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222B1 -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222B1
KR102206222B1 KR1020190134659A KR20190134659A KR102206222B1 KR 102206222 B1 KR102206222 B1 KR 102206222B1 KR 1020190134659 A KR1020190134659 A KR 1020190134659A KR 20190134659 A KR20190134659 A KR 20190134659A KR 102206222 B1 KR102206222 B1 KR 10220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hose
unit
disposed
rollers
sof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완
박종호
이용재
이재호
김원준
박선민
김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9013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의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복수의 고무호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고무호스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통과하면서 굽혀지도록 하여 상기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유연화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APPARATUS FOR SOFTENING RUBBER HOSE}
본 발명은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작이 완료된 고무호스에 잘 굽혀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가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고무호스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카 쿨러 호스, 냉각수 호스, 연료호스, 브레이크 호스, 파워 스티어링 호스 등이 있다.
이러한 고무호스를 통과하여 흐르는 액체 또는 기체의 고압에 의해 호스가 변형될 수 있는 내부힘에 대한 내성도 충분해야 한다. 고무호스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므로 고온 및 고압 또는 저압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호스의 제조자들은 탄성 또는 열가소성 재료의 내부 관형 층과 외부 관형 층 사이에 강화층을 포함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호스가 제작이 완료되면 자체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지 못한다. 이에 따라 고무호스와 다른 부품들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고무호스의 자체 강성에 의해 잘 굽혀지지 않아 작업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 10-1912108 호(공고일: 2018.10.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완료된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제공하여 다른 부품들과 연결 시 잘 굽혀질 수 있도록 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환 장치는 복수의 고무호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고무호스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통과하면서 굽혀지도록 하여 상기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유연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화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과 연결되게 배치되는 작업플레이트; 상기 작업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고무호스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롤러가 열을 이루면서 배치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1 유연화부; 및 상기 제1 유연화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며, 상기 고무호스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롤러가 열을 이루면서 배치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 유연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호스는 상기 제1 유연화부와 상기 제2 유연화부 사이로 통과되면서 유연성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제작이 완료된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부품들과 연결 시 잘 굽혀지도록 하여 작업자에가 작업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제2 센서를 통하여 복수의 제1 지지핀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가 거치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공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공급유닛에 복수의 대기부가 구비된 것에 의해 고무호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공정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컨베이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전방측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화유닛 및 진입 가이드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화유닛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의 유연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H) 유연화 장치는 제작이 완료된 고무호스(H)에 유연성을 부가하는 장치인 것으로써, 이러한 고무호스(H) 유연화 장치는 공급유닛(100), 이송유닛(200), 및 유연화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컨베이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전방측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은 공급부 및 대기부에 고무호스가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복수의 제1 지지핀에 거치된 고무호스가 이송유닛으로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복수의 제2 지지핀에 거치된 고무호스가 복수의 제1 지지핀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도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100)은 복수의 고무호스(H)를 이송유닛(200)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유닛(100)은 컨베이어부(110), 공급플레이트(120), 공급부(130), 및 제1 센서(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110)는 후술하는 공급플레이트(120)의 후방측에 배치되되 상단부가 공급플레이트(120)의 상단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부(110)는 일측단부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컨베이어부(110)의 상단부를 이루게 된다.
컨베이어부(110)는 컨베이어의 이송에 의해 복수의 고무호스(H)를 공급플레이트(120)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플레이트(120)는 일측단부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급플레이트(120)의 상단부를 이루며, 공급플레이트(120)의 상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110)의 상단부와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급플레이트(120)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공급되는 고무호스(H)를 후술하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 상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공급플레이트(120)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이동홀(121) 및 복수의 제2 이동홀(122)이 일 열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부(130)는 공급플레이트(120) 상에 고무호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공급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이동홀(121) 상에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핀(131)은 후술하는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서 대기하고 있는 하나의 고무호스(H)를 전달받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지지핀(131)에 지지된 고무호스(H)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이 각각의 제1 이동홀(121)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제1 지지핀(131)에 거치된 고무호스(H)를 후술하는 이송유닛(200)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복수의 제1 지지핀(131)은 복수의 제1 이동홀(121)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제1 이동홀(1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고무호스(H)를 지지하거나 이송유닛(200)으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100)은 대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기부(140)는 공급부(130)의 상측에 배치되되 복수의 제1 지지핀(131)과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고, 공급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이동홀(12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핀(141)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핀(131)은 공급플레이트(120)로 공급된 고무호스(H)를 복수의 제1 지지핀(131)으로 공급하기 위해 대기시킨다. 이러한 대기부(140)는 공급플레이트(120) 상에 복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무호스(H)를 각각 대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150)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 중 어느 하나의 제1 지지핀(131)의 상측에 배치되어 고무호스(H)가 복수의 제1 지지핀(131)에 거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51)는 포토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제1 센서부(150)는 제1 센서(151)가 설치되는 제1 센서 설치플레이트(15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센서 설치플레이트(152)는 제1 지지핀(131)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1)는 고무호스(H)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제1 지지핀(131) 상에 고무호스(H)가 지지되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고무호스(H)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유연화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센서(151)는 공급유닛(100)의 일측에 마련된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1 센서(151)의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복수의 제1 지지핀(131)에 고무호스(H)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장치의 구동을 중단하게 된다.
물론, 제1 센서부(150)는 후술하는 대기부(140)에 마련된 복수의 제2 지지핀(141)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고무호스(H)가 지지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100)은 공급부(130) 및 대기부(140) 상에 각각 마련되어,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H)가 지지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161)는 공급부(130) 및 대기부(140)가 위치한 공급플레이트(120) 상에 매설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61)는 제1 센서(151)와 동일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2 센서(161)가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H)가 지지된 상태를 감지하게 됨으로써, 복수의 제1 지지핀(131)으로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H)가 공급되거나 이송유닛(200)으로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H)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정 불량률을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센서(161)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2 센서(161)의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H)가 지지된 상태로 판단하여 장치의 구동을 중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200)은 공급유닛(100)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고무호스(H)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후술하는 유연화유닛(3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유닛(200)은 복수의 지지롤러(210), 복수의 이송 가이드롤러(220), 및 복수의 이송롤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롤러(210)는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고무호스(H)를 공급받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롤러(210)는 구동되지 않고 고무호스(H)가 이송유닛(20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만 한다.
복수의 이송 가이드롤러(220)는 복수의 지지롤러(210)의 일측에 배치되되 복수의 지지롤러(210)에 지지된 고무호스(H)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이송 가이드롤러(220)는 고무호스(H)의 일측에 접촉되어 고무호스(H)의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송유닛(200)에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롤러(220)와 연결되어 이송 가이드롤러(220)를 고무호스(H)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수단은 엘엠 가이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복수의 이송롤러(230)는 복수의 지지롤러(210)에 지지된 고무호스(H)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이송롤러(23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고무호스(H)를 유연화유닛(30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고무호스(H)의 타측은 이송 가이드롤러(220)에 의해 접촉된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화유닛 및 진입 가이드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유연화유닛의 커버를 제거한 내부 구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화유닛(300)은 이송유닛(2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송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고무호스(H)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통과하면서 굽혀지도록 하여 고무호스(H)에 유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유연화유닛(300)은 작업플레이트(310), 제1 유연화부(320), 및 제2 유연화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플레이트(310)는 이송유닛(200)의 일측과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고무호스(H)에 유연성을 부가하기 위한 복수의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연화부(320)는 작업플레이트(310) 상에서 복수의 롤러가 열을 이루면서 배치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유연화부(330)는 제1 유연화부(32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며, 복수의 롤러가 열을 이루면서 배치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무호스(H)는 제1 유연화부(320)와 제2 유연화부(330) 사이로 통과되면서 유연성이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연화부(320)는 복수의 기어롤러(321) 및 복수의 기어롤러(3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롤러(321)는 작업플레이트(310) 상에서 고무호스(H)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되 이송유닛(200)으로부터 인계받은 고무호스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기어롤러(321)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고무호스(H)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는 작업플레이트(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구동모터와 복수의 기어롤러(321)가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구동모터와 복수의 기어롤러(321)가 각각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기어롤러(32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술하는 제2 유연화부(330)의 제3 아이들롤러(33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3 아이들롤러(332)는 이동되는 고무호스(H)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는 복수의 기어롤러(3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의 중심축이 복수의 기어롤러(321)의 중심축으로부터 제2 유연화부(330)의 반대방향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어롤러(321)의 중심축에 대해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가 편심되게 배치됨에 따라 고무호스(H)는 내외측 방향으로 굽혀지면서 유연성이 부가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연화부(330)는 제2 아이들롤러(331) 및 제3 아이들롤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들롤러(331)는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 각각은 복수의 제2 아이들롤러(331) 각각과 쌍을 이루면서 고무호스(H)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로 고무호스(H)가 통과하게 된다.
제3 아이들롤러(332)는 복수의 제2 아이들롤러(331)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의 기어롤러(321)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3 아이들롤러(332)의 중축이 복수의 상기 제2 아이들롤러(331)의 중심축으로부터 제1 유연화부(320)의 반대방향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기어롤러(321) 각각은 복수의 제3 이이들롤러(332) 각각과 쌍을 이루면서 고무호스(H)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로 고무호스(H)가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어롤러(321)의 중심축에 대해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의 중심축이 제2 유연화부(330)의 반대방향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아이들롤러(331)의 중심축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3 아이들롤러(332)의 중심축이 제2 유연화부(330)의 반대방향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됨에 따라, 고무호스(H)가 제1 유연화부(320)와 제2 유연화부(330) 사이로 통과되면서 내외측 방향으로 굽혀지게 되어 유연성이 부가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화유닛(300)은 복수의 기어롤러(321) 중 이송유닛(200)에 근접하게 배치된 기어롤러(321)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무호스(H)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키는 방향전환 블록(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되는 고무호스(H)의 일측단부와 접촉되는 방향전환 블록(340)의 일측단부에는 곡률부(34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되는 고무호스(H)가 곡률부(341)를 통과하면서 고무호스(H)의 이동방향을 변화시켜 고무호스(H)가 굽혀진 상태로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화유닛(300)은 복수의 기어롤러(321) 중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배치된 기어롤러(321)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유연성이 부여된 고무호스(H)가 수평방향으로 향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롤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이송 가이드롤러(220), 복수의 이송롤러(230),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322), 복수의 제2 아이들롤러(331) 및 복수의 제3 아이들롤러(332)의 외주면 중심부위를 따라 형성되어 고무호스의 일측이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롤러에 가이드홈이 마련됨에 따라 고무호스의 이동 시 고무호스가 이동방향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이송유닛닛(200)과 유연화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무호스(H)가 유연화유닛(300) 측 방향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진입 가이드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입 가이드유닛(400)은 진입 지지롤러(410), 진입 가이드롤러(420) 및 진입 기어롤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입 지지롤러(410)는 이송유닛(200)의 배출 측에 배치되어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무호스(H)의 하부를 지지한다.
진입 지지롤러(420)는 진입 지지롤러(410)의 앞쪽에 배치되어 진입 지지롤러(410)를 지나 이송되는 고무호스(H)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진입 기어롤러(430)는 진입 가이드롤러(4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진입 지지롤러(410)를 지나 이송되는 고무호스(H)를 유연화유닛(3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무호스(H)는 진입 지지롤러(41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어 진입 가이드롤러(420)와 진입 기어롤러(430) 사이를 통과한 다음, 유연화유닛(300)으로 이동되어 유연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H) 유연화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은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유닛으로 고무호스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고무호스가 진입 가이드유닛을 통해 유연화유닛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유연화유닛을 통과하면서 고무호스에 유연성이 부과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고무호스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무호스(H)가 컨베이어부(110)를 통해 이동되어 순차적으로 공급플레이트(120)로 공급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공급플레이트(120)로 공급되는 고무호스(H)는 대기부(140)를 거처 복수의 제1 지지핀(131)에 지지되며, 다음에 공급플레이트(120)로 공급되는 고무호스(H)는 처음에 공급된 고무호스(H)는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지지되어 대기 상태에 놓인다.
이때, 제1 센서(151)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제2 지지핀(141)에 고무호스(H)가 거치된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제1 센서(151)로부터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고무호스(H)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장치를 중단시킨다.
또한, 제2 센서(161)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H)가 거치된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제2 센서(161)로부터 복수의 제1 지지핀(131) 및 복수의 제2 지지핀(141)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H)가 거치된 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장치를 중단시킨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1 지지핀(131)이 복수의 제1 이동홀(121)의 내부로 이동되어 삽입되면 고무호스(H)는 복수의 제1 지지핀(131)으로부터 낙하되어 이송유닛(200)의 복수의 지지롤러(210)로 공급된다.
고무호스(H)가 복수의 지지롤러(210)로 공급되면, 이동수단에 의해 복수의 이송 가이드롤러(220)가 이동되어 고무호스(H)의 일측이 접촉되고, 고무호스(H)의 타측은 복수의 이송롤러(230)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이송롤러(230)가 회전되면 고무호스(H)는 유연화유닛(300) 측으로 이송된다. 이전에 고무호스(H)는 진입 가이드유닛(400)에 의해 가이드를 받으면서 유연화유닛(300) 측으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가이드유닛(400)을 지난 유연화유닛(300) 측으로 이송된 고무호스(H)는 그 전단이 형상블록(340)에 형성된 곡률부(341)와 접촉되면서 이송방향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굽혀진 상태로 이송되게 된다.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호스(H)는 제1 유연화부(320)의 각 롤러들(321,322)과 제2 유연화부(330)의 각 롤러(331,332)들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기어롤러(321)가 회전되고, 회전되는 복수의 기어롤러(321)에 의해 고무호스(H)는 제1 유연화부(320)와 제2 유연화부(330) 사이로 통과되면서 내외측 방향으로 굽혀지게 되어 유연성이 부가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부가된 고무호스(H)는 마지막에 배치된 기어롤러(321)와 배출롤러(350)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통과되면서 고무호스(H)의 유연성 부가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제작이 완료된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부품들과 연결 시 잘 굽혀지도록 하여 작업자에가 작업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제2 센서를 통하여 복수의 제1 지지핀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가 거치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공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는 공급유닛에 복수의 대기부가 구비된 것에 의해 고무호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공정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공급유닛 110: 컨베이어부
120: 공급플레이트 121: 제1 이동홀
122: 제2 이동홀 130: 공급부
131: 제1 지지핀 140: 대기부
141: 제2 지지핀 150: 제1 센서부
151: 제1 센서 161: 제2 센서
200: 이송유닛 210: 지지롤러
220: 이송 가이드롤러 230: 이송롤러
300: 유연화유닛 310: 작업플레이트
320: 제1 유연화부 321: 기어롤러
322: 제1 아이들롤러 330: 제2 유연화부
331: 제2 아이들롤러 332: 제3 아이들롤러
340: 방향전환 블록 341: 곡률부
350: 배출롤러 400: 진입 가이드유닛
410: 진입 지지롤러 420: 진입 가이드롤러
430: 진입 기어롤러

Claims (9)

  1. 고무호스의 유연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고무호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고무호스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통과하면서 굽혀지도록 하여 상기 고무호스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유연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화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과 연결되게 배치되는 작업플레이트;
    상기 작업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고무호스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롤러가 열을 이루면서 배치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1 유연화부; 및
    상기 제1 유연화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며, 상기 고무호스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롤러가 열을 이루면서 배치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 유연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호스는 상기 제1 유연화부와 상기 제2 유연화부 사이로 통과되면서 유연성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고무호스를 공급받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에 지지된 상기 고무호스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무호스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롤러; 및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에 지지된 상기 고무호스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고무호스를 상기 유연화유닛 측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컨베이어 이송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고무호스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고무호스가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공급되는 공급플레이트;
    상기 공급플레이트 상에 상기 고무호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공급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이동홀 상에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플레이트로 공급된 하나의 고무호스를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이송유닛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제1 지지핀이 마련된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지지핀 중 어느 하나의 제1 지지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무호스가 상기 복수의 제1 지지핀에 지지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가 마련된 제1 센서부;를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지지핀과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이동홀 상에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급플레이트로 공급된 하나의 고무호스를 상 복수의 제1 지지핀으로 공급하기 위해 대기시키는 복수의 제2 지지핀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기부를 더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대기부가 위치한 공급플레이트 상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핀 및 상기 복수의 제2 지지핀에 두 개 이상의 고무호스가 지지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연화부는,
    상기 작업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고무호스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인계받은 상기 고무호스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고무호스를 이송시키는 복수의 기어롤러; 및
    상기 복수의 기어롤러 사이에 배치되되, 중심축이 상기 복수의 기어롤러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2 유연화부의 반대방향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연화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아이들롤러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아이들롤러;
    상기 복수의 제2 아이들롤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기어롤러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중심축이 상기 복수의 상기 제2 아이들롤러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1 유연화부의 반대방향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화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어롤러 중 상기 이송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된 기어롤러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동되는 고무호스의 전단부가 접촉되는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무호스의 이동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고무호스가 굽혀진 상태로의 이동되도록 하는 곡률부가 마련된 방향전환 블록을 더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화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어롤러 중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배치된 기어롤러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유연성이 부여된 상기 고무호스가 수평방향으로 향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롤러를 더 포함하는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KR1020190134659A 2019-10-28 2019-10-28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KR10220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59A KR102206222B1 (ko) 2019-10-28 2019-10-28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59A KR102206222B1 (ko) 2019-10-28 2019-10-28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22B1 true KR102206222B1 (ko) 2021-01-25

Family

ID=7423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59A KR102206222B1 (ko) 2019-10-28 2019-10-28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2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5823A (ja) * 1988-09-30 1990-04-06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柔軟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44256A (ja) * 1996-07-31 1998-02-17 Tokai Rubber Ind Ltd ゴムホースの製造方法
KR20000067715A (ko) * 1999-04-27 2000-11-25 손영호 호스제조용 고무코팅사의 제조장치
JP2008031564A (ja) * 2006-07-26 2008-02-14 Bridgestone Corp ゴム補強用繊維コードの柔軟化装置、ゴム補強用繊維コード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60039791A (ko) * 2014-10-02 2016-04-12 석몽필 물품이송장치
KR101912108B1 (ko) 2018-05-29 2018-10-26 김동찬 차량용 고무호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고무호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5823A (ja) * 1988-09-30 1990-04-06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柔軟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44256A (ja) * 1996-07-31 1998-02-17 Tokai Rubber Ind Ltd ゴムホースの製造方法
KR20000067715A (ko) * 1999-04-27 2000-11-25 손영호 호스제조용 고무코팅사의 제조장치
JP2008031564A (ja) * 2006-07-26 2008-02-14 Bridgestone Corp ゴム補強用繊維コードの柔軟化装置、ゴム補強用繊維コード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60039791A (ko) * 2014-10-02 2016-04-12 석몽필 물품이송장치
KR101912108B1 (ko) 2018-05-29 2018-10-26 김동찬 차량용 고무호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고무호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0913B (zh) Tire testing machine carrying device
KR101589916B1 (ko) 용접 대구경 강관 내주면 버핑장치
JP2010275059A (ja) 板ガラス用搬送方向転換装置
KR20040094648A (ko)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JP2005212943A (ja) ガラス基板の搬送システム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JP6018540B2 (ja) タイヤ試験機用コンベア
CN100534769C (zh) 软管管筒的传送转移装置
KR101265085B1 (ko) 반전부를 구비한 이송장치 및 반전부를 이용한 글래스패널의 반전방법
KR102206222B1 (ko) 고무호스 유연화 장치
JP4336720B2 (ja) 原紙ロール搬送装置及び原紙ロールの搬送方法、並びに原紙ロール搬送装置のレイアウト方法
KR101301383B1 (ko) 소둔로 내 스트립 사행보정장치
EP2862819A1 (en) Wafer conveyo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 wafer conveyor system
KR20050020138A (ko) 반송 시스템
KR100620617B1 (ko) 경사진 분사구멍을 이용한 글래스 플레이트의 공기부양이송장치
KR100920222B1 (ko) 필름 검사장치 및 필름 검사방법
KR101506850B1 (ko)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CN104415935A (zh) 托盘清洗机器
TWI274027B (en) Floating type belt conveyer device
CN110672021B (zh) 钢管分区段壁厚测量系统
KR101093028B1 (ko) 팰릿 이송 설비
KR20100009412A (ko) 공기 부양식 이송 테이블 장치
KR101902844B1 (ko)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KR20140123206A (ko)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방법
CN214933059U (zh) 一种塑料管生产用的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