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256B1 - 치열교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256B1
KR100931256B1 KR1020080003095A KR20080003095A KR100931256B1 KR 100931256 B1 KR100931256 B1 KR 100931256B1 KR 1020080003095 A KR1020080003095 A KR 1020080003095A KR 20080003095 A KR20080003095 A KR 20080003095A KR 100931256 B1 KR100931256 B1 KR 100931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late
guide member
hole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254A (ko
Inventor
황순정
박재일
석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00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256B1/ko
Priority to PCT/KR2008/007748 priority patent/WO2009088165A1/en
Publication of KR2009007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악안면 외과적인 수술 없이 잇몸 또는 치조골에 설치하여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치열교정용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교정기를 사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잇몸에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교정기가 설치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복수의 구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4스크류와, 제4스크류에 체결되어 플레이트와 제4스크류를 고정시키는 제5스크류와, 복수의 구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멍에 설치되며 잇몸에 식립되는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관통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6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크를 구비하므로 교정기인 강선이 잇몸을 비롯한 구강 내부의 피부조직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시술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치열, 교정, 치조골

Description

치열교정용 장치{DEVICE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악안면 외과적인 수술 없이 잇몸 또는 치조골에 설치하여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치열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장치가 구강 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치열교정용 장치는 플레이트(2)와 스크류(6)로 구성된다. 플레이트(2)는 복수의 구멍(4)을 가지고 있으며, 2단으로 이루어진 십자형이다. 스크류(6)는 플레이트(2)를 구강 내에 고정되도록 플레이트(2)에 형성된 구멍(6)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치열교정용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치열교정용 장치의 플레이트(2)는 구강악 피부를 절개시켜 삽입된다. 삽입된 플레이트(2)를 고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2)에 형성된 구멍(4)에 스크류(6)가 삽입되여 체결된다. 스크류(6)가 체결된 이후에 교정기(8)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설치 방법에 의하여 종래의 치열교정용 장치는 교정기의 견인력에 의하여 치열이 교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치열교정용 장치는 구강악 피부를 절개하는 구강악 피부를 절개하는 수술이 필요하므로, 치열교정용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며, 시술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치열교정용 장치는 구강 내부에 설치되었더라도 플레이트의 저면이 연질조직에 직접 접촉된 상태이므로 견인력이 작용되는 교정기와의 마찰에 의하여 연질조직이 자극되어 염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구강 내부는 환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치열교정용 장치를 정확하게 식립하기 어려우며, 음식물의 섭취 또는 혀의 동작 등에 의하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스크류가 쉽게 탈락되어 재시술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내부의 피부를 절개하는 구강악안면 외과적인 수술 없이 치조골에 식립이 가능한 치열교정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정기인 강선에 의하여 발생되는 염증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치열교정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시술 시간이 짧으며, 스크류가 치조골에 식립되어 쉽게 탈락하지 않으며, 재시술이 필요하지 않는 치열교정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교정기를 사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잇몸에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교정기가 설치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복수의 구멍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에 삽입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1스크류와, 각각의 제1스크류에 체결되어 플레이트와 제1스크류를 고정시키는 제2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교정기를 사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잇몸에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교정기가 설치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각각의 구멍에 설치되며 잇몸에 식립되는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관통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3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교정기를 사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잇몸에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교정기가 설치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복수의 구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4스크류와, 이 제4스크류에 체결되어 플레이트와 제4스크류를 고정시키는 제5스크류와, 복수의 구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멍에 설치되며 잇몸에 식립되는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관통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6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에 의하면, 후크를 구비하므로 교정기가 잇몸을 비롯한 구강 내부의 피부조직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시술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하기가 용이하여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치조골에 직접 스크류가 설치되어 스크류가 쉽게 탈락하지 않으므로 재시술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치열교정 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들과 그 외의 목적들과 신규한 특징은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읽어 보면, 보다 완전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10)의 치열교정용 장치는 플레이트(12), 제1스크류(20)와 제2스크류(30)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2)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제1구멍(14)과 제2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구멍(14)은 장공이다. 또한, 플레이트(12)는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2)와 고정부(18)는 일체형이다. 고정부(18)의 단부에는 후크(Hook;18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8)의 후크(18a)에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교정기(8)가 설치된다. 이 후크(18a)에 의하여 교정기(8)에 인장력이 발생되며, 교정기(8)에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교정기(8)는 치아(1)를 가압한다.
제1스크류(20)는 플레이트(1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구멍(14,16)에 각각 삽입된다. 제1스크류(20)의 일단에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22)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2스크류(30)는 제1스크류(20)에 형성된 홈(22)의 암나사와 체결된다. 제2스크류(30)에 의하여 제1스크류(20)와 플레이트(12)는 결합된다. 제1구멍(14)에 삽입된 제1 및 제2스크류(20,30)는 제1구멍(14)을 따라 제1 및 제2스크류(20,30)가 식립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1스크류는 일단부에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스크류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스크류는 제1스크류의 수나사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1실시예(10)의 체결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2)의 제1구멍(14)과 제2구멍(16)에 각각 제1스크류(20)가 삽입된다. 그런 이후에 각각의 제1스크류(20)에 제2스크류(30)가 체결된다.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2실시예(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2실시예(40)는 플레이트(42), 제3스크류(50)와 가이드 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42)는 양단부의 각각에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42)는 플레이트(42)의 중심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42)와 고정부(18)는 일체형이다. 고정부(42)의 단부에는 후크(18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는 제1실시예의 고정부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 부재(6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 부재(60)의 일단은 잇몸에 식립될 수 있도록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60)는 제3스크류(5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제3스크류(50)는 플레이트(42)의 각각의 가이드 부재(60)의 관통구멍(62)에 삽입된다. 제3스크류(50)는 잇몸을 관통하여 치조골에 고정된다. 또한, 제3스크류(50)는 플레이트(42)를 잇몸에 밀착시켜, 플레이트(42)를 잇몸에 고정시키며, 가이드 부재(60)가 잇몸에 식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2실시예(40)의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60)는 먼저 플레이트(42)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44)에 삽입된다. 삽입된 가이드 부재(60)는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되어 플레이트(42)와 일체화된다. 그런 다음에, 제3스크류(50)가 가이드 부재(60)의 관통구멍(62)에 삽입된다. 삽입된 제3스크류(50)가 치조골에 체결되면서 플레이트(42)를 가압한다. 가압된 플레이트(42)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60)는 잇몸에 식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2실시예는 설치된 잇몸과 치조골에서 쉽게 탈락하지 않는 효과 가 발생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시술시간을 줄이는 효과도 발생한다.
도 7과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3실시예(7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3실시예(70)는 플레이트(12), 제4스크류(20), 제5스크류(30), 제6스크류(50)와 가이드 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70)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1실시예(10)와 제2실시예(40)의 복합형이다.
플레이트(12)는 제1실시예의 플레이트(12)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12)는 제1구멍(14)과 제2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구멍(14)은 장공이다. 플레이트(12)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고정부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스크류(20)와 제5스크류(30)는 제1실시예(10)의 제1스크류(20)와 제2스크류(30)와 동일하므로, 제4스크류와 제5스크류는 제1실시예의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스크류(50)와 가이드 부재(60)는 제2실시예(40)의 제3스크류(50)와 가이드 부재(60)와 동일하므로, 제6스크류와 가이드 부재는 제2실시예의 제3스크류와 가이드 부재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설치와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1실시예(10)가 치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10)의 플레이트(12)에 형성되어 있는 제1구멍(14)과 제2구멍(16)에 제1스크류(20)가 삽입된다. 그런 다음, 제2스크류(30)가 각각의 제1스크류(20)에 체결된다. 제1 및 제2스크류(20,30)가 체결된 플레이트(12)는 치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잇몸에 위치된다. 제2구멍(16)에 삽입된 제1 및 제2스크류(20,30)가 먼저 치조골에 식립된다. 제1구멍(14)에 식립된 제1 및 제2스크류(20,30)는 제1구멍(14)에 따라 제1 및 제2스크류(20,30)가 식립되는 위치가 결정된 이후에 치조골에 식립된다. 설치된 제1실시예(10)의 고정부(18)의 후크(18a)에 교정기(18)가 설치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2실시예(40)가 치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가이드 부재(60)가 플레이트(42)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구멍(44)에 삽입되며, 삽이된 가이드 부재(60)는 레이저 용접되어 플레이트(42)와 일체화된다. 그런 다음, 가이드 부재(60)의 관통구멍(62)에 제3스크류(5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제3스크류(50)가 잇몸을 관통하여 치조골에 식립된다. 제3스크류(50)가 식립되면서 플레이트(42)를 가압하며, 플레이트(42)에 일체화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60)는 잇몸에 식립된다. 플레이트(42)가 잇몸에 밀착되어진 이후에, 플레이트(4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진 고정부(18)의 후크(18a)에 교정기(8)가 설치된다.
제3실시예(70)는 제1실시예(10)와 제2실시예(40)의 복합형이다. 따라서, 도 11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70)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 부재(60)가 플 레이트(12)의 제2구멍(16)에 삽입되며, 삽입된 가이드 부재(60)는 레이저 용접되어 플레이트(12)와 일체화된다. 그런 다음, 가이드 부재(60)의 관통구멍(62)에 제6스크류(50)가 삽입된다. 제6스크류(50)가 가이드 부재(60)에 삽입됨과 동시에, 플레이트(12)에 형성된 제1구멍(14)에 제4스크류(20)가 삽입된다. 삽입된 제4스크류(20)에 제5스크류(30)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제6스크류(50)가 먼저 치조골에 식립된다. 제6스크류(50)가 치조골에 식립되면서, 제6스크류(50)는 플레이트(12)를 가압하여 제3실시예(70)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제6스크류(50)가 식립되면서, 가이드 부재(60)는 잇몸에 식립된다. 그런 다음, 제3실시예(70)가 잇몸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구멍(14)에 삽입되어 있는 제4 및 제5스크류(20,30)의 위치가 정해지며, 정해진 위치에 제4 및 제5스크류(20,30)가 치조골에 식립된다. 그리고, 고정부(18)의 후크(18a)에 교정기(8)가 설치되어 치열을 교정하게 된다.
도 12을 참조하면, 치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다른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가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가 하나만 설치된다.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기의 일단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고정부(18)의 후크(18a)에 설치되며, 타단은 스크류(8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도 교정기(8)에 인장력이 발생되어 교정될 치아(1)들의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 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치열교정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치열교정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2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장치의 다른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실시예 12: 플레이트
14: 제1구멍 16: 제2구멍
18: 고정부 18a: 후크
20: 제1스크류 22: 홈
30: 제2스크류 40: 제2실시예
42: 플레이트 44: 구멍
50: 제3스크류 60: 가이드 부재
62: 관통구멍 70: 제3실시예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교정기를 사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잇몸에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교정기가 설치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각각의 구멍에 설치되며, 상기 잇몸에 식립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관통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3스크류를; 구비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3스크류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장치.
  9. 교정기를 사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잇몸에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교정기가 설치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복수의 구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4스크류와;
    상기 제4스크류에 체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제4스크류를 고정시키는 제5스크류와;
    상기 복수의 구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멍에 설치되며, 상기 잇몸에 식립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치조골에 식립되는 제6스크류를; 구비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스크류가 삽입되는 상기 구멍은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11. 제9항에서 있어서,
    상기 제4스크류에는 상기 제5스크류와 체결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스크류의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치조골에 식립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5스크류와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6스크류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장치.
KR1020080003095A 2008-01-10 2008-01-10 치열교정용 장치 KR100931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95A KR100931256B1 (ko) 2008-01-10 2008-01-10 치열교정용 장치
PCT/KR2008/007748 WO2009088165A1 (en) 2008-01-10 2008-12-29 Device for orthodon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95A KR100931256B1 (ko) 2008-01-10 2008-01-10 치열교정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54A KR20090077254A (ko) 2009-07-15
KR100931256B1 true KR100931256B1 (ko) 2009-12-11

Family

ID=4085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095A KR100931256B1 (ko) 2008-01-10 2008-01-10 치열교정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1256B1 (ko)
WO (1) WO200908816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69A2 (ko) * 2010-03-22 2011-09-29 Kim Seong Hoon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12023736A2 (ko) * 2010-08-19 2012-02-2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 교정장치의 고정장치
KR200460346Y1 (ko) 2011-08-19 2012-05-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101183999B1 (ko) 2010-02-03 2012-09-18 김성훈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101183992B1 (ko) 2010-03-22 2012-09-18 김성훈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11Y1 (ko) 2010-07-20 2010-12-17 이철규 치열교정용 고정장치
WO2012158625A1 (en) 2011-05-13 2012-11-22 AlveoLogic LLC Method and device for causing tooth movement
CN102415916A (zh) * 2011-07-29 2012-04-18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防止正畸治疗过程中牙根和颌骨应力过度集中的矫治方法
US9687323B2 (en) 2012-06-07 2017-06-27 Propel Orthodontics, Llc Temporary anchorage device with external plate
USD761963S1 (en) 2014-07-29 2016-07-19 Propel Orthodontics, Llc Microperforation dental device
JP6786202B2 (ja) * 2015-08-18 2020-11-18 康寛 斉宮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及び、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KR102088353B1 (ko) * 2018-10-29 2020-03-12 김태준 상악골 확장 장치
KR102163283B1 (ko) 2019-03-22 2020-10-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앵커링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2Y1 (ko) * 2003-11-10 2004-06-22 문영필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060035550A (ko) * 2004-10-22 2006-04-26 임성훈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100618556B1 (ko) * 2005-07-07 2006-09-06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용 지지체
KR200437642Y1 (ko) 2006-12-12 2007-12-1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용 스크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3760A6 (nl) * 2001-05-17 2002-07-02 Clerck Hugo De Orthodontisch implantaat.
JP3657952B2 (ja) * 2004-02-16 2005-06-08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歯列矯正用支持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2Y1 (ko) * 2003-11-10 2004-06-22 문영필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060035550A (ko) * 2004-10-22 2006-04-26 임성훈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100618556B1 (ko) * 2005-07-07 2006-09-06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용 지지체
KR200437642Y1 (ko) 2006-12-12 2007-12-1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용 스크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99B1 (ko) 2010-02-03 2012-09-18 김성훈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WO2011118969A2 (ko) * 2010-03-22 2011-09-29 Kim Seong Hoon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11118969A3 (ko) * 2010-03-22 2012-03-01 Kim Seong Hoon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KR101183992B1 (ko) 2010-03-22 2012-09-18 김성훈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WO2012023736A2 (ko) * 2010-08-19 2012-02-2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 교정장치의 고정장치
KR200458725Y1 (ko) 2010-08-19 2012-03-07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 교정장치의 고정장치
WO2012023736A3 (ko) * 2010-08-19 2012-06-28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 교정장치의 고정장치
KR200460346Y1 (ko) 2011-08-19 2012-05-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54A (ko) 2009-07-15
WO2009088165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56B1 (ko) 치열교정용 장치
US20030104335A1 (en) Rapid orthodontics treatment method after corticotomy and the skeletal anchorage plate
KR200207524Y1 (ko) 교정틀 고정구
KR101539755B1 (ko)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JP5611343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アセンブリ
US20040067464A1 (en) Orthodontic pin
US8992582B1 (en) Fixation devices and method
KR100618556B1 (ko) 치열교정용 지지체
KR100674219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천공 가이드 장치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KR101132495B1 (ko) 치과교정 앵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장치
JP2007097987A (ja) 歯科矯正器具
KR101551381B1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US20120202164A1 (en) Orthodontic Maxillary Micro Implant
KR200449837Y1 (ko) 치열교정용 장치
EP3120805B1 (en) Orthodontic structure capable of implanting implants and straightening teeth
US9782241B2 (en) Orthodontic structure capable of implanting implants and straightening teeth
CN212592502U (zh) 一种分段植入的种植体装置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KR101479598B1 (ko) 치과용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1015734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200315723Y1 (ko) 치아교정 시술용 보조구
KR101897702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장치
KR101082356B1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CN110840591A (zh) 腭侧支架式种植支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