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30B1 - 급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급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30B1
KR102203330B1 KR1020197023442A KR20197023442A KR102203330B1 KR 102203330 B1 KR102203330 B1 KR 102203330B1 KR 1020197023442 A KR1020197023442 A KR 1020197023442A KR 20197023442 A KR20197023442 A KR 20197023442A KR 102203330 B1 KR102203330 B1 KR 10220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evice
power receiving
power
power suppl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075A (ko
Inventor
이오리 아이카와
카츠야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02J7/025
    • H04B5/72
    • H04B5/7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5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접촉으로 수전장치에 급전가능한 급전장치로서, 수전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과, 수전장치에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수전장치를 검출하는 제1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에의 급전을 행하기 전에,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를 검출하는 제2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의해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급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급전장치로부터 수전장치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전장치를 급전장치에 유선 접속하지 않고, 전자유도 방식이나 자기공명 방식 등에 의해 비접촉으로 전력을 송수전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급전장치로부터 급전을 행할 경우에는, 급전 캐리어에 통신 정보를 중첩함으로써, 급전과 통신을 동시에 행하고, 급전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급전의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통신 만을 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10-28400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급전장치에 수전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가 배치되었을 경우에, 급전장치는 다른 통신장치를 검출할 수 없었던 채 급전을
개시하여, 급전 대상이 아닌 통신장치에 불필요한 전력을 송신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과제는, 급전과 통신을 시분할로 행할 경우에도 같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전장치가 검출되어 급전을 개시하는 전에 수전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를 탐색함으로써, 수전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에 급전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급전장치는, 비접촉으로 수전장치에 급전가능한 급전장치로서, 수전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과, 수전장치에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수전장치를 검출하는 제1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에의 급전을 행하기 전에,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를 검출하는 제2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의해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장치가 검출되어 급전을 개시하는 전에 수전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를 탐색함으로써, 수전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에 급전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이때, 첨부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혹은 유사한 구성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인다.
첨부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그것의 기술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 1의 급전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는 도 3의 제1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는 도 3의 기기 정보 보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a는 도 3의 제2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b는 도 3의 제2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7은 실시형태 2의 급전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례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의해 적절히 수정 또는 변경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각 실시형태의 일부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시스템 구성>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급전장치(10)의 급전 가능 영역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장치(30)에 대하여 유선 접속하지 않고 무선급전에 의해 전력을 공급가능하다. 무선급전에서는, 급전장치(10)의 안테나로부터 방사한 전자파를 수전장치(30)의 안테나가 수신함으로써 전력의 송수전을 행한다. 또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급전 제어에 사용하는 각종 정보를 급전장치(10)와 수전장치(30)가 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한다.
급전장치(10)와 수전장치(3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소정의 프로토콜로 무선통신을 행한다. 급전장치(10)는, 급전장치(10)의 급전 가능 영역 또한 통신 가능 영역의 범위 내에 있어서 수전장치(30)를 검출했을 경우, 수전장치(30)와 무선통신을 행하고, 수전장치(30)를 인증한 후에 급전을 개시한다. 이때, 급전장치(10)의 통신 가능 영역은 급전 가능 영역에 비해 넓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급전장치(10)의 급전 가능 영역 또한 통신 가능 영역의 범위 내에, 급전장치(10)와, 급전 대상이 되는 수전장치(30) 이외에, 급전장치(10)와 통신가능한 통신장치(40)가 존재할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통신장치(4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전 대상이 아닌 물체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통신장치(40)가 1개만 예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통신장치가 존재할 경우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급전장치(10)의 급전 가능 영역 및 통신 가능 영역의 범위 내에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가 존재할 경우에는, 특별히 급전이 허가되었을 경우를 제외하고,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개시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의 급전장치(10)는, 수전장치(30)가 배치된 상태에서 수전장치(30)에의 급전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거치형이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급전장치(10)는, 전자유도에 의해 수전장치(3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이어도 되고, 전자계 공명에 의해 수전장치(3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이어도 된다.
수전장치(30)는, 급전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수전장치(30)는,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수전장치(3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 휴대전화나 그것의 일종인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 음성이나 영상을 재생하는 모바일 플레이어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지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자동차 등의 이동체이어도 된다. 또한, 수전장치(3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의료기기, 마우스나 스피커, 메모리나 배터리 등의 주변기기이어도 된다.
통신장치(40)는, 급전장치(10)와의 통신시에 급전장치(10)로부터 받은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 같은 카드형이나 씰형의 전자기기이어도 된다. 또한, 통신장치(40)는, 전지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자동차 등의 이동체,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 휴대전화나 그것의 일종인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 음성이나 영상을 재생하는 모바일 플레이어 등의 전자기기 등이어도 된다. 또한, 통신장치(4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의료기기, 마우스나 스피커, 메모리나 배터리 등의 주변기기이어도 된다.
<장치 구성>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급전장치(10), 수전장치(30) 및 통신장치(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급전장치(1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급전장치(10)는, 안테나(11), 정합회로(12), 전력 조정회로(13), 발진부(14), 변환부(15), 변복조회로(16), RAM(17), ROM(18), 통지부(19), CPU(20), 전원 커넥터(21)를 가진다.
안테나(11)는, 안테나(31)를 거쳐 수전장치(3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안테나(31) 및 안테나(41)를 거쳐 수전장치(30) 및 통신장치(4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안테나(11)는 코일 형상이며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안테나(31)와 안테나(41)와 결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패시턴스에 의해 결합을 해도 된다.
정합회로(12)는, 안테나(11)와 전력 조정회로(13)의 임피던스의 정합, 혹은 안테나(11)의 공진주파수를 정합하는 회로다. 정합회로(12)는 인덕턴스 성분 혹은 커패시턴스 성분을 갖는 수동 소자를 직렬, 병렬로 조합하여 구성되고, 그 조합은 정합시키고 싶은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합회로(12)의 가변 수동 소자의 값을 변경하거나,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여도 되고, CPU(2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수전장치(30) 혹은 통신장치(40)의 상태나 위치에 따라, 그 값이나 전환의 제어를 해도 된다.
전력 조정회로(13)는, 발진부(14)로부터 발생하는 교류 신호를, 소정의 전력의 교류 신호로 조정하고, 정합회로(12)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회로다. 전력 조정회로(13)는, 예를 들면, 스위칭 앰프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증폭부와, 변환부(15)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변복조회로(16) 혹은 CPU(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압으로 변경하는 DC-DC 컨버터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조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전력 조정회로(13)는, 전술한 전력 증폭 기능 및 전력 조정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고,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진부(14)는,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생시켜, 전력 조정회로(13)에 입력하는 회로이며, 수정진동자 등을 포함한다. 소정의 주파수는, 50W 정도까지의 높은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주파수대이면, 6.78MHz나 13.56MHz와 같은 HF대에 속하는 ISM 밴드의 주파수대이어도 되고, 수 100KHz와 같은 LF대에 속하는 주파수대이어도 된다.
변환부(15)는, 전원 커넥터(21)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각 부에 분배하기 위한 회로이며, 상용의 교류 전원전압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다.
이때, 급전장치(10)의 각 부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변복조회로(16)는,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 혹은 통신장치(4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안테나(11), 정합회로(12) 및 전력 조정회로(13)의 전압신호의 변조·복조를 행하는 회로다.
변복조회로(16)는, 데이터 송신시에는,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부호화된 송신용 데이터를 CPU(20)로부터 수신하고, 변조 회로를 거쳐 전력 조정회로(13)에 입력함으로써 송신 신호의 변조를 행한다. 변복조회로(16)로부터 전력 조정회로(13)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력 조정회로(13)가 출력하는 신호에 진폭변조가 행해지고, 안테나(11)를 거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변복조회로(16)는, 데이터 수신시에는, 정합회로(12)의 전압 혹은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고, 필터, 콤퍼레이터 및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되는 복조 회로를 거침으로써 수신용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변복조회로(16)는, 수신용 데이터를 CPU(20)에 입력하고, CPU(20)은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복호한다. 이때, 소정의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ISO/IEC14443, ISO/IEC15693, ISO/IEC18092(NFC)에서 규정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용의 프로토콜이나, 그들과 호환성이 있는 프로토콜 등이 사용된다.
RAM(17)은, 급전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각 부의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 등의 정보, 변복조회로(16)에 의해 수전장치(30)나 통신장치(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휘발성의 메모리다. 또한, RAM(17)은, 급전장치(10)가 급전하는 대상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테이블을 기억한다. 이때, RAM(17)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에는,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나 통신장치(4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가 등록된다.
ROM(18)은, 급전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각 부의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다. 또한, ROM(18)은,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나 통신장치(4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방식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통지부(19)는, 급전장치(10)의 급전가능한 상태나 급전이 제한된 상태 등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통지부(19)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나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부,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구성이어도 된다.
CPU(20)은, 급전장치(10)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장치이며,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또한, CPU(20)은, 정합회로(12)의 가변 수동 소자의 값의 변경이나 전환을 행한다. 또한, CPU(20)은, 전력 조정회로(13)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에 급전하는 전력의 조정을 행한다. 이때, CPU(20)은, 내부의 AD 변환 기능을 사용하여, 전력 조정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급전 전력의 측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CPU(20)은,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나 통신장치(40)와의 코맨드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때, 코맨드에는, 목적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코맨드에 의해 지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코맨드 코드 등이 포함된다. 이때, CPU(20)은, 코맨드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변경하도록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에만 코맨드를 송신하거나, 통신장치(40)에만 코맨드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전원 커넥터(21)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취득하기 위한 커넥터다.
본 실시형태의 급전장치(10)는, 수전장치(30)에 있어서 전지(39)를 충전하기 위해서 충분한 전력을 수전장치(30)에 무선급전하는 급전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급전 제어는, 적어도 안테나(11), 전력 조정회로(13), 발진부(14) 및 CPU(20)에 의해 실현되고, 정합회로(12)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전장치(10)와 수전장치(30) 혹은 통신장치(40)와의 통신은, 적어도 안테나(11), 전력 조정회로(13), 발진부(14), 변복조회로(16), ROM(18), CPU(20)에 의해 실현되고, 정합회로(12)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이때, 급전장치(10)의 각 부 11∼21의 구성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각 부가 각각 복수 있어도 되고, 다른 기능을 갖고 존재해도 되고, 다른 블록과 조합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수전장치(3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수전장치(30)는, 안테나(31), 정합회로(32), 정류 평활회로(33), 레귤레이터(34), 변복조회로(35), CPU(36), RAM(37), ROM(38), 전지(39)를 가진다.
안테나(31)는, 안테나(11)를 거쳐 급전장치(1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거나, 혹은 안테나(11)를 거쳐 급전장치(1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안테나(31)는 코일 형태로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안테나(11)와 결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패시턴스에 의해 결합을 해도 된다.
정합회로(32)는, 안테나(31)와 정류 평활회로(33)의 임피던스의 정합, 혹은 안테나(31)의 공진주파수를 정합하는 회로다. 정합회로(32)는 인덕턴스 성분 혹은 커패시턴스 성분을 갖는 수동 소자를 직렬, 병렬로 조합하여 구성되고, 그 조합은 정합시키고 싶은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합회로(32)의 가변 수동 소자의 값을 변경하거나,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여도 되고, CPU(36)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수전장치(30)의 모드나 부하 상태에 따라, 그 값이나 전환의 제어를 해도 된다.
정류 평활회로(33)는, 정합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다이오드나 콘덴서를 포함한다.
레귤레이터(34)는, 정류 평활회로(3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의 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다. 이때, 레귤레이터(34)에서 생성된 소정 전압은 수전장치(30)의 각 부에 공급된다. 또한, 레귤레이터(34)는, 전지(39)와 접속되어, CPU(36)의 제어에 의해 급전장치(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지(39)의 충전을 행한다.
변복조회로(35)는, 수전장치(30)가 급전장치(1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안테나(31)나 정합회로(32)의 전압신호의 변조·복조를 행하는 회로다. 또한, 변복조회로(35)는, 데이터 수신시에는, 정합회로(32)의 전압 혹은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고, 필터, 콤퍼레이터 및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되는 복조 회로를 거침으로써 수신용의 데이터를 복조한다. 변복조회로(16)는, 수신용 데이터를 CPU(36)에 입력하고, CPU(36)은 ROM(38)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복호한다. 변복조회로(16)는, 데이터 송신시에는, ROM(38)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부호화된 송신용 데이터를 CPU(36)로부터 수신하고, 변조 회로를 거쳐 송신 신호의 변조를 행한다. 이때, 변복조회로(35)의 변조 회로는, 스위치와 저항을 포함하고, 송신용 데이터 신호에 따라 부하를 변동시킴으로써 부하 변조가 행해지고, 안테나(31)를 거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ISO/IEC14443, ISO/IEC15693, ISO/IEC18092(NFC)에서 규정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용의 프로토콜이나, 그것들과 호환성이 있는 프로토콜 등이 사용된다.
CPU(36)은, 수전장치(30)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장치이며, ROM(38)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또한, CPU(36)은, 정합회로(32)의 가변 수동 소자의 값의 변경과 전환을 행한다. 또한, CPU(36)은, 레귤레이터(34)를 제어함으로써 급전장치(10)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전지(39)를 충전한다. 이때, CPU(36)은, 레귤레이터(34)를 제어할 때에, 내부의 AD 변환 기능을 사용해서 전지(39)의 축전 잔량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CPU(36)은, 전지(39)의 축전 잔량에 따라, 트릭클 충전 제어, 고속 충전 제어, 정전압 제어, 정전류 제어 등을 전환하면서 제어를 행해도 된다. CPU(36)은, 변복조회로(35)를 제어함으로써 급전장치(10)와의 코맨드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때, 코맨드에는, 목적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코맨드에 의해 지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코맨드 코드 등에 응답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CPU(36)은, 전지(39)의 측전 잔량에 따라, 변복조회로(35)를 제어해서 급전 전력의 변경을 급전장치(10)에 요구해도 된다. 또한, CPU(36)이 동작하기 위해서 충분한 전력이 급전장치(10)로부터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지(39)에 충전을 행한 후에 전지(39)로 CPU(36)을 동작시킨다.
RAM(37)은, 수전장치(3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각 부의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 등의 정보, 급전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휘발성의 메모리다.
ROM(38)은, 수전장치(3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각 부의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다. 또한, ROM(38)은, 수전장치(30)의 기기 정보, 수전장치(30)의 수전 능력 정보 및 표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수전장치(30)의 기기 정보에는,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ID), 제조자명, 기기명, 제조 연월일, 수전장치(30)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방식, 수전장치(30)가 급전장치(10)로부터 무선급전을 받는 기능을 가질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때, CPU(36)은, 변복조회로(35)를 제어함으로써 ROM(38)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급전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전지(39)는, 수전장치(30)에 착탈가능한 배터리다. 또한, 전지(39)는, 충전가능한 2차 배터리이며,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등이다. 전지(39)는, 수전장치(30)의 각 부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수전장치(30)의 각 부 31∼39의 구성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각 부가 각각 복수 있어도 되고, 다른 기능을 갖고 존재해도 되고, 다른 블록과 조합해도 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급전장치(10)는, 수전장치(30)에 대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고, 수전장치(30)는, 급전장치(1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무선」을 「비접촉」이나 「무접점」으로 바꿔 말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통신장치(4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장치(40)는, 안테나(41), 정합회로(42), 변복조회로(43), CPU(44), RAM(45), ROM(46)을 가진다.
이때, 통신장치(40)는, 수전장치(30)의 구성과 공통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수전장치(3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장치(40)는, 전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급전장치(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지에의 충전을 행하지 않지만, 급전장치(10)로부터 통신장치(4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CPU(44)은, 수전장치(30)의 CPU(36)과 거의 같은 제어를 행하지만, 충전 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이때, 통신장치(40)는, 급전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지를 충전하지 않는 형태이면, 수전장치(30)와 마찬가지로 전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전지를 충전하지 않는 형태로는, 예를 들면, 전지가 만충전인 상태나 충전이 제한된 상태 등이 생각된다.
이때, 통신장치(40)의 각 부 41∼46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각 부가 각각 복수 있어도 되고, 다른 기능을 갖고 존재해도 되고, 다른 블록과 조합해도 된다.
<급전 동작>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급전장치(10)에 의한 급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3의 처리는, 급전장치(10)의 CPU(20)이 ROM(1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6b에서도 마찬가지이다.
S301에서는, CPU(20)은,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해서 수전장치(30)를 탐색하기 위한 제1 탐색 처리를 행한다. 제1 탐색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CPU(20)이 제1 탐색 처리를 마치면, 처리를 S302로 진행한다.
S302에서는, CPU(20)은, S301에서 검출한 수전장치(30)에 인증 요구를 송신한다. CPU(20)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에 인증용의 코맨드를 송신한다. CPU(20)은 인증 요구를 송신한 후, 처리를 S303으로 진행한다.
S303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 인증 응답을 수신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에서 인증 처리가 성공했을 경우에 CPU(36)에서 생성되는 인증 응답 신호를, 변복조회로(16)를 거쳐 수신한다. 이 인증 응답 신호에는 수전장치(30)의 기기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기기 정보에는 수전장치(30)의 ID, 기능 및 사양 등이 있으며, 급전 가능기기인지 아닌지라고 하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 인증 응답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303에서 NO)는 인증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S303의 처리를 반복하지만, 소정의 시간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인증 응답을 수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 인증 응답을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S303에서 YES), 처리를 S304로 진행한다.
S304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 수신한 인증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기기 정보를 해석하고, 수전장치(30)가 급전가능한 기기인가 판정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가 급전가능한 기기라고 판정했을 경우(S304에서 YES)에는 처리를 S305로 진행하고, 급전가능한 기기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S304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305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의 기기 정보를 보존하기 위한 기기 정보 보존 처리를 행한다. 기기 정보 보존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CPU(20)이 기기 정보 보존 처리를 마치면, 처리를 S306으로 진행한다.
S306에서는, CPU(20)은,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해서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를 탐색하기 위한 제2 탐색 처리를 행한다. 제2 탐색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CPU(20)이 제2 탐색 처리를 마치면, 처리를 S307로 진행한다.
S307에서는, CPU(20)은,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에 대하여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판정한다. CPU(20)은, RAM(17)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중,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함으로써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지 판정한다. CPU(20)은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에 대하여 급전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정했을 경우(S307에서 YES)에는 처리를 S308로 진행하고, 급전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S307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308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에서 급전을 개시하는 제어는, CPU(20)이 전력 조정회로(13)에 제어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수전장치(30)의 전지(39)를 충전하기 위해서 충분한 전력을 수전장치(30)에 송신하는 것이다. CPU(20)이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처리를 S309로 진행한다.
S309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고, RAM(17)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중,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리셋한다. 여기에서 급전을 정지하는 제어는, CPU(20)이 전력 조정회로(13)의 출력을, 수전장치(30)와 통신을 행하는데 충분한 정도의 전력까지 제한하도록 하는 제어다. CPU(20)이 급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면, 처리를 S310으로 진행한다.
S310에서는, CPU(20)은, S302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CPU(20)은 인증 요구를 송신한 후, 처리를 SS311로 진행한다.
S311에서는, CPU(20)은, S303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 인증 응답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311에서 NO)에는 인증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S311의 처리를 반복하지만, 소정의 시간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인증 응답을 수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 인증 응답을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S311에서 YES), 처리를 S312로 진행한다.
S312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다시 행할지 판정한다. CPU(20)은, S311에서 수신한 인증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기기 정보를 해석하여, 수전장치(30)가 다시 급전가능한 상태가 되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가 다시 급전가능한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S312에서 YES)에는 처리를 S306으로 되돌려, S306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하고, 수전장치(30)가 다시 급전가능한 상태가 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312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S312에서 NO인 경우, 처리를 종료하지 않고, S3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1 탐색 처리(S301)>
다음에, 도 3의 S301에 있어서의 제1 탐색 처리를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S401에서는, CPU(20)은,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제1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의 탐색을 행한다. CPU(20)이 제1 통신방식에 의한 수전장치(30)의 탐색을 행한 후, 처리를 S402로 진행한다.
S402에서는, CPU(20)은, S401에서 행한 제1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에 대하여, 수전장치(30)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이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응답을 확인했을 경우(S402에서 YES)에는 처리를 S407로 진행하고,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응답을 소정 시간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S402에서 NO)에는 처리를 S403으로 진행한다.
S403에서는, CPU(20)은,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제2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의 탐색을 행한다. CPU(20)이 제2 통신방식에 의한 수전장치(30)의 탐색을 행한 후, 처리를 S404로 진행한다.
S404에서는, CPU(20)은, S403에 있어서의 제2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에 대하여, 수전장치(30)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이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응답을 확인했을 경우(S404에서 YES)에는 처리를 S407로 진행하고,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응답을 소정 시간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S404에서 NO)에는 처리를 S405로 진행한다.
S405에서는, CPU(20)은,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제3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의 탐색을 행한다. CPU(20)이 제3 통신방식에 의한 수전장치(30)의 탐색을 행한 후, 처리를 S406으로 진행한다.
S406에서는, CPU(20)은, S406에 있어서의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에 대하여, 수전장치(30)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이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응답을 확인했을 경우(S406에서 YES)에는 처리를 S407로 진행하고, 수전장치(30)로부터의 응답을 소정 시간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S406에서 NO)에는 처리를 S401로 되돌려, S4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때, 제1, 제2, 제3 통신방식에 의한 제1 탐색 처리는, 예를 들면, NFC에 의한 Type A, Type B, Type F의 리퀘스트 코맨드를 순서대로 송신하는 폴링 처리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제2 탐색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S401 내지 S406에 있어서의 제1, 제2,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 처리는 어떤 순서로 행해도 된다. 또한, 병렬로 행하는 처리이면 3개의 통신방식에 의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3종류에 차지 않는 처리이어도, 4종류이상의 처리이어도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통신방식에 의한 처리를 예시하는 것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탐색 처리는 소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행해도 된다.
S407에서는, CPU(20)은, S401 내지 S406에서 검출된 기기가 수전장치(30) 이외에도 존재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CPU(20)이 수전장치 이외의 기기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407에서 YES)에는 처리를 S408로 진행하고, 수전장치 이외의 기기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407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408에서는, CPU(20)은, 통지부(19)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기기를 검출한 것에 의해 급전을 개시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에러 통지를 행하고, 통신장치(40)를 급전장치(10)의 통신 가능범위 내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촉구한다. CPU(20)이 에러 통지를 마친 후, 처리를 S409로 진행한다.
S409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의 재탐색이 가능한지 판정한다. CPU(20)은, 유저에게 에러 통지를 행한 후에, 유저에 의해 통신장치(40)가 제거되고, 급전장치(10)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재탐색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CPU(20)이 수전장치(30)의 재탐색이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S409에서 YES)에는 처리를 S401로 되돌려, S4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고, 수전장치(30)의 재탐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409에서 NO)에는, 재탐색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 S409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CPU(20)은 소정 시간 재탐색이 가능하지 않다고 계속해서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기기 정보 보존 처리(S305)>
다음에, 도 3의 S305에 있어서의 기기 정보 보존 처리를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S501에서는, CPU(20)은 S303에서 취득한 인증 정보로부터,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 후, 처리를 S502로 진행한다.
S502에서는, CPU(20)은 S501에서 취득한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를 RAM(17)에 기억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를 RAM(17)에 기억한 후, 처리를 S503으로 진행한다.
S503에서는, CPU(20)은 S502에서 취득한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에 관련되어 수전장치(30)를 검출한 통신방식에 관한 정보를 함께 RAM(17)에 기억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에 관련되어 수전장치(30)를 검출한 통신방식에 관한 정보를 함께 RAM(17)에 기억한 후, 처리를 S504로 진행한다.
S504에서는, CPU(20)은 S303에서 취득한 인증 정보 중에, 수전장치(30)의 식별 정보 이외에 다른 식별 정보가 없는지 판정한다. 이것은, 1대에서 복수의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기기가 있기 때문이다. CPU(20)이 다른 식별 정보가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S504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다른 식별 정보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504에서 YES)에는 처리를 S501로 되돌려, S5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2 탐색 처리(S306)>
다음에, 도 3의 S306에 있어서의 제2 탐색 처리를 도6a 및 도 6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S601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가 제1 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S305의 기기 정보 보존 처리에 의해 RAM(17)에 기억된 정보를 사용해서 판정을 행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가 제1 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1에서 YES)에는 처리를 S604로 진행하고, 수전장치(30)가 제1 통신방식에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1에서 NO)에는 처리를 S602로 진행한다.
S602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가 제2 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S305의 기기 정보 보존 처리에 의해 RAM(17)에 기억된 정보를 사용해서 판정을 행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가 제2 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2에서 YES)에는 처리를 S606으로 진행하고, 수전장치(30)가 제2 통신방식에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2에서 NO)에는 처리를 S603으로 진행한다.
S603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가 제3 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S305의 기기 정보 보존 처리에 의해 RAM(17)에 기억된 정보를 사용해서 판정을 행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가 제2 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3에서 YES)에는 처리를 S608로 진행하고, 수전장치(30)가 제3 통신방식에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3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604에서는, CPU(20)은,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제2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한다. CPU(20)은 제2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한 후, 처리를 S605로 진행한다.
S605에서는, CPU(20)은, S604에 있어서의 제2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에 대하여, 통신장치(40)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통신장치(40)로부터의 응답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5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3으로 진행하고, 통신장치(40)로부터의 응답이 소정 시간 없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5에서 NO)에는 처리를 S610b로 진행한다
S606에서는, CPU(20)은,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제3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하고, 처리를 S607로 진행한다.
S607에서는, CPU(20)은, S606에 있어서의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에 대하여, 통신장치(40)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통신장치(40)로부터의 응답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7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3으로 진행하고, 통신장치(40)로부터의 응답이 소정 시간 없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7에서 NO)에는 처리를 S610c로 진행한다.
S608에서는, CPU(20)은, ROM(18)에 격납되어 있는 제1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변복조회로(16)를 제어함으로써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하고, 처리를 S609로 진행한다.
S609에서는, CPU(20)은, S608에 있어서의 제1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에 대하여, 통신장치(40)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통신장치(40)로부터의 응답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9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3으로 진행하고, 통신장치(40)로부터의 응답이 소정 시간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S609에서 NO)에는 처리를 S610a로 진행한다.
이때, S604, S606 및 S608의 각 처리에 있어서, 수전장치(30)의 ID가 탐색되었을 경우, CPU(20)은 RAM(17)에 그 ID 정보를 기억한다.
S610a에서는, CPU(20)은,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했는지 판정함으로써, 통신장치(40)의 탐색을 종료할지 판정한다. CPU(20)이,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했다고 판정하고, 탐색을 종료할 경우(S610a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1로 진행한다. 또한, CPU(20)이,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탐색을 계속할 경우(S610a에서 NO)에는 처리를 S604로 진행한다.
S610b에서는, CPU(20)은, S610a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CPU(20)은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했는지 판정함으로써, 통신장치(40)의 탐색을 종료할지 판정한다. CPU(20)이,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했다고 판정하고, 탐색을 종료할 경우(S610b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1로 진행한다. 또한, CPU(20)이,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탐색을 계속할 경우(S610b에서 NO)에는 처리를 S606으로 진행한다.
S610c에서는, CPU(20)은, S610a 및 S610b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CPU(20)은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했는지 판정함으로써, 통신장치(40)의 탐색을 종료할지 판정한다. CPU(20)이,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했다고 판정하고, 탐색을 종료할 경우(S610c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1로 진행한다. 또한, CPU(20)이, 급전장치(10)가 제1 내지 제3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탐색을 계속할 경우(S610c에서 NO)에는 처리를 S608로 진행한다.
S611에서는, CPU(20)은, RAM(17)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S604, S606 및 S608의 탐색 처리에 있어서, 수전장치(30)의 ID가 검출되었는지 판정한다. CPU(20)은, S604, S606 및 S608의 처리에 있어서 수전장치(30)의 ID가 검출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S611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2로 진행하고,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S611에서 NO)에는 처리를 S613으로 진행한다.
S612에서는, CPU(20)은, RAM(17)에 기억한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트함으로써, 급전장치(10)를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한다.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급전장치(10)는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이 가능해 진다. CPU(20)은 RAM(17)에 기억한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트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S613에서는, CPU(20)은, RAM(17)에 기억한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리셋함으로써, 급전장치(10)를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이행한다.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급전장치(10)는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개시할 수 없다. CPU(20)은 RAM(17)에 기억한 급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리셋한 후, 처리를 S614로 진행한다.
S614에서는, CPU(20)은, 통지부(19)를 제어함으로써, 통신장치(40)의 존재 혹은 수전장치(30)의 부재에 의해 급전을 개시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에러 통지를 행하고, 처리를 S615로 진행한다. 에러 통지를 행함으로써, 통신장치(40)를 급전장치(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로부터 제거하는 것, 혹은 수전장치(30)를 급전장치(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배치하는 것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S615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와 통신장치(40)의 재탐색이 가능한지 판정한다. CPU(20)은, 유저에게 에러 통지를 행한 후에, 유저에 의해 통신장치(40)가 제거되거나, 혹은 수전장치(30)가 배치되어, 급전장치(10)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재탐색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CPU(20)이 수전장치(30)와 통신장치(40)의 재탐색이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S615에서 YES)에는 처리를 S616으로 진행하고, 수전장치(30)의 재탐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615에서 NO)에는, 재탐색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 S615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CPU(20)은 소정 시간 재탐색이 가능하지 않다고 계속해서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도 3의 스타트 시점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S616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와 통신장치(40)의 재탐색이 소정 횟수 이상 행해졌는지 판정한다. CPU(20)은 수전장치(30)와 통신장치(40)의 재탐색이 소정 횟수 이상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S616에서 YES)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횟수 이상 행해지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16에서 NO)에는 처리를 S601로 되돌려, S6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급전 제어에 따르면,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수전장치(30)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도, 제2 탐색 처리에 의해 수전장치(30)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40)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급전을 개시할 수 없도록 제어된다. 즉, 수전장치(30)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40)가 급전장치(10)에 당초부터 배치되어 있는 상황이나, 수전장치(30)와 동시에 배치된 상황에 있어서,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렇게, 급전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를 탐색함으로써, 수전장치(30)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40)에는 급전을 하지 않도록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개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다음에, 실시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화를 위해, 실시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 및 장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 1과 같으며, 급전장치(10)의 동작 처리가 실시형태 1과 다르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급전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를 탐색함으로써 수전장치(30) 이외의 통신장치(40)에는 급전을 하지 않도록 급전 개시를 제한한다. 특히, 본실시형태에서는, 급전장치(10)의 동작 처리의 도중에 통신장치(40)가 삽입된 상황에 있어서,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와 매회 통신 처리를 행할 경우에,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매회 행해지는 통신 처리를 최소한으로 그치기 위해서, 수전장치(30)와의 인증을 매회 행하지 않고, 급전 요구를 나타내는 코맨드를 수전장치(30)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통신장치(40)의 탐색을 행한다.
<급전 동작>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의 급전장치(10)에 의한 급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7의 처리는, CPU(20)이 ROM(18)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7의 S701, S702, S703, S704에서는, 도 3의 S301, S302, S303, S304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S705에서는,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 급전 요구를 수신했는지 판정하여, 급전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S705에서 YES)에는 처리를 S706으로 진행하고, 급전 요구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705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706에서는, CPU(20)은, S705에서 수전장치(30)로부터 수신한 급전 요구에 따른 전력이 소정값 이내인지 판정한다. 소정값은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와 통신할 때에 송신되는 전력값에 해당한다. 이때, 소정값은, 급전장치(10)와 수전장치(30)의 상태에 따라 임의로 변경해도 된다. CPU(20)은 수전장치(30)로부터의 요구 전력이 소정값 이내라고 판정했을 경우(S706에서 YES)는 처리를 S709로 진행하고, 소정값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706에서 NO)에는 처리를 S707로 진행한다.
도 7의 S707, S708, S709, S710에서는, 도 3의 S306, S307, S308, S309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급전 제어에 따르면, 급전장치(10)가 수전장치(30)와 급전 개시전의 통신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도중에 수전장치(30)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40)가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급전을 개시할 수 없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급전 개시전의 통신 처리중에 수전장치(30)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40)를 탐색함으로써, 수전장치(30) 이외의 다른 통신장치(40)에는 급전을 하지 않도록 수전장치(30)에의 급전을 개시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m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7년 1월 20일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인 특원 2017-008783을 기초로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것의 기재 내용의 전체를 여기에 원용한다.
10…급전장치, 11…안테나, 20…CPU, 30…수전장치, 31…안테나, 36…CPU, 40…통신장치, 41…안테나, 44…CPU

Claims (19)

  1. 비접촉으로 수전장치에 급전가능한 급전장치로서,
    수전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과,
    수전장치에의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수전장치를 검출하는 제1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에의 급전을 행하기 전에,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를 검출하는 제2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의해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가 급전가능한 기기일 경우, 상기 제2 탐색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로부터 급전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제2 탐색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로부터 해당 수전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수전장치가 대응하는 통신방식을 취득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수전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수전장치가 대응하는 통신방식을 관련시켜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수전장치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 제1 탐색 처리를 반복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복수의 기기를 검출했을 경우,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복수의 기기를 검출했을 경우,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개시 가능하지 않은 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8.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가 대응하는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 처리를, 상기 수전장치가 대응하지 않고 있는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 처리의 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가 대응하지 않고 있는 통신방식에 의한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의해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를 검출했을 경우,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개시 가능하지 않은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통지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와의 인증 처리를 행하지 않고 급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와의 인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의해 상기 수전장치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수전장치와의 인증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개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2 탐색 처리를 다시 행하고,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탐색 처리를 소정 횟수 이상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급전 요구에 의해 요구된 전력이 소정값 이내인 경우, 상기 제2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식은, ISO/IEC14443, ISO/IEC15693, ISO/IEC18092에 의해 규정된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수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급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8. 수전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과,
    수전장치에의 비접촉에 의한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급전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수전장치를 검출하는 제1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에의 급전을 행하기 전에, 복수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1개의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를 검출하는 제2 탐색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2 탐색 처리에 의해 상기 수전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수전장치에의 급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탐색 처리에 의해 검출된 수전장치가 급전가능한 기기일 경우, 상기 제2 탐색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의 제어방법.
  19. 컴퓨터를, 청구항 1, 3 내지 7, 11, 12, 15, 16 및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전장치의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KR1020197023442A 2017-01-20 2017-11-06 급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3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08783A JP6970507B2 (ja) 2017-01-20 2017-01-20 給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JP-P-2017-008783 2017-01-20
PCT/JP2017/039923 WO2018135092A1 (ja) 2017-01-20 2017-11-06 給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075A KR20190102075A (ko) 2019-09-02
KR102203330B1 true KR102203330B1 (ko) 2021-01-15

Family

ID=6290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442A KR102203330B1 (ko) 2017-01-20 2017-11-06 급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1469624B2 (ko)
EP (3) EP3573214B1 (ko)
JP (1) JP6970507B2 (ko)
KR (1) KR102203330B1 (ko)
CN (1) CN110226277B (ko)
DK (1) DK4044401T3 (ko)
WO (1) WO2018135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0507B2 (ja) 2017-01-20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TW202002460A (zh) * 2018-06-13 2020-01-01 金碳洁股份有限公司 微波充電管理電路及其方法
JP7358043B2 (ja) * 2018-10-31 2023-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22107A (ja) * 2021-02-09 2022-08-22 オムロン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633A (ja) * 2013-08-07 2015-12-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無線誘導電力伝送
JP2016103121A (ja) * 2014-11-27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1115D0 (en) * 2005-01-19 2005-02-23 Innovision Res & Tech Plc Combined power coupling and rf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640439A (zh) * 2008-07-16 2010-02-0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输电/受电控制装置、输电/受电装置、电子设备及无接点电力传输方法
JP5603647B2 (ja) * 2009-05-13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給電通信システム
JP2010284006A (ja) 2009-06-05 2010-12-16 Nec Tokin Corp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548514B2 (ja) * 2010-04-27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
JP5539068B2 (ja) * 2010-06-3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
CN101902341B (zh) * 2010-07-19 2014-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对受电设备进行供电的方法及装置
US9252846B2 (en) * 2011-09-09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a wireless power device
US8942623B2 (en) * 2011-12-02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NFC peer mode connection times
JP2013172499A (ja) * 2012-02-20 2013-09-02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US8867990B2 (en) * 2012-02-29 2014-10-21 Broadcom Corporation Detecting a presence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s
US9094049B2 (en) * 2012-04-10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evice activition among a plurality of NFC devices that support type a RF technology
KR101899161B1 (ko) * 2012-05-16 2018-09-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JP5900228B2 (ja) * 2012-08-06 2016-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9601930B2 (en) * 2012-09-28 2017-03-21 Broadcom Corporation Power transmitting device having device discovery and power transfer capabilities
US9887743B2 (en) * 2012-10-29 2018-0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ag talks first devices
JP5838987B2 (ja) * 2013-03-28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2014222963A (ja) * 2013-05-13 2014-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給電装置、給電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968493B (zh) * 2013-06-05 2021-07-23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电力接收器、无线电力发送器及其控制方法
JP6220211B2 (ja) * 2013-10-01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81706B2 (en) * 2014-01-23 2016-03-08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 Object detection in a wireless charging field
KR102363633B1 (ko) * 2014-02-20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US20160057255A1 (en) * 2014-08-22 2016-02-25 Mediatek Inc. Unified communications receiver and associated method
US9780837B2 (en) * 2014-08-29 2017-10-03 Freelinc Technologies Spatially enabled secure communications
JP6564256B2 (ja) 2015-06-19 2019-08-21 株式会社Subaru 内燃機関
US10135295B2 (en) * 2015-09-22 2018-11-20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nullifying energy level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aves
US9912567B2 (en) * 2015-09-23 2018-03-06 Mediatek Inc. Method of handling NFC device with non-fixed low power polling number and NFC device using the same
JP6700856B2 (ja) * 2016-02-26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WO2017179874A1 (ko) * 2016-04-12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WO2017217686A1 (en) * 2016-06-16 2017-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0212576B2 (en) * 2016-09-08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JP6970507B2 (ja) 2017-01-20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8148672A (ja) * 2017-03-03 2018-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電子機器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給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633A (ja) * 2013-08-07 2015-12-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無線誘導電力伝送
JP2016103121A (ja) * 2014-11-27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26277B (zh) 2023-12-12
DK4044401T3 (da) 2024-02-19
US11469624B2 (en) 2022-10-11
EP4044401B1 (en) 2024-01-31
EP4333261A2 (en) 2024-03-06
CN110226277A (zh) 2019-09-10
EP3573214A1 (en) 2019-11-27
EP3573214B1 (en) 2023-05-10
WO2018135092A1 (ja) 2018-07-26
US20190341816A1 (en) 2019-11-07
KR20190102075A (ko) 2019-09-02
US20220271573A1 (en) 2022-08-25
EP3573214A4 (en) 2020-06-17
JP6970507B2 (ja) 2021-11-24
JP2018117502A (ja) 2018-07-26
EP4044401A1 (en) 2022-08-17
US20240106281A1 (en)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330B1 (ko) 급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804694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
JP5854640B2 (ja) 電子機器、受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78073B1 (ko) 급전장치
JP5959862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186906B2 (en) Power-transmitting apparatus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power-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00311B1 (ko) 전자기기 및 급전장치
JP2014007863A (ja)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41886A (ko) 전자기기
WO2018154952A1 (ja) 給電装置及び電子機器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7073048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278356B2 (ja) 給電装置、受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67958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099196A (ja) 給電装置、送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22986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8133855A (ja) 給電装置
JP2018117483A (ja)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03327A (ja) 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60034815A (ko) 전자기기 및 급전장치
JP2018133856A (ja) 給電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