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929B1 -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929B1
KR102263929B1 KR1020200162857A KR20200162857A KR102263929B1 KR 102263929 B1 KR102263929 B1 KR 102263929B1 KR 1020200162857 A KR1020200162857 A KR 1020200162857A KR 20200162857 A KR20200162857 A KR 20200162857A KR 102263929 B1 KR102263929 B1 KR 10226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member
orthodontic
palat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윤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Abstract

본 발명은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개 조직과의 지지부재와의 접촉을 제한하고 구개 잇몸과의 접촉을 완충하기 위한 걸림볼을 형성하여 구개 잇몸에 발생하는 염증를 최소화하기 위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모양의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날개부(12)로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지지부재 날개부(12)의 후방에 형성되어 치열교정장치와연결되는 탄성체를 부드럽게 끼워서 결합하고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02)와 무게 균형을 이루어서 구개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걸림볼(16)을 구비한 다수의 걸림다리(103,105)로 이루어진 후크부(200)와; 상기 몸체부(102)의 몸체(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구개에 스크류를 식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방 레그부(104) 및 후방 레그부(110)를 구비하는 레그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Minimize side-effect to the gingiva for orthodontic anchrage applaince}
본 발명은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개 조직과의 지지부재와의 접촉을 제한하고 구개 잇몸과의 접촉을 완충하기 위한 걸림볼을 형성하여 구개 잇몸에 발생하는 염증를 최소화하기 위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르지 않은 치열교정 및 돌출입 등 안면의 골격적인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해 치아에 브라겟을 설치하고 이를 교정용 강선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힘을 가하도록 하여 치아를 이동시켜서 교정을 하는 치열교정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치열교정방법은 이동시킬 치아 뿐만 아니라 치아에 힘을 가하기 위해 설치된 강선이 고정되는 치아까지도 이동함으로써 치아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어렵거나 원하는 치아를 이동시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개에 교정용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스프링이나 고무줄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고정장치와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용 지지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장력을 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고정판을 구개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류를 이용한 미니 임플란트 시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식립되는 스크류로 인하여 구개조직의 압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잇몸괴사 및 염증으로 발전하여 육아조직의 증가 등으로 스크류가 탈락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체결공(502) 주위에 3개의 돌출부(501)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베이스부재(500)가 전체적으로 구개 연조직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와의 접촉과 마찰로 인하여 염증 발생은 계속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과 스크류부(2), 체결부(3), 견인유닛(6)을 포함하고, 고정 브라켓에 견인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체결부에 결합되는 헤드부(5)를 통해 체결부 상의 고정 브라켓을 고정하기 때문에 구강내 점막을 박리하여 골표면을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없으며, 고정 브라켓이 점막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이물감을 줄이고 시술이 더욱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었으나 고정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와 헤드부가 각각 필요하였고 스크류부에 헤드부(5)가 체결되도록 체결홀(4)을 가공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스크류를 이용한 미니 임플란트 시술은 구개 연조직 하방의 뼈에 스크류를 식립함으로써 구강 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구개 고정구와 구개골 사이에 연조직이 존재하기 때문에 구개 고정구 주변에 염증이 방생하며, 이와 같은 염증은 환자에게 통증 및 블편함을 가중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염증의 발생으로 인하여 구개 조직이 약화되어 식립된 스크류가 탈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3186호(2015. 11. 2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39755호(2015. 07. 21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몸체를 완만한 곡선형상의 반구형상으로 형성하여 구개에 식립되는 스크류에 의해 밀착시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볼 형상의 걸림볼을 형성하여 상하 이격되는 거리의 갭을 형성함으로써 잇몸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개 조직과 후크부의 사이를 이격시키되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구를 이용하여 구강 내 조직과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하여 연조직의 손상과 잇몸 염증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그부가 전방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여 전방으로 힘의 작용범위를 일정하게 연장하고 후크부에 의해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탄성체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활모양의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날개부(12)로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지지부재 날개부(12)의 후방에 형성되어 치열교정장치와연결되는 탄성체를 부드럽게 끼워서 결합하고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02)와 무게 균형을 이루어서 구개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걸림볼(16)을 구비한 다수의 걸림다리(103,105)로 이루어진 후크부(200)와; 상기 몸체부(102)의 몸체(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구개에 스크류를 식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방 레그부(104) 및 후방 레그부(110)를 구비하는 레그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02)의 몸체(10)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구개와의 접촉시 완만하고 부드럽게 접촉하여 구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후크부(200)의 다수의 걸림다리(103,105)는,
지지부재 날개부(12)의 수직하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편(14)과;
상기 걸림편(14)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걸림볼(1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수의 걸림다리(103,15)는,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에 연장되되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기역자(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걸림다리(103,105) 사이에는 치열교정장치와 연결되는 탄성체의 결합시 부드럽게 안내하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오리피스부(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리피스부(34)는, 걸림볼(16)과 걸림볼(16) 사이에 형성되고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2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2)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3
"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구개와의 접촉시 완만하고 부드럽게 접촉하여 구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부에는 걸림다리(14)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방 레그부(104)는,
바 또는 편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방 고정다리(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고정다리(20)이 끝단부에는 전방 고정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고정구(22)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스크류가 식립되도록 전방 고정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레그부(106,108)는,
바 또는 편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 고정다리(26)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고정다리(26)이 끝단부에는 후방 고정구(28)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고정구(28)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스크류가 식립되도록 후방 고정홀(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볼(16)은 걸림다리(14)의 일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볼(160의 직경의 크기가 상기 몸체(10)의 두께 최하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반구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볼형상의 걸림구를 형성하여 구개 조직과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염증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는, 몸체부와 후크부와 레그부를 가진 치열교정장치가 치열 교정용 지지부재의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어 수술이 필요없이 윗턱 내에 있는 윗치아를 교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윗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구경안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치료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그부가 전방 대각선방향에 위치하여 전방으로 힘의 작용범위를 일정하게 연장하고 치료시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크부에 구비된 체결부 및 걸림볼에 의해 치료시 탄성체를 보다 쉽게 걸 수 있으며, 치료 후에 탄성체가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다른 일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다른 일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100)는, 몸체부(102)와, 후크부(200)와, 레그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2)는, 구개에 안착되는 형상으로서 전체적으로, 도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활모양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구개골에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몸체부(100)는 일직선의 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2)의 중앙부터 레그부(300)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에 몸체부(102)에서 연장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부(300)는 길이를 3-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방이라 함은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입천장(구개)에 고정하는 경우, 인체의 앞쪽을 말한다.
상기 몸체부(102)의 레그부(300)가 형성되는 부분이 전방으로 꺽여지도록 형성되면 전방으로 힘의 작용범위를 일정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스크류가 삽입되는 위치를 필요에 따라 상악골로만 한정하여 삽입하거나 상악골 및 구개골에 나누어 삽입하거나 구개골에 한정하여 삽입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먼저 치열교정용 지지부재(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02)의 좌우측부에는 후크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102)의 중앙부에는 레그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02)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휘어져서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는 지지부재 날개부(1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02)의 몸체(10) 단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천장과 밀착되는 경우 날카로운 모서리부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구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아치형상의 반원구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 날개부(12)의 하부에는 후크부(2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02)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지지부재 날개부(12)의 하부에는 후크부(200)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후크부(200)는 좌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다리(103) 및 우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다리(105)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다리(103)는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편(14)가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14)의 후방에는 원형의 걸림볼(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편(14)와 걸림편(14)의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체결부(18)가 형성되는바, 상기 체결부(18)는 치아와 연결되어 탄성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다리(105)는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편(14)이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14)의 후방에는 원형의 걸림볼(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편(14)와 걸림편(14)의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체결부(18)가 형성되는바, 상기 체결부(18)는 치아와 연결되어 탄성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부(200)는, 걸림볼(16)과 체결부(18)로 이루어지는바, 걸림볼(16)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볼(16)과 걸림볼(16)의 사이는 오리피스와 같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서 탄성체가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결부(18)는 몸체부(102)의 양단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다수 개로 형성되며 몸체부(102)의 지지부재 날개부(12)를 전방으로 당겨줄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볼(16)은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 즉, 럭비공형상, 큐빅형상 등의 입체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0)는 고무재, 실리콘재 등으로 형성되어 탄성이 있거나 금속 등의 소재로 견고하게 제작되어 교정치아에 외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걸 수 있으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체결부(18) 안으로 탄성체를 걸기에 용이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전술된 걸림볼(16)들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볼(16)은 상기 몸체부(102)와 레그부(30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는 항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무게를 추가할 수 있도록 재질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 인체에 무해한 합금류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균형추의 기능을 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볼(16)은 몸체(10)의 두께에 비하여 작게 형성하여 몸체(10)가 구개의 잇몸에 접촉되어도 걸림볼(16)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갭(G2)이 유지되도록 하는 직경(G1)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02)의 중앙부에는 레그부(300)가 형성되어 있는바, 레그부(300)는 전방 레그부(104)와, 후방 레그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레그부(104)는 전방 우상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레그부(110)는 후방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 후방 레그부(106)와 제2 후방 레그부(108)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레그부(104)는 전방 고정다리(20)와 전방 고정구(22)와, 전방 고정홀(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레그부(110)는 제1 후방레그부(106) 및 제2 후방 레그부(108)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후방 레그부(106) 및 상기 제2 후방 레그부(108)는 후방 고정다리(26)와 후방 고정구(28)와 후방 고정홀(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300)는 상기 몸체부(102)의 중심에서 몸체부(10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전방 레그부(104)의 전방 고정다리(20)가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레그부(110)는 몸체부(102)의 길이방향과직교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후방고정다리(106) 및 제2 후방 고정다리(108)가 90도 수직한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방 고정다리(20)는 몸체부(102)의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몸체부와 평행하게 돌출되는 바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고정구(22)는 전방 고정다리(20)의 상단부에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 고정구(22)의 중심에는 전방 고정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고정홀(24)은 스크류를 식립하기 위해 상하로 관통되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레그부(110)는 제1 후방 레그부(106)와 제2 후방 레그부(108)를 포함하는 바, 상기 제1 후방 레그부(106)는 몸체부(102)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방좌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바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후방 레그부(108)는 몸체부(102)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방 우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바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후방 레그부(106)는 바형태의 후방 고정다리(26)와 후방 고정구(28)와 후방 고정홀(3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고정구(28)는 후방 고정다리(26)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고정구(28)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후방 고정홀(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 고정홀(30)은 스크류를 식립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후방 레그부(108)는 바형태의 후방 고정다리(26)와 후방 고정구(28)와 후방 고정홀(3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고정구(28)는 후방 고정다리(26)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고정구(28)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후방 고정홀(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 고정홀(30)은 스크류를 식립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2 후방 레그부(108)는 상기 제1 후방 레그부(106)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부(300)는 몸체부(102)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치열교정 지지부재와 구개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두께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방 레그부(104)는 몸체부(102)의 중앙 중심선을 기준으로 2-8mm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방 레그부(110)는 몸체부(102)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2-8mm 이격된 후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방 레그부(104)와 후방 레그부(110)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전방 고정홀(24)과 후방 고정홀(30)을 스크류가 관통하여 식립될 때, 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상악골 봉합선 또는 구개골 봉합선을 회피할 수 있으며, 성장판에 의해 구개가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치열교정용 지지부재를 안정되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2)의 중앙부에 레그부(300)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그부(300)가 형성되는 부분이 구개 방향으로 꺽여져서 형성되고 상기 레그부(300)가 상기 몸체부(102)에 비하여 구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되는 전방 고정구(22) 및 후방 고정구(28)에 의해 치열교정용 지지부재(100)와 구개가 닿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300)의 전방 고정구(22) 및 후방 고정구(28)는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와 입천장(구개)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크류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고정구(22) 및 후방 고정구(28)는 구개와 밀착되는 상방향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도시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고정구(22) 및 후방 고정구(28)는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4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용기가 놓여져 있는 형태로 형성하며 하부면에는 구개와 밀착시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라운드부(32)가 형성된다. 이는 스크류의 식립이 식립되는 가압력에 의해 구개를 파고들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굴곡을 갖도록 형성하여 구개가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 고정홀(24) 및 후방 고정홀(30)의 내측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스크류의 식립시 용이하게 체결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면을 바라볼 때, 몸체(10)의 단면이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5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구개와 밀착되는 부위가 부드럽게 밀착되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측방향으로는 걸림다리(103)의 걸림편(14)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14)의 끝단부에는 구형상의 걸림볼(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볼(16)은 상기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일측면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다리(14)의 끝단부에 형성되는바, 상기 걸림볼(16)은 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직경은 1- 5mm의 범위로 형성하며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하며, 상기 걸림볼(16)은 걸림다리(14)의 일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볼(160의 직경의 크기가 상기 몸체(10)의 두께 최하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일측부에 연장되는 걸림다리(14)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몸체(10)의 상면부보다 더 높게 형성하여 단턱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13)는 몸체(10)의 상면과 걸림다리(14)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고 갭(G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다리(14)의 끝단부에는 걸림볼(1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볼(16)의 중심은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연장된 위치에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볼(16)의 직경과 동일한 간격으로 갭(G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볼(16)이 형성되면 상기 걸림볼(16)의 최하단의 수직 접점위치와 상기 몸체(10)의 최하부면의 사이에 갭(G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볼(16)을 몸체(10)의 두께 하면부 보다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볼(16)이 구개와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02)의 전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 및 탄력에 대항하는 항력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걸림볼(16)의 무게를 이용하여 균형을 이루고, 상기 몸체부(102)와 구개와의 접촉이 너무 들뜨지 않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열교정용 지지부재의 후크부(200)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기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부에 지지부재 날개부(1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 날개부(12)의 하부에 다수 개의 걸림다리(14)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다리(14)는 바 또는 편 형상이며 그 끝단부에는 원형상의 걸림볼(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볼(16)은 소정의 직경을 갖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몸체부(102)의 몸체(10)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다리(14)는 상기 몸체(10)의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기역자(ㄱ)형상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절곡된 우측부에는 단턱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13)의 높이는 상기 몸체(10)의 최하부면과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다리(14)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갭(G3)과 몸체(10)이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균형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다리(14)의 걸림볼(16)과 걸림볼(16) 사이에의 입구측부에는 좁은 공간이 형성되어 탄성체의 결합시 흐름을 부드럽게 유도하는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6
" 형상의 완만한 오리피스부(34)가 구비되며, 좀 더 안쪽 공간에는 탄성체가 결합되도록 체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8)는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7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입구는 협소하며 내측은 넓은 형태로 이루어져서 탄성체가 결합되는 경우, 들어갈 때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인입되고 완전히 결합된 후에는 체결부(18)와 일치되어 흔들림이 없도록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지지부재 날개부
14 : 걸림편 16 : 걸림볼
18 : 체결부 20 : 전방 고정다리
22 : 전방 고정구 24 : 전방 고정홀
26 : 후방 고정다리 28 : 후방 고정구
30 : 후방 고정홀
100 :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102 : 몸체부 104 : 전방 레그부
103,105 : 걸림다리
106 : 제1 후방 레그부 108 : 제2 후방 레그부
110 : 후방 레그부
200 : 후크부 300 : 레그부

Claims (9)

  1. 활모양의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날개부(12)로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지지부재 날개부(12)의 후방에 형성되어 치열교정장치와연결되는 탄성체를 부드럽게 끼워서 결합하고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02)와 무게 균형을 이루어서 구개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걸림볼(16)을 구비한 다수의 걸림다리(103,105)로 이루어진 후크부(200)와;
    상기 몸체부(102)의 몸체(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구개에 스크류를 식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방 레그부(104) 및 후방 레그부(110)를 구비하는 레그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2)의 몸체(10)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8
    "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구개와의 접촉시 완만하고 부드럽게 접촉하여 구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200)의 다수의 걸림다리(103,105)는,
    지지부재 날개부(12)의 수직하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편(14)과;
    상기 걸림편(14)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걸림볼(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걸림다리(103,15)는,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에 연장되되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기역자(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걸림다리(103,105) 사이에는 치열교정장치와 연결되는 탄성체의 결합시 부드럽게 안내하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오리피스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34)는, 걸림볼(16)과 걸림볼(16) 사이에 형성되고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09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2)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20128448519-pat00010
    "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구개와의 접촉시 완만하고 부드럽게 접촉하여 구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부에는 걸림다리(14)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그부(104)는,
    바 또는 편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방 고정다리(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고정다리(20)이 끝단부에는 전방 고정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고정구(22)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스크류가 식립되도록 전방 고정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레그부(106,108)는,
    바 또는 편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 고정다리(26)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고정다리(26)이 끝단부에는 후방 고정구(28)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고정구(28)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스크류가 식립되도록 후방 고정홀(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볼(16)은 걸림다리(14)의 일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볼(16)의 직경의 크기가 상기 몸체(10)의 두께 최하점을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KR1020200162857A 2020-11-27 2020-11-27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KR10226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57A KR102263929B1 (ko) 2020-11-27 2020-11-27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57A KR102263929B1 (ko) 2020-11-27 2020-11-27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929B1 true KR102263929B1 (ko) 2021-06-10

Family

ID=7637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857A KR102263929B1 (ko) 2020-11-27 2020-11-27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92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62Y1 (ko) * 2002-08-28 2002-11-18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치아 교정용 스크류
KR20100138710A (ko) * 2009-06-24 2010-12-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0458193Y1 (ko) * 2011-09-26 2012-01-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방향 교정이 가능한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120002594U (ko) * 2011-08-19 2012-04-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0474677Y1 (ko) * 2014-06-16 2014-10-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 교정용 지지부재
KR101539755B1 (ko) 2013-05-29 2015-08-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101573186B1 (ko) 2015-09-22 2015-12-01 한병주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구
KR20180064384A (ko) * 2015-08-18 2018-06-14 이츠키 야수히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KR20200063732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62Y1 (ko) * 2002-08-28 2002-11-18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치아 교정용 스크류
KR20100138710A (ko) * 2009-06-24 2010-12-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110102865A (ko) * 2009-06-24 2011-09-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120002594U (ko) * 2011-08-19 2012-04-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0458193Y1 (ko) * 2011-09-26 2012-01-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방향 교정이 가능한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101539755B1 (ko) 2013-05-29 2015-08-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0474677Y1 (ko) * 2014-06-16 2014-10-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 교정용 지지부재
KR20180064384A (ko) * 2015-08-18 2018-06-14 이츠키 야수히로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KR101573186B1 (ko) 2015-09-22 2015-12-01 한병주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구
KR20200063732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3291A (en) Subperiosteal bone anchor
US5697779A (en) Temporary implant for use as an anchor in the mouth
CA1168070A (en) Means for attaching a headgear to a positioner
EP0823244B1 (en) Supporting body for use in orthodontic appliance
US20020182560A1 (en) Implant for teeth orthodontics
US5620321A (en) Orthodontic appliance
JP6006291B2 (ja) 機能的歯牙顔面整形外科装置
US9687323B2 (en) Temporary anchorage device with external plate
JPH0710267B2 (ja) 筋肉拡張用の口腔保護器具
KR20110006508U (ko)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US1029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ow palate expansion
US20080057457A1 (en) Clasp for removable dental appliances
KR100952423B1 (ko)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2263929B1 (ko) 잇몸 염증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KR101551381B1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US20230329842A1 (en) Bracket
KR102263933B1 (ko) 경구개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CN209790046U (zh) 椭圆柱形正畸种植支抗钉
JP3651640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US6887076B2 (en) Intermaxillary force system
KR200411875Y1 (ko)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KR20090077599A (ko) 코 성장촉진 및 상악골 전방 성장촉진 장치
KR200211697Y1 (ko) 치열교정용 고정판
CN213821791U (zh) 一种可调支抗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