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782B1 -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782B1
KR102204782B1 KR1020190065776A KR20190065776A KR102204782B1 KR 102204782 B1 KR102204782 B1 KR 102204782B1 KR 1020190065776 A KR1020190065776 A KR 1020190065776A KR 20190065776 A KR20190065776 A KR 20190065776A KR 102204782 B1 KR102204782 B1 KR 102204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ase
side plate
track
carri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366A (ko
Inventor
김종성
고강호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6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7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캐리어 베이스(20);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상기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Level flatness adjust implement for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process}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제조를 위하여 전극조립체를 이송하는 캐리어에서 평탄도를 정밀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며, 이차전지의 양쪽 단부 또는 한쪽 단부에 전극탭이 돌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 중에는 복수장의 극판에 돌출된 각각의 전극탭이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전극탭이 합쳐진 전극탭을 융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고, 복수장의 전극탭을 융착하는 공정을 위하여 전극조립체를 이송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극탭 접합장치 쪽으로 이송하고, 전극탭 접합장치에서는 이송된 전극조립체의 복수장의 전극탭을 융착하는 방식으로 접합하여, 이차전제에 전극탭이 돌출되도록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전극탭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복수장의 양극 전극탭과 음극 전극탭을 융착이나 레이저 접합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게 된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으로는 상기 전극탭의 융착 공정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공정이 있다.
이때, 이차전지의 전극탭의 웰딩(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접합 공정을 비롯한 여러 가지 다양한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게 위해서는 캐리어의 윗면 평탄도 Setting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에는 캐리어에서 Sim Plate 삽입부에 Sim Plate를 넣어서 평탄도를 Setting하는데, 평탄도 Setting 시 Inner Plate와 Base Plate를 분해 후 Sim Plate를 넣고 재조립하므로 평탄도 Setting 소요시간이 많이 든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8006호(2015년06월04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4970호(2014년10월28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7689호(2015년03월12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의 제조를 위하여 전극조립체를 이송하는 캐리어가 가공 공차 및 조립 공차로 인한 누적 공차로 평탄도에 영향을 받게되는 상황에서도 캐리어에서 평탄도를 정밀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 베이스; 상기 캐리어 베이스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과 상기 캐리어 베이스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가 제공된다.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는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구비된 볼트 지지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에 구비된 볼트 결합홀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과 상기 캐리어 베이스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는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구비된 볼트 지지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에 구비된 볼트 결합홀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의 한쪽에 구비된 캐리어롤; 상기 캐리어 베이스의 다른 쪽에 구비된 롤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랙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베이스는 좌우 양쪽 제1캐리어 사이드판과 제2캐리어 사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과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에 각각 캐리어롤과 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롤과 롤링부재는 상기 트랙 베이스에서 롤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 베이스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좌우 한 쌍의 제1트랙 사이드판과 제2트랙 사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트랙 사이드판에는 제1트랙이 구비되고, 상기 제2트랙 사이드판에는 평탄면 구조의 제2트랙이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롤의 외주면에는 캐리홈이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의 상기 캐리홈이 상기 트랙 베이스의 상기 제1트랙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롤이 롤링되고, 상기 캐리어 베이스의 상기 롤링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트랙 베이스의 상기 제2트랙에 접촉되어 롤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에는 핀홀이 구비되어, 상기 핀홀에 핀이 압입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핀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핀삽입홀이 상기 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 위에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 베이스와 상기 캐리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극탭의 웰딩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평탄도 Setting을 Bolt로 가능하도록 변경하여 Setting시간 단축 및 작업 편리성이 개선된다. 어드저스트 볼트를 돌려주는 조작에 의해 평탄도 셋팅이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셋팅 시간 단축 및 작업 편리성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평탄도 조절장치를 채용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일측면도
도 2는 도 1의 타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는 트랙 베이스(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 베이스(20)와,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과,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구비한다.
상기 트랙 베이스(10)는 좌우 양쪽의 외측 트랙 사이드판(12)이 트랙 바텀판(14)에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트랙 베이스(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좌우 한 쌍의 제1트랙 사이드판(16)과 제2트랙 사이드판(18)을 구비하고, 상기 제1트랙 사이드판(16)에는 제1트랙(16TR)이 구비되고, 상기 제2트랙 사이드판(18)에는 평탄면 구조의 제2트랙(18TR)이 구비된다. 상기 제1트랙(16TR)은 단면 브이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는 로워 캐리어 베이스판(22)과, 상기 로워 캐리어 베이스판(22)에 연결된 한 쌍의 좌우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과, 상기 한 쌍의 좌우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연결된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을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가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는 각각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이 구비된다.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은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의 외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 구비된 셋팅홀과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구비된 고정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결합됨으로써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은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의 외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구비된 셋팅홀과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구비된 고정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결합됨으로써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 구비된 셋팅홀(SH)과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구비된 셋팅홀(SH)은 각각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는 캐리어롤(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롤(30)은 외주면에 캐리홈(32)이 구비된다. 상기 캐리홈(32)은 브이홈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롤(30)은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캐리어롤(30)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상부 캐리어롤(30)과 하부 캐리어롤(30)이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 구비된다.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이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장착된다.
상기 제1트랙 사이드판(16)에 구비된 제1트랙(16TR)에 캐리어롤(30) 외주면의 캐리홈(32)이 결합된다. 상기 제1트랙 사이드판(16)에 구비된 제1트랙(16TR)이 캐리어롤(30)의 캐리홈(3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는 상부 캐리어롤(30)과 하부 캐리어롤(30)이 구비되고, 상기 제1트랙(16TR)은 트랙 베이스(10)에 구비된 제1트랙 사이드판(16)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부 제1트랙(16TR)과 하부 제1트랙(16TR)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캐리어롤(30)과 하부 캐리어롤(30)의 각각의 캐리홈(32)이 상부 제1트랙(16TR)과 하부 제1트랙(16TR)에 결합된다.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는 롤링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롤링부재(40)는 원형롤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링부재(40)는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롤링부재(40)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상부 롤링부재(40)와 하부 롤링부재(40)가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구비된다.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이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장착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상부 롤링부재(40)와 하부 롤링부재(40)가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사이드에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제2트랙 사이드판(18)에 구비된 제2트랙(18TR)에 롤링부재(40)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상기 제2트랙(18TR)은 제2트랙 사이드판(18)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평탄면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2트랙(18TR)에 롤링부재(40)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는 상부 롤링부재(40)와 하부 롤링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트랙(18TR)은 트랙 베이스(10)에 구비된 제2트랙 사이드판(18)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부 제2트랙(18TR)과 하부 제2트랙(18TR)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롤링부재(40)와 하부 롤링부재(40)의 외주면이 상부 제2트랙(18TR)과 하부 제2트랙(18TR)에 접촉된다.
상기 캐리어롤(30)과 롤링부재(40)가 트랙 베이스(10)의 제1트랙 사이드판(16)에 구비된 제1트랙(16TR)과 제2트랙 사이드판(18)에 구비된 제2트랙(18TR)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캐리어 베이스(20)가 트랙 베이스(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에는 핀홀이 구비된다. 핀홀을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의 전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핀홀이 각각 구비되어,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에 두 개의 핀홀이 구비된다. 상기 핀홀에는 핀이 압입된다. 복수개의 핀홀에 각각 핀이 압입된다. 두 개의 핀이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에 압입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 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얹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220)에는 핀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핀삽입홀이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에 압입되어 있는 핀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 위에 얹혀져서 위치가 셋팅된다.
또는, 상기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의 상면에는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지지되어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26) 위에 셋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에는 오목홈이 구비되어, 상기 오목홈에 이너 플레이트(230)가 안착된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에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것)이 얹혀진다.
상기 트랙 베이스(10)와 캐리어 베이스(20)에는 고정핀(50)이 결합된다. 트랙 베이스(10)를 구성하는 좌우 양쪽의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핀홀이 구비되고, 트랙 베이스(10)를 구성하는 좌우 양쪽의 외측 트랙 사이드판(12)에 트랙 베이스(10) 핀홀이 구비되어, 상기 핀홀과 트랙 베이스(10) 핀홀에 고정핀(50)이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50)은 트랙 베이스(10)에 캐리어 베이스(20)를 고정함으로써 초기 셋팅시에 캐리어 베이스(20)의 흔들림이 없게 하므로, 초기 셋팅시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핀(50)이 캐리어 베이스(20)의 핀홀과 트랙 베이스(10) 핀홀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트랙 베이스(10)에 캐리어 베이스(2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50)이 캐리어 베이스(20)의 핀홀과 트랙 베이스(10) 핀홀에서 빠진 상태에서는 트랙 베이스(10)를 따라 캐리어 베이스(20)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중에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과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에 볼트 지지편(242)이 구비된다. 캐리어 베이스(20)를 구성하는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볼트 지지편(242)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볼트 지지편(242)이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볼트 지지편(242)이 각각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구비된다. 상기 볼트 지지편(242)은 내부에 볼트 결합홀을 구비한 브라켓 구조이다. 상기 볼트 결합홀은 볼트 지지편(242)의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중에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과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에 볼트 지지편(242)이 구비된다. 캐리어 베이스(20)를 구성하는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볼트 지지편(242)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볼트 지지편(242)이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볼트 지지편(242)이 각각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구비된다. 상기 볼트 지지편(242)은 내부에 볼트 결합홀을 구비한 브라켓 구조이다. 상기 볼트 결합홀은 볼트 지지편(242)의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는 캐리어 베이스(20)에 구비된 볼트 지지편(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볼트 결합홀에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는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 구비된 볼트 결합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측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 중에서 한 쪽의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 바깥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의 내부에는 상단부로 연통된 볼트홀이 구비되어,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의 볼트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복수개의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내부의 복수개의 볼트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또는 어드저스트 볼트(240)의 하단부가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 구비된 두 개의 볼트홀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구비된 볼트 결합홀에 다른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측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 중에서 다른 쪽의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 바깥쪽에 배치된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내부에는 상단부로 연통된 볼트홀이 구비되어,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볼트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복수개의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내부의 복수개의 볼트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또는 어드저스트 볼트(240)의 하단부가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어드저스트 볼트(240)가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구비된 두 개의 볼트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또는 두 개의 어드저스트 볼트(240)의 하단부가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 베이스(10)가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극판들의 전극탭을 융착하는 전극탭 접합장치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에 결합된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에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가 얹혀진 상태에서 캐리어 베이스(20)가 트랙 베이스(10)를 따라 이송될 때에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와 함께 전극조립체가 이송되어 상기 전극탭 접합장치에 전극조립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전극탭들을 접합하여 전극탭이 파우치에서 돌출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으로는 상기 전극탭 접합 공정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공정이 있으며, 상기 트랙 베이스(10)는 캐리어 베이스(20)가 상기 여러 가지 다양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이차전지 제조장치의 여러 가지 공정 유닛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롤(30)의 캐리홈(32)은 트랙 베이스(10)의 제1트랙(16TR)을 따라 롤링되고 상기 롤링부재(40)는 트랙 베이스(10)의 제2트랙(18TR)을 따라 롤링됨으로써, 상기 트랙 베이스(10)를 따라 캐리어 베이스(20)가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캐리어 베이스(20) 위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전극조립체가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에 구비된 고정홀(FH)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조여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를 헐겁게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돌려주면,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각각 구비된 셋팅홀(SH)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상이므로, 상기 체결구와 함께 캐리어 베이스(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평탄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단부 쪽이 들려지고 좌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다른 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단부 쪽이 내려가게 되므로, 캐리어 베이스(20)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우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단부 쪽이 들려지고 우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다른 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단부 쪽이 내려가게 되므로, 캐리어 베이스(20)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단부 쪽이 들려지고 좌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다른 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 단부 쪽이 내려가게 되므로, 캐리어 베이스(20)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의 정면에서 볼 때에 우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단부 쪽이 들려지고 우측의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다른 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을 기준으로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 단부 쪽이 내려가게 되므로, 캐리어 베이스(20)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조작하여 캐리어 베이스(20)의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탄도를 맞춘 다음에는 상기 고정홀(FH)과 셋팅홀(SH)에서 풀어져 있던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다시 조여줌으로써 평탄도를 맞춰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의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와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과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의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돌려주는 조작에 의해 캐리어 베이스(20)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높이와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캐리어 베이스(20)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탄도 Setting을 Bolt로 가능하도록 변경하여 Setting시간 단축 및 작업 편리성이 개선된다. 상기와 같은 어드저스트 볼트(240)에 의해 평탄도 셋팅이 가능하므로 셋팅 시간 단축 및 작업 편리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Inner Plate를 기준으로 평탄도를 셋팅하는데, 어드저스트 볼트(240)(Adjuster Bolt)로 평탄도를 조절한다. 즉, Inner Plate 기준으로 평탄도 Setting을 하며, Bolt로 Setting을 함으로써 시간단축 효과가 있다.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에 의해 평탄도를 조절할 때에는 고정핀(50)을 캐리어 베이스(20)와 트랙 베이스(10)에 결합시켜놓음으로써 평탄도 조절시에 캐리어 베이스(20)가 트랙 베이스(1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탄도 조절시에 캐리어 베이스(20)가 트랙 베이스(1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평탄도 조절 작업이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캐리어 베이스(20)의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의 고정홀(FH)을 추가하여 체결력을 추가하고,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Setting이 가능하도록 셋팅홀(SH)을 추가함으로써, 트랙 베이스(10)(Track)에서 분리하지 않고 Setting이 가능하다.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24)의 셋팅시 Bolt 체결이 용이하도록 캐리어 베이스 고정핀(50)을 추가하여 Setting시 캐리어 베이스(2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므로 작업자의 편리성이 증가한다. 상기 고정핀(50)은 초기 셋팅시에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트랙 베이스 12. 외측 트랙 베이스판
14. 트랙 바텀판 16. 제1트랙 사이드판
16TR. 제1트랙 18. 제2트랙 사이드판
18TR. 제2트랙 20. 캐리어 베이스
22. 로워 캐리어 베이스판 24. 사이드 캐리어 베이스판
FH. 고정홀 26. 어퍼 캐리어 베이스판
30. 캐리어롤 32. 캐리홈
40. 롤링부재 50. 고정핀
122. 제1캐리어 사이드판 124. 제2캐리어 사이드판
SH. 셋팅홀 220. 베이스 플레이트
230. 이너 플레이트 240. 어드저스트 볼트
242. 볼트 지지편

Claims (10)

  1. 캐리어 베이스(20);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 및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상기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한쪽에 구비된 캐리어롤(30);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다른 쪽에 구비된 롤링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는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에 구비된 볼트 지지편(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에 구비된 볼트 결합홀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과 상기 캐리어 베이스(20) 사이에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240)는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에 구비된 볼트 지지편(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구비된 볼트 결합홀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베이스(2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랙 베이스(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베이스(20)는 좌우 양쪽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을 구비하고, 상기 제1캐리어 사이드판(122)과 상기 제2캐리어 사이드판(124)에 각각 캐리어롤(30)과 롤링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롤(30)과 롤링부재(40)는 상기 트랙 베이스(10)에서 롤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베이스(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좌우 한 쌍의 제1트랙 사이드판(16)과 제2트랙 사이드판(18)을 구비하고, 상기 제1트랙 사이드판(16)에는 제1트랙(16TR)이 구비되고, 상기 제2트랙 사이드판(18)에는 평탄면 구조의 제2트랙(18TR)이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롤(30)의 외주면에는 캐리홈(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상기 캐리홈(32)이 상기 트랙 베이스(10)의 상기 제1트랙(16TR)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롤(30)이 롤링되고, 상기 캐리어 베이스(20)의 상기 롤링부재(40)의 외주면은 상기 트랙 베이스(10)의 상기 제2트랙(18TR)에 접촉되어 롤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5776A 2019-06-04 2019-06-04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KR102204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76A KR102204782B1 (ko) 2019-06-04 2019-06-04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76A KR102204782B1 (ko) 2019-06-04 2019-06-04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366A KR20200139366A (ko) 2020-12-14
KR102204782B1 true KR102204782B1 (ko) 2021-01-19

Family

ID=7377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776A KR102204782B1 (ko) 2019-06-04 2019-06-04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115B1 (ko) 2022-03-31 2022-08-30 (주)하나기술 이차전지 셀 이송 캐리어
KR20230144280A (ko) 2022-04-07 2023-10-1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이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23B1 (ko) * 2007-04-11 2008-03-19 (주)원에스티 트랙롤러 가이드
KR101188628B1 (ko) * 2008-03-22 2012-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이동 장치
KR101719466B1 (ko) * 2015-06-09 2017-04-04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닉 브레이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006B1 (ko) 2012-09-14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KR20140124970A (ko) 2013-04-17 2014-10-28 세방전지(주)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KR20150027689A (ko) 2013-09-02 2015-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23B1 (ko) * 2007-04-11 2008-03-19 (주)원에스티 트랙롤러 가이드
KR101188628B1 (ko) * 2008-03-22 2012-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이동 장치
KR101719466B1 (ko) * 2015-06-09 2017-04-04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닉 브레이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366A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782B1 (ko)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의 평탄도 조절장치
KR102258462B1 (ko) 캐리어 운반용 트랙 구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
US8807473B2 (en) Automatic winding device for cell core
CN201493609U (zh) 点焊机装置
JP2009530187A5 (ko)
JP5478400B2 (ja) 組電池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TWI630099B (zh) Single-face corrugating machine and corrugating switching method thereof
JP2021504921A (ja) 電極リードをバスバーに密着させる自動加圧ジグ装置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製造システム
WO2018223705A1 (zh) 方形电池选向扶正一体整机
CN211019868U (zh) 一种smt贴片扣合治具
CN209902569U (zh) 一种压力容器用的筒节组对装置
CN101992340A (zh) 点焊机装置
TWI806908B (zh) 運輸器對接裝置、換電運輸器及對接方法
CN203636273U (zh) 自卸车举升油缸支座拼焊工装
KR101071547B1 (ko) 이차 전지용 탭 용접방법
CN106695227B (zh) 机械加工辅助平台
CN117141808A (zh) 电芯承载夹持装置
CN107706331A (zh) 一种方便装配的蓄电池保护壳体
JPH0710871Y2 (ja) 溶融溶接用位置決め装置
CN110076507A (zh) 翻转角锁组装工装
CN206003902U (zh) 锂电池点焊固定夹具
JP3997974B2 (ja) 鉛蓄電池の製造方法
CN217727631U (zh) 定位装置及焊接机
JPH05285769A (ja) ポジショナにおける位置決め装置
CN211540003U (zh) 一种应用于焊装夹具快换机构的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