카운터(symbol to a subframe index/counter)를 운반하는 경우, UE는 DL 동기화 채널들로부터만 셀 ID를 검출하고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벌 인덱스/카운터를 페치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어느 DL 빔 스위핑 블록이 검출되는지를 알 수 있고 검출된 빔 스위핑 블록으로부터 DL 스위핑 서브프레임까지의 타이밍 오프셋을 NR-SSS로부터의 카운터 값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하나의 셀이 다수의 TRP들을 소유하는 일부 경우들에서, 동일한 셀로부터의 상이한 Tx-TRP는 NR-PSS 및 NR-SSS를 통해 동일한 셀 ID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NR 시스템에서 DL 동기화 및 NR-PBCH에 대한 주기적인 빔 스위핑 버스트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NR 셀들은 상이한 스위핑 버스트 길이를 셋업할 수 있고, 버스트의 길이는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또는 뉴머롤로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CP-OFDM 심벌이 초기 액세스 블록에 대한 것인 경우 PBCH가 동일한 OFDM 심벌에서 또는 상이한 OFDM 심벌에서 NR-PSS/NR-SSS와 공존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NR-PBCH는 DL 동기화 채널들과 상이한 채널 BW를 가질 수 있다. NR-PSS, NR-SSS 및 NR-PBCH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빔 스위핑 블록에서, 이는 DL 동기화 채널들(NR-PSS/SSS) 및 NR-PBCH 채널을 운반할 수 있다. 빔 스위핑 블록이 단일 CP-OFDM 시스템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 DL 동기화 채널들(NR-PSS, NR-SSS) 및 NR-PBCH는 OFDM 심벌 내에 공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DL 동기화 채널들 및 NR-PBCH는 OFDM 심벌에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NR-SSS가 NR-PBCH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일 필요가 있는 경우, NR-SSS 및 NR-PBCH의 RE는 할당된 RB들에서 인터리빙될 수 있다. 일 예에서, NR-SSS 및 NR-PBCH의 RE들은 NR-SSS 및 NR-PBCH에 대한 할당된 RB들에서 인터리빙된다. 다른 예에서, NR-SSS 및 NR-PBCH는 상이한 자원 블록들에 위치되며, NR-PBCH 및 NR-SSS의 자원 위치는 주파수 대역들/범위들에 의존할 수 있다.
이제 도 21b, 특히 도 21ba 및 도 21bb를 참조하면, 단일 OFDM 심벌을 갖는 스위핑 블록의 일 예가 제시된다. 이 예에서, NR-SSS 및 NR-PBCH는 동일한 RB들에 할당될 수 있지만, 그들은 인터리빙된 RE들이다. 도 21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R-SSS 및 NR-PBCH가 상이한 자원 블록들에 위치될 수 있다. NR-SSS 및 NR-PBCH의 위치는 주파수 대역들/범위들에 의존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위핑 블록이 다수의 CP-OFDM 심벌들의 합성물(composite)인 경우, NR-PSSS, NR-SSS 및 NR-PBCH는 상이한 CP-OFDM 심벌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ca 내지 도 21cc에서, 예시적인 DL 스위핑 블록들이 도시되어 있다. NR-PBCH 자원은 NR-SSS와 동일한 CP-OFDM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PHY 채널 전송을 위한 복수의 주 뉴머롤로지들을 지원하기 위해 5G 네트워크들에서의 eNB들이 이용된다. "주 뉴머롤로지"는 DL 제어 및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심벌 지속기간 그리고 어쩌면 일부 시스템 정보를 정의하는 PHY 채널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말한다. 예를 들어, eNB는 시스템 정보를 운반할 DL 동기화 신호들 및 채널들(PBCH)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공통 동기 신호 뉴머롤로지(common sync signal numerology)"를 사용한다. 시스템 정보는 특히 크리티컬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eNB들은 동일한 동기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지만, 그들이 상이한 주 뉴머롤로지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NB의 주 뉴머롤로지들은 UE가 셀에 동기화하기 전에 UE에 알려지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만, UE는 동기 뉴머롤로지를 알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UE는 자신의 초기 셀 탐색을 수행하기 위해 동기 신호 뉴머롤로지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한다. UE는 이어서 셀에 대한 이용가능한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한다.
더욱이, 동기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여 전송된 시스템 정보는 셀의 k번째의 지원되는 주 뉴머롤로지에 대한 필드 numerologyConfig-k를 운반한다. numerologyConfig-k는, 예를 들어, k번째의 지원되는 프라이머리 뉴머롤로지(primary numerology)에 대한 CP 길이 및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제각기, 나타내는 cpConfig-ksubcarrierSpacing-k와 같은 2개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k ≥ 1이다. 표 8은 numerologyConfig-k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 8]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8
동기 뉴머롤로지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numerologyConfig-sync에 의해 주어진다. numerologyConfig-sync는, 예를 들어, cpConfig-K 및 subcarrierSpacing-k와 같은, 2개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 9는 numerologyConfig-sync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표 9]
Figure 112020092465394-pat00049
도 22는, 도 3a 내지 도 3f에 개시된 것과 같은, 예시적인 5G 시스템을 예시하며, 상이한 셀들은 주 뉴머롤로지에 대한 상이한 구성들을 갖는다. 셀들은 공통 동기 신호 뉴머롤로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eNB는 주 뉴머롤로지들 중 하나를 UE에 배정한다. 배정은 eNB가 초기 셀 탐색을 통해 셀에 동기화하고 그에 접속한 후에 발생한다. eNB는 배정을 하기 위해 상이한 기준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기준은 UE를 위해 구성된 RAN 슬라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 레이턴시 요구사항들을 갖는 UE는 가장 큰 캐리어 스페이싱 및 가장 짧은 심벌 지속기간을 갖는 주 뉴머롤로지를 배정받을 수 있다. 다른 기준은 네트워크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RAN이 높은 자원 이용률을 갖는 경우, eNB는 새로 동기화된 UE들을 가장 긴 심벌 지속기간을 갖는 주 뉴머롤로지들에 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기준은 UE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이 UE가 실내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 RAN은 가장 짧은 CP를 갖는 뉴머롤로지를 배정할 수 있다.
주 뉴머롤로지 배정이 셀의 시스템 정보 상에서 운반되는 것이 예견된다. 이하의 사용 사례들은 상이한 시스템 정보 블록들을 통해 또는 RRC 접속을 통해 주 뉴머롤로지가 배정되는 상이한 배치들을 예시하고 있다. 제1 사용 사례에서, 단일 주 뉴머롤로지를 갖는 5G eNB를 고려한다. eNB는 MIB를 전송하기 위해 자신의 동기 뉴머롤로지를 사용한다. 모든 다른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 채널들을 제어하기 위해 주 뉴머롤로지가 이용된다. UE는 이전에 알려진 동기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여 셀 탐색 절차를 개시하고 셀의 물리 셀 아이덴티티(Physical Cell Identity)(PCI)를 획득하며 MIB를 디코딩한다. MIB는 셀에서 지원되는 주 뉴머롤로지를 지정하는 numerologyConfig 필드를 포함한다. UE는 이제 주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여 나머지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하고 RRC 접속을 수행한다.
제2 사용 사례에서, 다수의 주 뉴머롤로지들을 갖는, 도 7c 내지 도 7f에서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5G eNB를 고려한다. eNB는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동기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동기 뉴머롤로지를 통해 전송되는 MIB는 지원되는 주 뉴머롤로지들에 대한 정보를 운반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지원되는 주 뉴머롤로지들의 구성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매핑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도록 미리 구성된 UE는 자신의 주 뉴머롤로지를 이 MIB로부터 획득한다. 아래의 표 10은 numerologyConfig-k의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예시적인 매핑을 제공한다.
[표 10]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0
응용분야에 따라, 5G 시스템/셀이 동기 신호 뉴머롤로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특히, 이 시스템은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이용가능한 뉴머롤로지들 중에서 가장 낮은 샘플링 레이트,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또는 가장 적은 레이턴시 제약조건들(가장 긴 DL 심벌 지속기간)을 요구한다. 도 23은 주 뉴머롤로지를 검출하기 위한 결정 트리의 예시적인 예시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셀들에서 DL 동기에 의해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에 관한 정보가 eNB/셀들에 의해 그들에 접속된 UE들에게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UE들은 셀 재선택이 요구될 때 인접 셀과의 동기화를 심리스하게(seamlessly)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셀 정보가 LTE에서의 SIB-4 및 SIB-5와 같은 SIB들에서 제공되는 경우, 인접 셀의 DL 동기 뉴머롤로지에 관한 정보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1
라고 불리는 필드를 통해 이러한 SIB들을 통해 제공될 것이다. 이 필드는 SIB들에 존재하는 IntraFreqNeighCellInfo 필드 또는 InterFreqNeighCellInfo 필드의 일부일 수 있다.
표 12 및 표 13은 인접 셀들에 대한 syncNumerologyConfig 정보를, 제각기, 운반하는 SIB-4 및 SIB-5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 11에서, 추가된 필드는 syncNumerology이다.
[표 11]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2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셀과의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5G 네트워크 상의 장치가 예견된다. 장치는 (i) 제1 셀에 접속된 장치를 제공하고; (ii)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을 디코딩하며; (iii) 인접 셀의 동기 뉴머롤로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결정하고; (iv) 인접 셀의 1차 및 2차 동기화 신호 검출을 수행하며; 그리고 (v) 인접 셀과 동기화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인접 셀이 셀 재선택에 대한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1 셀로부터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2는 DL 동기 신호들 정보 요소의 인접 셀의 뉴머롤로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제안된 솔루션을 갖는 예시적인 SystemInformationBlockType5(SIB-5) 정보 요소를 예시하고 있다.
[표 12]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3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4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5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6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7
필드 syncNumerology는 인접 셀의 DL 동기 신호들의 심벌의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심벌 지속기간을 완전히 기술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한다. 아래의 표 13은 인접 셀들의 syncNumerology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기술한다.
[표 13]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8
일 실시예에서, 도 24는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뉴머롤로지를 획득하고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결정 트리를 예시하고 있다. 단계들 전부가 아라비아 숫자들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UE는 접속 상태에 있고 셀 A에 캠프 온하고 있다(단계 0). 단계 1에서, UE는 이웃 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설명들에 기초하여, SIB4 및 SIB5를 디코딩하기 시작한다. UE는 단계 2에서 이웃 셀 B에 대한 syncNumerology가 발견되었는지를 질의한다. 아니오인 경우, UE는 단계 2b로 진행하고 대안의 수단을 발견할 것이다.
단계 2에 대한 대답이 예인 경우, UE는 단계 3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UE는 syncNumerology 파라미터들을 이용해 셀 B에 대한 PSS 및 SSS 검출을 수행하고 동기화를 달성한다. UE는 또한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UE는 단계 4에서 셀 B가 셀 재선택에 대한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한다. "아니오"인 경우, UE는 단계 3 이전의 심벌 타이밍 섹터-ID 합류점(junction)으로 되돌아간다. 예인 경우, UE는 셀 B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해 단계 5로 진행한다. 그 결과, UE는 셀 A로부터 셀 B로 이동(transfer)한다(단계 6).
이제부터 NR-PBCH를 살펴보면, 일 예에서, NR-PBCH는 NR-PSS, NR-SSS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한 전송 주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주기적인 전송 간격은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PBCH 전송 주기성은 6 GHz 미만일 때에는 T=10 ms로 그리고 6 GHz 초과일 때에는 T=5ms로 설정될 수 있다. DL 빔 스위핑 블록에서, NR-PBCH는 NR-PSS 및 NR-SSS와 공존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면, NR-PSS 및 NR-SSS와 번들링되지 않는 예시적인 NR-PBCH가 도시되어 있다. NR-PBCH는 DL 빔 스위핑 버스트 T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전송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주파수 대역들/범위들에 의존할 수 있다. NR-PBCH는, 제한 없이 그리고 예로서 제시되는, 하기의 시스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59
PRACH 자원들을 지시한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0
PRACH 피드백 방법을 지시한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1
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없이, 다음과 같은 UL 빔 스위핑 방법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2
빔 스위핑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3
최상의 선택된 Tx 빔들에 기초함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4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벌 지시/카운터(symbol to subframe indication/counter)를 운반한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5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벌 지시 또는 카운터일 때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6
TRP ID: 셀 ID 및 TRP ID는 UE가 빔 ID를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7
지원되는 뉴머롤로지들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8
페이징 채널/DL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에 대한 포트들의 수
Figure 112020092465394-pat00069
페이징 신호 브로드캐스트 버스트 주기 및 자원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0
다중 빔 연관 또는 단일 빔 연관 지시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1
DL 빔 스위핑 블록이 단일 또는 다중 빔과 연관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1 비트 지시
일 예에서, NR-PBCH는 NR-SSS 및/또는 NR-PBCH 복조를 위한 전용 빔 기준 신호를 통해 복조될 수 있다. 복조 기준 신호가 NR-PBCH 복조에 이용가능한 경우, 이는 또한 빔 트레이닝 기준(BTRS)으로서도 서빙될 수 있다. NR-PBCH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는 Z=2m개의 포트까지 SFBC 또는 다른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Z개의 포트는 1개, 2개, 4개 또는 8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다이버시티를 위해 지원되는 포트들의 수들이 UE에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 UE는 다수의 가설들을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다수의 복조 기준 신호들을 검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하는 포트들의 수가 특정되는 경우, UE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기 위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검출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된 포트들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뉴머롤로지들, 또는, 예를 들어, URLLC, MTC 또는 EMBB와 같은 상이한 응용분야들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NR-PBCH에 대한 복조 기준은 QCL(quasi-colocation)로서 디폴트로 설정(default)된다. 예를 들어, 빔 스위핑 블록이 다수의 CP-OFDM 심벌들을 가질 때, NR-PBCH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는 NR-PBCH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심벌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는 NR-PBCH에 대한 복조 신호 설계들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NR-SSS가 NR-PBCH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NR-SSS는 NR-PBCH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NR-PBCH가 최대 Z=2m개의 포트를 지원하는 경우, NR-SSS 또는 NR-SSS 신호의 일부가 Z=2m개의 포트에서 전송될 수 있다. 그 Z개의 포트는 QCL로서 디폴트로 설정되고, 포트 위치들이 UE에 알려져 있다. 도 26c에서, 이는 NR-SSS가 2개의 포트를 지원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제부터 NR-PBCH를 복조하기 위한 빔 트레이닝 RS(BTRS)를 살펴보면, 빔 ID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에서 가설 탐색 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이 본 명세서에서 인식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셀 및 빔이 식별될 수 있는 초기 액세스 식별 절차는, 제한 없이 그리고 예로서 제시되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 셀 ID를 결정한다 - 빔 ID에 대한 탐색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단계에서 셀 ID가 식별되어야 한다. 셀 ID가 일단 결정되면, UE가 블랙리스트화되어 있는 경우 UE가 그 셀에서 빔을 탐색하는 것을 그만둘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중요한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ID는 LTE에서와 유사하게 PSS 및 SSS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 그렇지만, PSS 및 SSS가 서브프레임/프레임 내의 상이한 시간들에 발생하는 빔들 상에 있기 때문에 이 단계가 프레임 타이밍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2: 빔 ID를 결정한다 - 빔 ID는 셀 ID에 대한 지식이 획득된 후에 획득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프레임 내의 고정된 위치에 빔 트레이닝 기준 신호(BTRS)를 프로비저닝하는 것이다. BTRS 시퀀스는 빔 ID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들(또는 빔의 기준 신호들의 자원들) 및 셀 ID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UE가 셀 ID를 일단 획득하면, UE는 빔들에 대한 가능한 가설들을 분석하고 빔 ID를 검출한다. RTBS는 NR-PBCH의 복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3개의 빔 - 이들 빔의 NR-PSS 및 NR-SSS가 빔 스위프의 형태로 상이한 심벌들에서 전송됨 - 이 있는 일 예가 도 27a 내지 도 27c에 도시되어 있다. BTRS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x 심벌에 할당된다. 제x 심벌의 설정은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또는 뉴머롤로지에 의존할 수 있다. 각각의 빔 상의 BTRS는 도 27a 내지 도 2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이한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이한 빔들에 대한 BTRS가 동일한 자원들을 공유할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으며, 빔들이 공간적으로 오버랩하지 않을 때 특히 그렇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UE가 최상의 NR-PSS/SSS를 일단 검출하면, UE는 셀 ID를 결정하고 빔 ID를 도출하는 데 이 셀 ID를 사용한다. 이 예에서, UE가 BTRS의 시간-위치에 대한 3 가지 가설을 가진다 - UE는 BTRS를 계속하여 디코딩/복조하고 SINR을 최대화하는 것을 검증한다.
게다가, 일부 경우들에서, BTRS 신호는 셀 ID에 연계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빔 상에서의 전송들이 셀 ID와 빔 ID 둘 다에 연계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NR-PBCH, DCI 및 PDSCH 등과 같은 PHY 채널들을 스크램블링하는 데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들은 셀 ID 및 빔 ID 둘 다를 함께 사용하여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TXSS 신호 강도 및/또는 BF 페어링에 기초하여 초기 네트워크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빔/셀을 선택한다. 각각의 빔 i = 1, ..., N은 빔 ID와 연관될 것이고, 각각의 빔 ID는 다수의 시퀀스들과 연관될 수 있다. 빔 ID와 연관된 시퀀스들의 수는 J로서 표시된다. 빔 ID와 그의 대응하는 빔 시퀀스들의 연관은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빔 ID 및 심벌,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검출하면서 동시에 빔 i = 1, ..., N을 구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빔 시퀀스들은 상이한 시프트들을 갖는 M-시퀀스 또는 다른 (반-) 직교 시퀀스들을 채택할 수 있다. 각각의 빔 i = 1, ..., N이 그 자신의 고유 시퀀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UE는 타이밍 검출 및 빔 ID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J Х N개의 상관기를 셋업할 수 있다. BT-RS의 전송이 알려진 주기성에 기초하기 때문에, 각각의 빔 i = 1, ..., N의 지연 프로파일이 각각의 빔 상관 출력의 누적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BT-RS 빔 ID 및 연관된 빔 시퀀스들의 일 예가 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N = 3개의 빔이 있고, 각각의 빔 ID는 1, 2 및 3으로서 설정된다. 각각의 빔 ID에 대해, 이는 J = 2개의 시퀀스와 연관된다. 따라서, UE가 초기 액세스 스테이지 동안 타이밍 및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할 때 N개의 빔들에 대해 검출될 J Х N개의 가설이 있다. 이 예에서, 각각의 빔 ID는 J = 2개의 시퀀스와 연관되고 각각의 연관된 시퀀스는 상이한 시간 또는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빔 ID와 연관된 그 빔 시퀀스들이 프레임 타이밍을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8에서, 각각의 빔 ID는 2개의 시퀀스와 연관되고, 각각의 빔 시퀀스는 5개의 서브프레임마다 반복된다. 이 접근법에서, 프레임 타이밍이 구별될 수 있다.
UE는 RX 빔포밍 이득이 모든 방향들에 대해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BT-RS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액세스할 셀/섹터 빔을 결정한다. 각각의 빔 ID는 고유 시퀀스들과 연관되기 때문에, UE는 연관된 빔 시퀀스들로부터 빔 ID를 디코딩할 수 있다. 실제로, 빔 시퀀스들은 BT-RS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UE는 초기 빔 탐색 절차를 수행하고 캠프 온할 최상의 빔을 찾는다. UE에서의 심벌, 서브프레임 타이밍 및 빔 ID 검출 및 디코딩 기능이 도 29에 예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NR-노드/TRP는 자신의 BT-RS 및 빔포밍된 PBCH를 전송한다. PBCH는 각각의 빔에 대한 대응하는 BT-FS와 동일한 방식으로 빔포밍되어야만 한다. BCH는 선행하는 BT-RS 상에서 운반되는 ID(빔 ID 또는 셀/TRP/RAN 슬라이스 ID)를 검증하는 목적에 알맞을 것이다. PBCH 내용은 셀 또는 TRP 또는 RAN 슬라이스 공통 PBCH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PBCH의 공통 부분은 빔 스위핑 빔 특정 BCH 내용 이후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이 내용은 빔 ID를 포함할 수 있다. 빔 ID는 로컬 영역에서 로컬적으로 고유한 빔 ID를 갖는 플랫 구조(flat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셀 ID 및 TRP ID 및/또는 RAN 슬라이스 ID를 운반하지 않음).
이 내용은 또한 계층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층적 구조는 셀 ID/TRP ID(적용가능한 경우)/RAN 슬라이스 ID(적용가능한 경우)/빔 ID를 포함한다. 이는 또한 도 3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초과의 커버리지 크기를 갖는 네스티드 빔들(nested beams)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조악한(coarser) 빔은 상대적으로 더 넓은 커버리지를 가지며, 고이득 좁은 빔들은 세밀한(refined) 안테나 가중치 벡터들을 갖는다. 이 경우에, 두 가지 크기의 커버리지 빔들이 있는 경우, 하나는 타입 1 빔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는 타입 2 빔으로 표시될 것이다. 타입 1 빔은 하나 초과의 타입 2 빔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빔이다. 빔 ID는 셀 ID(및/또는 TRP ID 및/또는 RAN 슬라이스) + 레벨 1 빔 ID + 레벨 2 빔 ID일 수 있다.
다수의 빔들이 동시에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 각각의 빔은 그 자신의 빔 ID를 갖는다. 타입 1 빔들은 "필수(essential)"(또는 "주요(primary)" 또는 "가장 중요한(most important)") 시스템 정보(예컨대, LTE MIB, SIB1 및 SIB2의 NR 등가물)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타입 2 빔들은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시스템 액세스에 필수적이 아닌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특정 시스템 정보를 온 디맨드(on demand)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초기 액세스를 위한 PBCH 설계에 대한 두 가지 옵션이 있으며, 첫 번째 옵션은 PBCH가 온 디맨드 전송되는 것이고 두 번째 옵션은 PBCH가 각각의 빔 전송과 페어링되는 것이다.
각각의 빔과 함께 PBCH 전송
다른 실시예에서, 초기 액세스에서, PBCH는 DL Tx 빔 스위핑에서 각각의 Tx 빔의 DL BT-RS 이후에 항상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UE가 일단 DL에서 유효한 BT-RS(및 대응하는 빔)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빔 ID를 디코딩하면, UE는 대응하는 빔포밍된 PBCH를 디코딩하기 시작할 수 있다. UE는 PBCH를 디코딩하기 전에 NR-노드에 대해 어떠한 빔포밍 피드백 또는 그의 Tx 빔 스위핑/트레이닝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이 방법에 대한 UE 절차가 도 31에 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도 32는 프레임 구조에서의 BT-RS 및 PBCH의 배치를 설명한다.
이 옵션에서, UE는 NR-노드로부터 빔 취득 ACK를 수신할 때까지 PBCH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빔 ID 피드백 자원은 NR 시스템에 의해 예약되어 있고 UE에 알려져 있다. 그에 부가하여, 다수의 UE들이 동일한 빔을 경험(또는 동일한 ID를 검출)한다면 그들이 경쟁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UE들이 상이한 기하학적 위치들에 있고 일반적으로 동일한 빔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경쟁 확률은 낮다. 그에 부가하여, NR-노드는 비동기화로 인해 업링크 전파를 흡수할 수 있다. 피드백 메커니즘은 하기의 식에서 제안된 CAZAC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2
여기서 Q는 시퀀스 길이이고, CAZAC 시퀀스의 루트 u는 빔 ID의 함수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3
는 순환 시프트이다.
NR-SS 주기성
본 출원의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DL 동기 신호들의 주기성이 셀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5G 응용분야들에 의존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예를 들어, 5G 응용분야는 상이한 동기 채널 주기성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사용 사례에서, 3개의 상이한 5G 서비스를 지원하는 셀을 고려한다. 각각의 서비스는 상이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예를 들어, Δf, 2Δf 및 4Δf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DL 동기 브로드캐스트 주기성이 상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Δf를 갖는 응용분야는 q ms DL 동기 채널 주기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2Δf를 갖는 응용분야는 q/2 ms 주기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4Δf를 갖는 응용분야는 q/4 ms 주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에서의 DL 동기화 절차들은 다양한 DL 동기 브로드캐스트 주기성들을 이용하여 블라인드 방식으로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PSS 검출 스테이지에서, UE는 수신된 신호를 Q개의 가능한 PSS 시퀀스와 교차 상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Q는 지원될 수 있는 PSS 시퀀스들의 최대 수이다. UE는 또한 다양한 PSS 브로드캐스트 주기성들에 따라 교차 상관 결과를 다양한 누적 버퍼들(accumulation buffers)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UE는 또한 누적 버퍼들로부터 가장 강한 피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UE는 대응하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4
를 그의 대응하는 루트 시퀀스 u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상관 피크의 시간 상대 위치는 SSS 검출을 시작할 파형 심벌에 대한 시간 오프셋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SSS 검출 스테이지에서, UE는 수신된 신호를 P개의 가능한 SSS 시퀀스와 교차 상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UE는 또한 다양한 SSS 브로드캐스트 주기성들에 따라 교차 상관 결과를 다양한 누적 버퍼들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UE는 가장 강한 피크를 선택하고 그로부터 대응하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5
을 획득한다. UE가 신뢰성있는 상관 결과들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 UE는 다음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6
를 검출하기 위해 상관 단계로 되돌아갈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UE는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7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8
를 통해 셀 ID
Figure 112020092465394-pat00079
를 계산할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예컨대,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이 명령어들이, 컴퓨터, 서버, M2M 단말 디바이스, M2M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트랜싯 디바이스(transit device)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을 수행 및/또는 구현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설명된 단계들, 동작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것이 그러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정보의 저장을 위해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하지만,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신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물리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또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또는 실행가능 저장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매체는 도 7a/도 7b, 도 14, 도 23 및 도 24, 도 29 및 도 31에 따른 복수의 호 흐름들에서 앞서 개시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도 3c 및 도 3f에서 앞서 개시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지국 및 최종 사용자 장비와 같은 노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UE는 (i) 5G 네트워크에서 셀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고; (ii) 셀의 1차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며; (iii) 셀의 2차 동기화 신호를 식별하고; (iv) 셀과 동기화하며; 그리고 동기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여 셀의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디코딩하는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인자는 검출된 1차 동기화 신호 또는 검출된 2차 동기화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된다.
UE는 또한 5G 네트워크에서 초기 액세스 신호의 구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i)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를 운반하는 빔 스위핑 블록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스위핑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모니터링하는 것; (ii) 동기화 채널을 운반하는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를 검출하는 것; 및 (iii)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와 연관된 빔 스위핑 블록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서, 제1 셀 상의 UE가 다른 셀로 이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여기서, UE는 (i)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을 디코딩하는 단계; (ii) 인접 셀의 동기 뉴머롤로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iii) 인접 셀의 1차 및 2차 동기화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및 (iv) 인접 셀과 동기화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예를 들어, 도 3b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지국은 (i)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을 노드에게 전송하고; 그리고 (ii) 네트워크 로드, 노드 위치, 노드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성,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된 기준들에 기초하여 주 뉴머롤로지를 노드에 배정하는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특정 양태들인 것으로 현재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출원이 개시된 양태들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개시내용은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들 및 유사한 배열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그의 범위는 그러한 수정들 및 유사한 구조들 전부를 포괄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을 부여받아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이하의 청구항들의 임의의 모든 양태들을 포함한다.

Claims (13)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및
    제1 동기화 신호, 제2 동기화 신호, 빔 기준 신호 및 PBCH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을 운반하는 빔 스위핑 블록(beam sweeping block)을 수신하고;
    상기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과 연관된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상기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의 상기 아이덴티티의 일부는 상기 빔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빔 스위핑 블록과 다운링크 스위핑 서브프레임 사이의 타이밍 오프셋을 계산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밍 오프셋을 보상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명령어는 셀 ID 및 빔 ID 중 하나 이상을 위치확인(locat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은 빔 스위핑 버스트(beam sweeping burst)의 일부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은 하나 이상의 OFDM 심벌을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 기준 신호는 상기 빔 스위핑 블록 내 동일 OFDM 심벌에서 상기 PBCH와 공존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은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또는 상기 제2 동기화 신호는 심벌 타이밍을 검출하거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을 검출하거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도출하거나,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벌 인덱스(symbol to subframe index)를 도출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성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랩톱으로부터 선택되는, 장치.
  1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및
    제1 동기화 신호, 제2 동기화 신호, 빔 기준 신호 및 PBCH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을 운반하는 빔 스위핑 블록을 준비하고;
    사용자 장비에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을 전송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상기 비일시적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과 연관된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의 상기 아이덴티티의 일부는 상기 빔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은 하나 이상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상기 빔 기준 신호는 상기 빔 스위핑 블록 내 동일 OFDM 심벌에서 상기 PBCH와 공존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동기화 신호, 제2 동기화 신호, 빔 기준 신호 및 PBCH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을 운반하는 빔 스위핑 블록을 준비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에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초기 액세스 신호들과 연관된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 스위핑 블록의 상기 아이덴티티의 일부는 상기 빔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방법.
KR1020207025268A 2016-04-20 2017-04-20 다운링크 동기화 KR102207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5323P 2016-04-20 2016-04-20
US62/325,323 2016-04-20
US201662373662P 2016-08-11 2016-08-11
US62/373,662 2016-08-11
US201662401055P 2016-09-28 2016-09-28
US62/401,055 2016-09-28
US201662417162P 2016-11-03 2016-11-03
US62/417,162 2016-11-03
PCT/US2017/028566 WO2017184837A1 (en) 2016-04-20 2017-04-20 Downlink synchroniz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173A Division KR102153077B1 (ko) 2016-04-20 2017-04-20 다운링크 동기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20A KR20200106220A (ko) 2020-09-11
KR102207045B1 true KR102207045B1 (ko) 2021-01-25

Family

ID=58668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173A KR102153077B1 (ko) 2016-04-20 2017-04-20 다운링크 동기화
KR1020207025268A KR102207045B1 (ko) 2016-04-20 2017-04-20 다운링크 동기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173A KR102153077B1 (ko) 2016-04-20 2017-04-20 다운링크 동기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71295B2 (ko)
EP (1) EP3446415B1 (ko)
JP (3) JP2019517182A (ko)
KR (2) KR102153077B1 (ko)
CN (1) CN111052625A (ko)
WO (1) WO2017184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7367A1 (en) * 2015-10-28 2017-05-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eam-Scan Time Indicator
US10536946B2 (en) * 2015-12-08 2020-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network slic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US11096195B2 (en) * 2016-02-11 2021-08-17 Apple Inc. Scheduling request for standalone deployment of a system using beamforming
WO2017184865A1 (en) * 2016-04-20 2017-10-26 Convida Wireless, Llc Configurable reference signals
US10638474B2 (en) * 2016-04-21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 numerology for signal transmission
US10098059B2 (en) 2016-04-29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ing physical cell identif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690051B2 (en) * 2016-04-29 2023-06-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rame structure f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22528B2 (en) * 2016-04-29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Narrow band synchronization signal
US10855407B2 (en) * 2016-05-09 2020-12-01 Apple Inc. Extended physical broadcast channel design for 5G standalone system
CN109417448B (zh) * 2016-05-11 2021-08-20 Idac控股公司 支持在同一信道内使用混合参数配置的物理(phy)层方案
US20170339688A1 (en) * 2016-05-17 2017-11-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network slicing and related apparatuses using the same
CN109314688B (zh) 2016-05-22 2021-08-27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新无线电接入技术的帧结构的方法和装置
US10887035B2 (en) * 2016-06-01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1563505B2 (en) 2016-06-01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WO2017218785A1 (en) 2016-06-15 2017-12-21 Convida Wireless, Llc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for new radio
WO2017222309A1 (en) * 2016-06-21 2017-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g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417803B (zh) 2016-06-30 2023-09-26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信号配置的方法和装置
US10644818B2 (en) * 2016-07-12 2020-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ini-subframe based alignment f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9149591A (ja) * 2016-07-14 2019-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7623932B (zh) * 2016-07-15 2019-08-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系统信息区域或网络区域的接入方法及装置
CN107634924B (zh) * 2016-07-18 2020-08-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传输系统
JP2018537900A (ja) * 2016-08-02 2018-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ヌメロロジ多重化のための方法
CN112202541B (zh) 2016-08-04 2022-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CN107689839B (zh) * 2016-08-04 2020-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US10687289B2 (en) * 2016-08-08 2020-06-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ary synchronization in internet of things
JP7085478B2 (ja) * 2016-08-10 2022-06-1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端末の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9565733B (zh) 2016-08-10 2022-06-03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系统
CN109922529B (zh) * 2016-08-11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系统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10819399B2 (en) * 2016-08-12 2020-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alog beam-relate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entity using method
CN107733830B (zh) * 2016-08-12 2021-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载波信号产生的方法、装置及系统
US10805893B2 (en) * 2016-08-19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iversal synchronization signals for new radio
WO2018062771A1 (en) 2016-09-29 2018-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058630A1 (zh) * 2016-09-30 2018-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自包含子帧的配置方法和装置
CN107888356B (zh) * 2016-09-30 2021-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设置符号的方法和装置
US11595165B2 (en) * 2016-09-30 2023-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e for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US10506534B2 (en) * 2016-10-14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and data channel numer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99371B2 (en) * 2016-11-03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flexible data transmissions and receptions in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CN109891772B (zh) 2016-11-03 2022-10-04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Nr中的帧结构
EP3536030B1 (en) 2016-11-03 2021-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radio nodes for performing measurement with multiple numerologies
CN108024359B (zh) * 2016-11-04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接入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9923909B (zh) * 2016-11-04 2021-12-1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无线设备和网络节点及其方法
US10085281B2 (en) 2016-11-29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ccess for a mixed numerology carrier
CN108282818B (zh) 2017-01-06 202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ran通知范围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0117242B2 (en) * 2017-01-20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contention based multiple access (M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7033603B2 (ja) 2017-02-02 2022-03-10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スイープされる下りリンクビームでページングブロックを伝送するための装置
US10404360B2 (en) 2017-02-14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US10420102B2 (en) * 2017-02-15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SG11201900436UA (en) * 2017-03-04 2019-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4255088A3 (en) 2017-03-23 2023-12-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 training and initial access
RU2721157C1 (ru) 2017-03-24 2020-05-18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Широкополосное обнаружение сигнала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системе nr
CN110447210A (zh) 2017-03-24 2019-11-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窄带接收机中接收周期性宽带同步信号
CN108923896B (zh) * 2017-04-19 2021-03-2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寻呼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11146356B2 (en) * 2017-05-12 2021-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CRC length for beam sweeping
CN110999123A (zh) * 2017-06-26 2020-04-1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波束多样性的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功率控制
US10630357B2 (en) * 2017-06-30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transmit beamforming
US11283578B2 (en) * 2017-07-11 2022-03-2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cell signal interferen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WO2019022536A1 (ko) * 2017-07-27 2019-01-31 손영문 복수의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이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39394B2 (en) 2017-07-28 2021-03-02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synchronization signals (SS)
KR102486081B1 (ko) 2017-07-31 202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송수신 방법
US10999037B2 (en) * 2017-08-09 2021-05-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EP3669587A1 (en) * 2017-08-16 2020-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ergy efficient camping with optimal beam finding before access
US10965360B2 (en) * 2017-08-23 2021-03-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beam refinement
WO2019050165A1 (ko) 2017-09-06 2019-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의 송수신 방법
US10985964B2 (en) * 2017-09-11 2021-04-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lecting subcarrier spacing for signal detection
CN111527781B (zh) * 2017-11-16 2023-02-17 夏普株式会社 用于无线电系统的接入控制方法和装置
WO2019095188A1 (en) 2017-11-16 2019-05-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arrier management
EP3605935B1 (en) 2017-11-17 2022-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401471B (zh) * 2017-11-17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032032B2 (en) * 2017-11-28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Sub-band configuration for preemption indication to eMBB UEs
US10707915B2 (en) * 2017-12-04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frequency hopping mechanisms to overcome bandwidth restrictions in the unlicensed frequency spectrum
US10638482B2 (en) * 2017-12-15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 beam pair determination
CN110022567B (zh) * 2018-01-08 2021-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用户终端
CN110022583B (zh) * 2018-01-09 2021-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31525B1 (ko) * 2018-01-12 2021-03-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스케줄링 요청 자원 구성
CN110099021B (zh) * 2018-01-30 2021-10-26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配置方法及装置
WO2019158368A1 (en) * 2018-02-15 2019-08-2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 to transmit a paging message
KR102489580B1 (ko) 2018-04-06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9201484A1 (en) * 2018-04-19 2019-10-24 Kapsch Carriercom France S.A.S. 5g nr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CN111343728B (zh) * 2018-05-04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US10944604B2 (en) * 2018-05-25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ub-channel bandwidth adjustment in a millimeter wave (MMW) communication system
US11224088B2 (en) * 2018-07-02 2022-01-1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eeping during an on-period of a DRX cycle
CN110781640B (zh) * 2018-07-12 2023-07-28 默升科技集团有限公司 消除反射的封装迹线设计
CN112438025A (zh) * 2018-07-13 2021-03-02 索尼公司 时间重叠的波束扫描传输
WO2020068251A1 (en) 2018-09-27 2020-04-02 Convida Wireless, Llc Sub-band operations in unlicensed spectrums of new radio
US10834773B2 (en) * 2018-09-28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n-demand backhaul link management measurements for integrated access backhaul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WO2020069641A1 (en) * 2018-10-02 2020-04-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ing power saving reference signals
EP3648365A1 (en) * 2018-11-02 2020-05-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obile terminal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downlink control channel operations
CN111417079B (zh) * 2019-01-08 2022-02-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同步广播信息发送、检测方法及装置
DE102020100056A1 (de) 2019-03-06 2020-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ahtlose Kommunikationsvorrichtung zur Korrektur eines Offsets zwischen einer Basisstation und der drahtlosen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GB2583454B (en) * 2019-04-02 2021-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osition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1140616B2 (en) 2019-04-03 2021-10-05 Apple Inc. On demand system information block acquisition
US10834608B1 (en) 2019-07-16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model-driven automated cell allocation in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advanced networks
US11234245B1 (en) * 2019-08-21 2022-01-25 T-Mobile Innovations Llc Beamforming in massive MIMO networks
US11637621B2 (en) * 2019-09-13 2023-04-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peater system for use with 5G new radio base station that uses time-division duplexing
US11470678B2 (en) * 2019-09-30 2022-10-11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of multiple physical cell identity ranges
US11509060B2 (en) * 2019-10-21 2022-11-22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Filter-antenna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12822730B (zh) * 2019-11-15 2024-0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波束跟踪方法及装置、基站、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85635B (zh) * 2020-04-17 2021-09-10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一种基于空频混合多址方式的卫星互联网系统设计方法
CN111817816B (zh) * 2020-07-06 2024-01-30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nr信号屏蔽方法及系统
US11737099B2 (en) * 2021-01-29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PUCCH and PCI configuration for small cell base station
US20220256636A1 (en) * 2021-02-11 2022-08-11 Qualcomm Incorporated Link recovery between sidelink user equipments based at least in part on keep-alive messages
US11832294B2 (en) 2021-12-02 2023-11-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assignment of root sequence indexes while minimizing network changes
US20230209514A1 (en) * 2021-12-23 2023-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petitions of uplink transmissions for multi-trp oper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646A1 (en)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KR101563469B1 (ko) 2015-06-17 2015-10-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위치드 빔포밍을 통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지국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0757B (zh) 2005-11-04 2017-08-11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及用于其的发送功率控制方法
TW201238276A (en) * 2005-12-21 2012-09-16 Interdigital Tech Corp Synchronization channel for OFDMA based evolved UTRA downlink
WO2007125910A1 (ja) 2006-04-25 2007-11-08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424258B1 (ko) 2006-08-2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GB2447878A (en) 2006-10-04 2008-10-01 Nec Corp Signalling system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EP2530981B1 (en) 2006-10-30 2018-04-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Grouping of tracking area
SI2095524T1 (sl) 2006-11-01 2019-02-28 Qualcomm Incorporated Zasnova referenčnega signala za iskanje celice v ortogonalnem brezžičnem komunikacijskem sistemu
US9137075B2 (en) * 2007-02-23 2015-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carrier spacing identification
KR101377954B1 (ko) 2007-06-13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AU2008318778B2 (en) 2007-10-29 2014-10-02 Regulus Therapeutics Inc. Targeting microRNAs for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KR20090124522A (ko) 2008-05-30 200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밴드 단말기 및 그의 주파수 설정 방법
KR100973589B1 (ko) 2008-06-02 2010-08-11 한국과학기술원 차세대셀룰러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비가시채널단말간통신방법 및 중계채널 형성방법
WO2010001474A1 (ja) 2008-07-03 2010-01-07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化方法
US9094910B2 (en) 2008-09-09 2015-07-28 Htc Corporation Methods utilized in mobile device for handling situations when time alignment timer expires, and mobile device thereof
EP2347539A1 (en) 2008-09-26 2011-07-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rol channel capacity in geran
WO2010057521A1 (en) 2008-11-18 2010-05-27 Nokia Corporation Relay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47532B2 (en) 2009-01-02 2016-01-26 Lg Electronics Inc. Effective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during the combination of multiple carriers for wideband support
WO2010082805A2 (ko) * 2009-01-19 201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집성 시스템에서 반송파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405666B (zh) 2009-02-26 2015-02-25 Lg电子株式会社 在宽带无线接入系统的切换期间更新系统信息的方法
US9338811B2 (en) 2009-03-06 2016-05-1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ive access to wireless network resources using detailed information
CN102577294B (zh) 2009-10-16 2014-12-10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支持中继的无线通信系统中发送多用户mimo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9164494B2 (en) 2010-01-11 2015-10-20 Innovation Timing Systems, LLC Sports timing system (STS)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4033824A1 (en) 2010-03-12 2022-07-27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n a random access channel
US8750143B2 (en) 2010-04-02 2014-06-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xtended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reporting via th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KR101814396B1 (ko) 2010-04-28 2018-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쟁 기반의 식별자를 이용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JP4928621B2 (ja) 2010-05-27 2012-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5792719B2 (ja) 2010-06-04 2015-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492924B1 (ko) 2010-11-08 2015-02-12 블랙베리 리미티드 무선 자원들
JP6048892B2 (ja) * 2011-02-22 2016-12-21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中継局、基地局、及び通信方法
EP2695445B1 (en) 2011-04-01 2017-05-10 Intel Corporation System acquisition mechanism for fixed devices in mobile broadband networks
EP2708057A4 (en) 2011-05-09 2015-05-06 Intel Corp TECHNIQUES FOR MANAGING MACHINE-MACHINE DEVICES
US9826515B2 (en) 2011-06-14 2017-11-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using PHICH resources for carrier aggregation
US9877139B2 (en) 2011-10-03 2018-01-23 Intel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mechanisms
US10264478B2 (en) 2011-12-16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reliability in millimeter wave wideband communications
US9209945B2 (en) 2012-02-27 2015-12-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im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US9198181B2 (en) 2012-03-19 2015-11-24 Blackberry Limited Enhanced common downlink control channels
CN103582127B (zh) 2012-07-18 2017-04-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d2d资源获取方法、设备及系统
CN104521155B (zh) 2012-07-31 2018-11-30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波束成形的通信方法和设备
US9686772B2 (en) 2012-08-01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ommunications
US9572139B2 (en) 2012-08-03 2017-02-14 Nokia Technologies Oy Contention based transmission and collision avoidance
KR102059379B1 (ko) * 2012-09-24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059591A1 (en) * 2012-10-16 2014-04-24 Broadcom Corporation Initial access for standalone carrier type
GB2507528A (en) 2012-11-02 2014-05-07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20140192767A1 (en) 2012-12-14 2014-07-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ll Traffic Transmissions
DE102012024435A1 (de) 2012-12-14 2014-07-10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Verfahren zur Identifizierung einer Zelle mit gegenüber ihrem Wildtyp erhöhten intrazellulären Konzentration eines bestimmten Metaboliten, wobei die Veränderung der Zelle durch Rekombi-neering erreicht wird,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genüber ihrem Wildtyp genetisch veränderten Produktionszelle mit optimierter Produktion eines bestimmten Metaboliten,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s Metaboliten, sowie dafür geeignete Nukleinsäuren
US9043499B2 (en) 2013-02-05 2015-05-26 Cleversafe, Inc. Modifying a dispersed storage network memory data access response plan
US10028302B2 (en) 2013-03-08 2018-07-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grant-free transmission scheme
US9338700B2 (en) 2013-03-20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Inter-RAT transitioning utilizing system information messaging
US9794038B2 (en) 2013-03-22 2017-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US9357476B2 (en) 2013-03-28 2016-05-31 Tejas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optimization
US9288772B2 (en) 2013-04-22 2016-03-15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lf-organizing networks using cooperative sensing
EP2989730B1 (en) * 2013-04-25 2021-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high frequency carri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336728B2 (ja) * 2013-08-20 2018-06-06 株式会社Nttドコモ 同期信号送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
MY177294A (en) 2013-09-24 2020-09-11 Sony Corp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0389490B2 (en) 2013-10-10 2019-08-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dia access control transport blocks
CN104640211B (zh) 2013-11-08 2019-06-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EP3081037A4 (en) 2013-12-12 2017-08-09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cell association and beamforming training with a mmwave capable small cell
WO2015100533A1 (zh) 2013-12-30 2015-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方法、小区切换方法、相关装置及系统
JP6511690B2 (ja) 2014-01-28 2019-05-15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ビーム選択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5115872A1 (ko) 2014-01-31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9860810B2 (en) 2014-02-11 2018-0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change based on uplink configuration
US10075867B2 (en) 2014-03-15 2018-09-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MBMS MDT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54283A1 (zh) 2014-04-10 2015-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报告信道状态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9923834B2 (en) 2014-05-09 2018-03-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nd sending device-to-device buffer status report and scheduling request
CN105471487B (zh) 2014-07-01 2020-07-24 索尼公司 通信设备、基站和通信方法
US10033505B2 (en) 2014-07-31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channels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JP6529087B2 (ja) 2014-08-07 2019-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集積回路
EP3185459B1 (en) * 2014-08-21 2020-0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training symbol for estimating analog beam in wireless access system which supports hybrid beamforming
US20170290008A1 (en) * 2014-09-08 2017-10-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with Differ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Durations
US9775077B2 (en) 2014-09-09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Derivation of eMBMs neighbor SAI information with correlation bit-map
US9893777B2 (en) 2014-11-17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EP3235289B1 (en) 2015-01-12 2021-07-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First and second network nodes and methods thereof
US9769733B2 (en) 2015-02-10 2017-09-19 Qualcomm Incorporated Incremental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US10200920B2 (en) 2015-02-10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system information
US20160270102A1 (en) 2015-03-14 2016-09-15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scheduling to control interference for data transactions using grant-less transmissions
CN113993139B (zh) 2015-03-24 2024-05-24 索尼公司 用于通信系统的装置
KR102287875B1 (ko) 2015-04-17 2021-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942731B2 (en) 2015-05-27 2018-04-10 Otto Engineering, Inc. Radio alert system and method
WO2016205991A1 (zh) 2015-06-23 2016-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免授权传输的方法、用户设备、接入网设备和核心网设备
WO2017000143A1 (zh) 2015-06-30 2017-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上行数据的方法和装置
EP3320639B1 (en) 2015-07-08 2021-01-20 Apple Inc.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using 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O2017011942A1 (zh) 2015-07-17 2017-01-26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信息获取的方法和装置
US9743423B2 (en) 2015-07-27 2017-08-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Link adaptation in grant-free multiple access systems
DE112015006733T5 (de) 2015-08-27 2018-04-19 Intel IP Corporation Angabe der TDD-Uplink- und Downlinkkonfigurationen
CN106535351B (zh) 2015-09-09 2021-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WO2017058067A1 (en) 2015-09-29 2017-04-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curing network slice management
JP6970098B2 (ja) 2015-10-12 2021-11-24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発見信号送信
US11212147B2 (en) 2015-10-23 2021-1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carriers using overlapping sets of candidate numerologies
WO2017088898A1 (en) 2015-11-23 2017-06-0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ser device beamforming training in wireless networks
US10536946B2 (en) 2015-12-08 2020-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network slic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US10772101B2 (en) 2015-12-08 2020-09-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ir interface configuration
US10536940B2 (en) * 2016-01-12 2020-01-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iscovery signal block mapping
EP3284297B1 (en) 2016-02-18 2019-1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d coexistence of delay-tolerant and delay-sensitive sessions
EP3420659A4 (en) 2016-02-25 2019-09-25 Intel IP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UNPLANTED UPLINK TRANSMISSIONS
US11039467B2 (en) 2016-04-01 2021-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ranting resources to a wireless device
US10959261B2 (en) 2016-04-01 2021-03-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ilot assisted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identification
WO2017176013A1 (ko) 2016-04-0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접속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
US20170289791A1 (en) 2016-04-05 2017-10-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twork slice
CN109156023B (zh) 2016-05-06 2022-07-1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及无线通信方法
US10367677B2 (en)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652809B2 (en) 2016-05-15 2020-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network slicing selection and authorization f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US10306671B2 (en) 2016-06-15 2019-05-28 Convida Wireless, Llc Grant-less operations
EP3498014B1 (en) 2016-08-12 2021-10-20 Nokia Technologies Oy Long term evolution (lte) light connection enhancements for long term evolution (lte)-new radio access technology (nr) interworking
SG11201900188UA (en) 2017-04-13 2019-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WO2018231006A1 (en) 2017-06-16 2018-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reporting frequency measurement result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246183B2 (en) 2017-08-03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646A1 (en)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KR101563469B1 (ko) 2015-06-17 2015-10-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위치드 빔포밍을 통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지국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954A (ko) 2018-12-05
US10271295B2 (en) 2019-04-23
JP2024045231A (ja) 2024-04-02
JP7422059B2 (ja) 2024-01-25
US20170311276A1 (en) 2017-10-26
CN111052625A (zh) 2020-04-21
US20190200315A1 (en) 2019-06-27
KR102153077B1 (ko) 2020-09-07
JP2019517182A (ja) 2019-06-20
EP3446415B1 (en) 2021-10-13
JP2021048614A (ja) 2021-03-25
KR20200106220A (ko) 2020-09-11
US10791531B2 (en) 2020-09-29
WO2017184837A1 (en) 2017-10-26
EP3446415A1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045B1 (ko) 다운링크 동기화
US20210044339A1 (en) Beamforming sweeping and training in a flexible frame structure for new radio
US10484959B2 (en) Positioning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551974B1 (ko) 동기화 신호 설계
EP3370380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ownlink synchronization
CN110679186A (zh) 波束成形的寻呼传输
JP2019537289A (ja) ビームフォーミング型nr(new radio)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
CN109952721B (zh) 用于新无线电初始同步和寻呼的方法和装置
CN114342493B (zh) 用于发送定位参考信号的窗口
WO2021092089A1 (en) Sidelink broadcast channel transmission
US1200409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ew radio initial synchronization and paging
CN113748708A (zh) 多面板控制信道命令、初始接入和切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