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21B1 -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21B1
KR102203321B1 KR1020187007364A KR20187007364A KR102203321B1 KR 102203321 B1 KR102203321 B1 KR 102203321B1 KR 1020187007364 A KR1020187007364 A KR 1020187007364A KR 20187007364 A KR20187007364 A KR 20187007364A KR 102203321 B1 KR102203321 B1 KR 102203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ase plate
bone
installation ho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384A (ko
Inventor
야스히로 이츠키
노리히사 오카다
준이치 코노
Original Assignee
이츠키 야수히로
오카다이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츠키 야수히로, 오카다이자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츠키 야수히로
Publication of KR2018006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5Details of the shape with a steppe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 뼈에 내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2)로서, 스크류 본체(6b) 및 감합부(14)를 갖는 제1 스크류(6, 6B); 플레이트 고정구(13); 제2 스크류; 제1 면(4p), 제2 면(4q)을 갖고, 제1 설치 구멍(24A, 24B)과 제2 설치 구멍(26)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8월 1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2015-161298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기존 치열을 교정하는 방법에는 특정 치아가 고정되고 고정된 치아와 이동시키는 치아(즉, 교정하는 치아)를 연결하고 교정할 치아를 당겨 이동시키는 교정 방법이 있다. 이 교정 방법은 고정된 치아와 이동시키는 치아끼리 당기고 서로 당기기 때문에 고정된 치아도 이동시키는 치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의 나사부를 형성한 나사식 임플란트를 턱 부분의 뼈에 내장하여, 이 임플란트에 플레이트 및 와이어 등을 고정하고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의 단부를 치아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된 치아의 이동을 억제하는 치열 교정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구강 내 턱뼈 등의 뼈에 나사 결합되는 2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임플란트 구조를 이용한 치열 교정은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부 구조가 나사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 구조를 통해 치열이 교정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 4680209 호 공보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는 여러 나사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강 내의 턱뼈 등의 뼈(이하 "뼈"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눌려 직접 지지시키기 위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눌린 방향으로 뼈가 가라앉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뼈의 가라앉음이 발생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뼈 사이에 서서히 틈이 생겨 베이스 플레이트가 불안정해지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불안정해질 때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상부 구조체, 플레이트, 와이어 등이 치열에 주는 교정력이 저하되고, 치열 교정의 효과가 감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시켜 지지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사용하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구강 내 뼈에 내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며, 뼈에 내장된 스크류 본체 및 스크류 본체의 머리부에 나사가 형성된 감합부를 갖는 제1 스크류, 나사에 나사 결합 가능한 플레이트 고정구 및 뼈에 내장되고 머리부를 갖는 제2 스크류 및 뼈를 향해 배치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 면을 갖고, 제1 면에서 감합부가 결합 가능한 제1 설치 구멍과 제2 면에서 제2 스크류를 삽입 가능하여 상기 제2 스크류의 머리부를 걸림 가능한 제2 설치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다.
이러한 제1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는, 제1 스크류가 턱뼈 등의 뼈에 내장되고 뼈에서 돌출된 감합부에 제1 설치 구멍을 제1 면 측에서 감합되는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면에서 제1 설치 구멍에 배치된 제1 스크류의 나사에 플레이트 고정구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1 스크류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는 뼈가 아니라 제1 스크류의 감합부(및 플레이트 고정구)에 의해 제1 면에서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접 지지된다. 한편, 제2 스크류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면에서 제2 설치 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1 면에서 삽입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턱뼈 등의 뼈에 내장되는 것으로,베이스 플레이트는 제2 스크류의 머리부로, 제2 면에서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접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의하면, 제1 스크류 및 제2 스크류가 뼈에서 빠지지 않고 뼈에 단단히 고정되는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뼈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제1 스크류 및 제2 스크류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뼈의 상방에서 안정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제1 스크류가 스크류의 축 방향으로 감합부 보다 나사부에 가까운 위치에 스크류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제1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다. 이 제2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가 그 두께 방향에서 스토퍼 및 비스에 의해 협지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제2 설치 구멍에는 제1 면에서 제2 면을 향해 확경 된 좌면이 형성되고, 제2 스크류의 머리부는 좌면에 접하는 접촉면을 갖는 제2 태양 또는 제 2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다. 이 제3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의하면, 제2 스크류가 제2 면에서 제1 면 측을 향해 삽입된 때 접촉면이 좌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면에서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제 2 스크류의 머리부에 의한 지지가 강해진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제1 설치 구멍, 제2 설치 구멍 및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상부 구조물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설치 구멍 또는 상기 제2 설치 구멍과 설치부 사이에는 플레이트 부분을 임의의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노치부가 형성되어있는 제1 내지 제3 태양 중 하나의 치아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다.
이 제4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의하면, 플레이트 부분의 제1 설치 구멍 또는 제2 설치 구멍과 설치 사이에 형성되는 노치부의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플레이트 부분을 임의의 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굴곡된 방향에 따라 설치부의 위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즉, 설치부에 장착되는 상부 구조체의 원하는 자세에 따라 설치부의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강 내의 턱뼈에 고정한 후 상부 구조체의 형상이나 용도에 맞게 설치부의 위치가 쉽게 조정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정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서 어긋난 경우에도 설치부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부 구조체에 맞추어 높은 정밀도로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대략적인 위치에 고정하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이 쉬워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노력과 시간이 절감된다. 또한 플레이트 부분의 노치부의 형성 위치, 방향, 형성 개소 수 등을 바꾸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원하는 모양으로 굴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상부 구조체를 소정의 자세로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가 되지 않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노치부가 플레이트 부분의 소정 부분의 폭을 작게 해서 형성되어 제4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다. 이 제5 태양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의하면, 플레이트 부분의 폭이 작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플레이트 부분이 굴곡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은, 제 1 스크류, 플레이트 고정구, 및 제2 스크류를 이용하여 뼈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로서, 뼈를 향해 배치되는 제 1면 및 제1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갖는 동시에, 제1 면 측에서 감합부가 감합되고, 상기 감합부에 설치된 나사에 상기 플레이트 고정 구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하는 제1 설치 구멍 및 상기 제2 면 측에서 제2 스크류를 삽입 가능하여 제2 스크류의 머리부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제2 장착 구멍이 형성되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이다. 이 제6 태양의 치열 교정용 지그에 의하면, 치열 교정용 지그는 뼈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제1 스크류 및 제2 스크류에 직접 지지되기 때문에 흔들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이 치열 교정용 지그에 상부 구조체, 플레이트, 와이어 등이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된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시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지그에 의하면,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적용할 수 있고, 상부 구조체, 플레이트, 와이어 등을 이용한 치열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P-P 선으로 시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제1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제2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제2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제2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D-D 선으로 시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제1 스크류 및 플레이트 고정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제1 스크류 및 플레이트 고정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너트(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의 제1 스크류 및 플레이트 고정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 스크류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평면에서 볼 때 제1 스크류의 중심에서 제1 스크류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절단했을 경우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하 "임플란트 구조"라 칭함)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길이, 폭 및 두께의 비율 등은 실제와 동일한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한다)인 임플란트 구조(2)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P-P 선으로 시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플란트 구조(2)는 제1 스크류(6), 비스(12), 제2 스크류(8),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 용 임플란트 지그)(4), 상부 구조체(10), 비스(40)를 구비하고 있다. 임플란트 구조(2)는, 구강 내 턱 부분의 도시하지 않은 뼈에 내장하여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구조(2)는 뼈에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를 내장하여,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에 베이스 플레이트(4)를 지지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4)에 상부 구조체(10)를 연결 및 고정하여 구강 내에 배치하고, 상부 구조체(10)에 도시하지 않은 교정용 브라켓 등을 밀랍 등에 의해 고착시키고, 그것에 도시하지 않은 교정용 와이어, 에라스틱스, 스프링 등을 통해 소정의 치아(도시 생략)에 접속하는 것으로, 치아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제1 스크류(6)의 사시도이다. 제1 스크류(6)는,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의 생체 친화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제1 스크류(6)는 제1 머리부(6a) 및 제1 머리부(6a)에서 스크류 축 방향(D6)에 따라 돌출되어, 뼈에 내장되는 제1 스크류 본체(6b)를 갖는다. 여기에서 제1 머리부(6a)는 본원의 제1 스크류의 머리부에 해당하며, 제1 스크류 본체(6b)는 스크류 본체에 해당한다.
제1 머리부(6a)는 암나사(나사)가 형성된 감합부(14)를 갖는다. 이 암나사는 제1 머리부(6a)의 상면 (측)에 개구하고, 상면에서 스크류 축 방향(D6)에 따라 형성된 오목부의 측벽에 머리부(6a)의 내부를 제1 스크류 본체(6b)를 향해 진입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이 암나사의 제1 머리부(6a)의 상면에서 스크류 축방행(D6)의 깊이(길이)는 후술하는 비스(플레이트 고정구)(12)의 수나사 전체가 나사 결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 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암나사의 진입 방향의 선단은 제1 스크류 본체(6b)의 내부에 도달하지 않지만, 오목부의 제1 머리부(6a)의 상면에서 깊이 방향의 바닥단은 제1 스크류 본체(6b) 내부에 도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머리부(6a)의 전체가 감합부(14)를 이루어(도 4 참조) 육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14)의 평면에서 보는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감합부(14)의 평면에서 보는 형상이 다각형이면, 그 다각형에 따라 후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설치 구멍(24A, 24B)(도 1 및 도 10 참조)의 내주 형상을 다각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서로의 다각형의 모서리 부분이 걸리게 됨으로써 감합부(14)의 원주 방향의 베이스 플레이트(4)의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제1 스크류 본체(6b)의 외주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있다. 제1 스크류 본체(6b)의 스크류 축방향(D6)의 길이는 뼈에 내장되었을 때 제1 스크류(6)가 뼈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스크류 본체(6b)에 있어서 제1 머리부(6a)로부터 스크류 축방향(D6)을 따라서 돌출된 단부는 가늘어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돌출 단부의 테이퍼 부분의 내각은 120°로 되어있다. 그러나 돌출 단부의 테이퍼 부분의 내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각도로 설정되면 된다.
또한 제1 스크류(6)는 스크류 축방향(D6)에서 감합부(14)보다 제1 스크류 본체(6b)에 가까운 위치에 스토퍼(1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6)는 제1 머리부(6a)에 가까운 제1 스크류 본체(6b)의 단부에서 스크류 축방향(D6)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D7)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축방향(D6)에 따라 스토퍼(16)를 단면에서 볼 때 감합부(14)에 가까운 스토퍼(16)의 상면(16u)은 직경 방향(D7)과 평행을 이루고 있는데, 제1 스크류 본체(6b)에 가까운 스토퍼(16)의 하면(16d)은 직경 방향(D7)에 확경한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향함에 따라 제1 스크류 본체(6b)의 내장 방향의 선단(6c)에 점차 가까워 지도록 경사져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스토퍼(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 스크류 본체(6b)가 뼈에 쉽게 내장되고 교정자에 대한 부담도 완화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16)는 제1 스크류 본체(6b)의 원주 방향 전체에서 직경 방향(D7)을 향해 돌출되도록, 즉 환형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스토퍼(16)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토퍼(16)는 제1 스크류 본체(6b)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서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비스(12)는,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의 생체 친화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12)는 제1 스크류(6)의 감합부(14)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 가능한 부재이며, 머리부(12a) 및 머리부(12a)에서 축 방향(D12)에 따라 돌출된 비스 본체(12b)를 갖는다.
머리부(12a)에는 비스(12)를 제1 스크류(6)에 설치할 때 공구 등을 삽입시킬 목적으로 평면에서 볼 때 십자 모양을 이루는 홈(이하 십자 홈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22)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십자 홈(22)에 접하는 머리부(12a)의 중앙 상단부는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비스(12)의 취급 및 제1 스크류(6)로의 설치의 용이성을 저해하지 않으면 머리부(12a) 및 홈(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스 본체(12b)의 외주부에는 제1 스크류(6)의 제1 머리부(6a)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 가능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비스 본체(12b)에 형성된 수나사의 축 방향(D12)의 길이는 비스(12)의 머리부(12a)와 제1 스크류(6)의 스토퍼(16) 사이에서 후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은 제2 스크류(8)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측면도이다. 제2 스크류(8)는,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의 생체 친화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제2 스크류(8)는 제2 머리부(8a) 및 제2 머리부(8a)에서 스크류 축 방향(D8)에 따라 돌출되어 뼈에 내장되는 제2 스크류 본체(8b)를 갖는다. 여기서 제2 머리부(8a)는 본원의 제2 스크류의 머리부에 해당한다.
제2 머리부(8a)는 접촉면(18)을 갖는다. 접촉면(18)은 제2 머리부(8a)의 측벽의 원주 방향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머리부(8a)는 제2 스크류 본체(8b)와의 연결 위치에서 제2 스크류 본체(8b)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제2 스크류 본체(8b)에서 스크류 축 방향(D8)에 따라 이격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머리부(8a)는 제2 스크류(8)을 뼈에 삽입 할 때 공구 등을 삽입시킬 목적으로, 십자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십자홈(22)에 접하는 제2 머리부(8a)의 중앙 상단부는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제2 스크류(8)의 취급 및 뼈로의 내장의 용이성을 저해하지 않으면 제2 머리부(8a) 및 홈(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스크류 본체(8b)의 외주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있다. 제2 스크류 본체(8b)의 스크류 축 방향(D8)의 길이는 뼈에 내장되었을 때 제2 스크류(8)가 뼈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스크류 본체(8b)에서는, 제2 머리부(8a)에서 스크류 축 방향(D8)을 따라 돌출된 단부가 가늘어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돌출 단부의 테이퍼 부분의 내각은 120°로 되어있다. 그러나 돌출 단부의 테이퍼 부분의 내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각도로 설정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뼈에 최대한으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2 스크류(8)를 안정시킬 목적으로, 제2 스크류 본체(8b)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는 제2 머리부(8a)의 제2 스크류 본체(8b)에 가까운 단부에 진입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베이스 플레이트(4)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사시도이며, 도 10는 평면도이고, 도 11는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D-D 선에서 시시한 단면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4)는,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의 생체 친화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긴 모양(밴드 형)이며, 길이 방향으로 구강 내 턱뼈 등의 뼈를 향해 배치되는 제1 면(4p) 및 제1 면(4p)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 면(4q)을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4)의 길이 방향 단부(4c)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의 도시의 예에서는 총 세 개)의 설치 구멍으로, 제1 설치 구멍(24A, 24B) 및 제2 설치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부(4c)를 포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부분에 2개의 제1 설치 구멍(24A, 24B)과 그 사이에 마련된 제2 설치 구멍(2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설치 구멍(24A, 24B) 및 제2 설치 구멍(26)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설치 구멍(24A, 24B)은 제1 면(4p)에서 제1 스크류(6)의 감합부 (14)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설치 구멍(24A)의 내주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스크류(6)의 제1 머리부(6a)(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합부 14)와 동일한 단면 형상인 육각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1 설치 구멍(24A)에 감합부(14)가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설치 구멍(24B)의 내주는 평면에서 볼 때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베이스플레이트(4)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이 긴 장공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 설치 구멍(24B)이 베이스 플레이트(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2개의 제1 스크류(6, 6)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거나 서로 스크류 축방향(D6)끼리 평행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삽입할 수 없는 경우에도 하나의 제1 스크류(6)의 감합부(14)를 제1 설치 구멍(24A)에 감합하고, 다른 쪽 제1 스크류(6)의 감합부(14)를 긴 구멍의 범위 내에서 제1 설치 구멍(24B)에 감합시켜 베이스 플레이트(4)를 모두 제1 스크류(6)에 설치할 수 있다.
제2 면(4q) 측에 가까운 제1 설치 구멍(24A, 24B)의 내주연에는 개구부 내로 돌출된 테두리부(25)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테두리부(25)는 제1 스크류(6)의 감합부(14)에 형성된 암나사에 비스(12)의 비스 본체(12b)에 형성된 수나사가 나선 결합했을 때, 감합부(14)와 비스(12)의 머리부(12a)와 사이에 협지된다(도 4 참조).
제2 설치 구멍(26)은 제2 면(4q)에서 제2 스크류(8)의 제2 스크류 본체(8b) 및 제2 머리부(8a)가 이 순서로 삽입되고, 제2머리부(8a)가 구멍 내에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설치 구멍(26)은 제2 스크류(8)의 제2 머리부(8a)의 외형을 따라 제1 면(4p)에서 제2 면(4q)을 향해 확경되고 있다. 따라서, 제2 설치 구멍(26)의 측벽에는 제1 면(4p)에서 제2 면(4q)을 향하여 확경된 좌면(27)이 형성되어 있다. 좌면(27)은 제2 스크류(8)의 접촉면(18)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길이 방향에서 제2 설치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제2 스크류(8)를 삽입했을 때 제2 스크류 본체(8b)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다소 굴곡되어 있다. 제2 설치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돌출 높이는 제1 스크류(6)의 스토퍼(16)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있다. 이처럼 굴곡있는 것으로,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가 지지된 때, 제2 설치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제1 면(4p)과 제1 스크류(6) 의 스토퍼(16)의 하면(16d)이(즉, 도 2 가상 선 L1이) 뼈의 상면에 접촉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베이스 플레이트 (4)는 일례이며, 베이스 플레이트(4)는 굴곡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설치 구멍(24A)과 제2 설치 구멍(26) 사이, 그리고 제1 설치 구멍(24B)과 제2 설치 구멍(26)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4)의 폭은 축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4)의 경량화를 도모 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치 구멍(24A)과 제2 설치 구멍(26) 사이, 그리고 제1 설치 구멍(24B)과 제2 설치 구멍(26)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를 쉽게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제1 설치 구멍(24A, 24B) 및 제2 설치 구멍(2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베이스 플레이트(4)의 길이 방향 단부(4d)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노치부(30, 30)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상부 구조체(10)를 베이스 플레이트(4)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2)가 설치되어있다.
한 쌍의 노치부(30, 30)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폭이 양쪽에서 작아 지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의 가장자리를 폭 방향의 중심을 향해 대략 반원 모양으로 노치하므로써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설치 구멍(24A, 24B) 및 제2 설치 구멍(26)을 고정하고 노치부(30)의 형성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설치부(32)를 포함하는 부분에 도 10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제1 굴곡 방향(D41)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를 포함하는 부분이 제1 굴곡 방향(D41)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마찬가지로, 노치부(30)의 형성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를 포함하는 부분에 도 10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제 2 굴곡 방향(D42)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를 포함하는 부분이 제 2 굴곡 방향(D42)으로 굴곡하기 쉬워진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면(4p) 또는 제2 면(4q)에는 폭 방향 전체에 걸쳐 베이스 플레이트(4)의 판 두께를 얇게 하여 형성된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베이스 플레이트(4)는 제1 설치 구멍(24A, 24B) 및 제2 설치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대략 절반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설치부 (32)를 포함하는 대략 절반 부분을 도 11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제3 굴곡 방향(D43)에 따라 절곡하도록 설치부(32)를 포함하는 대략 절반 부분에 힘을 가함으로써 설치부(32)를 포함하는 대략 절반 부분을 구부리고, 설치부(32)를 포함 선단부를 도 11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제4 굴곡 방향(D44)을 따라 절곡하도록 설치부(32)를 포함하는 선단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두 부분에서 거의 수직으로 굴곡된 크랭크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4)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 플레이트(4)는 제1 스크류(6), 비스(12), 및 제2 스크류(8)를 이용하여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형상으로 뼈의 위쪽에 위치하여 지지 및 고정된 후에 굴곡될 수 있다.
설치부(32)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2 면(4q)에서 소정의 길이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부(32)는 평면에서 볼 때 원주 방향에서 등 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의 도시 예에서는 여덟 개)의 돌기를 가진 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부(32)의 중심에는 설치부(3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이 관통 구멍은 베이스플레이트(4)를 관통하고 있다. 설치부(32)의 관통 구멍의 측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있다. 설치부(32)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설치부(32)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면(4p)에서 소정의 길이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 개의 설치부(32)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구조체(10)는 SUS(스테인레스) 등의 생체 친화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부 구조체 (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띠 형상의 몸체이다.
상부 구조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는 베이스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부(32)의 별 모양의 돌기에 대응 한 형상의 삽입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부 구조체(10)의 삽입 구멍(23)이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삽입된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에 대한 상부 구조체(10)의 삽입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설치부(32)는 돌기 숫자 8개의 대략 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45도 각도의 간격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에 대한 상부 구조체(10)의 설치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10)의 형상은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장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구조체(1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 측에 베이스부(11)가 설치되고, 상부 구조체(10)가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설치된 경우처럼, 상부 구조체(10)가 설치부(32)에서 오직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또한, 상부 구조체(10)는 도시하지 않은 교정용 브라켓 등을 밀랍 등에 의해 고착시키고, 그 교정용 브라켓 등에 도시하지 않은 교정용 와이어, 에라스틱스, 스프링 등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비스(40)는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의 생체 친화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비스(40)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 가능한 부재이며, 머리부(40a) 및 머리부(40a)에서 축 방향(D40)을 따라 돌출된 비스 본체(40b)를 갖는다.
머리부(40a)에는 비스(40)를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장착할 때 공구 등을 삽입시킬 목적으로, 십자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십자홈(22)에 접하는 머리부(40a)의 중앙 상단부는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비스(40)의 취급 및 설치부(32)로의 설치의 용이성을 저해하지 않으면 머리부(40a) 및 홈(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스 본체(40b)의 외주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 가능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비스 본체(40b)에 형성된 수나사의 축 방향(D40)(도 2 및 도 4 참조)의 길이는 본 실시형태에서,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형성된 암나사의 베이스 플레이트(4)의 두께 방향 (즉 제2 면(4q)에서 제1 면(4p)으로 향하는 방향)의 깊이보다 작다. 또한, 이 비스의 축 방향(D40)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스(40)가 안정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4)에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임플란트 구조(2)를 구강 내 턱 부분 등의 도시하지 않은 뼈에 내장시키는 방법(이하 「매입 방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설명한다.
임플란트 구조(2)를 뼈에 내장 시에는 먼저, 치열 교정을 실시해야 할 환자의 구강 내 턱 뼈(예를 들면, 상악 구개 뼈의 중앙부 등)에 임플란트 구조(2)의 앵커 위치(즉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의 매입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전용 드라이버(도시 생략)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소정 개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제1 스크류(6)를 뼈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시키면서 스크류 축 방향(D6)으로 내장시킨다. 이때 제1 스크류(6)의 스토퍼(16)의 하면이 뼈 또는 점막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나사 체결을 종료시킨다. 이때, 스토퍼(16)가 뼈 또는 점막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스크류(6)가 뼈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내장한 2개의 제1 스크류(6) 중 하나의 제1 스크류(6)의 감합부 (14)에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설치 구멍(24A)를 감합하고, 다른 제1 스크류(6)의 갑함부(14)에 제1 설치 구멍(24B)를 감합하여 제1 면(4p)이 뼈를 향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를 배치한다. 이때, 예를 들어 2개의 제1 스크류(6)의 각 스크류 축방향(D6)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라도, 제1 설치 구멍(24B)의 장축 방향의 범위 내에서 두 개의 제1 스크류(6)에 베이스 플레이트(4)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스크류의 내장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용 드라이버(도시 생략)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비스(12)의 비스 본체(12b)에 형성된 수나사를 감합부(14)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를 고정하고 베이스 플레이트(4)를 제1 스크류(6)에 의해 지지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장한 2개의 제1 스크류(6)의 각 스크류 축방향(D6)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베이스 플레이트(4)가 티타늄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4)를 적절히 만곡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 설치 구멍(24A, 24B)의 위치를 감합부 (14)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용 드라이버(도시 생략)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제2 스크류(8)의 제2 스크류 본체(8b)를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2 설치 구멍(26)에 제2 면(4q)에서 삽입한다. 그리고 제2 스크류(8)의 제2 스크류 본체(8b)를 제1 면(4p)에서 돌출된 부분을 회전시키면서 스크류 축 방향(D8)으로 내장시킨다. 이때 제2 스크류(8)의 접촉면(18)이 제2 설치 구멍(26)의 좌면(27)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나사 체결을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상부 구조체(10)의 삽입 구멍(23)을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부(32)에 삽입 관통시킨다. 이어 전용 드라이버(도시 생략)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비스(40)의 비스 본체(40b)에 형성된 수나사를 설치부(32)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구조체(10)를 베이스 플레이트(4)에 고정한다. 이후, 상부 구조체(10)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교정용 브라켓 등을 밀랍 등에 의해 고착시키고, 그 교정용 브라켓 등에 도시하지 않은 교정용 와이어, 에라스틱스, 스프링 등의 치열 고정구를 연결한다. 그리고 이러한 치아 고정 장치와 교정 대상의 치아 또는 치열을 연결시킨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임플란트 구조(2)를 구강 내 턱 부분 등의 도시하지 않은 뼈에 내장시키고, 또한, 교정 대상 치아 또는 치열을 임플란트 구조(2)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를 다른 방향에서 당겨 움직이고 싶은 경우, 또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비스(40)를 풀거나, 설치부(32)에서 비스(40)를 뽑아 상부 구조체(10)를 설치부(32)의 위쪽으로 분리하여, 설치부(32)의 성형에 대한 원래의 배치 각도에서 적당한 배치 각도로 변경하고, 적당한 배치 각도로 상부 구조체(10)를 설치부(32)의 위쪽에서 설치하여, 즉 상부 구조체(10)의 베이스 플레이트(4)에 대한 배치 각도를 변경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임플란트 구조(2)에 의하면, 제1 스크류(6)를 턱뼈 등의 뼈에 내장하여 그 뼈에서 돌출된 감합부(14)에 제1 설치 구멍(24A, 24B)을 제1 면(4p)에서 감합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4)가 제1 스크류(6)에 장착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2 면(4q)에서 제1 스크류(6)의 암나사에 비스(12)의 수나사를 나사 결합 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4)가 제1 스크류(6)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는 제1 스크류(6)와 비스(12) 사이에 끼워지고, 뼈가 아니라 제1 스크류(6)에 직접 지지된다. 한편, 제2 스크류(8)를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2 면(4q)에서 제2 설치 구멍(26)에 삽입 관통시키고, 제1 면(4p)에서 삽입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 된 부분을 턱뼈 등의 뼈에 내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는 제2 스크류(8)의 제2 머리부(8a)에 의해 제2 면(4q)에서 제1 면(4p)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2 스크류(8)에도 직접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가 뼈에서 빠지지 않고, 뼈에 단단히 고정되는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4)가 뼈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4)의 흔들림을 없앨 수 있다.
위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가 뼈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에 안정적으로 직접 지지되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에 상부 구조체(10),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임플란트 구조(2)에 의하면, 제1 스크류(6)에 스토퍼(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가 그 두께 방향에서 제1 스크류(6)의 스토퍼(16)와 비스(12)의 머리부(12a) 사이에 협지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4)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임플란트 구조(2)에 의하면, 제2 스크류(8)가 접촉면(18)을 구비하고, 제2 스크류(8)가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면(4p)에서 제2 면(4q)을 향해 삽입된 때, 접촉면(18)이 좌면(27)에 접촉한다. 그러면 제2 스크류(8)의 제2 머리부(8a)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2 면(4q)에서 제1 면(4p)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2 스크류(8)와 베이스 플레이트(4)가 서로 맞닿는 면적이 더 커진다. 그러면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2 면(4q)에서 제1 면(4p)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2 스크류(8)의 베이스 플레이트(4)에 대한 지지를 안정시키고 또한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임플란트 구조(2)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에 노치부(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치부(3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플레이트 부분을 임의의 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굴곡된 방향에 따라 설치부(32)의 위치와 방향을 바꿈으로써 상부 구조체의 원하는 자세에 맞출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4)를 뼈에 고정한 후에 상부 구조체(10)의 형상이나 용도에 맞게 설치부(32)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4)의 설치 작업이 쉽게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높이고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부분의 노치부(30)의 형성 위치, 방향, 형성 개소 수 등을 바꾸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원하는 모양으로 굴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부품 수를 늘리지 않고, 상부 구조체(10)를 소정의 자세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구조(2)가 복잡한 구조가 되지 않고, 비용 절감을 도모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임플란트 구조(2)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의 플레이트 부분이 긴 모양의 간단한 형태이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해지고, 뼈에 고정할 때의 취급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임플란트 구조(2)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에 그 폭을 축소하는 노치부(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분의 폭이 작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플레이트 부분을 굴곡하기 쉽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4)는 뼈에서 돌출한 제1 스크류(6)의 감합부(14)에 제1 설치 구멍(24A, 24B)을 제1 면(4p)에서 끼워 맞추어, 제2 면(4q)에서 제1 스크류(6)의 암나사에 비스(12)의 수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뼈가 아니라 제1 스크류(6) 및 비스(12)에 의해 뼈의 위쪽에서 지지된다. 또한 제2 스크류(8)가 제2 면(4q)에서 제2 설치 구멍(26)에 삽입 관통되고 제1 면(4p)에서 삽입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 된 부분이 뼈에 내장되는 것으로, 제2 면(4q)에서 제1 면(4p)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2 스크류(8)에도 직접 지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4)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는 뼈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에 안정적으로 직접 지지되므로 위에서 언급 한 여러 가지 효과가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련되는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1 스크류(6) 및 플레이트 고정구(즉, 비스 12)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A는 제1 스크류(6B)의 측면도이고, 도 13B는 너트(플레이트 고정구)(13)의 측면도이며, 도 13C는 제 1 스크류(6B) 및 너트(13)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4)를 평면에서 볼 때 제1 스크류(6B)의 중심에서 제1 스크류(6B)의 축 방향(D6)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도 13A 내지 도 13C에서 제1 스크류(6) 및 비스(12)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 스크류(6B) 및 너트(13)의 구성 요소는 제1 스크류(6) 및 비스(12)의 구성 요소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크류(6B)의 제1 머리부(6a)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레이트 고정구로 상기 실시 형태의 비스(12)에서 바뀌어 사용되는 너트(13)에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1 스크류(6B)의 제1 스크류 본체(6b)를 뼈에 내장하고, 뼈에서 돌출된 감합부(14)에 제1 설치 구멍(24A)(또는 제1 설치 구멍 24B)을 제1 면(4p)에서 감합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4)가 제1 스크류(6B)에 장착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2 면(4q)에서 제1 스크류(6B)의 제1 머리부(6a)의 수나사에 너트(13)의 암나사를 나사 결합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4)가 제1 스크류(6B)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는 제1 스크류(6B) 및 너트(13) 사이에 끼워지고, 뼈가 아니라 제1 스크류(6B)에 직접 지지된다. 따라서 제1 변형 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1 스크류(6B) 및 제2 스크류(8)가 뼈에서 빠지지 않고, 뼈에 단단히 고정되는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4)가 뼈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제1 스크류(6B) 및 제2 스크류(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4)의 흔들림을 없앨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변형 예부터 제 5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4)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구멍, 제2 설치 구멍, 설치부(32)의 수 및 배치는 각각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치열 교정의 내용에 따라 적절히 변경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변형 예의 베이스 플레이트(4A)의 한쪽 단부(4d)에서 다른 단부(4c)를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부(32), 제1 설치 구멍(24A), 제2 설치 구멍(26), 제1 설치 구멍(24B)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4B와 같이, 제2 변형 예의 베이스 플레이트(4B)의 한쪽 단부(4d)에서 다른 단부(4c)를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설치 구멍(24A), 설치부(32), 제1 설치 구멍(24B), 제2 설치 구멍(2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변형 예의 베이스 플레이트(4C)의 한쪽 단부(4d)에서 다른 단부(4c)를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설치 구멍(24A), 제2 설치 구멍(26), 설치부(32), 제2 설치 구멍(26), 제1 설치 구멍(24B)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변형 예의 베이스 플레이트(4D)의 한쪽 단부(4d)에서 다른 단부(4c)를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설치 구멍(24B), 제2 설치 구멍(26), 설치부(32), 제1 설치 구멍(24B), 제2 설치 구멍(2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4E와 같이, 제5 변형 예의 베이스 플레이트(4E)는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 뻗어있다. 두 방향 중 제 1 방향 (즉, 도 14E에 나타내는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부분은, 한쪽 단부(4d)에서 다른 단부(4c)를 향해 장축 방향에 따라, 제1 설치 구멍(24B), 설치부(32), 제1 설치 구멍(24A)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있다. 한편, 두 방향 중 제 2 방향(즉, 도 14E에 나타내는 장축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부분에는 한쪽 단부에서 다른 단부를 향해 짧은 축 방향에 따라 제2 설치 구멍(26), 제1 부분과 공유하는 설치부(32), 제2 설치 구멍(2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는 긴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평면에서 볼 때 베이스 플레이트(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치열 교정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임플란트 구조에서는 제1 스크류(6, 6B)에 의해 아래쪽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를 지지하고, 제1 스크류(6, 6B)에 베이스 플레이트(4)를 플레이트 고정구(12,13)로 고정하고, 제2 스크류(8)에 의해 위쪽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를 지지하고, 설치부(32)를 통해 상부 구조체(10)를 베이스 플레이트(4)에 장착 가능하여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 제1 스크류(6) 및 제2 스크류(8) 등의 설계 조건은 치열 교정의 내용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지그에 의하면,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체, 플레이트, 와이어 등을 이용한 치열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임플란트 구조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4, 4A, 4B, 4C, 4D, 4E: 베이스 플레이트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지그)
4p: 제1 면
4q: 제2 면
6,6B: 제1 스크류
6a: 제1 머리부(제1 스크류의 머리부)
6b: 제1 스크류 본체 (제1 스크류나사의 본체)
8: 제2 스크류
8a: 제2 머리부(제 2 스크류의 머리부)
8b: 제2 스크류 본체
10: 상부 구조물
12: 비스 (플레이트 고정구)
13: 너트 (플레이트 고정구)
14: 감합부
18: 접촉면
24A, 24B: 제1 설치 구멍
26: 제2 설치 구멍
27: 좌면
30,30: 노치부
32: 설치부
D6, D8: 스크류 축방향

Claims (8)

  1. 구강 내 뼈에 내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이며,
    상기 뼈에 내장된 스크류 본체 및 상기 스크류 본체의 머리부에 나사가 형성된 감합부를 갖는 제1 스크류;
    상기 나사에 나사 결합 가능한 플레이트 고정구;
    상기 뼈에 내장되고 머리부를 갖는 제2 스크류; 및
    상기 뼈를 향해 배치되는 제 1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1 스크류의 감합부가 결합 가능한 제1 설치 구멍 및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2 스크류를 삽입 가능하여 상기 제2 스크류의 상기 머리부를 걸림 가능한 제2 설치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제2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제2 스크류를 제2 설치 구멍에 삽입했을 때 제2 스크류 본체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고,
    제1 스크류는 스크류 축방향으로 감합부보다 스크류 본체에 가까운 위치에 스크류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스토퍼가 마련되며,
    제2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돌출 높이는 제1 스크류의 스토퍼와 동일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치 구멍에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2 면을 향해 확경된 좌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크류의 머리부에는 상기 좌면에 접하는 접촉면을 갖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설치 구멍, 상기 제2 설치 구멍 및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상부 구조물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설치 구멍 또는 상기 제2 설치 구멍과 상기 설치부 사이에 플레이트 부분을 임의의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플레이트 부분의 소정 부분의 폭을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5. 뼈에 내장된 스크류 본체 및 상기 스크류 본체의 머리부에 나사가 형성된 감합부를 가지며, 스크류 축방향으로 감합부보다 스크류 본체에 가까운 위치에 스크류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스토퍼가 마련된 제1 스크류,
    플레이트 고정구, 및
    뼈에 내장되고 머리부를 갖는 제2 스크류를 이용하여 뼈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로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뼈를 향해 배치되는 제 1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1 스크류의 감합부가 감합되고 상기 제1 스크류의 감합부에 설치된 나사에 상기 플레이트 고정구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하는 제1 설치 구멍 및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2 스크류를 삽입 가능하여 상기 제2 스크류의 머리부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제2 설치 구멍을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 제2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제2 스크류를 제2 설치 구멍에 삽입했을 때 제2 스크류 본체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며,
    제2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돌출 높이는 제1 스크류의 스토퍼와 동일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7007364A 2015-08-18 2016-08-17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KR102203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1298A JP6786202B2 (ja) 2015-08-18 2015-08-18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及び、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JPJP-P-2015-161298 2015-08-18
PCT/JP2016/073993 WO2017030143A1 (ja) 2015-08-18 2016-08-17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及び、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384A KR20180064384A (ko) 2018-06-14
KR102203321B1 true KR102203321B1 (ko) 2021-01-15

Family

ID=5805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64A KR102203321B1 (ko) 2015-08-18 2016-08-17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60640B2 (ko)
EP (1) EP3338730B1 (ko)
JP (1) JP6786202B2 (ko)
KR (1) KR102203321B1 (ko)
CN (1) CN108135672B (ko)
AU (1) AU2016308387B2 (ko)
RU (1) RU2703653C2 (ko)
WO (1) WO2017030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9883B1 (ja) * 2020-11-19 2022-01-12 康寛 斉宮 ドリル補助装置、スクリューガイド装置および歯科矯正器具の取り付け補助装置セット
KR102263929B1 (ko) * 2020-11-27 2021-06-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KR102263933B1 (ko) * 2020-11-27 2021-06-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구개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736A2 (ko) * 2010-08-19 2012-02-2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 교정장치의 고정장치
WO2014163154A1 (ja) * 2013-04-04 2014-10-09 オカダ医材株式会社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6142A (en) * 1996-10-16 1999-11-02 Chin; Marti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action osteogenesis of small alveolar bone
US20050240187A1 (en) * 2004-04-22 2005-10-27 Huebner Randall J Expanded fixation of bones
JP4125922B2 (ja) * 2002-07-31 2008-07-30 株式会社プラトンジャパン 歯列矯正インプラント
KR200353672Y1 (ko) 2003-11-10 2004-06-22 문영필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JP4680209B2 (ja) * 2007-01-26 2011-05-11 康寛 斉宮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
KR100931256B1 (ko) * 2008-01-10 2009-12-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용 장치
KR200451511Y1 (ko) * 2010-07-20 2010-12-17 이철규 치열교정용 고정장치
JP5753691B2 (ja) * 2011-01-17 2015-07-22 康寛 斉宮 歯列矯正用の連結冶具
KR101291754B1 (ko) * 2011-08-08 2013-08-05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RU118547U1 (ru) * 2012-03-27 2012-07-27 Леонид Семёнович Персин Ортодонтическая мини-пластина 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нижней ретрогнатии
ITMI20131796A1 (it) * 2013-10-29 2015-04-30 Massimo Zanna Impianto denta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736A2 (ko) * 2010-08-19 2012-02-2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 교정장치의 고정장치
WO2014163154A1 (ja) * 2013-04-04 2014-10-09 オカダ医材株式会社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8730B1 (en) 2020-09-23
CN108135672B (zh) 2021-10-29
EP3338730A1 (en) 2018-06-27
AU2016308387B2 (en) 2020-03-05
CN108135672A (zh) 2018-06-08
US11160640B2 (en) 2021-11-02
RU2018108945A3 (ko) 2019-09-19
US20180228579A1 (en) 2018-08-16
RU2018108945A (ru) 2019-09-19
RU2703653C2 (ru) 2019-10-21
EP3338730A4 (en) 2019-07-24
AU2016308387A1 (en) 2018-04-12
JP2017038702A (ja) 2017-02-23
WO2017030143A1 (ja) 2017-02-23
JP6786202B2 (ja) 2020-11-18
KR20180064384A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177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7172416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JP4680209B2 (j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
KR102203321B1 (ko)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US20160067015A1 (en) Abutment for implant
US9131992B2 (en) Orthodontic connection tool
WO2005089668A1 (ja) 歯列矯正用支持体
JP5611343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アセンブリ
KR200458193Y1 (ko) 다방향 교정이 가능한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US9072568B2 (en) Orthodontic supporting member
BR112015000549B1 (pt) Sistema de apoio correlacionado a métodos dentários.
JP6295041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US20080118885A1 (en) Orthodontic anchor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0618556B1 (ko) 치열교정용 지지체
JP6589616B2 (ja) 上顎拡大装置
JP2010136944A (ja) インプラント
KR200353672Y1 (ko)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US20230019402A1 (en) Anchorage device for dental prostheses
WO2014163154A1 (j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JP3816927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KR20210046478A (ko) 구개 확장장치
JP201614036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抜去器具
BR102017006657B1 (pt) Aperfeiçoamento em mini implante para ancoragem e otimização ortodôn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