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037B1 -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037B1
KR102202037B1 KR1020200074431A KR20200074431A KR102202037B1 KR 102202037 B1 KR102202037 B1 KR 102202037B1 KR 1020200074431 A KR1020200074431 A KR 1020200074431A KR 20200074431 A KR20200074431 A KR 20200074431A KR 102202037 B1 KR102202037 B1 KR 10220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ortar
compound
elastic composi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수
Original Assignee
김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수 filed Critical 김갑수
Priority to KR102020007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1Corros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5Water proofers or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0Flexible or elastic materials
    • C04B2111/503E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은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를 이용하고,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혼합하여 탄성복합화합물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준비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외벽의 일부분을 일정 길이 및 폭으로 철거하여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복수의 내진보강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내진보강홈 형성단계; 상기 내진보강홈 내에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 및 상기 내진보강홈 내에 도포된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건조 및 양생하여 내진보강기둥을 생성하는, 내진보강기둥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는, 물 및 탄성복합화합물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준비단계; 및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 혼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은,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55 내지 65 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20 내지 25 중량부, 액상형 안정제 8 내지 12 중량부, 디수소 산화물 8 내지 12 중량부, 방부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방수제 28중량%, 레미탈 70중량% 및 물 2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REPAIR METHOD FOR SEISMIC DESIGN OF BUILDINGS USING ELASTIC COMPOSITE COMPOUNDS AND ELASTIC COMPOSITE COMPOUND COAT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진설계란 지진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말한다. 지진이 일어나면 상하진동보다 좌우진동이 일어나므로 이런 수평진동을 견디게 건축물 내부의 가로축을 튼튼하게 만들어 건축물을 강화하는 것이다.
건물 내부구조를 「ㄴ」자형이나 「T」자형으로 설계하거나 벽면에 각종 보강 설비를 갖추는 것은 지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다. 우리나라는 86년 이전까지 지진 발생 횟수가 적다는 것과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이유로 내진 설계를 하지 않았다.
또한, 근래 들어 국내에도 지진에 의해 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까지 내진 설계에 의해 설계된 건축물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는 기존에 이미 시공된 주택들의 경우 내진설계를 별도로 진행하기 어렵고 부가적 요소로서 보강 구조물을 설치하더라도 건물과의 일체성이 떨어져 지진에 대해 내구성을 갖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 등록특허 제10-0899843호이지만 이는 건물의 외벽에 모르타르와 격자 형태의 보강봉을 적층시켜 보강하는 구조로 벽체와 일체성이 떨어져 지진의 진동에 의해 벽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건축물의 강도 높은 내진설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은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를 이용하고,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혼합하여 탄성복합화합물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준비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외벽의 일부분을 일정 길이 및 폭으로 철거하여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복수의 내진보강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내진보강홈 형성단계; 상기 내진보강홈 내에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 및 상기 내진보강홈 내에 도포된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건조 및 양생하여 내진보강기둥을 생성하는, 내진보강기둥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는, 물 및 탄성복합화합물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준비단계; 및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 혼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은,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55 내지 65 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20 내지 25 중량부, 액상형 안정제 8 내지 12 중량부, 디수소 산화물 8 내지 12 중량부, 방부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방수제 28중량%, 레미탈 70중량% 및 물 2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는, 이동 대차를 상기 내진보강홈의 정면에 위치시킨 후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신장시켜서 이동가이드를 세우면서 작업롤러가 상기 내진보강홈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도포 준비 단계; 저장탱크 내의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펌핑하여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공급배관 및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를 통해 상기 작업롤러 상에 토출하여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내진보강홈의 내면 및 작업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공급 단계; 및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의 제1 피스톤 로드를 신장 및 수축시키면서 상기 작업롤러를 상기 이동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왕복시키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도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도포 단계는 상기 작업롤러가 1회 왕복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도포 장치의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에 따른 길이 단위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수축되고 이를 반복하면서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의 도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는 사각 평면의 제1 테이블영역 및 상기 제1 테이블영역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테이블영역보다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평면의 제2 테이블영역을 포함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구비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이동대차; 상기 제1 테이블영역에 배치되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제2 테이블영역의 일측 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평면 상에서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이동가이드;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작업롤러,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기 작업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롤러를 향해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도포수단; 상기 제2 테이블영역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 상기 제1 테이블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의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 방향으로 펌핑하는 펌프; 상기 이동가이드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와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펌핑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로 공급하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 상기 제2 테이블영역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피스톤 로드가 상기 이동가이드의 이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신장 및 수축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상, 하로 회전시키는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 및 상기 펌프, 상기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 및 상기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일정 길이 단위로 단계적으로 수축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에 따라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단계적으로 수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는, 상기 작업롤러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상기 작업롤러를 향해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각각의 측면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판과의 사이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은, 상기 이동가이드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1 수평배관부; 상기 제1 수평배관부의 전방 끝단에 제1 수평배관부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배관부; 및 상기 제2 수평배관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으로 공급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는 상기 다수의 분기관들을 통해 상기 작업롤러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탄성복합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르타르에 의한 강도가 우수한 내진설계기둥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건축물의 강도 높은 내진설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내진보강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한 내진보강홈에 내진보강기둥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은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하여 시공바닥에 균열 보수층을 생성한다.
탄성복합화합물은 탄성방수제; 레미탈; 및 물을 포함하며, 탄성방수제 28 중량%, 상기 레미탈 70 중량%, 상기 물 2 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된다.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vinylacetate-ethylene copolymer emulsion : VAE),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vinyl acetate monomer), 액상형 안정제(solvent naptha), 디수소 산화물 및 화학적 방부제를 포함한다.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은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와 유연한 에틸렌(ethylene)을 공중합하여 내부 가소화한 수지로, 소수성 물질에 대하여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수성, 유연성이 있는 접착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는 화학식이 C4H6O2인 무색 액체로서, 달콤하고 에테르 같은 냄새가 나고, 자극적이거나 신 맛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는 인화성이 강하며, 열을 방출하며 중합 반응을 쉽게 일으킨다.
액상형 안정제는 솔벤트나프타(Solvent Naptha)가 사용될 수 있다. 솔벤트나프타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분자구조의 효율적 제어 및 급속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반응물의 함량, 반응 조건 등에 따라 사용량을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방부제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이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방수제 조성물은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55 내지 65 중량부,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20 내지 25 중량부, 상기 액상형 안정제 8 내지 12 중량부, 디수소 산화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방부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이 55 중량부 미만이고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중합되는 경우 방수제의 접착성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이 65 중량부를 초과하고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가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중합되는 경우 접착성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방수제로서의 취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액상형 안정제인 솔벤트나프타가 8 중량부 미만이고 1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방수제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높아져서 방수제의 취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디수소 산화물이 1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함수율이 과도하게 높아져서 탄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8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적정 함수율을 유지하기 어려워서 도막 시공시 취급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방부제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방수제의 부패를 방지하기 어렵고, 방부제가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치게 많은 양이 희석되어 방수제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레미탈은 드라이 몰탈(Dry mortar)방식으로서, 시멘트와 모래를 각각 구입하여 현장에서 체로 거른 다음 물과 섞어 사용하는 일반 시멘트와는 달리, 시멘트와 모래, 그리고 특성 개선제를 공장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미리 혼합한 다음 현장에서는 자동화된 믹서와 펌프를 사용해 물과 혼합하여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시멘트 2차 제품이다.
상기 물은 상기 탄성방수제 및 레미탈이 혼합되도록 가교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성복합화합물은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55 내지 65 중량부,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20 내지 25 중량부, 상기 액상형 안정제 8 내지 12 중량부, 디수소 산화물 8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방부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방수제; 레미칼; 및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방수제 28 중량%, 상기 레미탈 70 중량%, 상기 물 2 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탄성방수제 제조의 실시예
탄성방수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60 중량부,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20 중량부, 상기 액상형 안정제 10 중량부, 상기 디수소 산화물 8중량부, 상기 방부제 2 중량부를 혼합 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방수제의 물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탄성방수제를 콘크리트 면에 약 3mm의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판상의 시험편으로 준비하여 KS F 4919의 기준에 따라 물성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시험항목 기준치 시험결과
외관 유백색 양호
고형분(%) 55.00이상 55.57
점도(cp) 5000~6000 5960
모노머(wt%) 0~0.50 0.20
함수율(ph) 4.50~6.50 5.04
인장강도 10.2kgf/㎠ 17.2
신장률 50% 이상 121
인열강도 5.1kgf/㎝ 9.4
부착강도 8.2kgf/㎠ 9.4
흡수량 2.0g 이하 0.2
내투수성 이상없을 것 이상없음
내잔갈림성 이상없을 것 이상없음
두께확보성 양호할 것 양호
레벨링 및 표면상태 양호할 것 양호
위 표 1의 시험결과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탄성방수제는 한국산업규격(KS)에서 정하는 기준치 이상을 만족하며, 인장강도, 신장률, 부착강도, 흡수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탄성방수제를 이용하면, 종래의 방수제와 달리 모체와의 접착력과 탄성을 높여 강한 외부충격 등에도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 부위에 외부 충격 등의 가해지더라도 균열이 방지되어 방수시공의 하자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내진보강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한 내진보강홈에 내진보강기둥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은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S110); 내진보강홈 형성단계(S120);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S130); 및 내진보강기둥 생성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S110)에서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혼합하여 탄성복합화합물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준비한다.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S110)는, 물 및 탄성복합화합물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준비단계(S111); 및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 혼합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진보강홈 형성단계(S120)에서는 건물 내벽 또는 외벽의 일부분을 일정 길이 및 폭으로 철거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복수의 내진보강홈(10)을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S130)에서는 상기 내진보강홈(10) 내에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도포한다. 이때, 후술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가 사용되며, 그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내진보강기둥 생성단계(S140)는 상기 내진보강홈(10) 내에 도포된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건조 및 양생하여 도 3과 같이 내진보강기둥(20)을 생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은 탄성복화화합물 도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는 이동대차(110), 저장탱크(120), 이동가이드(130), 탄성복합화합물 도포수단(140),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 펌프(160),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 푸쉬 실린더(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대차(110)는 테이블(111) 및 테이블(111)의 저면에 구비되는 캐스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111)은 사각 평면의 제1 테이블영역(111a) 및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보다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평면의 제2 테이블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120)는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배치되며, 탄성복합화합물을 내부에 저장한다.
이동가이드(130)는 상기 제2 테이블영역(111b)의 일측 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가이드(13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테이블(111)의 평면 상에서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가이드레일(131)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복합화합물 도포수단(140)은 이동플레이트(141), 작업롤러(142),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및 이동블록(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14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롤러(14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전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는 가이드판(1431), 한 쌍의 측면판(1432), 전면판(14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1431)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전면에서 작업롤러(142)의 상부에 배치되고, 작업롤러(142)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작업롤러(142)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측면판(1432)은 가이드판(143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역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판(1433)은 각각의 측면판(1432) 사이에 연결되며, 가이드판(143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가이드판(1431)과의 사이에 토출구(143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블록(144)은 이동플레이트(141)의 이면에 구비되고, 이동가이드(130)의 가이드레일(131)에 안착되어 이동플레이트(141)가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는 이동대차(110)의 제2 테이블영역(111b)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록(144)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 로드(1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51)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동블록(144)을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시킨다.
펌프(160)는 이동대차(110)의 제1 테이블영역(111a)에 배치되고, 저장탱크(120)에 연결되어 저장탱크(120) 내의 탄성복합화합물을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방향으로 펌핑할 수 있다.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은 이동가이드(13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펌프(160)와 플렉시블 호스(h)를 통해 연결되어 펌프(160)를 통해 펌핑되는 탄성복합화합물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탄성복합화합물을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은 제1 수평배관부(171), 제2 수평배관부(172) 및 다수의 분기관(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배관부(171)는 이동가이드(130)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h)를 통해 펌프(1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평배관부(172)는 제1 수평배관부(171)의 전방 끝단에 제1 수평배관부(171)와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분기관(173)은 제2 수평배관부(172)의 하부에 연결되고,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은 펌프(160)를 통해 공급되는 탄성복합화합물이 상기 다수의 분기관(173)을 통해 작업롤러(142)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는 이동대차(110)의 제2 테이블영역(111b)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이동가이드(130)의 이면에 연결되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신장 및 수축되어 이동가이드(130)를 상, 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는 펌프(160),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 및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일정 길이 단위로 단계적으로 수축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에 따라 제2 피스톤 로드(181)가 단계적으로 수축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화합물 도포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의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S130)에서 탄성복합화합물을 내진보강홈(10) 내에 도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S130)는 도포 준비 단계(S131),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공급 단계(S132) 및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도포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단계들에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도포 준비 단계(S131)에서는 제어부(190)가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를 제어하여,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의 제2 피스톤 로드(181)를 신장시켜서 이동가이드(130)를 세우면서 작업롤러(142)가 내진보강홈(10)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공급 단계(S132)는 펌프(160)가 저장탱크(120) 내의 탄성복합화합물을 펌핑하여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 및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를 통해 상기 작업롤러(142) 상에 토출하여 탄성복합화합물을 내진보강홈(10)의 내면 및 작업롤러(142) 사이로 공급한다. 이때, 펌핑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는 제1 수평배관부(171) 및 제2 수평배관부(172)를 따라 유입된 후 다수의 분기관(173)을 통해 작업롤러(142)를 향해 토출되며, 다수의 분기관(173)으로부터 토출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의 가이드판(1431) 및 전면판(1433) 사이로 투입되면서 가이드판(1431) 및 전면판(1433) 사이의 토출구(1434)를 통해 작업롤러(142)의 외면 상에 공급될 수 있다.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도포 단계(S133)는 제어부(190)가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의 제1 피스톤 로드(151)를 신장 및 수축시키면서 상기 작업롤러(142)를 상기 이동가이드(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왕복시킨다. 이때, 작업롤러(142)는 이동플레이트(141)의 이면에 구비된 이동블록(144)이 이동가이드(130)의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이동하여 작업롤러(142)가 상, 하로 왕복될 수 있다.
작업롤러(142)가 상, 하로 왕복하는 과정은, 상기 작업롤러(142)가 1회 왕복이 종료되는 시점에 제어부(190)에 미리 입력된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에 따른 길이 단위로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의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수축되고 이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은, 기존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의 일부를 철거하여 내진보강홈(10)을 형성한 후, 모체와의 접착력과 탄성을 높여 강한 외부충격 등에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탄성방수제가 혼합되어 제조된 탄성복합화합물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내진보강홈(10) 내에 도포한 후 이를 양생하면 내진보강기둥(20)이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내진보강기둥(20)이 생성되며, 상기 내진보강기둥(20)은 상기 탄성복합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내진보강홈(10)의 내면, 즉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의 표면 간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상기 내진보강기둥(20)이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의 표면으로부터의 들뜸 현상 및 균열 등의 하자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탄성복합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르타르에 의한 강도가 우수한 내진설계기둥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건축물의 강도 높은 내진설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존 건축물의 벽면의 주기둥을 철거하되, 기둥에 배근된 철근만 남겨 놓고, 콘크리트를 뜯어 낸 후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내진설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존의 건축물의 주기둥 옆을 일정 폭으로 철거하고, 철거된 공간에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주기둥을 보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의 이동가이드(130) 및 가이드레일(131)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트리에탄올아민 15중량%, 인디아졸 25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프로피온아미드 1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트리에탄올아민, 인디아졸, 프로피온아미드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의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의 내면 및 외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의 내면 및 외면 상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의 내면 및 외면 상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내면및 외면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내면 및 외면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0.1 몰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의 내부에는 고무재의 누유방지패킹이 구비되는 바, 이 누유방지패킹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55중량%, 유기산 코발트염 6중량%,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6중량%, 카아본블랙 22중량%, 3C(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6중량%, 유황 5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 열전도성 등을 증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유기산 코발트염과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는 접착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는 산화방지제로 첨가되며, 유항은 촉진제 등의 역할을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유방지패킹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누유방지패킹의 수명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누유방지패킹의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기 ㄸ때문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이동대차 120: 저장탱크
130: 이동가이드 140: 탄성복합화합물 도포수단
150: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 160: 펌프
170: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 180: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
190: 제어부

Claims (4)

  1. 사각 평면의 제1 테이블영역(111a) 및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보다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평면의 제2 테이블영역(111b)을 포함하는 테이블(111) 및 상기 테이블(111)의 저면에 구비되는 캐스터(112)를 포함하는 이동대차(110);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배치되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탱크(120); 상기 제2 테이블영역(111b)의 일측 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111)의 평면 상에서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가이드레일(131)을 구비하는 이동가이드(130); 이동플레이트(141),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전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작업롤러(142),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전면에서 상기 작업롤러(14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롤러(142)를 향해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1431)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141)가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블록(144)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도포수단(140); 상기 제2 테이블영역(111b)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록(144)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 로드(15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51)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블록(144)을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시키는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12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20) 내의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방향으로 펌핑하는 펌프(160); 상기 이동가이드(13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160)와 플렉시블 호스(h)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펌프(160)를 통해 펌핑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로 공급하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 상기 제2 테이블영역(111b)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상기 이동가이드(130)의 이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신장 및 수축되어 상기 이동가이드(130)를 상, 하로 회전시키는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 및 상기 펌프(160), 상기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 및 상기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일정 길이 단위로 단계적으로 수축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에 따라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단계적으로 수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를 이용한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으로서,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혼합하여 탄성복합화합물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준비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S110);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외벽의 일부분을 일정 길이 및 폭으로 철거하여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외벽에 복수의 내진보강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내진보강홈 형성단계(S120);
    상기 내진보강홈 내에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S130); 및
    상기 내진보강홈 내에 도포된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건조 및 양생하여 내진보강기둥을 생성하는, 내진보강기둥 생성단계(S14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준비단계(S110)는,
    물 및 탄성복합화합물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준비단계(S111); 및
    모르타르용 탄성복합화합물 및 모르타르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모르타르 혼합단계(S11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은,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55 내지 65 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20 내지 25 중량부, 액상형 안정제 8 내지 12 중량부, 디수소 산화물 8 내지 12 중량부, 방부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방수제 28중량%, 레미탈 70중량% 및 물 2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기둥층 시공단계(S130)는,
    이동대차(110)를 상기 내진보강홈(10)의 정면에 위치시킨 후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의 제2 피스톤 로드(181)를 신장시켜서 이동가이드(130)를 세우면서 작업롤러(142)가 상기 내진보강홈(10)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도포 준비 단계(S131);
    저장탱크(120) 내의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펌핑하여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공급배관(170) 및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를 통해 상기 작업롤러(142) 상에 토출하여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내진보강홈(10)의 내면 및 작업롤러(142) 사이로 공급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공급 단계(S132); 및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의 제1 피스톤 로드(151)를 신장 및 수축시키면서 상기 작업롤러(142)를 상기 이동가이드(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왕복시키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도포 단계(S1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 도포 단계(S133)는 상기 작업롤러(142)가 1회 왕복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도포 장치의 제어부(190)에 미리 입력된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에 따른 길이 단위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수축되고 이를 반복하면서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의 도포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3. 사각 평면의 제1 테이블영역(111a) 및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보다 긴 길이를 갖는 사각 평면의 제2 테이블영역(111b)을 포함하는 테이블(111) 및 상기 테이블(111)의 저면에 구비되는 캐스터(112)를 포함하는 이동대차(110);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배치되며,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내부에 저장하는 저장탱크(120);
    상기 제2 테이블영역(111b)의 일측 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111)의 평면 상에서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가이드레일(131)을 구비하는 이동가이드(130);
    이동플레이트(141),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전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작업롤러(142),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전면에서 상기 작업롤러(14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롤러(142)를 향해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1431)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141)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141)가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블록(144)을 포함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도포수단(140);
    상기 제2 테이블영역(111b)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록(144)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 로드(15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51)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블록(144)을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시키는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
    상기 제1 테이블영역(111a)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12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20) 내의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 방향으로 펌핑하는 펌프(160);
    상기 이동가이드(13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160)와 플렉시블 호스(h)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펌프(160)를 통해 펌핑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를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로 공급하는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
    상기 제2 테이블영역(111b)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상기 이동가이드(130)의 이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신장 및 수축되어 상기 이동가이드(130)를 상, 하로 회전시키는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 및
    상기 펌프(160), 상기 도포수단 승하강 실린더(150) 및 상기 이동가이드 푸쉬 실린더(18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일정 길이 단위로 단계적으로 수축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 수축 제어값에 따라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81)가 단계적으로 수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는,
    상기 작업롤러(142)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상기 작업롤러(142)를 향해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1431);
    상기 가이드판(1431)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판(1432);
    상기 각각의 측면판(143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1431)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판(1431)과의 사이에 토출구(1434)를 형성하는 전면판(143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은,
    상기 이동가이드(1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1 수평배관부(171);
    상기 제1 수평배관부(171)의 전방 끝단에 제1 수평배관부(171)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배관부(172); 및
    상기 제2 수평배관부(172)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가이드(143)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분기관(173)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160)를 통해 상기 탄성복합화합물 공급배관(170)으로 공급되는 탄성복합화합물 모르타르는 상기 다수의 분기관(173)들을 통해 상기 작업롤러(142)를 향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KR1020200074431A 2020-06-18 2020-06-18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KR10220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31A KR102202037B1 (ko) 2020-06-18 2020-06-18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31A KR102202037B1 (ko) 2020-06-18 2020-06-18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037B1 true KR102202037B1 (ko) 2021-01-11

Family

ID=7412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431A KR102202037B1 (ko) 2020-06-18 2020-06-18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03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39A (ja) * 1996-06-21 1998-01-13 Mitsuwa Kogyo Kk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新生補強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新生補強工法用コンクリート削成機
JPH11128787A (ja) * 1997-11-04 1999-05-18 Chiron Japan Kk 塗布材料吹き付け用ガン
KR101183808B1 (ko) * 2010-05-07 2012-09-17 온누리케이1방수(주) 크랙보수용 탄성방수제
CN104368501A (zh) * 2014-10-29 2015-02-25 南宁职业技术学院 内墙涂料自动涂刷机
KR101870122B1 (ko) * 2017-11-13 2018-07-23 한양건설(주) 탄성복합화합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탄성화합물 교반장치, 탄성복합화합물 및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KR101978636B1 (ko) * 2019-01-29 2019-05-16 최형철 콘크리트구조물 외벽의 균열 및 파손 부위 복합 보강공법
KR101999527B1 (ko) * 2018-12-24 2019-07-12 윤채호 공동주택의 벽체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CN209089591U (zh) * 2018-11-09 2019-07-12 沃达尔(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多角度喷洒灌溉机
CN110158986A (zh) * 2019-06-10 2019-08-23 中鼎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加工用墙体开裂修复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39A (ja) * 1996-06-21 1998-01-13 Mitsuwa Kogyo Kk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新生補強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新生補強工法用コンクリート削成機
JPH11128787A (ja) * 1997-11-04 1999-05-18 Chiron Japan Kk 塗布材料吹き付け用ガン
KR101183808B1 (ko) * 2010-05-07 2012-09-17 온누리케이1방수(주) 크랙보수용 탄성방수제
CN104368501A (zh) * 2014-10-29 2015-02-25 南宁职业技术学院 内墙涂料自动涂刷机
KR101870122B1 (ko) * 2017-11-13 2018-07-23 한양건설(주) 탄성복합화합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탄성화합물 교반장치, 탄성복합화합물 및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CN209089591U (zh) * 2018-11-09 2019-07-12 沃达尔(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多角度喷洒灌溉机
KR101999527B1 (ko) * 2018-12-24 2019-07-12 윤채호 공동주택의 벽체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KR101978636B1 (ko) * 2019-01-29 2019-05-16 최형철 콘크리트구조물 외벽의 균열 및 파손 부위 복합 보강공법
CN110158986A (zh) * 2019-06-10 2019-08-23 中鼎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加工用墙体开裂修复方法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122B1 (ko) 탄성복합화합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탄성화합물 교반장치, 탄성복합화합물 및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KR100508729B1 (ko) 구조물의 크랙 보수 공법
KR101141504B1 (ko) 바탕조정의 도막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635464B1 (ko) 섬유로 보강된 몰탈 및 그 섬유로 보강된 몰탈을 이용한보수보강 공법
KR102321032B1 (ko) 건축물의 보강방수공법
KR102202037B1 (ko)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JP3648745B2 (ja) 水性分散体及び防水剤
KR102279044B1 (ko) 복합탄성중합체 조성물과 구조보강용 층 그리고 복합탄성중합체의 시공방법
KR102193241B1 (ko)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외벽 균열 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KR1010624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공방법
KR10170065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콘크리트 박락 부위와 구조재에 대한 보강·보수공법
KR102254926B1 (ko)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외부 조적면 보수보강 공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도포 장치
KR102340479B1 (ko) 라돈 차단 보수공법을 위한 라돈 투과 차단용 코팅제 조성물 분사장치
US7513948B1 (en) Autogenous healing of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KR102603305B1 (ko) 고강도 우레탄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및 이에 따른 고강도 우레탄 도막 방수 시스템
KR102193983B1 (ko)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바닥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분사장치
KR101752385B1 (ko) 습윤면용 경화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US202104024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rylic Coating
US201801176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rylic Coating
KR102290148B1 (ko)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싱글면 보수보강 공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분사장치
KR101856735B1 (ko) 탄성방수제 조성물 및 탄성방수제 제조를 위한 탄성방수제 교반장치
KR101876806B1 (ko) 초속경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20070076141A (ko) 고강도 수용성 도막 방수제
EP1789507B1 (en) Anionic/cationic masonry sealing systems
KR102218074B1 (ko) 염해 방지용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